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344B1 -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344B1
KR100662344B1 KR1020040065077A KR20040065077A KR100662344B1 KR 100662344 B1 KR100662344 B1 KR 100662344B1 KR 1020040065077 A KR1020040065077 A KR 1020040065077A KR 20040065077 A KR20040065077 A KR 20040065077A KR 100662344 B1 KR100662344 B1 KR 10066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si
pmt
information
par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581A (ko
Inventor
류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34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 케이블 기반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스크램블 채널의 전환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환할 채널이 스크램블된 채널이면서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난 채널인 경우 해당 채널로의 튜닝이 끝나자 마자 기 저장된 이전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POD 모듈로 전송하여 디스크램블을 지시한다. 따라서 PSI 파싱이 끝난 후 CA_PMT를 만들어 POD 모듈로 전송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채널 전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스크램블 채널, CA_PMT

Description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Method for changing channel in digital cable set top box}
도 1은 일반적인 오픈 케이블 방식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PMT 신택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CA 디스크립터 신택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CA_PMT 신택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케이블 셋톱 박스 본체 111 : 튜너
112 : 복조부 113 : OOB 송/수신부
114 : SI 파싱부 115 : 채널 변환 엔진
116 : 역다중화부 117 : 비디오 디코더
118 : 오디오 디코더 119 : PSI 파싱부
200 : POD 모듈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 특히, 오픈 케이블 기반의 디지털 셋톱 박스(Open Cable Set Top Box)에서 스크램블된 채널의 전환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오픈 케이블 방식을 국내 디지털 유선 방송 표준으로 결정하였다. 상기 오픈 케이블 방식은 오디오 압축 방식으로 돌비-AC3을, 비디오 압축 방식으로 MPEG-2를 사용한다. 또한 고부가가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복사 방지 및 제한적인 접근을 위하여 채용된 POD(Point Of Deployment) 모듈을 디지털 케이블 셋톱 박스의 본체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보안 시스템의 용이한 교체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소매가 가능하게 되어서, 저가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케이블 셋톱 박스 내에 존재하던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 CA) 시스템을 포함한 POD 모듈을 셋톱 박스로부터 분리하고 셋톱 박스와 POD 모듈간 표준 인터페이스(I/F)를 정의하여 이 POD I/F만 맞추면 누구나 셋톱 박스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가 상기 셋톱 박스를 VCR처럼 직접 구입하도록 하고 케이블 시스템 운영자(system operator ; SO)는 가입자에게 POD 모듈만 주면 가입자는 상기 POD 모듈과 케이블 셋톱 박스 본체를 사용하여 각종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된 오픈 케이블 방식은 양방향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상향 대역은 5~42MHz 대역을 사용하며, 인 밴드(In Band) 하향의 채널 대역폭은 국내 채널환 경과 같은 6MHz이다. 또한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는 아웃 오브 밴드(Out Of Band ; OOB)의 SI(Service Information) 및 인 밴드의 PSI(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을 사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오픈 케이블 방식의 디지털 케이블 셋톱 박스의 구성 블록도로서, 케이블 셋톱 박스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와 분리된 POD 모듈(200)이 있다.
상기 케이블 셋톱 박스 본체(110)는 디지털 케이블용 프로그램을 보내주는 일종의 방송국인 케이블 헤드-엔드와 연결되어 케이블 주파수 대역 중 인-밴드(In Band)를 통해 A/V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아웃 오브 밴드(Out-Of-Band ; OOB)를 통해 헤드-엔드와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즉 인-밴드를 통해 전송되는 A/V 방송 프로그램은 튜너(111), 복조부(112)를 거쳐 튜닝 및 복조된 후 POD 모듈(200)로 출력된다.
또한 OOB를 통해 전송되는 채널 튜닝 및 프로그램 안내와 같은 데이터 정보는 OOB 송/수신부(113)를 통해 POD 모듈(200)로 출력된다.
상기 POD 모듈(200)은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디스크램블, 가입자 확인 등의 작업을 PCMCIA 형태의 카드로 분리시킨 것으로서, 케이블 카드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상기 POD 모듈(200) 내 CA 시스템은 상기 복조된 신호가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본체(110)로부터 CA_PMT를 전송받아 디스크램블시킨 후 본체(110)의 트랜스포트(TP) 역다중화부(116)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116)는 다중화되어 있는 비디오와 오디오 그리고, 데이터 패킷을 분리하여 각각 비디오 디코더(117)와 오디오 디코더(118), 그리고 PSI 파싱부(119)로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117)는 비디오 패킷에서 오버헤드(각종 헤더 정보, 스타트 코드등)를 제거하고, 순수한 데이터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Variable Length Decoding ; VLD)한 후 역양자화 과정, 역 이산 코사인 변환(IDCT),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움직임 보상 과정을 거쳐 원래 화면의 픽셀 값으로 복원하여 모니터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118)는 AC-3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디오 패킷을 디코딩한 후 스피커로 출력한다.
한편 기존의 지상파나 위성을 이용한 셋톱 박스는 전원이 온되면 먼저 튜닝할 수 있는 채널을 모두 스캔하여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채널 선택을 하게 되면 저장된 스캔 정보를 읽어 와 해당 채널을 튜닝한다.
이에 반해 오픈 케이블 셋톱 박스에는 채널 스캔 기능(Channel Scan Function)이 없다. 대신 전원이 온된 후 사용자가 채널 선택을 하게 되면 SI에 포함된 VCT(Virtual Channel Table)를 실시간 파싱(Parsing)하여 원하는 채널의 Audio/Video/PCR PID를 얻고 그 채널 정보로부터 원하는 채널을 튜닝한다. 상기 VCT는 케이블 셋톱 박스의 경우 SVCT(Short-form VCT)라고도 하며, 지상파와의 구분을 위해 이후 SVCT라 한다.
즉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도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채널에 대한 정보 및 각 채널별 프로그램 안내 정보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이 중 PSI는 특정 채널의 A/V(오디오/비디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인-밴드 대역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전송된다. 즉 PSI는 디지털 케이블 셋톱 박스가 다중화된 스트림내에서 특정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이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또한 SI는 채널을 튜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OOB 대역을 통해 전송된다.
이때 상기 PSI에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등이 있으며, 상기 SI에는 SVCT 등이 있다.
상기 PAT는 각 프로그램 번호마다 그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를 기술하는데, PMT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PID를 가리킨다. 상기 PMT는 프로그램 식별 번호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오디오, 비디오 등의 개별 비트열이 전송되고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PID 정보와 PCR 정보가 전송되는 PID 정보(A/V/PCR PID)를 기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POD 모듈(200)을 거쳐서 입력되는 SI를 기반으로 채널 변환 엔진(115)이 채널 맵을 구성한 후 튜너(111)를 제어함에 의해 원하는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일어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채널 전환을 하게 되면, 채널 변환 엔진(115)은 SI 파싱부(114)를 제어하여 해당 물리적 채널에 존재하는 모든 가상 채널의 SVCT를 파싱하여 채널 맵 정보를 구성한 후 튜너(111)를 제어하여 원하는 채널을 튜닝한다. 상기 SVCT는 상기 OOB와 POD 모듈(200)을 통해 입력되는 SI에서 정의된 테이블 중 하나이다.
이때 채널 내의 실제 비디오/오디오/PCR PID는 SI에 없으므로, 상기 채널 변 환 엔진(115)은 다시 SVCT에서 추출된 채널 정보를 PSI 파싱부(119)로 출력하고, PSI 파싱부(119)는 상기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물리적 채널에 존재하는 모든 가상 채널에 매칭되는 각 PAT와 상기 각 PAT에 정의된 모든 PMT를 파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A/V/PCR PID를 얻고 이를 채널 변환 엔진(115)으로 출력한다.
상기 채널 변환 엔진(115)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이 스크램블 채널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스크램블 채널이 아니면 A/V/PCR PID를 기반으로 역다중화부(116), 및 A/V 디코더(117,118)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프로그램의 A/V 분리 및 디코딩을 수행하게 한다. 즉 상기 역다중화부(116)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디코더(117)로 출력되어 비디오 디코딩되고,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디코더(118)로 출력되어 오디오 디코딩된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이 스크램블 채널이면 상기 채널 변환 엔진(115)은 PSI의 PMT(도2 참조)와 CA 디스크립터(Cable Access Descriptor)(도3 참조)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은 CA_PMT를 만든 후 POD로 전송하면서 디스크램블을 지시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PAT는 각 프로그램 번호마다 그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를 기술하는데, PMT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PID를 가리킨다. 상기 PMT는 프로그램 식별 번호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오디오, 비디오 등의 개별 비트열이 전송되고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PID 정보와 PCR 정보가 전송되는 PID 정보(A/V/PCR PID)를 기술하고 있다. 즉 PMT는 프로그램 번호와, 프로그램 번호를 포함하는 요소 사이에 매핑을 제공하는 테이블로서, 각 프로그램과 연관된 PID 정보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의 각 테이블에서 각각의 필드 뒤에 서술한 숫자는 각 필드가 사용하는 비트 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각의 필드에 대한 설명은 13818-1 2.4.4에 기술되어 있다.
즉 도 2의 PMT 신택스에서 PCR_PID 필드는 program_number가 가리키는 프로그램에서 쓰는 유효 PCR을 갖고 있는 스트림의 PID를 나타낸다. stream_type 필드는 전송된 스트림이 오디오인지, 비디오인지 아니면 데이터 인지 등을 나타내고, elementary_PID 필드는 해당 스트림이 어떤 PID로 오는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의 CA_PMT 신택스에는 디스크램블할 프로그램의 A/V/PCR ID 및 다수의 CA 디스크립터가 포함된다.
상기 각 CA 디스크립터에서 CA_PID 필드는 특정 POD 모듈을 위한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또는 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의 PID를 나타낸다. CA_system_id는 헤드엔드에서 관리되며, 헤드엔드는 CA_system_id 를 POD 모듈 공급자에게 중복되지 않게 할당한다.
따라서, POD 모듈(200)은 CA_PMT를 기반으로 복조부(112)에서 출력된 스크램블 채널의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한 후 이를 역다중화부(116)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116)는 A/V PID에 따라 디스크램블된 프로그램의 비디오와 오디오를 분리한 후 각각의 디코더(117,118)로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117)는 상기 역다중화부(116)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하고, 오디오 디코더(118)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채널 전환 방법은, 전환할 채널이 스크램블된 채널인 경우 본체(110)에서는 SI, PSI 파싱 후에 CA_PMT를 만들어서 POD 모듈(200)에게 전송하고, POD 모듈(200)은 스크램블된 채널의 프로그램에 대해 디스크램블을 실시하여 본체(110)의 역다중화부(116)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116)에서 분리된 비디오, 오디오 신호는 각각의 디코더(117,118)를 거쳐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채널 전환 방법은 SI, PSI 파싱 후에 CA_PMT를 만들어서 POD모듈(200)에게 전송해야 하므로, 언스크램블된 채널(Unscrambled Channel)에 비해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0.5초 이상) 채널 전환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픈 케이블 방식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스크램블 채널의 채널 전환 속도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은,
(a) 채널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SI를 파싱하여 전환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얻어 해당 채널을 튜닝 및 복조하여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b) 복조된 채널이 스크램블 채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c) 스크램블 채널이라고 판별되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d)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이라면 기 저장된 이전 PSI 정보를 기반으로 POD 모듈에게 디스크램블을 지시하는 단계; 및
(e) 상기 디스크램블 명령에 의해 POD 모듈에서 디스크램블이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전송되면 기존의 PSI 정보를 기반으로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스크램블 채널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PSI를 파싱하여 A/V/PCR PID를 추출한 후 복조된 프로그램에 대해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스크램블 채널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PSI를 파싱하고, 파싱된 PSI 정보를 기반으로 POD 모듈에게 디스크램블을 지시하고, 이후 파싱된 PSI 정보를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에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는 이전 PSI 정보를 기반으로 POD 모듈에게 디스크램블을 지시함과 동시에 상기 (a) 단계에서 파싱된 SI 정보를 기반으로 PSI를 파싱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 정보가 이전 같은 채널의 PSI 정보가 같은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같지 않다고 판별되면 상기 단계에서 파싱된 PSI 정보를 기반으로 다시 POD 모듈에게 디스크램블을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파싱된 PSI 정보를 디스크램된 프로그램의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에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은,
(a) 채널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SI를 파싱하여 전환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얻어 해당 채널을 튜닝 및 복조하여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b) 복조된 채널이 스크램블 채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c) 스크램블 채널이라고 판별되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d)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이라면 기 저장된 이전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CA_PMT를 기반으로 POD 모듈에서 디스크램블이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전송되면 기존의 PSI의 PMT에서 파싱된 A/V/PCR PID를 기반으로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스크램블 채널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PSI의 PMT를 파싱하여 A/V/PCR PID를 추출한 후 복조된 프로그램에 대해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스크램블 채널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PSI의 PMT를 파싱하고, 파싱된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POD 모듈로 전송하고, 이후 상기 PSI의 PMT에서 파싱된 A/V/PCR PID를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에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는 이전 PSI 정보를 기반으로 만든 CA_PMT를 POD 모듈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a) 단계에서 파싱된 SI 정보를 기반으로 PSI의 PMT를 파싱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의 PMT 정보가 이전 같은 채널의 PSI의 PMT 정보와 같은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같지 않다고 판별되면 상기 단계에서 파싱된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다시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PSI의 PMT에서 파싱된 A/V/PCR PID를 디스크램된 프로그램의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에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같은 채널에서는 PSI 정보가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이의 재사용을 통해서 스크램블 채널의 채널 전환 시간을 단축하는데 있다.
도 5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도 1의 케이블 방송 수신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고, 공지된 다른 케이블 방송 수신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즉,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채널 전환을 선택하여 채널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단계 501), 채널 변환 엔진(115)은 SI 파싱부(114)를 제어하여 해당 물리적 채널에 존재하는 모든 가상 채널의 SVCT를 파싱하여 채널 맵 정보를 구성한 후 튜너(111)를 제어하여 원하는 채널을 튜닝하게 한다. 상기 SVCT는 상기 OOB와 POD 모듈(200)을 통해 입력되는 SI에서 정의된 테이블 중 하나이다.
그리고 PSI를 파싱하기 전에 전환 채널이 스크램블된 채널인지를 판별한다(단계 503).
만일 스크램블 채널이 아니라면 상기 채널 변환 엔진(115)은 다시 SVCT에서 추출된 채널 정보를 PSI 파싱부(119)로 출력하고, PSI 파싱부(119)는 상기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물리적 채널에 존재하는 모든 가상 채널에 매칭되는 각 PAT와 상기 각 PAT에 정의된 모든 PMT를 파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A/V/PCR PID를 얻고 이를 채널 변환 엔진(115)으로 출력한다(단계 504).
상기 채널 변환 엔진(115)은 A/V/PCR PID를 기반으로 역다중화부(116) 및 A/V 디코더(117,18)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프로그램을 역다중화하여A/V 디코딩하도록 한다. 즉 상기 역다중화부(116)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디코더(117)로 출력되어 비디오 디코딩되고,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디코더(118)로 출력되어 오디오 디코딩된다.
한편 상기 단계 504에서 전환 채널이 스크램블 채널이라고 판별되면 해당 채널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난 채널인지를 판별한다(단계 505). 즉 이전에 적어도 한번 이상 튜닝이 일어났던 채널이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이 된다.
본 발명은 같은 채널에서는 PSI 정보가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이의 재사용을 통해서 스크램블 채널의 채널 전환 시간을 단축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계 505에서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난 채널이라고 판별되면 기 저장된 이전의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POD 모듈(200)로 전송하여 디스크램블을 지시한다(단계 506). 그리고 이전 PSI의 PMT에서 파싱한 A/V/PCR PID를 역다중화부 및 A/V 디코더(117,118)로 출력한다(단계 507). 이때 POD 모듈(200)에서는 본체(110)에서 전송된 CA_PMT를 기반으로 복조부(112)에서 출력된 스크램블 채널의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한 후 이를 역다중화부(116)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단계 506에서 이전 PSI 정보를 기반으로 만든 CA_PMT를 POD 모듈(2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단계 502에서 파싱된 SI의 SVCT에서 추출된 채널 정보를 PSI 파싱부(119)로 출력하고, PSI 파싱부(119)는 상기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물리적 채널에 존재하는 모든 가상 채널에 매칭되는 각 PAT와 상기 각 PAT에 정의된 모든 PMT를 파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A/V/PCR PID를 얻고 이를 채널 변환 엔진(115)으로 출력한다(단계 508).
상기 단계 508이 수행되는 이유는 그래도 혹시 PSI가 바뀌었을지도 모르므로, 이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단계 506를 수행하여 CA_PMT를 POD 모듈(200)로 전송함과 동시에 단계 508을 수행하여 전환 채널에 대해 PSI 파싱도 실시한다.
그리고 파싱된 PSI 정보와 이전 PSI 정보가 같은지를 판별한다(단계 509). 만일 같다면 이전 PSI를 기반으로 만든 CA_PMT로 디스크램블된 채널의 프로그램에 대해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509에서 같지 않다고 판별되면 다시 상기 단계 508에서 파싱된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POD 모듈(200)로 전송한다(단계 510). 그리고 역다중화부(116)와 A/V 디코더(117,118)에서 상기 단계 508에서 파싱된 PSI의 PMT에서 추출한 A/V/PCR PID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PSI 정보를 나중에 같은 채널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이용하기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512).
상기 POD 모듈(200)은 다시 단계 510에서 전송된 CA_PMT를 기반으로 스크램블 채널의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한 후 이를 역다중화부(116)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116)는 A/V PID에 따라 디스크램블된 프로그램의 비디오와 오디오를 분리한 후 각각의 디코더(117,118)로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117)는 상기 역다중화부(116)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하고, 오디오 디코더(118)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환할 채널이 스크램블된 채널이면서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난 채널인 경우 해당 채널로의 튜닝이 끝나자 마자 기 저장된 이전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POD 모듈로 전송하여 디스크램블을 지시한다.
따라서 PSI 파싱이 끝난 후 CA_PMT를 만들어 POD 모듈로 전송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최고 0.5s정도의 채널전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 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에 의하면, 전환할 채널이 스크램블된 채널이면서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난 채널인 경우 해당 채널로의 튜닝이 끝나자 마자 기 저장된 이전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POD 모듈로 전송하여 디스크램블을 지시한다.
따라서 PSI 파싱이 끝난 후 CA_PMT를 만들어 POD 모듈로 전송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채널 전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본체에 장.탈착이 가능한 POD 모듈을 포함하며, 인-밴드를 통해 수신된 PSI 및 아웃 오브 밴드(OOB)를 통해 수신된 SI를 파싱하여 채널 및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추출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채널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SI를 파싱하여 전환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얻어 해당 채널을 튜닝 및 복조하여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b) 복조된 채널이 스크램블 채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c) 스크램블 채널이라고 판별되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d)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이라면 기 저장된 이전 PSI 정보를 기반으로 POD 모듈에게 디스크램블을 지시하는 단계; 및
    (e) 상기 디스크램블 명령에 의해 POD 모듈에서 디스크램블이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전송되면 기존의 PSI 정보를 기반으로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스크램블 채널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PSI를 파싱하여 A/V/PCR PID를 추출한 후 복조된 프로그램에 대해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을 수행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스크램블 채널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PSI를 파싱하고, 파싱된 PSI 정보를 기반으로 POD 모듈에게 디스크램블을 지시하고, 이후 파싱된 PSI 정보를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에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이전 PSI 정보를 기반으로 POD 모듈에게 디스크램블을 지시함과 동시에 상기 (a) 단계에서 파싱된 SI 정보를 기반으로 PSI를 파싱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 정보가 이전 같은 채널의 PSI 정보가 같은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 정보와 저장된 이전 PSI 정보가 같지 않다고 판별되면 상기 파싱된 PSI 정보를 기반으로 다시 POD 모듈에게 디스크램블을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 정보를 디스크램된 프로그램의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에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에 이용되는 PSI 정보는 PSI의 PMT에서 파싱된 A/V/PCR P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OD 모듈로 전송하는 디스크램블 명령은
    상기 기 저장된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만든 CA_PM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7. 본체에 장.탈착이 가능한 POD 모듈을 포함하며, 인-밴드를 통해 수신된 PSI 및 아웃 오브 밴드(OOB)를 통해 수신된 SI를 파싱하여 채널 및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추출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채널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SI를 파싱하여 전환할 채널에 대한 정보를 얻어 해당 채널을 튜닝 및 복조하여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b) 복조된 채널이 스크램블 채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c) 스크램블 채널이라고 판별되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d)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이라면 기 저장된 이전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CA_PMT를 기반으로 POD 모듈에서 디스크램블이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전송되면 기존의 PSI의 PMT에서 파싱된 A/V/PCR PID를 기반으로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스크램블 채널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PSI의 PMT를 파싱하여 A/V/PCR PID를 추출한 후 복조된 프로그램에 대해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스크램블 채널이 이전에 PSI 파싱이 일어났던 채널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PSI의 PMT를 파싱하고, 파싱된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POD 모듈로 전송하고, 이후 상기 PSI의 PMT에서 파싱된 A/V/PCR PID를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에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이전 PSI 정보를 기반으로 만든 CA_PMT를 POD 모듈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a) 단계에서 파싱된 SI 정보를 기반으로 PSI의 PMT를 파싱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의 PMT 정보가 이전 같은 채널의 PSI의 PMT 정보와 같은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 정보와 저장된 이전 PSI 정보가 같지 않다고 판별되면 상기 파싱된 PSI의 PMT와 CA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CA_PMT를 만든 후 다시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의 PMT에서 추출한 A/V/PCR PID를 디스크램된 프로그램의 역다중화 및 A/V 디코딩에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PSI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방법.
KR1020040065077A 2004-08-18 2004-08-18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KR10066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77A KR100662344B1 (ko) 2004-08-18 2004-08-18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77A KR100662344B1 (ko) 2004-08-18 2004-08-18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581A KR20060016581A (ko) 2006-02-22
KR100662344B1 true KR100662344B1 (ko) 2007-01-02

Family

ID=3712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077A KR100662344B1 (ko) 2004-08-18 2004-08-18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36B1 (ko) * 2006-09-06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에 지원가능한 ca_pmt구축이 가능한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N105681847B (zh) * 2016-02-22 2019-01-04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前端控制机顶盒终端的方法及系统
CN108574864B (zh) * 2017-03-13 2021-06-01 国家新闻出版广电总局广播电视卫星直播管理中心 用于收视行为数据采集系统的检测方法及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581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11670A (ko)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
US20060090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service information in open cable system
JPH11355766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受信装置
EP1834482A2 (en) Conditional access system providing access to multiple programs or services
JP2007502575A (ja) チャンネル変更時間を削減する、スクランブル解除データの前処理
KR20020078585A (ko) 부가정보 송수신 방법
JP200001369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その選局方法、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
KR100662344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JP7182660B2 (ja) 送受信方法
JP7145281B2 (ja) 受信方法
JP7127172B2 (ja) 受信方法
GB2439361A (en) Generation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having entries relating to different video sources received by a receiver-decoder apparatus
KR101008638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KR20060125265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774452B1 (ko)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JP7145299B2 (ja) 受信装置
JP7124186B2 (ja) 受信装置
JP7267352B2 (ja) 受信装置
JP7127173B2 (ja) 受信方法
JP7145301B2 (ja) 送受信方法
JP7254859B2 (ja) 受信方法
JP7145297B2 (ja) 受信方法
JP7145296B2 (ja) 受信方法
JP7127174B2 (ja) 受信方法
JP7145279B2 (ja) 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