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927B1 -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927B1
KR101296927B1 KR1020060131698A KR20060131698A KR101296927B1 KR 101296927 B1 KR101296927 B1 KR 101296927B1 KR 1020060131698 A KR1020060131698 A KR 1020060131698A KR 20060131698 A KR20060131698 A KR 20060131698A KR 101296927 B1 KR101296927 B1 KR 10129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tream
audio
content
strea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865A (ko
Inventor
장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9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2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audio 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메모리에 각 컨텐츠 별로 음향 효과 정보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둔 후, 제2 튜너로부터 수신되는 SI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튜너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고, 제1 튜너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을 5.1 CH로 변환한 후, 판별된 컨텐츠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CH AUDIO L/R 또는 디지털 오디오(Digital Audio)를 5.1 CH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풍성한 음향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컨텐츠별로 최적의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컨텐츠들이 바뀔 때마다 별도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설정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오픈 케이블, DSG, 케이블 카드, 5.1CH, 음향 효과, 컨텐츠

Description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cable broadcas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도 1은 종래의 오픈 케이블 표준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SI 디스크립터(SI Descriptors)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 튜너 110 : QAM 복조기
120 : 제2 튜너 130 : DSG 프로세서
140 : 호스트 150 : 케이블 카드
160 : 영상 처리부 170 : 메모리
180 : 5.1CH 오디오 처리부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화가 세계 각국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전송 매체에 따라 디지털 지상 방송, 디지털 위성 방송 및 디지털 케이블 방송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활성화 되어 있고, 디지털 지상 방송은 미국 및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 시험 방송 중에 있다.
디지털 방송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부호화 규격 등에 근거하여 각 채널별 프로그램들의 정보량을 효율적으로 압축하며, 각 전송 매체별 디지털 변조 방식에 따라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서처럼 다량의 중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채널을 통해 프로그램들을 전송할 수 있다.
현재, 디지털 케이블 방송 규격으로는 미국 및 한국 등에서 사용되는 오픈 케이블(Open Cable) 표준, 유럽에서 사용되는 DVB-C 표준, 일본에서 사용되는 ISDB-C 표준이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픈 케이블 표준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은 크게 방송 관련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면서 가입자로부터 업로드 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헤드엔드(Head End)와, 헤드엔드에서 송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원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복원해주는 셋탑 박스(Set-Top Box)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엔드는 인공위성이나 그 밖의 다른 곳으로부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신, 제작, 재송신하는 기술 설비를 갖춘 주조정 센터를 의미하고, 상기 셋탑 박스는 일반적으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ideo On Demand : VOD)를 비롯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 필요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오픈 케이블 표준은 셋탑 박스로부터 보안 기능 및 수신 제한 기능을 분리한 POD(Point of Deployment)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셋탑 박스와 POD의 분리는 특정 업체의 솔루션에 종속되지 않는 셋탑 박스의 생산/공급의 경쟁 체제를 구축하여 셋탑 박스의 소비자 구매 및 가격인하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미국의 경우 2005년부터 의무적으로 POD가 분리 장착된 오픈 케이블 방식의 셋탑 박스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POD는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형태의 모듈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서비스 사업자가 가입자의 신원 및 이용형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카드 형태의 수신제한 기능(Conditioning Access System : CAS)과 복제방지 기능을 내장한 장치로 셋톱 박스에서 분리된 형태를 전제로 하고 있다. 상기 POD는 케이블 카드(Cable Card)라 불리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오픈 케이블 표준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은 크게 송신 시스템인 디지털 케이블 헤드엔드(10)와 수신 시스템인 가입자 단말 장치(30)가 광동축 혼합망(Hybrid Fiber Coaxial : HFC)망(20)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케이블 헤드엔드(10)는 인밴드 네트워크(In-band Network) 처리부(11) 및 아웃오브밴드 네트워크(Out-of-band Network) 처리부(12)로 분리되어 운용된다.
상기 인밴드 네트워크 처리부(11)는 영상/음성 신호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로 인코딩(Encoding)하는 MPEG 인코더(11-1)와 상기 MPEG 인코더(11-1)에 의해 인코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는 QAM 변조기(11-2)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오브밴드 네트워크 처리부(12)는 가입자 관리, 제한 수신 정보 및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12-1)와 상기 응용 서버가 제공하는 방송 관련 부가 데이터 및 IP(Internet Protocol) 데이터를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s) 기반의 DSG(DOCSIS Set-top Gateway) 방식에 의해 가입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는 CMTS(Cable Modem Terminal System)(12-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300)는 셋탑 박스(31) 및 케이블 카드(32)로 구성되어 가입자의 TV에 연결되거나, 케이블 모뎀(33)을 통해 가입자의 PC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케이블 모뎀 내장형 셋탑 박스(34) 및 케이블 카 드(32)를 통해 TV 및 PC에 모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는 MPEG-2에 따라 압축되어 인밴드 네트워크 처리부(11)를 통해 가입자 단말 장치(30)로 전송되며,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날씨, 뉴스, 교통 정보 등의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 SI)는 아웃오브밴드 네트워크 처리부(12)를 통해 가입자 단말 장치(30)로 전송된다.
상기 인밴드 네트워크 처리부(11)는 MPEG-2로 압축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QAM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데, QAM 변조 방식은 전송할 디지털 데이터 신호에 따라 진폭과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한정된 전송 대역 안에서 보다 고능률의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아웃오브밴드 네트워크 처리부(12)는 상기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 SI)를 DOCSIS 기반의 DSG 규격에 따라 전송하는데, DOCSIS 기반 전송방식은 방송 관련 부가 데이터의 전송과 IP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어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D 등의 진보된 부가 서비스 제공에 유리하다.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30)는 광동축 혼합망(20)을 통해 디지털 케이블 헤드엔드(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 후, 영상/음성 데이터 및 방송 관련 부가 데이터는 셋탑 박스(31) 또는 케이블 모뎀 내장형 셋탑 박스(34)에서 케이블 카드(32)를 통한 가입자 인증 및 제한 수신 절차를 거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인 TV 로 출력하고, IP 데이터는 케이블 모뎀 내장형 셋탑 박스(34) 또는 케이블 모뎀(33)을 통해 PC 등의 컴퓨터 단말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카드(32)는 케이블 TV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가입자로서 확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한해서 암호화된 신호를 풀어 케이블 TV를 시청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셋탑 박스에서는, 2CH AUDIO L/R 출력 또는 디지털 오디오(Digital Audio) 출력만이 지원될 뿐, 5.1CH 오디오 출력은 지원되지 않아 사용자가 단조로운 음향만을 들을 수 있었다.
그리고, 수신되는 컨텐츠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을 사용자가 수시로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CH AUDIO L/R 또는 디지털 오디오(Digital Audio)를 5.1CH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별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고, SI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한 후, 판별된 컨텐츠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제1 튜너와, SI(Service Information)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튜너와, 상기 제2 튜너가 수신한 SI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튜너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한 후, 상기 수신한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컨텐츠 종류 정보를 출력하는 호스트와, 컨텐츠별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오디오 스트림 및 컨텐츠 종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오디오 스트림을 5.1CH로 변환하며, 상기 메모리에서 해당 컨텐츠의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정보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5.1CH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제2 튜너가 수신한 SI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튜너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는 SI 엔진부와, 상기 제1 튜너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제1 튜너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도록 SI 엔진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도록 상기 디코더부를 제어하며, 상기 SI 엔진부에서 판별한 컨텐츠 종류 정보 및 상기 디코더부에서 디코딩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는 상기 수신한 SI 데이터에 포함된 SI 디스크립터(SI Descriptors) 중 'Content advisory descriptor' 또는 'Channel properties descriptor'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튜너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튜너가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호스트로 전달하고, 제2 튜너가 SI(Service Information)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가 상기 SI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가 상기 판별한 컨텐츠 종류 정보 및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5.1CH 오디오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가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5.1CH로 변환하고, 메모리에서 해당 컨텐츠의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정보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조절하여 상기 5.1CH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제1 튜너(100)와, 상기 제1 튜너(100)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QAM 복조하여 출력하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복조기(110)와, SI(Service Information)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튜너(120)와, 상기 제2 튜너(120)가 수신한 SI 데이터를 호스트(140)로 전달하는 DSG(DOCSIS Set-top Gateway) 프로세서(130)와,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수신한 SI 데이터에서 수신 제한 정보를 추출한 후, 케이블 카드(150)로 전달하며,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한 후,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호스트(Host)(140)와,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수신 제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 제한 처리하는 케이블 카드(150)와,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영상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160)와, 컨텐츠별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70)와,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상기 컨텐츠 종류 정보 및 오디오 스트림을 입력받고, 상기 컨텐츠 종류에 따른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상기 메모리(170)에서 추출한 후, 상기 입력받은 오디오 스트림을 5.1 CH로 출력하는 5.1CH 오디오 처리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140)는 상기 DSG 프로세서(130)로부터 전달받은 SI 데 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는 SI 엔진부(141)와, 상기 수신 제한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부(144)와,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도록 SI 엔진부(141)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SI 데이터에서 수신 제한 정보를 추출한 후, 케이블 카드(150)로 전달하여 수신 제한 처리되도록 하며, 수신 제한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도록 상기 디코더부(144)를 제어하고, 상기 디코더부(144)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제어부(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너(100)는 외부 디지털 케이블 헤드엔드의 인밴드 네트워크(In-band Network) 처리부(미도시)로부터 송신되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한다.
상기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복조기(110)는 상기 제1 튜너(100)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QAM 복조(Demodulation)한 후, 호스트(14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인밴드 네트워크(In-band Network) 처리부(미도시)에서 송신되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은 QAM 방식으로 변조된 후 송신되기 때문에, 상기 QAM 복조기(102)에서 상기 QAM 방식으로 변조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복조한 후, 호스트(140)로 출력한다.
상기 제2 튜너(120)는 상기 디지털 케이블 헤드엔드의 아웃오브밴드 네트워크(Out-of-band Network) 처리부(미도시)로부터 송신되는 SI (Service Information)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아웃오브밴드 네트워크(Out-of-band Network) 처리부(미도시)는 상기 SI 데이터를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s) 기반의 DSG(DOCSIS Set-top Gateway) 방식으로 송신한다.
상기 SI 데이터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날씨, 뉴스, 교통 정보 등의 방송부가 서비스 정보와, 가입자 관리 및 수신 제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DSG(DOCSIS Set-top Gateway)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튜너(120)가 수신한 SI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140)로 전달한다.
상기 호스트(140)는 상기 수신한 SI 데이터를 통해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여 5.1CH 오디오 처리부(180)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한 SI 데이터에서 수신 제한 정보를 추출한 후, 케이블 카드(150)로 전달하여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이 수신 제한 처리되도록 하며, 상기 케이블 카드(150)를 통해 수신 제한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한 후,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는데, 상기 호스트(140)의 동작의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블 카드(150)는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전달된 수신 제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 제한(Conditional Access : CA) 처리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60)는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신호로 영상 처리한 후, 출력하여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180)는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상기 컨텐츠 종류 정보 및 오디오 스트림을 입력받고, 해당 컨텐츠 종류에 따른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상기 메모리(170)에서 추출한 후, 상기 입력받은 오디오 스트림을 5.1 CH로 출력한다.
즉,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180)는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 정보를 전달받으면, 해당 컨텐츠에 따른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메모리(170)에서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70)는 각 컨텐츠 별로 음향 효과 정보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저장해 둔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모리(170)는 각 컨텐츠 별로 음향 효과 정보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두는데 예를 들어, 각 컨텐츠 별로 이퀄라이저는 Pop, Jazz, Classic 중에서 어느 것으로 설정할 것인지, 3D 서라운드는 Stadium, Concert Hall, Live, Room 중에서 어느 것으로 설정할 것인지, 스피커 볼륨 레벨은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둔다.
그리고,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180)는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스트림을 5.1 CH로 변환하고, 상기 메모리(170)에서 추출한 음향 효과 정보 및 스피커 볼륨 레벨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조절한 후, 5.1 CH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스트림은 2CH AUDIO L/R 또는 디지털 오디오(Digital Audio) 형태이므로 이것을 센터 스피커 신호(C), 우퍼 스피커 신호(W), 스테레오 신호(L/R), 서라운드 스테레오 신호(S.L/S.R)의 5.1CH로 분리한 후, 상기 추출한 음향 효과 정보 및 스피커 볼륨 레벨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조절하여 각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170)에 각 컨텐츠 별로 음향 효과 정보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둔 후, 제2 튜너(120)로부터 수신되는 SI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튜너(10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을 5.1 CH로 변환한 후, 상기 판별된 컨텐츠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컨텐츠별로 최적의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컨텐츠들이 바뀔 때마다 별도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설정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양방향 통신을 통해 피드백(Feedback) 받음으로써,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의 요구를 신속히 반영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호스트(140)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DSG 프로세서(130)로부터 SI 데이터가 전달되면 SI 엔진부(141)는 상기 전달받은 SI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SI 엔진부(141)는 SI 데이터에 포함된 SI 디스크립터(SI Descriptors) 중 'Content advisory descriptor' 또는 'Channel properties descriptor'를 이용하여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즉, 상기 SI 데이터는 여러 가지 섹션 테이블(Section Table)로 구성되는데, SI 엔진부(141)는 상기 SI 디스크립터(SI Descriptors) 중 'Content advisory descriptor' 또는 'Channel properties descriptor'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어느 섹션 테이블에 있는지를 알아낸 후, 해당 섹션 테이블에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SI 데이터에 포함된 섹션 테이블(Section Table)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비디오와 오디오 비트열이 어떤 패킷에 실려오는지를 알려주는 PMT(Program Map Table), 주파수 등의 채널 특성을 알려주는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채널 번호 등을 알려주는 SVCT(Short-form Virtual Channel Table) 및 LVCT(Long-form Virtual Channel Table), 현재 날짜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STT(System Time Table), PID(Program IDentifier)를 매핑시켜 주는 MGT(Master Guide Table),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서 사용되는 AEIT(Aggregate Event Information Table) 및 AETT(Aggregate Extended Test Table), 각 지역 및 국가에 적용 가능한 등급 기준을 제공하는 RRT(Rating Region Table) 등이 있다.
도 3은 SI 디스크립터(SI Descriptors)를 나타낸 도면으로, SI 디스크립터(SI Descriptors)는 SI 데이터의 각 섹션 테이블에 어떤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지시해준다.
여기서, 'Content advisory descriptor'를 보면 컨텐츠 정보가 PMT(Program Map Table)와, AEIT(Aggregate Event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Channel properties descriptor'를 보면 채널 정보가 SVCT(Short-form Virtual Channel Table)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채널 정보를 통해 컨텐츠 종류를 간접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해당 채널이 영화 전문 채널인지, 음악 전문 채널인지 등을 알 수 있으면,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 종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I 엔진부(141)는 상기 과정을 통해 판별한 컨텐츠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47)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47)는 이를 5.1CH 오디오 처리부(180)로 전달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7)는 DSG 프로세서(130)로부터 전달받은 SI 데이터 중에서 수신 제한 정보를 추출하여 케이블 카드(150)로 전달하고, 케이블 카드(150)로부터 수신 제한 인증을 받아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 림을 디코딩하도록 디코더부(144)를 제어한다.
상기 인밴드 네트워크(In-band Network) 처리부(미도시)에서 송신되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으로 압축되어 송신되므로, 상기 디코더부(144)는 MPEG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47)는 상기 디코더부(144)가 디코딩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분리하여 출력하는데,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은 영상 처리부(160)로 출력하고,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은 5.1CH 오디오 처리부(180)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 튜너(100)가 디지털 케이블 헤드엔드의 인밴드 네트워크(In-band Network) 처리부(미도시)로부터 송신되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호스트(1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2 튜너(120)가 디지털 케이블 헤드엔드의 아웃오브밴드 네트워크(Out-of-band Network) 처리부(미도시)로부터 송신되는 SI (Service Information)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DSG(DOCSIS Set-top Gateway) 프로세서(130)가 상기 제2 튜너(120)가 출력하는 SI 데이터를 호스트(140)로 전달한다(단계 S 100).
다음으로, 상기 호스트(140)는 전달받은 SI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튜너(10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한다(단계 S 110).
즉, 상기 호스트(140)는 SI 데이터에 포함된 SI 디스크립터(SI Descriptors) 중 'Content advisory descriptor' 또는 'Channel properties descriptor'를 이용하여 제1 튜너(100)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호스트(140)는 상기 SI 디스크립터(SI Descriptors) 중 'Content advisory descriptor' 또는 'Channel properties descriptor'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어느 섹션 테이블에 있는지를 알아낸 후, 해당 섹션 테이블에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1 튜너(100)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한다.
이어서, 상기 호스트(140)는 상기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오디오 스트림을 5.1CH 오디오 처리부(180)로 전달한다(단계 S 120).
연이어,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180)는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 정보를 전달받으면, 메모리(170)에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 130).
다음으로,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180)는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스트림을 5.1 CH로 변환한다(단계 S 140).
즉, 상기 호스트(14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스트림은 2CH AUDIO L/R 또는 디지털 오디오(Digital Audio) 형태이므로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180)는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센터 스피커 신호(C), 우퍼 스피커 신호(W), 스테레오 신호(L/R), 서라운드 스테레오 신호(S.L/S.R)의 5.1CH로 분리한다.
이어서,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180)는 상기 메모리(170)에서 추출한 음향 효과 정보 및 스피커 볼륨 레벨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조절한 후, 상기 5.1 CH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각 스피커로 출력한다(단계 S 150).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170)에 각 컨텐츠 별로 음향 효과 정보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둔 후, 제2 튜너(120)로부터 수신되는 SI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튜너(10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을 5.1 CH로 변환한 후, 상기 판별된 컨텐츠에 따라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컨텐츠별로 최적의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컨텐츠들이 바뀔 때마다 별도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설정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양방향 통신을 통해 피드백(Feedback) 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의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CH AUDIO L/R 또는 디지털 오디오(Digital Audio)를 5.1 CH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풍성한 음향 효과를 누릴 수 있다.

Claims (7)

  1.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제1 튜너;
    SI(Service Information)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튜너;
    상기 SI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한 후, 상기 오디오 스트림 및 상기 컨텐츠 종류 정보를 출력하는 호스트;
    컨텐츠별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레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오디오 스트림 및 컨텐츠 종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5.1CH로 변환하며,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한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 정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음향 효과 및 스피커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5.1CH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는,
    상기 SI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는 SI 엔진부;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부;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도록 상기 SI 엔진부를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도록 상기 디코더부를 제어하며, 상기 컨텐츠 종류 정보 및 상기 디코더부가 디코딩한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5.1CH 오디오 처리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QAM 복조한 후, 상기 호스트로 출력하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복조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달하는 DSG(DOCSIS Set-top Gateway)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수신한 SI 데이터에 포함된 SI 디스크립터(SI Descriptors) 중 'Content advisory descriptor' 또는 'Channel properties descriptor'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컨텐츠 종류를 판별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060131698A 2006-12-21 2006-12-21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296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98A KR101296927B1 (ko) 2006-12-21 2006-12-21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98A KR101296927B1 (ko) 2006-12-21 2006-12-21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865A KR20080057865A (ko) 2008-06-25
KR101296927B1 true KR101296927B1 (ko) 2013-08-14

Family

ID=3980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698A KR101296927B1 (ko) 2006-12-21 2006-12-21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480A (ko) 2020-02-24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12A (ko) * 2001-06-23 200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의 영상/음향 선택 방법
KR20050123250A (ko) * 2004-06-24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르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자동 조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12A (ko) * 2001-06-23 200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의 영상/음향 선택 방법
KR20050123250A (ko) * 2004-06-24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르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자동 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865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7837A (ko) 방송 및 스트리밍을 통해 이중 층 hdtv 신호를전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60090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service information in open cable system
CN106231396B (zh) 一种节目资源共享处理的机顶盒、系统及其方法
KR101559769B1 (ko) 미들웨어, 녹화물 목록 제공 방법 및 녹화물 목록 제공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1300249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non-real-time broadcast service and content transmitted by broadcast signal
CN100373941C (zh) 基于mpeg-1的数字电视广播系统
JP2008005232A (ja) 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した放送の再生制御方法
CN101360231B (zh) 与部署点(pod)对接的主机设备和处理广播数据的方法
JP2007502090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同軸配線で伝送されるネイティブ信号を利用した複数のデジタルtv装置用デジタルメディアサーバ
KR100763577B1 (ko)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mpeg-2 a/v 데이터 수신 장치
KR101531499B1 (ko) 미들웨어, 녹화물 정보 제공 방법 및 녹화물 정보 제공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CA2807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xtended broadcast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KR101296927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8439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channel switching i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KR10172703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200803136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media content distributed within a premises
EP34660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KR20110053747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셋탑박스의 펌웨어 갱신 방법 및 장치
KR100712331B1 (ko) 시청 제한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면 디스플레이 제한 디지털방송 수신기 및 방법
KR2010004389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디스크램블링 방법 및 장치
KR100662344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KR10163657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KR200375304Y1 (ko) 일체화된 시스템 제어 및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개인용비디오 녹화시스템
US20110296483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20100007309A (ko) 방송 수신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