KR101297872B1 -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872B1
KR101297872B1 KR1020060129389A KR20060129389A KR101297872B1 KR 101297872 B1 KR101297872 B1 KR 101297872B1 KR 1020060129389 A KR1020060129389 A KR 1020060129389A KR 20060129389 A KR20060129389 A KR 20060129389A KR 101297872 B1 KR101297872 B1 KR 101297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hesive composition
low temperature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463A (ko
Inventor
김동진
이계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87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9J1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과 프라이머가 처리된 금속 강판을 접착시켜 건축자재나 가구 또는 가전제품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고광택 시트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기존의 경화 온도인 약 250℃보다 낮은 온도인 약 180℃에서 경화되기 때문에 필름변성이 적어 광택이 더 좋고,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온 경화, 접착제 조성물,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 접착력

Description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capable of being cured at low temperature}
본 발명은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과 프라이머가 처리된 금속 강판을 접착시켜 건축자재나 가구 또는 가전제품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고광택 시트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금속성의 고광택성 시트는 헤어라인가공을 한 PET등의 합성수지 필름의 상부층에 진공증착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헤어라인을 가공한 금속판이나 시트와 동일한 정도의 미려한 금속광택을 가지는 합성지를 제공하는 기술이 일본공개실용 소61-37925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PET 필름과 금속 강판의 부착력이 약하여 철판 가공시 박리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어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름과 금속 강판 사이에 탑-코팅층을 매개로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시도가 있었으나 만족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PET 필름과 금속 강판의 접착 시 약 250℃의 높은 라미네이션 온도를 요구하여 PET 필름의 물 성을 손상시켜 광택을 저하시키고 에너지 손실이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광택 시트의 제조시, PET 필름과 금속 강판의 접착력을 보강하고 저온에서 우수한 접착력이 발현되도록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ET 필름과 금속 강판의 접착력이 우수한 코폴리에스터 수지를 제공하고, 약 180℃의 낮은 온도에서 라미네이션이 가능한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ⅰ) 테레프탈산 30∼100중량부, 이소프탈산 20∼70중량부, 세바식산 10∼30중량부 및 트리메리틱언하이드라이드 0∼5중량부의 산성분; 및 에틸렌글리콜 0∼8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10∼80중량부 및 트리메틸프로판 0∼5중량부의 알코올 성분으로부터 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 ⅱ)경화제 1∼20중량부; ⅲ)용매 100∼300중량부; 및 ⅳ)경화촉매 0∼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과 프라이머가 처리된 금속 강판을 접착시키는데 사용되며, 저온에서 경화되므로 필름의 변성이 적어 광택이 더 좋고,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접착력이 우수한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ⅰ) 테레프탈산 30∼100중량부, 이소프탈산 20∼70중량부, 세바식산 10∼30중량부 및 트리멜리틱언하이드라이드 0∼5중량부의 산성분; 및 에틸렌글리콜 10∼8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10∼80중량부 및 트리메틸프로판 0∼5중량부의 알코올 성분으로부터 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 ⅱ)경화제 1∼20중량부; ⅲ)용매 100∼300중량부; 및 ⅳ)경화촉매 0∼3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에 있어서, 산성분은 테레프탈산 30∼100중량부, 이소프탈산 20∼70중량부, 세바식산 10∼30중량부 및 트리멜리틱언하이드라이드 0∼5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알코올성분은 에틸렌글리콜 10∼8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10∼100중량부 및 트리메틸프로판 0∼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성분에서 세바식산의 함유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180℃의 경화온도에서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내열성 및 내수성이 나빠져 장기보관시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0.75∼0.85㎗/g의 고유점도, 20,000∼40,000의 수평균분자량, 및 5∼70℃의 유리전이온도 등의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성범위를 벗어날 경우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첨가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히 경화가 되지 않아 내열성 및 내수성이 떨어지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한편, 상기 용매는 100∼200℃의 끓는점을 가지는 것 및 용해도 변수(solubility parameter)가 7∼13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사이클로헥사논, 부틸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300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첨가량이 10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너무 높아 코팅을 균일하게 하기 어렵고, 300중량부를 초과하면 고형분이 너무 낮아 충분한 양의 접착제를 도포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경화촉매는 디부틸틴라우레이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외에도 표면의 습윤성(wetting)이나 소포를 위해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잇는데, 상기 첨가제는 실리콘계, 아크릴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3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첨가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첨가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3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내비등수 처리 후, 에릭슨테스트 시 3 내지 5점의 접착력을 나타내고, 접착 후 1일 후에는 4 내지 5의 접착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ⅰ)테레프탈산 50g, 이소프탈산 39g, 세바식산 10g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50g, 네오펜틸글리콜 50g의 알코올 성분을 250℃에서 4시간동안 중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 후, ⅱ)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경화제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부, 자일렌과 사이클로헥사논이 혼합된 용매 200중량부, 경화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1중량부 및 첨가제인 아크릴계 폴리머 2중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 수평균분자량 및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ⅰ)테레프탈산 50g, 이소프탈산 29g, 세바식산 20g 및 트리멜리틱언하이드라이드 1g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50g, 네오펜틸글리콜 50g의 알코올 성분을 250℃에서 4시간동안 중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 후, ⅱ)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경화제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부, 자일렌과 사이클로헥사논이 혼합된 용매 200중량부, 경화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1중량부 및 첨가제인 아크릴계 폴리머 2중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 수평균분자량 및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ⅰ)테레프탈산 50g, 이소프탈산 20g, 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 20g 및 아디픽산 10g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50g, 네오펜틸글리콜 50g의 알코올 성분을 250℃에서 4시간동안 중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를 제조한 후, ⅱ)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경화제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부, 자일렌과 사이클로헥사논이 혼합된 용매 200중량부, 경화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1중량부 및 첨가제인 아크릴계 폴리머 2중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 수평균분자량 및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ⅰ)테레프탈산 30g, 이소프탈산 40g, 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 10g 및 아디픽산 20g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50g, 네오펜틸글리콜 50g의 알코올 성분을 250℃에서 4시간동안 중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 후, ⅱ)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경화제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부, 자일렌과 사이클로헥사논이 혼합된 용매 200중량부, 경화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1중량부 및 첨가제인 아크릴계 폴리머 2중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 수평균분자량 및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산성분
(g)
테레프탈산 50 50 50 30
이소프탈산 39 29 20 40
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 - - 20 10
아디픽산 - - 10 20
세바식산 10 20 - -
트리멜리틱언하이드라이드 0 1 - -
알코올 성분
(g)
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네오펜틸글리콜 50 50 50 50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수지물성 고유점도(㎗/g) 0.751 0.813 0.540 0.673
수평균분자량 28000 33000 18000 23000
Tg(℃) 50 32 54 38
접착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 의해 제조된 각각의 접착제 조성물로 180℃, 5kgf, 1m/min의 조건하에서 롤압착을 수행한 후, 에릭슨 테스터(딥드로잉 시험기)를 사용하여 1일 지난 후의 접착력 및 내비등수 처리후에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점착력
(점수)
1일 후 4 5 3 2
내비등수 처리 후 3 4 1 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기존의 경화 온도인 약 250℃보다 낮은 온도인 약 180℃에서 경화되기 때문에 필름변성이 적어 광택이 더 좋고,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ⅰ) 테레프탈산 30∼100중량부, 이소프탈산 20∼70중량부, 세바식산 10∼30중량부 및 트리메리틱언하이드라이드 0∼5중량부의 산성분; 및 에틸렌글리콜 10∼8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10∼80중량부 및 트리메틸프로판 0∼5중량부의 알코올 성분으로부터 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 ⅱ) 경화제 1∼20중량부; ⅲ) 용매 100∼300중량부; 및 ⅳ) 디부틸틴라우레이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화촉매를 3 중량부까지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0.75∼0.85㎗/g의 고유점도, 28,000∼40,000의 수평균분자량, 및 5∼7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경화형 접찹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100∼200℃의 끓는점을 가지는 것 및 용해도 변수(solubility parameter)가 7∼13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실리콘계, 아크릴계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1∼3중량부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180℃, 5kgf, 1m/min의 조건하에서 롤압착한 후, 에릭슨 테스트 수행시 1일 후에는 4 내지 5점의 접착력을 나타내고, 내비등수 처리 후에는 3 내지 5점의 접착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KR1020060129389A 2006-12-18 2006-12-18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KR101297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389A KR101297872B1 (ko) 2006-12-18 2006-12-18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389A KR101297872B1 (ko) 2006-12-18 2006-12-18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63A KR20080056463A (ko) 2008-06-23
KR101297872B1 true KR101297872B1 (ko) 2013-08-19

Family

ID=3980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389A KR101297872B1 (ko) 2006-12-18 2006-12-18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2357B2 (ja) * 2016-12-22 2022-04-1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テー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797A (ko) * 1996-11-08 1998-08-05 후루카와도요히코 적층용 접착제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한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
JP2000178416A (ja) 1998-12-15 2000-06-27 Unitika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0328033A (ja) * 1999-05-17 2000-11-28 Unitika Ltd ラミネート缶接着剤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接着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797A (ko) * 1996-11-08 1998-08-05 후루카와도요히코 적층용 접착제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한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
JP2000178416A (ja) 1998-12-15 2000-06-27 Unitika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0328033A (ja) * 1999-05-17 2000-11-28 Unitika Ltd ラミネート缶接着剤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接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63A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97470B (zh) 一种无溶剂型双组分聚氨酯胶粘剂及其制备方法
KR101467609B1 (ko) 온도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낮은 충돌 내구성 에폭시 접착제
CN110776869B (zh) 一种耐高温高强度聚氨酯结构胶及其制备方法
KR101575403B1 (ko) 하이그로시용 원코트 상도 도료 조성물 및 그의 도장 방법
CN106883810B (zh) 一种高剥离型聚氨酯粘合剂
CN108997965B (zh) 一种反应性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10317532B (zh) 一种用于硅钢的水溶性环保自粘结绝缘涂料
JP2007161991A (ja) ウェット単板用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造作部材
CN107459959B (zh) 一种软包装用耐蒸煮无溶剂粘合剂及其制备方法
CN108546539B (zh) 一种耐候性双组份聚氨酯粘合剂及太阳能电池背板
EP3845618A1 (en) Powder coating used for household appliance coiled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09206891B (zh) 一种可自修复的热固性环氧树脂基复合材料及制备方法
KR102468328B1 (ko)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KR101297872B1 (ko) 저온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CN115612440A (zh) 一种双组分无溶剂光伏背板胶黏剂及其制备方法
CN109824852A (zh) 一种聚氨酯固化剂
CN112724803B (zh) 一种平面粉末涂料组合物及其涂层
US11203686B2 (en) Polymer wax powder having a self-repairing func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6602605B2 (en) Modified wood with surface coatings
CN115074070B (zh) 一种聚酯结构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881361B (zh) 一种用于ffc的热压绝缘膜及含该热压绝缘膜的ffc
CN111809405B (zh) 一种聚氨酯-有机硅合成革涂层用反应型增容剂的制备方法
CN117247755B (zh) 一种胶黏剂及其制备方法、复合绝缘纸
KR102349182B1 (ko) 방열기능을 갖는 피씨엠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도장강판
WO1995009201A1 (en) Polyeurea modified 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