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640B1 - 휴대용 플래시 - Google Patents

휴대용 플래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640B1
KR101295640B1 KR1020110070844A KR20110070844A KR101295640B1 KR 101295640 B1 KR101295640 B1 KR 101295640B1 KR 1020110070844 A KR1020110070844 A KR 1020110070844A KR 20110070844 A KR20110070844 A KR 20110070844A KR 101295640 B1 KR101295640 B1 KR 101295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amp
flash
battery
portable f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201A (ko
Inventor
김두침
Original Assignee
김두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침 filed Critical 김두침
Priority to KR102011007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6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5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of different shape o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21V21/0885Clips; Clam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플래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나 퀵보드 등의 핸들에 플래시를 탈부착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필요시 적의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충전 방식의 내장 배터리를 설치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 향상과 유지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에 클립(160)이 장착된 플래시 본체(100)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104)의 전원으로 발광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 전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104)의 전원으로 소리를 출력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 일측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30)와; 상기 본체 외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되어 상기 램프의 발광 제어 또는 상기 스피커의 소리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프래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플래시{PORTABLE FLASH}
본 발명은 휴대용 플래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퀵보드나 자전거의 핸들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하면서 필요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휴대용 플래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나 퀵보드에는 휠의 회전력 혹은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조명장치는 야간 운행 중 시야를 확보하거나 또는 차량이 자전거나 퀵보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 수단으로 이용된다.
종래의 플래시는 대부분 별도의 램프구동회로가 필요 없는 전구를 사용하지만 필라멘트의 열손실이 커서 사용시간이 매우 짧고 필라멘트의 단선률이 높아서 전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비용은 고스란히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도 좋지 않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필라멘트 방식에서 탈피하여 수명이 긴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플래시가 많이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플래시 장치들이 자전거나 퀵보드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장치 내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배터리 구입비용 역시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등 플래시의 유지비용이 고가일 수밖에 없다.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나 퀵보드 등의 핸들에 플래시를 탈부착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필요시 적의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충전 방식의 내장 배터리를 설치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 향상과 유지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플래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클립(160)이 장착된 플래시 본체(100)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104)의 전원으로 발광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 일측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104)의 전원으로 소리를 출력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 일측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30)와; 상기 본체 외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되어 상기 램프의 발광 제어 또는 상기 스피커의 소리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104)는 충전식 배터리이고, 일측에 상기 배터리(104)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소켓(10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래시 본체(100)는 클립(160)을 통해 자전거 또는 퀵보드의 핸들 구조물에 탈부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 구조물은, 핸들바(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에 상기 클립(160)이 결속 가능한 결속홀(11)이 구비되며 복수 개의 홀(12)이 형성된 브라켓(10)과, 핸들바(30)의 저부에서 상기 브라켓(10)에 체결되도록 상기 홀(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홀(21)이 형성된 클램프(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나 퀵보드 등의 핸들에 플래시를 탈부착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필요시 적의 선택적으로 플래시를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증가되고, 충전 방식의 내장 배터리를 설치하여 배터리 구입과 교체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여 경제적이며, 탈부착 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자전거나 퀵보드 등을 이용하지 않고 야간 중 보행시에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도모함은 물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가 핸들에 작창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의 평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가 결합되는 핸들바(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가 결합되는 핸들바(30)으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가 핸들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가 핸들에 작창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의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의 평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의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한 플래시 본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에는 클립(160)이 설치되어 소정의 구조물, 예를 들면 자전거 또는 퀵보드의 핸들에 탈부착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램프는,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배터리(104)의 전원을 통해 전원 인가시 발광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필라멘트 방식의 제1램프(110)와, 상기 제1램프(110)의 양측에 설치된 LED 방식의 제2램프(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라멘트 방식의 제1램프(110)의 빛을 본체(100) 전방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제1램프(110)가 반사갓(11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30)는, 상기 본체(110)에 구비된 배터리(104)의 전원으로 특정 소리를 출력 가능하게 한 것으로, 예를 들면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전거나 퀵보드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조작시 부져음 혹은 '따르릉' 소리와 같은 주의음을 출력하도록 하여 보행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00) 외면에는 상기 램프(110)(120)의 발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스피커(130)의 소리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램프(110)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해 제1스위치(140)가 본체(100)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램프(120)와 스피커(130)를 제어하기 위해 제2스위치(1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야간 중에 전방 시인성을 위해 제1스위치(140)를 조작하면 제1램프(110)가 발광하게 되고, 또한 전방에 보행자가 있는 경우 제2스위치(141)를 조작하면 스피커(130)를 통해 주의음이 출력되는 동시에 제2램프(120)가 발광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소리 신호와 빛 신호를 통해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자전거나 퀵보드에서 탈부착 가능한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104)는 충전식 배터리를 적용하여 배터리의 교체와 같은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체(100)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104)에 전기선을 연결하여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10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상기 램프의 발광시 동시에 발광하는 전원등(1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원등(150)이 제1램프(110)와 연동하게 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램프(110)의 발광 여부를 전원등(150)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주간에 제1램프(110)가 켜져서 배터리(104)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가 결합되는 핸들바(3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가 결합되는 핸들바(30)으 조립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시가 핸들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상기 플래시 본체(100)는 클립(160)을 통해 자전거 또는 퀵보드의 핸들 구조물에 탈부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 구조물은, 핸들바(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브라켓(10)과, 상기 핸들바(30)의 하부에서 상기 브라켓(10)가 결합되는 클램프(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10) 상단에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장착된 클립(160)이 결속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결속홀(11)이 구비되는 동시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0)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12)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20)는 핸들바(30)를 감싸도록 'U'자 형태일 수 있고, 일측에는 상기 브라켓(10)의 홀(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21)이 형성됨으로써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40)를 통해 브라켓(10)에 고정된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7과 같은 형태로 본체(100)를 핸들 구조물에 결속할 수 있으며, 필요시 본체(100)를 탈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브라켓 11: 결속홀 12: 홀
20: 클램프 21: 홀
30: 핸들바 31: 핸들
40: 체결부재
100: 플래시 본체 101: 기판
102: 스위치 103: 소켓
104: 배터리 110: 제1램프
120: 제2램프 130: 스피커
140: 제1스위치 141: 제2스위치
150: 전원등 160: 클립

Claims (6)

  1. 일측에 클립(160)이 장착된 플래시 본체(100)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104)의 전원으로 발광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 전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104)의 전원으로 소리를 출력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 일측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30)와;
    상기 본체 외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되어 상기 램프의 발광 제어 또는 상기 스피커의 소리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플래시 본체(100)는 클립(160)을 통해 자전거 또는 퀵보드의 핸들 구조물에 탈부착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핸들 구조물은, 핸들바(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에 상기 클립(160)이 결속 가능한 결속홀(11)이 구비되며 복수 개의 홀(12)이 형성된 브라켓(10)과,
    핸들바(30)의 저부에서 상기 브라켓(10)에 체결되도록 상기 홀(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홀(21)이 형성된 클램프(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본체의 전면 중앙에서 반사갓(111) 내에 장착된 필라멘트 방식의 제1램프(110)와,
    상기 제1램프(110)의 양측에 설치된 LED 방식의 제2램프(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04)는 충전식 배터리이고, 일측에 상기 배터리(104)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소켓(10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 상기 램프의 발광시 동시에 발광하는 전원등(1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70844A 2011-07-18 2011-07-18 휴대용 플래시 KR101295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44A KR101295640B1 (ko) 2011-07-18 2011-07-18 휴대용 플래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44A KR101295640B1 (ko) 2011-07-18 2011-07-18 휴대용 플래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201A KR20130010201A (ko) 2013-01-28
KR101295640B1 true KR101295640B1 (ko) 2013-08-12

Family

ID=4783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844A KR101295640B1 (ko) 2011-07-18 2011-07-18 휴대용 플래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6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918A (ja) * 2002-03-08 2003-09-19 Asahi Denki Kasei Kk 照明器具
KR20100070756A (ko) * 2008-12-18 2010-06-28 이병집 다기능 랜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918A (ja) * 2002-03-08 2003-09-19 Asahi Denki Kasei Kk 照明器具
KR20100070756A (ko) * 2008-12-18 2010-06-28 이병집 다기능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201A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2061B2 (en) Annular lighting fixture and method for illumination
USD592088S1 (en) Light emitting diode (LED) warning light
US8870421B2 (en) Bicycle handlebar with integral lighting system
US20110051442A1 (en) Bike handlebar grip structure hanging caution/direction light device
KR20110021474A (ko) 차량용 램프
KR102049163B1 (ko) 이륜 동적 호버보드
GB2485009A (en) Light bar
EP1399355B1 (en) Control unit
KR101712734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헬멧용 안전표시장치
US20180327040A1 (en) Bicycle with Integral Electrical Generator
US20150023034A1 (en) Portable light for a bicycle
US20160296830A1 (en) Skateboard lighting apparatus
KR101512492B1 (ko) 모자 부착용 발광장치
KR101295640B1 (ko) 휴대용 플래시
KR200473458Y1 (ko) 자전거용 휴대형 램프 장착기구
EP2184531A1 (en) Warning lamp
JP3205109U (ja) 自転車用ライト
JP3101270U (ja) 自転車用ブレーキランプの制御装置
KR20110001547U (ko) 자전거 시그널램프
CN201680161U (zh) 便于安装的led工作灯
KR200448490Y1 (ko)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KR200298599Y1 (ko)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KR101159295B1 (ko) 휴대용 조명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유닛
US7810973B1 (en) Vehicle light system
KR20080002385U (ko) 경광등이 구비된 휴대용 랜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