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791B1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791B1
KR101296791B1 KR1020120091564A KR20120091564A KR101296791B1 KR 101296791 B1 KR101296791 B1 KR 101296791B1 KR 1020120091564 A KR1020120091564 A KR 1020120091564A KR 20120091564 A KR20120091564 A KR 20120091564A KR 101296791 B1 KR101296791 B1 KR 101296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ead
inner housing
wall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박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진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진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진티아이
Priority to KR102012009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 전기 통신장비에서 라디오주파수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와는 달리 핀을 사용하여 하우징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식의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일측에 외측 나선부(18)가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플랜지(19)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9)의 내측벽에 반원통형 핀홀(14a)과 비이드 수용부(12)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10);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내측 벽 안에 끼워지는 외측 접촉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접촉부(22)의 외측벽에 고리형 비이드(24)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비이드(24)에 반원통형 핀홈(24a)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20); 상기 내부 하우징(20)의 내부에 끼워지는 절연체(30); 상기 절연체(30)의 내부에 끼워지며, 일측에 수컷 접촉 단자(42)가 형성되고, 타측에 암컷 접촉 단자(44)가 형성된 중앙 접촉체(40);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14a)과 상기 내부 하우징(20)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24a)로 이루어지는 핀홀(14)에 삽입되는 핀(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는 외부 하우징(10)에 끼워진 내부 하우징(2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 하우징(10)의 내부에 내부 하우징(20)의 외측 접촉부(22)가 억지끼워지지 않고 외부 하우징(10)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14a)과 내부 하우징(20)의 에 형성된 핀홀에 핀을 삽입하여 내부 하우징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내부 하우징을 외부 하우징에 끼우기가 쉬어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ER}
본 발명은 원거리 전기 통신장비에서 라디오주파수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와는 달리 핀을 사용하여 내부 하우징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식의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은 신호전달의 매개체인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를 감싸는 외부도체, 상기 외부도체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케이블로, 타 케이블에 비해 외부 전자기파에 의한 간섭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는 속이 꽉 찬 원기둥 형태 또는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의 내부도체는 동축케이블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 사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형태의 내부도체는 동축케이블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동축케이블은 특정 목적을 위해 타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타 커넥터, 계측기기, 구동기기, 제어기기 등과 같은 장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축케이블은 길이의 연장을 위해 타 케넉터와 연결될 수 있고, 품질 검사를 위해 계측기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기기와 제어기기 간의 신호 전송을 위해 이들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동축케이블을 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동축케이블용 커넥터가 사용된다.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중심도체의 유형에 따라 그 구성이 상이하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중심도체와 상기 장비의 신호 송/수신부(상기 장비가 타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타 커넥터일 경우에는 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앙 접촉체와, 외부도체와 장비의 접지부(상기 장비가 타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타 커넥터일 경우에는 타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우징과, 중앙 접촉제와 하우징 간을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포함한다.
타 장비의 플랜지와 연결되는 방식일 경우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외부하우징에 내부하우징과, 중앙 접촉체, 절연체가 끼워지는 커넥터가 된다.
특허출원 10-2008-0035269호(2008.10.22)에 의한 동축 커넥터가 상기 방식으로 제작된 동축 커넥터이다.
상기 특허출원 10-2008-0035269호(2008.10.22)에 의한 동축 커넥터는 고정 플랜지를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벽 안에서 억지끼움으로 장착되는 외측 접촉부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에 장착되는 중앙 접촉체를 구비한다.
상기 특허출원 10-2008-0035269호(2008.10.22)에 의한 동축 커넥터에서 외부 하우징에 끼워진 내부 하우징이 움직이지 않도록 외부 하우징 내부에 내부 하우징의 외측 접촉부가 억지끼워지므로 내부 하우징을 끼우기가 어려워 동축 커넥터의 제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 1) 특허출원 10-2008-0035269호(2008.10.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하우징에 끼워진 내부 하우징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 하우징 내부에 내부 하우징의 외측 접촉부가 억지끼워지지 않아 내부 하우징을 외부 하우징에 끼우기가 쉬어 제작이 용이한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일측에 외측 나선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측벽에 반원통형 핀홀과 비이드 수용부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벽 안에 끼워지는 외측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접촉부의 외측벽에 고리형 비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비이드에 반원통형 핀홈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지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내부에 끼워지며, 일측에 수컷 접촉 단자가 형성되고, 타측에 암컷 접촉 단자가 형성된 중앙 접촉체;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과 상기 내부 하우징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로 이루어지는 핀홀에 삽입되는 핀;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핀홀이 2개 이상으로 하고, 상기 핀의 외측벽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고리형 비이드의 원통형 외벽의 일부를 길이 방향축에 수평하게 형성된 평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외부 하우징에 끼워진 내부 하우징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 하우징 내부에 내부 하우징의 외측 접촉부가 억지끼워지지 않고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에 형성된 핀홀에 핀을 삽입하여 내부 하우징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내부 하우징을 외부 하우징에 끼우기가 쉬어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구성 요소들의 절반 부분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내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2개의 상이한 각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구성 요소들의 절반 부분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1)는 외부 하우징(10), 내부 하우징(20), 절연체(30), 중앙 접촉체(40), 핀(16)으로 구성된다.
외부 하우징(10)의 내측벽에 내부 하우징(20)이 끼워지고, 내부 하우징(20)의 내측벽에 절연체(30)가 끼워진다.
절연체(30)의 내측벽에 중앙 접촉부(40)가 끼워지고, 핀홈(14)에 핀(16)이 끼워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내부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0)의 일측의 외부에 외측 나선부(18)가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플랜지(19)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9)의 내측벽에 반원통형 핀홀(14a)과 비이드 수용부(12)가 형성된다.
플랜지(19)는 둥근 모서리들이 4군데의 모서리들에 형성되어 있는 정사각형의 형태이며, 장착용 나사(미도시)를 통과시키기 위한 플랜지 홀(19a)들을 가진다.
타 기기의 플랜지의 형상에 따라 플랜지의 형태는 바뀔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0)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벽 에 끼워지는 외측 접촉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 접촉부(22)의 외측벽에 고리형 비이드(24)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비이드(24)에 반원통형 핀홈(24a)이 형성된다.
내부 하우징(20)이 외부 하우징(10)에 끼워질 때 외부 하우징(10)의 비이드 수용부(12)은 내부 하우징(10)의 외측 접촉부(22)의 외벽에 형성된 고리형 비이드(24)를 수용한다.
내부하우징(20)의 고리형 비이드(24)가 외부 하우징(10)의 비이드 수용부(12)에 끼워질 때 지나치게 빡빡하게 끼워져 장착이 용이하지 않은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하우징(20)의 고리형 비이드(24)의 원통형 외벽의 일부를 길이 방향축에 수평한 비이드 평면(24b)으로 할 수 있고, 길이 방향축에 수평한 비이드 평면(24b)을 2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고리형 비이드(24)에 형성된 길이 방향축에 수평한 비이드 평면(24b)과 대향되는 비이드 평면 수용평면(12a)이 외부 하우징(10)의 비이드 수용부(12)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은 2개의 상이한 각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절연체(30)는 내부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하며, 중앙 접촉체(30)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된다.
내부 하우징(20)과 중심 접촉체(14)를 절연하기 위해 절연체(3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로 할 수 있다.
중앙 접촉체(40)는 절연체(3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의 끝단에 수컷 접촉 단부(42)가 형성되고, 타측의 끝단에 암컷 접촉 단부(44)가 형성된다.
수컷 접촉 단부(42)는 절연체(30)의 내부에 끼워지고, 암컷 접촉 단부(44)에는 타 동축 커넥터가 연결된다.
외부 하우징(10)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14a)과 내부 하우징(20)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24a)로 이루어지는 핀홀(14)에 핀(16)이 삽입된다.
외부 하우징(10), 내부 하우징(20), 중앙 접촉체(30), 핀(16)의 재질은 SUS 재질로 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0)의 외측 접촉부(22)가 외부 하우징(10)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지게 되면 내부 하우징(20)을 외부 하우징(10)에 끼우기가 어려워 동체 커넥터의 제작이 어려워진다.
내부 하우징(20)의 외측 접촉부(22)가 외부 하우징(10)에 느슨하게 끼워지면 내부 하우징(20)이 움직이거나 외부하우징(10)으로부터 빠질 수 있다.
내부 하우징(20)의 고리형 비이드(24)의 원통형 외벽의 일부를 길이 방향축에 수평하게 형성된 평면으로 하여 내부 하우징(20)을 외부 하우징(10)에 끼우고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14a)과 내부 하우징(20)의 고리형 비이드(24)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24a)로 이루어지는 핀홀(14)에 핀(16)을 삽입하면, 내부하이징(20)이 움직이거나 외부하우징(1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동축 커넥터 10 : 외부 하우징
12 : 비이드 수용부 12a : 비이드 평면 수용평면
14 : 핀홀 14a : 반원통형 핀홀
16 : 핀 18 : 외측 나선부
19 : 플랜지 19a : 플랜지 홀
20 : 내부 하우징 22 : 외측 접촉부
24 : 고리형 비이드 24a : 반원통형 핀홀
24b : 비이드 평면 30 : 절연체
40 : 중앙 접촉체 42 : 수컷 접촉 단부
44 : 암컷 접촉 단부

Claims (5)

  1. 일측에 외측 나선부(18)가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플랜지(19)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9)의 내측벽에 반원통형 핀홀(14a)과 비이드 수용부(12)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10);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내측 벽 안에 끼워지는 외측 접촉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접촉부(22)의 외측벽에 고리형 비이드(24)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비이드(24)에 반원통형 핀홈(24a)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20);
    상기 내부 하우징(20)의 내부에 끼워지는 절연체(30);
    상기 절연체(30)의 내부에 끼워지며, 일측에 수컷 접촉 단자(42)가 형성되고, 타측에 암컷 접촉 단자(44)가 형성된 중앙 접촉체(40); 및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14a)과 상기 내부 하우징(20)의 상기 고리형 비이드(24)에 형성된 반원통형 핀홀(24a)로 이루어지는 핀홀(14)에 삽입되는 핀(1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14)이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20)의 고리형 비이드(24)의 원통형 외벽의 일부에 길이 방향축에 수평한 비이드 평면(24b)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비이드 수용부(12)에 상기 비이드 평면(24b)과 대향되는 형상의 비이드 평면 수용평면(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20)의 고리형 비이드(24)의 원통형 외벽의 일부에 길이 방향축에 수평한 2 이상의 비이드 평면(24b)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비이드 수용부(12)에 상기 비이드 평면(24b)과 대향되는 형상의 2 이상의 비이드 평면 수용평면(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16)의 외측벽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KR1020120091564A 2012-08-22 2012-08-22 동축 커넥터 KR10129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64A KR101296791B1 (ko) 2012-08-22 2012-08-22 동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64A KR101296791B1 (ko) 2012-08-22 2012-08-22 동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791B1 true KR101296791B1 (ko) 2013-08-14

Family

ID=4922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564A KR101296791B1 (ko) 2012-08-22 2012-08-22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7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551A (ko) * 2005-08-23 2007-02-28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마찰 결합 슬리브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KR100873224B1 (ko) 2008-01-12 2008-12-10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수신안테나용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조립구조
KR101132375B1 (ko) 2012-01-11 2012-04-03 배복만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551A (ko) * 2005-08-23 2007-02-28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마찰 결합 슬리브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KR100873224B1 (ko) 2008-01-12 2008-12-10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수신안테나용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조립구조
KR101132375B1 (ko) 2012-01-11 2012-04-03 배복만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7195B2 (en) Coaxial connector
TWI597501B (zh) Probe
US10389062B2 (en) Plug connector
US7306484B1 (en) Coax-to-power adapter
US9257761B2 (en)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US20100248503A1 (en)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US9203196B2 (en)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KR20100029240A (ko) 길다란 중공 공동을 가지는 절연체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6863565B1 (en) Constant impedance bullet connector for a semi-rigid coaxial cable
CN105098494A (zh) 连接器结构
KR102123717B1 (ko)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US5044990A (en) RF coaxial connector
KR101296791B1 (ko) 동축 커넥터
EP3780294A1 (en) Connector adapter and connector test system
EP3683892A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297051Y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US9490573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double casing
KR101708413B1 (ko) 통신용 커넥터
CN105958231A (zh) 一种通讯电缆用多对接的连接器
KR200478019Y1 (ko)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신호 전송 시스템
EP3474389B1 (en) Female connector for use with different male coaxial connectors
KR101207774B1 (ko) 체결이 용이한 커넥터
KR101666213B1 (ko) 동축케이블용 가변 커넥터
KR101709293B1 (ko) 동축 커넥터
JP3214259U (ja) ケーブルテスターのコード用の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