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459B1 -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459B1
KR101297459B1 KR1020100138509A KR20100138509A KR101297459B1 KR 101297459 B1 KR101297459 B1 KR 101297459B1 KR 1020100138509 A KR1020100138509 A KR 1020100138509A KR 20100138509 A KR20100138509 A KR 20100138509A KR 101297459 B1 KR101297459 B1 KR 101297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space
portable terminal
interface spac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792A (ko
Inventor
김영욱
석만호
조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13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459B1/ko
Priority to US13/332,075 priority patent/US20120169758A1/en
Publication of KR2012007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빛의 가산 혼합 특성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공간을 기설정된 색으로 출력하고,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인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면, 인터페이스 공간 내에서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동작으로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처리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3D INTERFACING IN PO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3차원 공간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디스플레이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입력 방법도 3차원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 하고 있다. 3차원 인터페이스의 구현, 3차원 영상의 제어, 3차원 게임 산업의 발달 등, 디스플레이(Window)상에 직접 터치를 하지 않아도 동작 구현이 가능한 입력장치의 발달 예상된다.
기존의 터치 동작 구현방법은 디스플레이(Window)에 직접 터치 하는 방식(x,y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3차원 동작 구현을 위해 정전용량 감도 증대 방식이나 3차원 리모트 컨트롤, 3차원 카메라 등의 방법이 고안되고 있다. 하지만 정전용량 감도 증대 방식은 센서 민감도를 조절하는 정도 밖에 구현하지 못하며 z축 높이가 제한되어 있어 현실적으로 동작 영역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3차원 리모트 컨트롤이나 3차원 카메라 3차원 적외선 모듈 등의 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의 소형화가 어려워 모바일 기기에 구현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 할 수 있는 3차원 입력 방식이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차원 공간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차원 공간에 인터페이스 공간을 형성하고 인터페이스 공간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차원 공간에 빛의 가산 혼합 특성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공간을 형성하고 인터페이스 공간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는,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적어도 3개 이상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인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 내에서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동작으로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은,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인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 내에서 상기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동작으로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빛의 가산 혼합 특성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공간을 기설정된 색으로 출력하고,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인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면, 인터페이스 공간 내에서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동작으로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3차원의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3차원 인터페이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3차원 인터페이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들의 인식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중첩되는 인터페이스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각이 90도인 센서의 인식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각이 90도인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중첩되는 인터페이스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가 3개인경우 3차원 위치를 추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가 4개인경우 3차원 위치를 추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각이 90도인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중첩되는 영역 중에서 기설정된 영역을 인터페이스 공간으로 설정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에 인터페이스 공간을 형성하고 인터페이스 공간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어부(110), 센서부(120), 공간 표시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동작 감지부(112) 및 인터페이스부(114)를 포함한다.
센서부(120)는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들(121,122,123)을 적어도 3개 이상 포함한다. 이때, 센서들(121,122,123)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센서들(121,122,123)의 방향과 위치가 기설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들의 인식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들(121,122,123)은 20°~ 60°의 센서각을 가진다. 그리고, 센서들의 인식영역(410)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은 디스플레이부(140)의 출력화면에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되어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중첩되는 인터페이스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공간(510)은 도 4의 0°~ 60°의 센서각을 가진 센서들(121,122,123)의 인식영역이 중첩되는 구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각이 90도인 센서의 인식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각이 90도인 센서를 디스플레이(140)를 기준으로 45도 기울이면 도 6과 같은 형태의 인식영역(610)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센서각이 90도인 센서 3개를 이용하면 도 7과 같은 인터페이스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각이 90도인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중첩되는 인터페이스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공간(710)은 도 4의 90°의 센서각을 가진 센서들(121,122,123)의 인식영역이 중첩되는 구간으로 디스플레이(140)의 출력화면 전체가 인터페이스 공간(710)안에 포함된다.
공간 표시부(130)는 각기 기설정된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들(131,132,133)을 포함하고 발광부들(131,132,133)을 통해 출력되는 기설정된 빛들의 가산 혼합 특성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공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색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동작 감지부(112)는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인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면, 인터페이스 공간 내에서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객체의 위치 변화를 동작으로 감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가 3개인경우 3차원 위치를 추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파라메터를 참조한 3차원 위치의 추정은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다.
Figure 112010087479123-pat00001
여기서, (r1, r2, r3)는 각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이고, (x,y,z)는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이고, b는 view area의 세로길이이고, a는 view area의 가로 길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가 4개인경우 3차원 위치를 추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파라메터를 참조한 3차원 위치의 추정은 아래 <수학식 2>을 통해 계산된다.
Figure 112010087479123-pat00002
여기서, (r1, r2, r3, r4)는 각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이고, (x,y,z)는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이고, b는 view area의 세로길이이고, a는 view area의 가로 길이이다.
한편, 도 7과 같은 형태로 인터페이스 공간이 형성된 경우 x-y축, 2차원 좌표 형성은 어느 점이나 인식에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z축으로는 불 균일하고 뾰족한 형태의 인식 영역을 갖는다. 이 불균일한 인터페이스 공간 때문에 인터페이스 공간을 가시화 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공간을 혼돈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인식 영역 혼돈 방지를 위해 아래의 <수학식 3>의 경계 조건으로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87479123-pat00003
동작 감지부(112)는 아래 도 10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출력화면에서 수직으로 기설정된 거리까지를 인터페이스 공간으로 해서 객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센서각이 90도인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중첩되는 영역 중에서 기설정된 영역을 인터페이슨 공간으로 설정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동작 감지부(112)는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면,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공간 표시부(130)로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공간 표시부(130)는 동작 감지부(112)의 요청에 따라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의 변경은 인터페이스 공간임을 표시하는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표시하는 밝기를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4)는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처리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4)는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감지했음을 알리기 위해 공간 표시부(130)로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공간 표시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4)의 요청에 따라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의 변경은 인터페이스 공간임을 표시하는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표시하는 밝기를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의 변경은 인터페이스 공간을 입력에 대응하는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입력에 대응하는 밝기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입력에 대응하는 형태로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인증정보 생성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동작 감지부(112) 및 인터페이스부(114)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 동작 감지부(112) 및 인터페이스부(114)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동작 감지부(112) 및 인터페이스부(114)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동작 감지부(112) 및 인터페이스부(114)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3차원 인터페이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210단계에서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인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면, 212단계에서 인터페이스 공간 내에서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객체의 위치 변화를 동작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214단계에서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214단계의 확인결과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216단계에서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3차원 인터페이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310단계에서 빛의 가산 혼합 특성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공간을 기설정된 색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312단계에서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인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312단계의 확인결과 객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310단계로 돌아간다.
312단계의 확인결과 객체가 감지되면, 그리고,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314단계에서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의 변경은 인터페이스 공간임을 표시하는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표시하는 밝기를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316단계에서 인터페이스 공간 내에서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객체의 위치 변화를 동작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318단계에서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318단계의 확인결과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320단계에서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감지했음을 알리기 위해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의 변경은 인터페이스 공간임을 표시하는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표시하는 밝기를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의 변경은 인터페이스 공간을 입력에 대응하는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입력에 대응하는 밝기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입력에 대응하는 형태로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322단계에서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1)

  1.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적어도 3개 이상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인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 내에서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동작으로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상기 센서들은,
    상기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상기 센서들의 방향과 위치가 기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기 기설정된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들을 통해 출력되는 기설정된 빛들의 가산 혼합 특성을 이용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기설정된 색으로 출력하는 공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표시부는,
    상기 센서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부들을 이용해서 상기 센서들 각각의 인식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각기 기설정된 빛을 출력하고, 상기 발광부들 별로 기설정된 빛들의 가산 혼합 특성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이 상기 기설정된 색으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공간 표시부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공간 표시부는,
    상기 동작 감지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의 변경은,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임을 표시하는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표시하는 밝기를 변경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감지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공간 표시부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공간 표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의 변경은,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임을 표시하는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표시하는 밝기를 변경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의 변경은,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색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밝기로 변경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형태로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90 °이상의 센서각을 가진 상기 센서들을 적어도 3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 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출력화면이 위치 되도록 상기 센서들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전체 출력화면에서 수직으로 기설정된 거리까지를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으로 해서 상기 객체의 동작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이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에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되어 형성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12.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인 인터페이스 공간에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 내에서 상기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객체의 위치 변화를 동작으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빛의 가산 혼합 특성을 이용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기설정된 색으로 출력하는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단계는,
    상기 센서들 각각의 인식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상기 센서들 별로 기설정된 빛을 출력하고, 상기 센서들 별로 기설정된 빛들의 가산 혼합 특성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이 상기 기설정된 색으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에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임을 표시하는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표시하는 밝기를 변경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감지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임을 표시하는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 공간을 표시하는 밝기를 변경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색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밝기로 변경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을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형태로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출력화면을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전체 출력화면에서 수직으로 기설정된 거리까지의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간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되어 형성된 상기 센서들의 인식영역이 모두 중첩되는 구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00138509A 2010-12-30 2010-12-30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297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09A KR101297459B1 (ko) 2010-12-30 2010-12-30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3/332,075 US20120169758A1 (en) 2010-12-30 2011-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09A KR101297459B1 (ko) 2010-12-30 2010-12-30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792A KR20120076792A (ko) 2012-07-10
KR101297459B1 true KR101297459B1 (ko) 2013-08-16

Family

ID=4638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509A KR101297459B1 (ko) 2010-12-30 2010-12-30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69758A1 (ko)
KR (1) KR1012974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02A (ko) * 2004-06-19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사물 인식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장치
KR20100032567A (ko) * 2008-09-18 2010-03-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기기의 감성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48090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와 모션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KR20100107976A (ko) * 2009-03-27 2010-10-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0418B2 (en) * 2005-02-04 2010-05-04 Linden Acquisit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and realistic simulation of natural atmospheric lighting phenomenon
JP4587173B2 (ja) * 2005-04-18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427426B2 (en) * 2005-05-27 2013-04-2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Remote input device
JP4803069B2 (ja) * 2007-02-23 2011-10-26 ソニー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08132546A1 (en) * 2007-04-30 2008-11-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lgorithm for detecting movement of an obje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02A (ko) * 2004-06-19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사물 인식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장치
KR20100032567A (ko) * 2008-09-18 2010-03-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기기의 감성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48090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와 모션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KR20100107976A (ko) * 2009-03-27 2010-10-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792A (ko) 2012-07-10
US20120169758A1 (en)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164B2 (en)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gesture recognition
JP5921835B2 (ja) 入力装置
JP5374071B2 (ja) 携帯端末および領域特定処理実行方法
JP2016194799A (ja) 画像解析装置及び画像解析方法
JP564544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60292888A1 (en) Image measur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18009791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483556B2 (ja) 操作認識装置、操作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71096B1 (ko) 사용자 적응형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5212927A (ja) 入力操作検出装置、入力操作検出装置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US20160018917A1 (en) Touch system, touch apparatus, and mobile device
KR101019255B1 (ko) 깊이 센서 방식의 공간 터치 무선단말기, 이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스크린장치
KR101956035B1 (ko)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74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075442B1 (ko) 포인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EP2975503A2 (en) Touch device and corresponding touch method
JP201617681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224949A (ja) 対象物計測装置及び対象物計測方法
KR100573895B1 (ko) 3차원 영상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 방법을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074878A (ko)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프레임 내 피사체 간 거리 측정 방법
US10310668B2 (en) Touch screen display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display system
JP2023010394A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KR101779407B1 (ko) 2차원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JP2018097563A (ja) 画像処理装置
JP5550670B2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