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600B1 - 광역 역광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광역 역광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600B1
KR101295600B1 KR1020110078077A KR20110078077A KR101295600B1 KR 101295600 B1 KR101295600 B1 KR 101295600B1 KR 1020110078077 A KR1020110078077 A KR 1020110078077A KR 20110078077 A KR20110078077 A KR 20110078077A KR 101295600 B1 KR101295600 B1 KR 10129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ue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822A (ko
Inventor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닉스
Priority to KR102011007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6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광역 역광 보정 장치는,
촬상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촬상부와, 촬상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값과, 촬상부의 노출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셔터 제어값과, 촬상부에서 출력되는 광량에 대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이득 증폭 제어값과, 이들을 조합한 값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노출 제어값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일정값을 입력값으로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아날로그 게인 컨트롤/디지털 게인 컨트롤(Analog Gain Control/Digital Gain Control, AGC/DGC)의 노이즈가 광역 역광 보정(Wide Dynamic Range, WDR)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득 증폭 제어값의 범위에서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의 제어와 광역 역광 보정 기능을 야간에 함께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역 역광 보정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Wide Dynamic Range}
본 발명은 광역 역광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간에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와 광역 역광 보정(Wide Dynamic Range, WDR) 기능을 함께 사용하는 광역 역광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 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사용자 수요가 급격히 증대되면서 그 기능들이 갈수록 다양화되고 있다.
하지만 영상 처리 장치는 획득할 수 있는 동적 영역이 실제 장면의 동적 영역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실제 장면에 대한 모든 정보를 처리하기에 부족하다.
특히 영상 처리 장치는 역광 등의 열화 상태에서 영상을 취득하는 경우 영상에 가장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에 대해서 충분한 정보의 획득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해당 영역의 화질이 심각하게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조도 차이가 커서 가장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혼재된 영상을 찍는 경우 1장만 촬영해 가지고 노출 시간과 조리개를 최적으로 조절한다고 하더라도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전부 잘 보이는 영상을 얻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영상 처리 장치에서 광역 역광 보정(Wide Dynamic Range, WDR) 기법을 이용한다.
WDR 기법은 가장 밝은 부분이 잘 보이도록 노출을 조절한 영상과 어두운 부분이 잘 보이도록 노출이 조절된 영상을 서로 융합하여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모두 선명하게 잘 보이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WDR 기법은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정합하게 되는데 실질적으로 두 영상 간의 시간차가 존재하여 움직이는 사물이 있을 경우 두 영상 간 모션이 생긴 구간에 대한 영상 정보가 없게 되며, WDR 정합을 수행해도 모션 발생 구간의 정보가 사라지게 된다.
아날로그 게인 컨트롤/디지털 게인 컨트롤(Analog Gain Control/Digital Gain Control, AGC/DGC)을 증폭하면 할수록 랜덤하게 임펄스성 노이즈가 발생된다.
이러한 임펄스성 노이즈는 영상의 전체 구간에 발생되며 WDR에서 모션 정보가 된다.
WDR 기법은 야간 상황에서 AGC/DGC의 증폭에 따라 유발되는 노이즈 밝기차로 인해 WDR 정합시 노이즈가 심각할 정도로 증폭된다.
WDR 기법은 실제 WDR 정합이 일어나는 접점 구간이 서로 다른 영상을 정합하는 경우 인위적인 느낌이 남아있게 되고 이러한 정합 구간과 전술한 모션 정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에서 WDR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WDR 기법은 주로 주간 상황에 사용되고 AGC/DGC 제어시 오프 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야간에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가변 제어와 WDR 기능을 함께 사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광역 역광 보정 장치는,
촬상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촬상부; 상기 촬상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값과, 상기 촬상부의 노출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셔터 제어값과, 상기 촬상부에서 출력되는 광량에 대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이득 증폭 제어값과, 이들을 조합한 값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노출 제어값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일정값을 입력값으로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아날로그 게인 컨트롤/디지털 게인 컨트롤(Analog Gain Control/Digital Gain Control, AGC/DGC)의 노이즈가 광역 역광 보정(Wide Dynamic Range, WDR)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기 이득 증폭 제어값의 범위에서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의 제어와 상기 광역 역광 보정 기능을 야간에 함께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야간에 IR LED를 켜거나 제어하는 중에 WDR을 사용하면 가까운 사물에 대한 포화를 방지하면서 뒤쪽 배경도 밝고 선명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역 역광 보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역 역광 보정 장치에서 영상의 밝기에 따른 조리개 또는 전자셔터, AGC/DGC의 이득 증폭, IR LED의 제어 모드, WDR 기능의 구동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역 역광 보정 장치에서 IR LED와 WDR 기능을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DR 기능을 오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 노출(Auto Exposure, AE)은 조리개(IRIS, 조리개로 빛의 노출량을 조절), 셔터(HSS/LSS, 셔터로 노출 시간을 조절), 자동 이득 제어(AGC/DGC, 입력된 빛을 전기적으로 증폭)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자동 노출은 전술한 3가지 이외에 적외선 발광다이오드(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IR LED)의 가변 제어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역 역광 보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역 역광 보정 장치에서 영상의 밝기에 따른 조리개 또는 전자셔터, AGC/DGC의 이득 증폭, IR LED의 제어 모드, WDR 기능의 구동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역 역광 보정 장치에서 IR LED와 WDR 기능을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역 역광 보정 장치는 조리개(100), 촬상부(200), 전자셔터(300), 이득 증폭기(400), 제어부(500), PWM 신호 생성기(600) 및 조명장치(IR LED)(700)를 포함한다.
조리개(100)는 촬상부(200)에 빛이 쌓이기 전 빛이 들어오는 구멍의 크기를 가변하여 광량을 조절한다.
전자셔터(300)는 촬상부(200)에 빛이 쌓이는 시간을 가변하여 광량을 조절한다.
이득 증폭기(400)는 촬상부(200)에 의해 전기적으로 변환된 광량을 증폭한다.
카메라를 통해 출력되는 결과 영상은 먼저 조리개(100)를 통해 빛의 양이 조절되어 촬상부(200)에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쌓이게 된다.
이때 전자셔터(300)는 촬상부(200)의 노출 시작 시점과 끝시점을 조절하여 빛의 양에 따라 전하가 쌓이는 양을 조절한다.
이렇게 조절된 전하는 이득 증폭기(400)에서 필요한 만큼 증폭되어 결과 영상으로 출력되기 위한 영상 처리부로 넘어간다.
조리개(100), 전자셔터(300), 이득 증폭기(400)는 제어부(500)의 제어값들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어값들은 조리개(100)의 경우, 조리개(100)를 열고 닫는 모터의 위치, 전자셔터(300)의 경우, 촬상부(200)의 노출 시작 시점과 끝지점 사이의 시간, 이득 증폭기(400)의 경우, 전기적으로 전하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률이 되고, 이들은 촬상부(200)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값, 촬상부(200)의 노출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셔터 제어값, 촬상부(200)에서 출력되는 광량에 대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이득 증폭 제어값에 대응한다.
이러한 제어값은 영상의 밝기에 따라 제어부(500)에 의하여 변환한다. 제어부(500)는 대부분의 카메라 기능을 담당하는 DSP 안에 포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검출된 영상의 밝기가 점점 어두워지면 먼저 조리개(100) 또는 전자셔터(300)의 제어값이 점점 커져 개방이 커지고, 조리개(100) 또는 전자셔터(30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 이후에도 더 어두워지면 이득 증폭기(400)의 제어값이 커지기 시작한다.
이득 증폭기(400)의 제어값이 일정값에 도달하면 IR LED(700)가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커지고, 어두워지는 강도가 더 강해질수록 IR LED(700)의 강도가 세지고 IR LED(700)의 강도가 최대가 된 이후에도 어두워지는 경우 이후에 이득 증폭기(400)의 제어값이 증대되는 순서로 제어된다.
조리개(100) 또는 전자셔터(300)는 최대로 개방 유지된 상태로 IR-LED가 켜지므로 먼 거리의 어두운 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한 광량을 획득하여 구분 가능한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IR LED(700)를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의 결정은 촬상부(200)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값과, 촬상부(200)의 노출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셔터 제어값과, 촬상부(200)에서 출력되는 광량에 대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이득 증폭 제어값과, 이들을 조합한 값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노출 제어값들 중 하나가 일정값이 되는 시점을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조리개 제어값 또는 전자셔터 제어값이 최대 개방으로 되고, 이득 증폭 제어값이 일정값이 되는 시점에서 IR LED(700)를 제어 모드로 진입하게 한다.
즉, 입력 영상이 밝을 때 조리개(100) 또는 전자셔터(300)가 닫히고 어두울 때 열리게 된다.
제어부(500)는 조리개(100) 또는 전자셔터(300)를 최대로 개방하였는데 입력 영상이 어두우면 이득 증폭기(400)를 통해 입력 영상의 전하량을 전기적으로 증폭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500)는 이득 증폭을 위한 위치값에 임의의 점 X를 설정하여 일정 구간 이득을 증폭하고 이후 IR LED(700)를 켜고 이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한 후, IR LED(700)가 최대 밝기로 출력되게 되면 임의의 점 X에서부터 다시 이득 증폭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500)는 화소 단위로 전체 또는 부분적인 영역(윈도우)에 대한 밝기값을 검출하고 밝기값에 따라 듀티 비를 결정하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가변 제어한다.
입력되는 영상의 밝기 정보를 얻기 위해 화소 단위로 전체 또는 부분적인 영역(원도우)을 사용한다.
윈도우는 사용자가 임의로 위치를 정할 수 있으며 이 위치의 기반은 화소이다. 사용자는 윈도우 위치를 지정하여 지정된 위치에서 각 화소마다의 밝기값을 얻을 수 있으며 윈도우가 포함하는 화소의 개수를 알 수 있다.
각 화소마다의 밝기와 화소 개수를 통해 지정된 원도우의 밝기 평균값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밝기 평균값은 조리개(100), 전자셔터(300), 이득 증폭기(400),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00)의 제어의 전 구간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부분적인 영역을 가장 밝은 부분으로 바꿔가면서 밝기값을 검출하여 밝은 부분에서의 포화 현상이 나타나는 부분을 포화가 일어나지 않게 맞출 수 있다.
제어부(500)는 화소 단위로 부분적인 영역에 대한 밝기를 검출하고 촬상된 전체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밝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찾아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R LED(700)는 다음과 같은 가변 제어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IR LED(700)의 가변 제어 방법은 광 감지(CDS) 센서(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밝기에 따라 IR LED(700)의 제어 모드의 제어 시점을 판단하거나 제어부(500)를 통해 AGC/DGC 진입 정도에 따라 IR LED(700)의 제어 모드의 제어 시점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AGC/DGC 진입 정도는 AGC/DGC의 이득 증폭 제어값의 제어 시점(10%, 20% 등등)을 나타내고, IR LED(700)의 제어 시점은 IR LED(700)의 진입 시점과 빠져 나가는 시점을 나타낸다.
CDS 센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량에 따라 출력 전압이 가변되는데, 이러한 가변값이 일정 임계값에 도달하게 되면, IR LED(700)를 작동시켜 IR LED(700)의 온/오프 스위치로 사용되어진다.
또한, CDS 센서와 IR LED(700) 사이에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신호 생성기를 두어 가변값에 따른 PWM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IR LED(700)를 가변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WDR은 영상 입력시 전자셔터(300)의 노출 시간이 긴 Long 영역과 Long 영역에 비교하여 전자셔터(300)의 노출 시간이 짧은 Short 영역에서 두 영상을 입력받고, Short 영역의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적으로 증폭하며, Long 영역의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적으로 감소시켜 하나의 접점을 기준으로 정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WDR 기능이 문제되지 않는 AGC/DGC의 이득 증폭 제어값의 범위에서 IR LED 제어와 WDR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IR LED(700)의 제어 모드의 제어와 WDR 기능을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WDR의 Long 영역의 제1 목표 밝기값으로 영상을 입력받기 위해서 IR LED(700)를 조사하여 뒷배경을 밝게 볼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500)는 WDR의 Long 영역의 제1 목표 밝기값을 나타내기 위해서 조리개(100) 또는 전자셔터(300)를 최대로 개방한 후, WDR 기능이 문제되지 않는 지점에서 AGC/DGC의 이득 증폭 제어값을 고정시키고, 특정 지점의 IR LED(700)의 제어 모드를 조절하여 영상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WDR 기능이 문제되지 않는 지점은 AGC/DGC의 노이즈가 WDR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의 AGC/DGC의 이득 증폭 제어값이나 그 범위를 나타낸다.
제어부(500)는 WDR의 Long 영역의 제1 목표 밝기값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 AGC/DGC의 이득 증폭 제어값과 특정 지점의 IR LED(700)의 제어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전자셔터(300)만을 조절하여 WDR의 Short 영역의 제2 목표 밝기값으로 영상을 입력받는다.
즉, 제어부(500)는 WDR의 Short 영역의 제2 목표 밝기값으로 영상을 입력받기 위해서 IR LED(700)로 인해 포화된 가까운 사물의 밝기를 전자셔터(300)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500)는 WDR의 Long 영역의 제1 목표 밝기값으로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적으로 감소시키고 WDR의 Short 영역의 제2 목표 밝기값으로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적으로 증폭시켜 하나의 접점을 기준으로 정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R LED(700)이 조사된 상태에서 WDR의 Long 영역의 입력된 영상은 뒷쪽 배경이 밝게 나온 반면, 인물 부분이 포화되어 나오고, WDR의 Short 영역의 입력된 영상은 인물 부분이 선명하게 나오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WDR의 Long 영역의 입력된 영상과 Short 영역의 입력된 영상을 정합하게 되면, 가까운 사물의 포화 방지와 먼 거리의 뒷배경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야간에 IR LED(700)를 켜거나 제어하는 중에 WDR 기능을 사용하면 가까운 사물에 대한 포화를 방지하면서 뒤쪽 배경을 밝게 볼 수 있게 된다.
제어부(500)는 IR LED(700)의 출력이 가변되어 강도가 최대가 되고, AGC/DGC의 이득 증폭 제어값이 증가하게 되면, WDR 기능을 오프시켜야 한다.
전술한 목표 밝기값은 각 화소마다의 밝기와 화소 개수를 통해 지정된 원도우의 밝기 평균값을 기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WDR 기능을 오프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DR 기능을 오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WDR의 Long 영역의 제1 목표 밝기값과 Short 영역의 제2 목표 밝기값을 일반 상황(WDR OFF)의 목표 밝기값에 근접시킨다.
즉, 제어부(500)는 일반 상황의 목표 밝기값으로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조리개 제어값 또는 전자셔터 제어값, AGC/DGC의 이득 증폭 제어값, IR LED(700)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일정값을 입력값으로 WDR의 Long 영역의 제1 목표 밝기값과 Short 영역의 제2 목표 밝기값을 일반 상황(WDR OFF)의 목표 밝기값에 동일하게 근접시킨다. 여기서, 일반 상황은 광역 역광 보정 기능이 오프된 일반 상황의 영상 입력 상태를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WDR의 Long 영역의 제1 목표 밝기값을 90으로, Short 영역의 제2 목표 밝기값을 40으로 설정하고 일반 상황(WDR OFF)의 목표 밝기값을 70으로 설정하면, 제1 목표 밝기값과 제2 목표 밝기값이 각각 70으로 이동하여 설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WDR 기능은 AGC/DGC의 노이즈가 많지 않은 지점에서 그 기능을 수행하고 점점 노이즈가 발생되는 상황에 진입할수록 점진적으로 WDR 기능을 오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조리개
200: 촬상부
300: 전자셔터
400: 이득 증폭기
500: 제어부
600: PWM 신호 생성기
700: 조명장치(IR LED)

Claims (5)

  1.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광역 역광 보정 장치에 있어서,
    촬상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촬상부;
    상기 촬상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값과, 상기 촬상부의 노출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셔터 제어값과, 상기 촬상부에서 출력되는 광량에 대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이득 증폭 제어값과, 이들을 조합한 값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노출 제어값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일정값을 입력값으로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아날로그 게인 컨트롤/디지털 게인 컨트롤(Analog Gain Control/Digital Gain Control, AGC/DGC)의 노이즈가 광역 역광 보정(Wide Dynamic Range, WDR)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기 이득 증폭 제어값의 범위에서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의 제어와 상기 광역 역광 보정 기능을 야간에 함께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영상 입력시 전자셔터의 노출 시간이 긴 Long 영역의 제1 목표 밝기값으로 입력된 제1 영상―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이득 증폭 제어값의 범위에서 특정 지점의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를 조절하여 입력된 영상임―과, 상기 Long 영역에 비해 상기 전자셔터의 노출 시간이 짧은 Short 영역의 제2 목표 밝기값으로 입력된 제2 영상―상기 제2 영상은 상기 Long 영역의 이득 증폭 제어값과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를 유지한 채 상기 전자셔터를 조절하여 입력된 영상임―을 정합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가 최대가 되고 상기 이득 증폭 제어값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조리개 제어값 또는 전자셔터 제어값, 상기 이득 증폭 제어값,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일정값을 입력값으로 상기 Long 영역의 제1 목표 밝기값과 Short 영역의 제2 목표 밝기값을 상기 광역 역광 보정 기능이 오프된 영상 입력 상태에 동일하게 근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역광 보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셔터 또는 조리개를 최대로 개방한 후, 상기 이득 증폭 제어값을 고정시키고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역광 보정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 감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밝기에 따라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의 제어 시점을 선택하거나 상기 AGC/DGC의 진입 정도에 따라 상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제어 모드의 제어 시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역광 보정 장치.
KR1020110078077A 2011-08-05 2011-08-05 광역 역광 보정 장치 KR10129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77A KR101295600B1 (ko) 2011-08-05 2011-08-05 광역 역광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77A KR101295600B1 (ko) 2011-08-05 2011-08-05 광역 역광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822A KR20130015822A (ko) 2013-02-14
KR101295600B1 true KR101295600B1 (ko) 2013-08-27

Family

ID=4789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077A KR101295600B1 (ko) 2011-08-05 2011-08-05 광역 역광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6042A (zh) * 2018-08-31 2020-03-10 厦门星宸科技有限公司 用以控制图像捕获设备的电路及相关的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586A (ko) * 2008-05-08 2009-11-12 웹게이트 주식회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카메라 및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586A (ko) * 2008-05-08 2009-11-12 웹게이트 주식회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카메라 및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6042A (zh) * 2018-08-31 2020-03-10 厦门星宸科技有限公司 用以控制图像捕获设备的电路及相关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822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7107B2 (en)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846192B1 (ko) 적외선 카메라의 영상포화 방지회로
US8040411B2 (en)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US20050270413A1 (en) Adjustment of illumination light quantity for moving picture in moving picture image pickup device
KR101009366B1 (ko) 동화상 카메라
US10225486B2 (en) Shoo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ooting apparatus
JP57591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986537B2 (ja) 画像処理装置
US8941754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280660A1 (en) Method for firing flash of image-capturing device
US816950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a flicker control method
KR101295600B1 (ko) 광역 역광 보정 장치
JP4813839B2 (ja) 露出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
JP2004120202A (ja) 撮像装置,撮像モード切替方法
KR101971535B1 (ko) 이미지 촬영 장치에서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
JP5533059B2 (ja) 撮像装置
JP2016201722A (ja) 撮像装置
JP4240738B2 (ja) 撮像装置
KR101217785B1 (ko) 조명 광도 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카메라 장치 및 이의 조명 광도 조절방법
JP2009206701A (ja) カメラシステム、高感度カメラ、撮影制御方法、撮影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050162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695243B1 (ko) 보조광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194988A (ja) 照明内蔵型カメラ
KR100512570B1 (ko) 디지털 카메라의 화면 밝기 자동 조절장치
JP2006197499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