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346B1 - 추간 인공 삽입물 - Google Patents

추간 인공 삽입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346B1
KR101297346B1 KR1020110030105A KR20110030105A KR101297346B1 KR 101297346 B1 KR101297346 B1 KR 101297346B1 KR 1020110030105 A KR1020110030105 A KR 1020110030105A KR 20110030105 A KR20110030105 A KR 20110030105A KR 101297346 B1 KR101297346 B1 KR 10129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ertebral
spike member
height
opening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561A (ko
Inventor
김희경
Original Assignee
김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경 filed Critical 김희경
Priority to KR102011003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34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안착홈 전방 또는 후방에는 구상돌기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방구가 형성됨에 따라 추간 간격을 현격하게 벌리지 않고도 수술이 가능해 보다 안전하고 후유증 없는 수술진행이 가능하며, 추간으로 진입되는 방향의 스파이크 높이는 낮게, 그 반대측의 높이는 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해당 위치에 신속하고 안정적인 삽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삽입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간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은 하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구상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되, 상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구상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간 인공 삽입물{INTERVERTEBRAL DISK PROSTHESIS}
본 발명은 추간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착홈 전방 또는 후방에는 구상돌기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방구가 형성됨에 따라 추간 간격을 현격하게 벌리지 않고도 수술이 가능해 보다 안전하고 후유증 없는 수술진행이 가능하며, 추간으로 진입되는 방향의 스파이크 높이는 낮게, 그 반대측의 높이는 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해당 위치에 신속하고 안정적인 삽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삽입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간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요추 또는 경추관절은 일반적인 상하지 관절과 달리, 주관절인 디스크와 보조관절인 두 개의 후관절이 작용하고있어, 이 보조관절이 허리나 목을 뒤로 젖히는 후방굴신(extension)시에 운동을 구속할 뿐 아니라 주관절인 디스크와 같이 하중을 아래 추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를 대체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요추나 경추의 추간 인공삽입물은 추체에 고정되어 지지할 수 있는 상판과 하판의 2-피스 또는 그 사이에 위치하여 디스크의 역할을 하면서 운동하는 중간체까지 포함하는 3-피스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추간 인공삽입물의 경우 수술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요추나 경추 사이를 과도하게 이격해야 함으로 인해 신경 손상등의 부작용이나 수술시간이 지체되어 회복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인공삽입물이 뼈 사이에 고정되기 위해 뼈에 맞닿는 측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들이 균일한 높이로 형성되는바 인공 보형물을 뼈 사이로 삽입하여 정위치에 배치하기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착홈 전방 또는 후방에는 구상돌기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방구가 형성됨에 따라 추간 간격을 현격하게 벌리지 않고도 수술이 가능해 보다 안전하고 후유증 없는 수술진행이 가능한 추간 인공 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간으로 진입되는 방향의 스파이크 높이는 낮게, 그 반대측의 높이는 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해당 위치에 신속하고 안정적인 삽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삽입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간 인공 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구상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되, 상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구상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인공 삽입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안착홈의 테두리 측에는 상기 구상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보호돌기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구상돌기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스파이크부재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 스파이크부재는 추간 내로 삽입되는 지점에서부터 반대측 지점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에 따르면 첫째, 안착홈 일측에 구상돌기의 측방향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방구가 형성됨에 따라 추간 간격을 현격하게 벌리지 않고도 수술이 가능해 보다 안전하고 후유증 없는 수술진행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스파이크의 높이가 삽입되는 지점에서부터 반대편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됨에 따라 해당 위치에 신속하고 안정적인 삽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1)은 하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11)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구상돌기(12)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10)와, 상기 하부 본체(10)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되, 상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21)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구상돌기(12)가 안착되는 안착홈(22)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본체(10)는 수술이 필요한 요추 또는 척추의 뼈와 뼈 사이 공간(이하 "추간" 이라 함) 중 하측 뼈 상에 고정 위치되는 것으로 하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11)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구상돌기(12)가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스파이크부재(11)는 뼈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 본체(10)가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추간으로 진입되는 측에 2개, 그 반대측에 3개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추간으로 진입되는 방향의 스파이크부재(11) 높이는 낮게, 그 반대측의 높이는 그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추간 내측으로의 진입은 용이하되 반대로 추간 외측으로 이탈은 용이하지 않게 한다.
또한 전술한 구상돌기(12)는 추후에 설명될 안착홈(22) 내에 위치되며 안착홈(22) 내에서 관절과 같이 자유롭게 각도 조절됨으로써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해주게 된다.
한편, 전술한 하부 본체(10) 상에는 상부 본체(20)가 각도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는데, 이 상부 본체(20)의 상부는 추간의 상측 뼈 상에 위치고정되고 하부는 전술한 하부 본체(10)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21)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구상돌기(12)가 안착되는 안착홈(22)이 형성된다.
전술한 안착홈(22)은 구상돌기(12)가 그 내부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각도조절 될 수 있도록 구상돌기(12)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테두리 측에는 안착홈(22) 내에 위치된 구상돌기(12)가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돌기(23)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스파이크부재(21)는 전술한 하부 본체(10)에서와 같이 뼈 내부에 삽입되어 상부 본체(20)가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추간으로 진입되는 측에 2개, 그 반대측에 3개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추간으로 진입되는 방향의 스파이크부재(21) 높이는 낮게, 그 반대측의 높이는 그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추간 내측으로의 진입은 용이하되 반대로 추간 외측으로 이탈은 용이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전술한 보호돌기(23)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개방구(24)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데, 이 개방구(24)는 전술한 구상돌기(12)가 안착홈(22) 내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보호돌기(23)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그 높이는 보호돌기(23)의 1/2 정도인 것으로 한다.
보호돌기(23) 측에 전술한 개방구(24)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구상돌기(21)가 안착홈(22) 내로 삽입시 보호돌기(23)의 높이만큼 추간 사이의 간격을 더 벌려서 이격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개방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면 추간 사이의 간격을 보호돌기(23)의 1/2 높이만큼만 이격시킴으로써 구상돌기(21)가 안착홈(22) 내로 보다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개방구(24)는 하부 본체(10)와 상부 본체(20) 중 어떤 것이 먼저 추간 내로 진입되고 어떤 것이 나중에 진입될 것이냐에 따라 그 형성위치가 달라지는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본체(10)가 먼저 진입되고 상부 본체(20)가 나중에 진입될 경우 개방구(24)는 보호돌기(23)의 전방측에 형성되고,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본체(20)가 먼저 진입되고 하부 본체(10)가 나중에 진입될 경우 개방구(24)는 보호돌기(23)의 후방측에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보호돌기(23)의 전, 후방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1)의 전체적인 수술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인공 삽입물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먼저 하부 본체(10)를 추간의 하부에 삽입시키는데 이때 삽입되는 지점(전방)의 스파이크부재(11) 높이가 낮고 그 반대쪽(후방)은 높게 형성됨에 따라 전방측 스파이크부재(11)는 뼈 내에 얕은 깊이로 삽입되고 후방측 스파이크부재(11)는 뼈 내에 깊은 깊이로 삽입된다.
하부 본체(10)의 위치가 고정되면, 추간의 상부에 상부 본체(20)를 삽입시키는데, 이때 전술한 하부 본체(10)와 마찬가지로 전방의 스파이크부재(21) 높이가 낮고 후방은 높게 형성됨에 따라 전방측 스파이크부재(21)는 뼈 내에 얕은 깊이로 삽입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뼈 내에 깊은 깊이로 삽입된다. 또한 개방구(24)는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어 먼저 고정되어 있는 하부 본체(10)의 구상돌기(12)가 이 개방구(24) 방향으로 진입된다.
이와 같이 안착홈(22) 내에 위치된 구상돌기(12)는 관절과 같이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개방구(24) 형성으로 인해 추간 간격을 현격하게 벌리지 않고 보호돌기(23)의 1/2 높이만큼만 벌려 이격시킨 상태에서 수술이 가능함에 따라 안전하고 후유증 없는 수술진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추간으로 진입되는 방향의 스파이크부재(11,21) 높이는 낮게, 그 반대측의 높이는 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해당 위치에 신속하고 안정적인 삽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단 뼈 내부에 삽입되고 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추간 인공 삽입물
10 : 하부 본체
11,21 : 스파이크부재
12 : 구상돌기
20 : 상부 본체
22 : 안착홈
23 : 보호돌기
24 : 개방구

Claims (3)

  1. 하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구상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안착되되, 상부면에는 스파이크부재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구상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홈의 테두리 측에는 상기 구상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보호돌기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구상돌기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크부재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파이크부재는 추간 내로 삽입되는 지점에서부터 반대측 지점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인공 삽입물.
  2. 삭제
  3. 삭제
KR1020110030105A 2011-04-01 2011-04-01 추간 인공 삽입물 KR10129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05A KR101297346B1 (ko) 2011-04-01 2011-04-01 추간 인공 삽입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05A KR101297346B1 (ko) 2011-04-01 2011-04-01 추간 인공 삽입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61A KR20120111561A (ko) 2012-10-10
KR101297346B1 true KR101297346B1 (ko) 2013-08-19

Family

ID=4728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105A KR101297346B1 (ko) 2011-04-01 2011-04-01 추간 인공 삽입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31B1 (ko) * 2019-06-10 2022-01-28 (주)서한케어 인공 디스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7536A1 (en) 2001-07-16 2004-08-26 Errico Joseph P. Instrumentation for properly seating an artificial intervertebral disc in an intervertebral space
KR20060056265A (ko) * 2002-08-15 2006-05-24 신쎄스 (유.에스.에이.) 제어된 인공 추간판 임플란트
US20060259147A1 (en) 2003-01-17 2006-11-16 Manoj Krishna Articulating spinal disc prosthesis
KR100953148B1 (ko) * 2005-02-16 2010-04-19 신세스 게엠바하 척추간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7536A1 (en) 2001-07-16 2004-08-26 Errico Joseph P. Instrumentation for properly seating an artificial intervertebral disc in an intervertebral space
KR20060056265A (ko) * 2002-08-15 2006-05-24 신쎄스 (유.에스.에이.) 제어된 인공 추간판 임플란트
US20060259147A1 (en) 2003-01-17 2006-11-16 Manoj Krishna Articulating spinal disc prosthesis
KR100953148B1 (ko) * 2005-02-16 2010-04-19 신세스 게엠바하 척추간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61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8917B2 (ja) 脊椎インプラント
CN101111207B (zh) 椎间盘假体
US8998990B2 (en) Intervertebral implant with keel
AU2013215075B2 (en) Intervertebral disc prosthesis and method
KR101371418B1 (ko) 추간체 유합 보형재
US9474624B1 (en) Intervertebral fusion cage
US20070123906A1 (en) Inserter/impactor for implanting an artificial intervertebral disc
EP2632353B1 (en) Laminoplasty implant, in particular for cervical laminoplasty
US20080188940A1 (en) Spinal Implant
US20130096685A1 (en) Intervertebral spinal implant
US10231842B2 (en) Intervertebral tensional artificial disc replacement
CA2476479A1 (en) Cervical intervertebral prosthesis
AU2009205483A1 (en) Spinal osteosynthesis device
KR101444638B1 (ko) 경피적 최소 침습 추간체 인공 디스크
WO2006007230A3 (en) C-shaped disc prosthesis
US20070198092A1 (en) System for inserting artificial intervertebral discs
US20140303736A1 (en) Intersomatic Implant
KR101674490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KR101326054B1 (ko) 척추용 임플란트
KR101220079B1 (ko) 추간체 유합 케이지
KR101795513B1 (ko) 케이지 디바이스
JP6940986B2 (ja) 面取り縁を有する脊椎スペーサおよび脊椎スペーサアセンブリ
US20070162003A1 (en) Device for the lateral stabilization of the spine
KR101297346B1 (ko) 추간 인공 삽입물
AU2018367525A1 (en) Spin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