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704B1 - 섬유 탈색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 탈색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704B1
KR101297704B1 KR1020110085852A KR20110085852A KR101297704B1 KR 101297704 B1 KR101297704 B1 KR 101297704B1 KR 1020110085852 A KR1020110085852 A KR 1020110085852A KR 20110085852 A KR20110085852 A KR 20110085852A KR 101297704 B1 KR101297704 B1 KR 101297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decolorizing
present
decoloriza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870A (ko
Inventor
안영수
Original Assignee
(주)충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충암산업 filed Critical (주)충암산업
Priority to KR102011008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7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13Fugitive dyeing or stripping dyes
    • D06P5/131Fugitive dyeing or stripping dyes with acids or b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망초와 소금 중 어느 하나와 가성소다를 함유하고 있는, 섬유 탈색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은, 부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탈색 과정 진행 시, 섬유 중의 염료를 제거시킬 수 있는 가성소다; 및 상기 탈색의 진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탈색 속도 향상제를 포함하며, 상기 탈색 속도 향상제로는 망초 또는 소금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 탈색용 조성물{COMPOSITION FOR DECOLORIZATION OF TEXTILE}
본 발명은 섬유 탈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염색 과정에서 불량으로 판별된 섬유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섬유 탈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섬유 염색 공정 중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제조자가 원하지 않는 불량한 색상을 가진 섬유가 생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조자는 염색된 색상을 탈색시키는 공정에 의해, 섬유를 재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탈색 방법은 일반적으로 가성소다와 하이드로설파이트(NAOH + Na2S2O4)로 탈색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차아염소산소다(NaClO)로 탈색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후처리 공정에서 산화제를 이용한 표백 과정을 이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탈색 방법은, 가성소다 7%(o.w.f : of weight fabric)에 하이드로설파이트 7%~6%(o.w.f)를 혼합한 용액에 염색 불량 섬유를 담근 후, 70 내지 80℃ 온도에서 약 40 내지 50분 정도를 가열시켰고, 처리 후 수세 후, 가성소다 3 내지 4%(o.w.f)와 과산화수소수 5%(o.w.f)를 혼합한 용액에 염색 불량 섬유를 담근 후, 약 98℃ 온도에서, 약 40 내지 50분 정도를 가열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후처리 공정에서 산화제를 이용한 표백 과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탈색 방법에 있어서, 하이드로설파이트는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져서 자기분해가 심하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탈색 방법은, 섬유에 염색되었던 염료 입자를 완전히 제거하기 힘들기 때문에, 색상이 완전히 탈색되지 않으며, 따라서, 재생된 섬유를 밝은색으로 재염색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탈색 방법에 의하는 경우, 섬유의 강도가 약해지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으며, 섬유의 인장강도 역시 현저히 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탈색 방법은, 섬유가 P/C(Polyester,Cotton)혼방인 경우에 이를 정상적으로 탈색시키기 어렵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탈색 방법은, 탈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염색 공정 중에 불량으로 발생된 섬유들을 완벽하게 재생시키기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24185호(1999년 3월 25일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6064호(2007년 6월 27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망초와 소금 중 어느 하나와 가성소다를 함유하고 있는, 섬유 탈색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은, 부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탈색 과정 진행 시, 섬유 중의 염료를 제거시킬 수 있는 가성소다; 및 상기 탈색의 진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탈색 속도 향상제를 포함하며, 상기 탈색 속도 향상제로는 망초 또는 소금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망초와 소금 중 어느 하나와 가성소다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염색 공정 중에 발생된 불량 섬유의 색상을 완벽하게 탈색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를 취화(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섬유를 탈색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색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염색 공정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P/C 혼방 제품 및 면섬유를 완벽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에 적용되는 물질과 종래의 섬유 탈색 방법에 적용되는 물질들의 가격을 비교한 도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의 다양한 물질 비율 및 탈색 온도의 예를 나타낸 도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에 적용되는 물질과 종래의 섬유 탈색 방법에 적용되는 물질들의 가격을 비교한 도표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에 다양한 무늬를 내기 위해서 섬유 원단 전체에 동일한 색상이나 여러 가지 색상으로 염색을 한다.
섬유는 그 원료에 따라 면, 마,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에스터(Polyester)와 면(Cotton)의 혼합으로 구성된 혼방사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에 따라 편물 또는 직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는 일반적으로 하얀색의 원단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제조 후에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염색 공정 중에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염색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염색 불량이 발생된 섬유가 대량으로 발생되는 경우, 이를 모두 폐기처분하기에는 섬유 제조자의 비용 부담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염색 불량된 섬유를 탈색시키는 공정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재생된 재생섬유는 다시 염색되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염색 불량된 섬유를 탈색시키는 공정 중에 이용되는 섬유 탈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망초와 소금 중 어느 하나와 가성소다를 주물질로 하여 제조된 섬유 탈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에 함유된 물질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성소다는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이라고도 불리는 물질이다. 가성소다의 화학식은 NaOH이고, 분자량은 39.997g/mol이며, 대표적인 강염기로서 공기 중에서 수증기를 흡수해 스스로 녹는 조해성이 있으므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보관해야 한다.
즉, 가성소다는 강염기의 대표적인 물질로서, 다른 물질을 잘 부식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가성소다는 부식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식물의 조직을 현저하게 침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가성소다의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섬유에 염색되었던 염료 입자를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다.
즉, 가성소다는 염색물의 색상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탈색제로 작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탈색의 진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탈색 속도 향상제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탈색 속도 향상제로는 망초 또는 소금이 이용될 수 있다.
망초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서, 높이는 약 1.5미터 정도이고, 온몸에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다. 이러한 망초는 독초의 하나로서, 약재로도 쓰이고 있다.
또한, 소금은 일상생활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으로서, 탈색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망초를 대체하여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물질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된 섬유를 탈색시키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물질들은 종래의 섬유 탈색 방법에 이용되고 있는 물질들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섬유 탈색 방법에 이용되고 있는 물질들과,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에 이용되고 있는 물질들의 가격을 비교한 표로서, 본 발명에서 적용되고 있는 망초와 소금의 가격이 다른 물질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함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의 다양한 물질 비율 및 탈색 온도의 예를 나타낸 도표로서, 염색 정도가 각기 다른 섬유에 이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의 물질 비율이 상이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망초와 소금 중 어느 하나와 가성소다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재생하고자 하는 섬유의 염색 정도에 따라, 상기한 구성물질들의 비율 및 탈색 온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섬유의 탈색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담색(엷은 색상) 및 중색(중간색)으로 염색된 섬유를 탈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은, 가성소다 8~10%(바람직하게는 9%)(o.w.f)와 망초(또는 소금) 9~11%(바람직하게는 10%)(o.w.f)로 구성되며, 재생하고자 하는 섬유를 120 내지 140℃(바람직하게는 130℃)에서 40 내지 50분 정도 가열할 때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둘째, 농색(짙은색)으로 염색된 섬유를 탈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은, 가성소다 8~10%(바람직하게는 9%)(o.w.f)와 망초(또는 소금) 19~21%(바람직하게는 20%)(o.w.f)로 구성되며, 재생하고자 하는 섬유를 120 내지 140℃(바람직하게는 130℃)에서 40 내지 50분 정도 가열할 때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 및 온도에서 섬유를 탈색시키고 있는 본 발명은 염색된 섬유를 수세한 후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섬유의 취하(약해짐)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면, 마, 폴리에스터로 구성된 섬유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터(Polyester)와 면(Cotton)의 혼합으로 구성된 혼방사를 탈색시키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섬유 탈색 방법에서 이용되고 있는 물질들보다 저렴한 망초 또는 소금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방법과 비교해 볼 때, 70%의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제에 의한 표백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은, 망초 또는 소금을 탈색의 진행속도 향상을 위한 탈색 속도 향상제로 이용하고 있으며, 부식성이 있는 강한 환원제인 하이드로설파이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섬유 취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탈색 방법은, 100℃ 이하의 저온에서 가성소다 및 하이드로설파이트를 사용하여 탈색을 진행함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발생시키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130℃ 정도의 고온, 고압에서 섬유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발생되었던 문제점들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색용 조성물은, 가성소다만 사용하고 있지만, 탈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처리 환경을 130℃ 정도의 고온/고압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탈색효과를 높이기 위해 망초 또는 소금을 사용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부식성을 가지며, 섬유의 탈색 시, 섬유 중의 염료를 제거시킬 수 있는 가성소다; 및
    상기 탈색의 진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망초를 포함하고,
    상기 가성소다와 상기 망초는 섬유의 탈색 시, 120 내지 140℃에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탈색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탈색을 하고자 하는 상기 섬유가 담색 또는 중색인 경우, 상기 가성소다 8~10%(o.w.f)와 상기 망초 9~11%(o.w.f)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탈색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탈색을 하고자 하는 상기 섬유가 농색인 경우, 상기 가성소다 8~10%(o.w.f)와 상기 망초 19~21%(o.w.f)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탈색용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성소다와 상기 망초는 섬유의 탈색 시, 120 내지 140℃에서, 40 내지 50분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탈색용 조성물.
KR1020110085852A 2011-08-26 2011-08-26 섬유 탈색용 조성물 KR101297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852A KR101297704B1 (ko) 2011-08-26 2011-08-26 섬유 탈색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852A KR101297704B1 (ko) 2011-08-26 2011-08-26 섬유 탈색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870A KR20130022870A (ko) 2013-03-07
KR101297704B1 true KR101297704B1 (ko) 2013-08-22

Family

ID=4817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852A KR101297704B1 (ko) 2011-08-26 2011-08-26 섬유 탈색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7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878B1 (ko) * 1995-07-20 1997-11-27 유인갑 의류용탈색제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의류의 탈색방법
KR100216167B1 (ko) 1997-04-09 1999-11-01 박준하 인디고염료의 염색방법
KR19990084114A (ko) * 1999-09-15 1999-12-06 강철수 면직물의 표백방법
JP2009068127A (ja) * 2007-09-11 2009-04-02 Komatsu Seiren Co Ltd リサイクル用捺染品、リサイクル用捺染品の脱色方法および捺染品のリサイクル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878B1 (ko) * 1995-07-20 1997-11-27 유인갑 의류용탈색제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의류의 탈색방법
KR100216167B1 (ko) 1997-04-09 1999-11-01 박준하 인디고염료의 염색방법
KR19990084114A (ko) * 1999-09-15 1999-12-06 강철수 면직물의 표백방법
JP2009068127A (ja) * 2007-09-11 2009-04-02 Komatsu Seiren Co Ltd リサイクル用捺染品、リサイクル用捺染品の脱色方法および捺染品のリサイク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870A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9725A (zh) 亚麻粗纱处理工艺
FR2482989A1 (fr) Procede pour la regeneration de vieux papiers
Eren et al. Ozone: an alternative oxidant for textile applications
CN101903591A (zh) 漂白纸浆的制造方法
KR101297704B1 (ko) 섬유 탈색용 조성물
Steiner Evaluation of peracetic acid as an environmentally safe alternative for hypochlorite
JP2020020082A (ja) 布の漂白方法及び漂白後の布の色戻り低減方法
Tayyaba et al. Chemical color stripping of cellulose fabric dyed with reactive dyes
KR20160037116A (ko) 항균 타올 및 이의 제조방법
SPEAKMAN et al. Shrink-resisting wool: Some novel features and the description of a new process
Gürsoy et al. Cationic Bleach Activators for Improving Cotton Bleaching.
US5611816A (en) Process for desizing and color fading garments
Perincek Ozonation: A new patterning method for optical bleached fabrics
CN1074800C (zh) 羊毛和羊毛混纺织物的处理
US1908481A (en) Method of bleaching fibers
KR100901317B1 (ko) 무연사 염색방법
CN106758128B (zh) 一种柞蚕丝织物冷轧堆脱胶-漂白一浴方法
CN110130090A (zh) 一浴两步法增白和阳离子改性的方法和应用
KR101712980B1 (ko) 친환경 직물염색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직물
EP2703553A1 (en) Process for bleaching using peroxo-polyoxometalates for textiles made from mixtures of cellulosic fibers such as: flax-cotton, hemp-cotton
GB2263912A (en) Dyestuff compositions
US1224145A (en) Fireproofing and bleaching of fabrics and the like.
US2727804A (en) Bleaching of polyamides
JPS5887363A (ja) 繊維製品の精練方法
Athalye Bleach clean 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