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362B1 -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362B1
KR101296362B1 KR1020110108752A KR20110108752A KR101296362B1 KR 101296362 B1 KR101296362 B1 KR 101296362B1 KR 1020110108752 A KR1020110108752 A KR 1020110108752A KR 20110108752 A KR20110108752 A KR 20110108752A KR 101296362 B1 KR101296362 B1 KR 10129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button
ligh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606A (ko
Inventor
박중언
정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10108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3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삽입 설치된 버튼 키 본체와, 상기 버튼 키 본체에 외부로 노출되되 누름 동작으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 키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고유의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부와, 상기 버튼부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선택적인 파장만의 빛을 통과시키는 선택 굴절부와,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외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복수개의 기능 감지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2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문자 패턴을 단순한 구조로써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야간 주행 시인성 확보에 도움을 주고, 제품의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Smart Ignition on/off key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중량 및 부품수를 감소하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사용자의 시인성을 개선함은 물론, 스위치 장치의 집중화 및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자유로운 심볼(문자 패턴) 위치 구현이 가능한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스위칭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사용자가 소정의 동작 행위로 스위칭부를 작동시키면, 각각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각각 해석하여 해당하는 각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스위칭 장치는, 주간에는 큰 지장이 없으나 야간 주행시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각 스위칭 장치의 위치 판독이 어려워 시인성 확보에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LED 등과 같은 발광부를 두어 상기 발광부의 조사에 의한 빛을 통하여 사용자가 시인성 확보를 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그러나,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LED 등과 같은 발광부에 의해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차량의 각 기능 동작부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없음은 물론, 작동 상태를 확인하더라도 복수개의 발광부 각각을 개별 제어해야 하는 문제점도 드러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잡한 발광부의 제어를 회피하면서도, 야간 주행의 시인성을 확보함은 물론, 각 기능 동작부의 작동 상태를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는, 차량에 삽입 설치된 버튼 키 본체와, 상기 버튼 키 본체에 외부로 노출되되 누름 동작으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 키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고유의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부와, 상기 버튼부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선택적인 파장만의 빛을 통과시키는 선택 굴절부와, 상기 버튼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2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택 굴절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사이에 상하로 적층 배치되고, 각기 상이한 파장이 통과되는 문자 패턴이 펀칭 형성된 복수개의 편광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굴절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고, 각기 상이한 파장이 반사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굴절되는 문자 패턴이 각각의 면에 형성된 제1프리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굴절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고, 각기 상이한 파장이 통과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굴절되는 문자 패턴이 각각의 면에 형성된 제2프리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선택 굴절부를 통과하거나 상기 선택 굴절부에 의하여 굴절된 빛이 광 투과되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부의 테두리에 설치된 광투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중 어느 하나는 차량의 실내 밝기에 따라 그 조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야간 시인성을 확보하면서도, 다양한 스위칭부의 실현이 가능하고, 각 기능 동작부의 작동 상태를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구성 중 선택 굴절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구성 중 선택 굴절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구성 중 버튼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구성 중 광투과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에 삽입 설치되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키 본체(5)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키 본체(5)의 노출된 외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버튼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10)를 사용자가 누름 동작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 버튼부(10)는 후술하는 발광부(20a)(20b)(20c)로부터 조사된 빛이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투사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는, 상기 버튼 키 본체(5) 내부에 설치되고 고유의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20a)(20b)(20c)는, 일반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이면 모두 해당된다 할 것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부(20a)(20b)(20c)는 각각 고유의 파장을 조사하는 LED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는, 상기 버튼 키 본체(5)의 내부에 상기 버튼부(10)를 통과하여 가장 잘 조사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는, 2개소에 각각 1개씩 구비될 수 있고, 3개소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는, 상기 버튼부(10)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선택적인 파장만의 빛을 통과시키는 선택 굴절부(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선택 굴절부(100)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발광부(20a)(20b)가 동시 작동되어 소정의 파장을 가진 빛이 조사될 때, 상기 선택 굴절부(100)를 통과하거나 상기 선택 굴절부(100)에 의하여 반사 또는 굴절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기 버튼 키 본체(5) 내부 중 어느 곳에 위치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선택 굴절부(100)는, 다양한 실시예를 예상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발광부(20a)(20b)(20c)와 같은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투과된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굴절시켜 조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패턴을 시각화한다면 어떠한 종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상기 선택 굴절부(1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는, 상기 버튼부(10)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와는 상이한 다른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기능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기능 감지부는, 미도시되었지만, 차실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일 수 있고, 차량 엔진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엔진 감지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개의 기능 감지부가 상기 조도 감지부일 경우에는, 상기 조도 감지부가 차실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도록 차실 내부에 설치된 조도 센서로써, 감지된 차실 내부의 조도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상기 복수개의 기능 감지부가 상기 엔진 감지부일 경우에는, 상기 엔진 감지부가 상기 엔진의 출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엔진에 설치된 출력 감지 센서로써, 상기 엔진의 시동 온(ON)일 경우에 상기 출력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엔진의 출력에 따라 각기 상이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능 감지부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를 들었을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차량에 설치된 소정의 각종 기능 동작부들의 작동을 위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감지부이면 모두가 이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버튼부(10) 및 상기 복수개의 기능 감지부 각각으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시 작동 여부가 제어되어야 하는데, 이것을 제어하는 것이 제어부(미도시)이고,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부(10) 및 상기 복수개의 기능 감지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2이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굴절부(100)(200)(3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구성 중 선택 굴절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구성 중 선택 굴절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구성 중 버튼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상기 선택 굴절부(100)의 제1실시예는, 도 2a 및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0)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 사이에 상하로 적층 배치되고, 각기 상이한 파장이 통과되는 문자 패턴이 펀칭 형성된 복수개의 편광 필터(110)(120)일 수 있다.
상기 편광 필터(110)(120)는, 이미 관련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특정 파장만의 빛이 통과되도록 소정의 문자 패턴이 펀칭 형성된 필터를 의미한다.
상기 편광 필터(110)(120)에 형성된 문자 패턴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버튼부(10)를 사용자가 누름동작으로 엔진의 시동 온(ON)을 시키기 전에는 "START"라는 문자 패턴을 시각화시켜야 하고, 상기 버튼부(10)를 사용자가 눌러 엔진이 시동 온(ON) 되면 반대로 시동 오프(OFF)를 위한 전단계로써 "STOP"이라는 문자 패턴을 시각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적층 배치된 복수개의 편광 필터(110)(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110)에 형성된 문자 패턴은 "START"일 수 있고(도 2a 및 도 2b에서는 "A"로 정의할 수 있음(도 4의 (a) 참조)), 다른 어느 하나(120)에 형성된 문자 패턴은 "STOP"일 수 있다(도 2a 및 도 2b에서는 "B"로 정의할 수 있음(도 4의 (b) 참조)).
상기 편광 필터(110)(120)에 형성된 문자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 중 어느 하나의 발광부(20a)(20b)가 가지는 특정 파장의 빛만이 통과되도록 펀칭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20a로 표시된 발광부에 의한 파장은 오로지 "A"라는 문자 패턴이 형성된 편광필터(110)에서만 특정 파장만이 통과되는 펀칭형 문자 패턴이 구비되고, 20b로 표시된 발광부에 의한 파장은 오로지 "B"라는 문자 패턴이 형성된 편광 필터(120)에서만 특정 파장만이 통과되는 문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도 2a 및 도 2b만을 참조할 때, 상기 발광부(20a)(20b)가 2개소에 구비된 경우에는 동시에 상기 발광부(20a)(20b) 모두를 조사하는 것은 도 2a 및 도 2b의 모든 문자 패턴(A,B)을 시각화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바, 어느 하나의 발광부만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발광부만이 조사되도록 제어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20a 및 20b로 표시된 발광부(20a)(20b) 전부에 의한 혼합 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3의 문자 패턴이 형성된 편광 필터(미도시)가 구비된 경우에는 동시에 상기 발광부(20a)(20b)들이 전부 작동되어 조사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편광 필터(110)(120)를 상하로 적층 배시킨 것을 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선택하였으나, 이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편광 필터(110)(120)를 상하로 적층 배치시킨 이유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동일한 상기 버튼부(10) 위치에 문자 패턴이 다양하게 변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바, 동일한 위치가 아닌 상기 버튼부(10) 위치에 상기 문자 패턴을 다양하게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 때에는 적층 배치가 아닌 평행 배치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선택 굴절부(200)의 제2실시예는, 도 3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0)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 사이에 배치되고, 각기 상이한 파장이 반사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굴절되는 문자 패턴이 각각의 면에 형성된 제1프리즘(200)일 수 있다.
상기 제1프리즘(200)은, 일반적인 프리즘으로써, 외측면에 특정의 파장은 반사시키고, 나머지 파장은 통과시키는 프리즘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a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a에 20a로 표시된 발광부가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면 상기 특정 파장의 빛은 210으로 표시된 일측면의 211로 표시된 문자 패턴을 만나서 소정 방향으로 반사/굴절시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를 통과한 "A"라는 문자 패턴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게 되고(도 4의 (a) 참조), 도 3a에 20b로 표시된 발광부가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면 상기 특정 파장의 빛은 220으로 표시된 타측면의 221로 표시된 문자 패턴을 만나서 상기 210으로 표시된 일측면에 의하여 반사된 빛과 동일한 방향으로 반사/굴절시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를 통과한 "B"라는 문자 패턴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제1프리즘(200)일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을 작동 제어하도록 구비할 뿐, 동시에 발광시키는 동시 제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선택 굴절부(300)의 제3실시예는,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0)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 사이에 배치되고, 각기 상이한 파장이 통과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굴절되는 문자 패턴이 각각의 면에 형성된 제2프리즘(300)일 수 있다.
상기 제2프리즘(300)은, 일반적인 큐브형 프리즘으로써, 외측면에 특정의 파장만이 통과되는 소정의 문자 패턴이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면을 가지고, 내부에는 상기 소정의 문자 패턴을 통과한 특정 파장의 빛을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시키는 복수개의 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면은 일측에서 조사된 빛은 반사하여 굴절시키되, 타측에서 조사된 빛은 그대로 통과시키는 일방향 반사면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b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20a로 표시된 발광부로부터 특정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310으로 표시된 외측면에 형성된 "A"라는 문자 패턴을 통해 특정의 파장만이 조사되어 상기 제2프리즘 내부로 통과한 후, 반사면을 통해서 상기 버튼부(10)가 형성된 방향으로 반사/굴절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A"라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20b로 표시된 발광부로부터 특정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320으로 표시된 외측면에 형성된 "B"라는 문자 패턴을 통해 특정의 파장만이 조사되어 상기 제2프리즘 내부로 통과한 후, 반사면을 통해서 상기 버튼부(10)가 형성된 방향으로 반사/굴절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B"라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20c로 표시된 발광부로부터 특정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330으로 표시된 외측면에 형성된 "C"라는 문자 패턴을 통해 특정의 파장만이 조사되어 상기 제2프리즘 내부로 통과하여 상기 버튼부(10)가 형성된 방향으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C"라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A라는 문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TART" 또는 "STOP" 문자일 수 있고, "ON" 또는 "OFF"라는 문자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기능 감지부에 의한 다양한 패턴 형태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0a)(20b)(20c)로부터 조사되는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버튼부(10)를 통하여 현재의 상기 기능 동작부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줌은 물론, 야간 주행의 시인성 확보에도 매우 유리한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구성 중 광투과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예를 들면, 도 5의 (a) 내지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는, 상기 버튼부(10)의 테두리에 설치된 광투과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 감지부 또는 상기 엔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에 따라 생성되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광투과부(50)를 통하여 조사되는 상기 발광부(20a)(20b)(20c)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실 내부의 조도를 임의로 제1설정조도 내지 제3설정조도의 정도로 분류하여 설정하고, 도 5의 (a) 내지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조도 감지부가 차량의 실내 조도가 제일 밝은 경우인 제1설정조도인 경우 사용자의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현재 작동되는 발광부(20a)(20b)(20c) 중 어느 하나의 광도를 가장 높이고, 상기 조도 감지부가 차량의 실내 조도가 제일 어두운 경우인 제3설정조도인 경우 사용자의 시인성 확보에 무리가 가지 않는 한도에서 현재 작동되는 발광부(20a)(20b)(20c) 중 어느 하나의 광도를 상기 제1설정조도인 경우보다 낮추어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투과부(50)의 실질적인 역할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의 정확한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시인성 확보에 있는 것이지만, 도 5a 내지 도 5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시인성 확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차실 내부의 밝고 어두운 정도에 따른 발광부(20a)(20b)(20c)의 광도 조절로 인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술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는 상기 조도 감지부에 의한 경우로만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이 운전 중인 경우 상기 엔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엔진의 출력 등에 따른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다양한 광도 조절이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버튼 키 본체 10: 버튼부
20a,20b,20c: 발광부 100,200,300: 선택 굴절부
110,120: 편광 필터 111,121: 문자 패턴

Claims (6)

  1. 차량에 삽입 설치된 버튼 키 본체와;
    상기 버튼 키 본체에 외부로 노출되되 누름 동작으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 키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고유의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부와;
    상기 버튼부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선택적인 파장만의 빛을 통과시키는 선택 굴절부와;
    상기 버튼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2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 굴절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사이에 상하로 적층 배치되고, 각기 상이한 파장이 통과되는 문자 패턴이 펀칭 형성된 복수개의 편광 필터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 굴절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고, 각기 상이한 파장이 반사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굴절되는 문자 패턴이 각각의 면에 형성된 제1프리즘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 굴절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고, 각기 상이한 파장이 통과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굴절되는 문자 패턴이 각각의 면에 형성된 제2프리즘인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선택 굴절부를 통과하거나 상기 선택 굴절부에 의하여 굴절된 빛이 광 투과되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테두리에 설치된 광투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중 어느 하나는 차량의 실내 밝기에 따라 그 조도가 변화되는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KR1020110108752A 2011-10-24 2011-10-24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KR10129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52A KR101296362B1 (ko) 2011-10-24 2011-10-24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52A KR101296362B1 (ko) 2011-10-24 2011-10-24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606A KR20130044606A (ko) 2013-05-03
KR101296362B1 true KR101296362B1 (ko) 2013-08-14

Family

ID=4865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752A KR101296362B1 (ko) 2011-10-24 2011-10-24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3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977A (ja) 1999-01-14 2000-07-28 Yazaki Corp 透過照明型スイッチ装置
US20100060491A1 (en) 2008-09-08 2010-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00132254A (ko) * 2009-06-09 2010-12-1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시동 버튼 장치
JP2011096589A (ja) 2009-11-02 2011-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977A (ja) 1999-01-14 2000-07-28 Yazaki Corp 透過照明型スイッチ装置
US20100060491A1 (en) 2008-09-08 2010-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00132254A (ko) * 2009-06-09 2010-12-1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시동 버튼 장치
JP2011096589A (ja) 2009-11-02 2011-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606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005B2 (en) On-vehicle interior illuminating device
US8138479B2 (en) Integrated light emitting and light detecting device
EP3225918A1 (en) Table top
CN106458154A (zh) 使用投射图标的车辆功能控制系统
CN105814526B (zh) 具有调制光的显示操作区
KR20160072129A (ko) 제어 디바이스의 입력 구역용 듀얼 그래픽 라벨
US9164489B2 (en) Watch with counterfeit detection function
JP4466134B2 (ja) 表示装置
US20020020808A1 (en) Optical touch switcing device
CN104791635A (zh) 具触控功能的导光装置
KR101296362B1 (ko) 차량의 스마트 시동키 어셈블리
JP2020067668A (ja) 入力システム
US10928053B2 (en) Integrated IR receiver in side-lit panels
JP2001291458A (ja) 光学式タッチスイッチ装置
JP2008097996A (ja) 操作部材の照明装置
CN111536487B (zh) 一种汽车信号灯配光装置
JP4241336B2 (ja) 表示装置
JP2008020306A (ja) 指針計器
JP5911146B2 (ja) 時計文字板の照明構造
CN209326940U (zh) 一种检测单元
CN209167793U (zh) 一种光学投影模组
JP2017119447A (ja) 発光シフトノブ
JP6046841B2 (ja) スイッチ、及びこのスイッチを備える鍵盤楽器
JP2013201060A (ja) スイッチ、及びこのスイッチを備える鍵盤楽器
KR101523296B1 (ko) 미세 각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차량용 광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