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263B1 -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263B1
KR101295263B1 KR1020120014408A KR20120014408A KR101295263B1 KR 101295263 B1 KR101295263 B1 KR 101295263B1 KR 1020120014408 A KR1020120014408 A KR 1020120014408A KR 20120014408 A KR20120014408 A KR 20120014408A KR 101295263 B1 KR101295263 B1 KR 101295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fixing block
gas injection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진
정대열
김승혁
허광철
김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1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263B1/ko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EP12868345.5A priority patent/EP2816216B1/en
Priority to US14/374,968 priority patent/US9599251B2/en
Priority to CN201280068211.8A priority patent/CN104081033B/zh
Priority to PCT/KR2012/011142 priority patent/WO2013122317A1/ko
Priority to JP2014551181A priority patent/JP6084235B2/ja
Priority to CN201280068986.5A priority patent/CN104105870B/zh
Priority to US14/374,970 priority patent/US9482362B2/en
Priority to JP2014554656A priority patent/JP5889440B2/ja
Priority to EP12868583.1A priority patent/EP2816217B1/en
Priority to PCT/KR2012/011265 priority patent/WO201312231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구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향상을 통해 장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는,
캠 구동에 의해 승하강을 반복하는 요크상에 결합하는 상부고정블럭과;
상기 상부고정블럭이 결합하는 요크 하부의 프리챔버에 결합하는 하부고정블럭과;
상기 상부고정블럭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부의 직경이 양측 단부의 직경에 비해 큰 롤러와;
상기 하부고정블럭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일측의 굴곡면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롤러와 접촉함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와;
상기 하부고정블럭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가이드 회전에 따라 전방 선단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 전방 선단에 결합하고, 작동편 전방 선단의 하강에 따라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스핀들 상단을 압착하는 누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driving device of check valve for gas injection}
본 발명은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구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가스 분사 시기 및 분사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향상을 통해 장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엔진의 프리챔버에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프리챔버 내의 연소실로 가스 주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스핀들이 몸체상에서 하강함에 따라 몸체의 통공이 개방되어 프리챔버의 연소실로 가스 주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스핀들이 몸체상에서 승강함에 따라 몸체의 통공이 폐쇄되어 미연소 가스가 몸체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구동 즉, 승하강은 프리챔버 상부에 마련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종래의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기계식 구동장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 타이밍이 부정확하여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를 통한 가스 분사 시기 및 분사량이 일정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기계식 구동장치는 가스 분사 시기 및 분사량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기계식 구동장치는 그 구조 및 원리가 복잡하여 유지 보수가 힘들었으므로 실제 적용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기계식 구동장치는 반복 작동하는 과정에서 특정 부품에 무리가 따르게 되어 쉽게 손상되므로 장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구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향상을 통해 장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의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가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를 정확히 구동할 수 없었던 문제와, 가스 분사 시기 및 분사량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였던 문제와, 내구성 저하로 인해 장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는,
캠 구동에 의해 승하강을 반복하는 요크상에 결합하는 상부고정블럭과;
상기 상부고정블럭이 결합하는 요크 하부의 프리챔버에 결합하는 하부고정블럭과;
상기 상부고정블럭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부의 직경이 양측 단부의 직경에 비해 큰 롤러와;
상기 하부고정블럭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일측의 굴곡면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롤러와 접촉함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와;
상기 하부고정블럭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가이드 회전에 따라 전방 선단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 전방 선단에 결합하고, 작동편 전방 선단의 하강에 따라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스핀들 상단을 압착하는 누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고정블럭은 전면 양측에 후방으로 이어지는 볼트체결공이 마련되고,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블럭은 상면 양측에 하부로 이어지는 볼트체결공이 마련되고,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는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는 굴곡면에 경사부가 마련되고,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편은 후방에 하부로 이어지는 요홈이 마련되고,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이 마련되며, 전방 선단에는 내주면이 나선으로 된 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누름봉은 외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단에 이중의 너트가 체결되며, 하단부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한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는, 캠 구동에 의해 일정한 주기로 승하강을 반복하는 요크상의 상부고정블럭에 결합한 롤러가 프리챔버상에 결합한 하부고정블럭상의 가이드와 접촉하여 롤러 접촉에 의한 가이드 회전에 의해 작동편상의 누름봉이 승하강함으로써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스핀들 상단을 압착하는 것인바, 체크밸브의 구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편상의 누름봉 높이 조절을 통해 체크밸브를 통한 가스 분사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작동편으로부터 경사를 변경하여 가이드를 교체하여 가스 분사 시기 및 분사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는 롤러 중앙부의 직경이 양측 단부의 직경에 비해 큰 것이어서 롤러와 가이드가 점접촉하게 되므로 반복되는 작동 과정에서 롤러 및 가이드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장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에서 누름봉을 통한 스핀들 압착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A)는 상부고정블럭(10)과, 하부고정블럭(20)과, 롤러(30)와, 가이드(40)와, 작동편(50)과, 누름봉(6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고정블럭(10)은 캠(도면상 미도시) 구동에 의해 승하강을 반복하는 요크(100)상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고정블럭(10)의 전면 양측에는 후방으로 이어지는 볼트체결공(1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고정블럭(10)의 전면 양측에 후방으로 이어지는 볼트체결공(11)이 마련됨으로써 상부고정블럭(10)의 볼트체결공(11)과 요크(100)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110)이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체결공(11)을 통해 볼트(12)가 체결됨에 따라 요크(100)상에 상부고정블럭(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고정블럭(10) 측면에는 횡으로 이어지는 통공(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고정블럭(10)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통공(13)이 마련됨으로써 통공(13)을 통한 핀(14) 삽입에 의해 상부고정블럭(10)상에 롤러(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고정블럭(20)은 상부고정블럭(10)이 결합하는 요크(100) 하부의 프리챔버(200)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고정블럭(20) 상면 양측에는 하부로 이어지는 볼트체결공(2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고정블럭(20) 상면 양측에 하부로 이어지는 볼트체결공(21)이 마련됨으로써 하부고정블럭(20)의 볼트체결공(21)과 프리챔버(200) 상면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210)이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체결공(21)을 통해 볼트(22)가 체결됨에 따라 프리챔버(200)상에 하부고정블럭(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고정블럭(20) 측면에는 횡으로 이어지는 통공(2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고정블럭(20)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통공(23)이 마련됨으로서 통공(23)을 통한 핀(24) 삽입에 의해 하부고정블럭(20)상에 가이드(40) 및 작동편(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30)는 상부고정블럭(10)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중앙부의 직경이 양측 단부의 직경에 비해 큰 것이다.
이와 같은 롤러(30)에서 중앙부의 직경을 양측 단부에 비해 크게 하는 것은 롤러(30)와 가이드(40)가 접촉할 때 접촉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30) 중앙부의 직경을 양측 단부에 비해 크게 함에 따라 롤러(30)와 가이드(40)는 점접촉하게 되므로 롤러(30)와 가이드(40)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30)의 측면에는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3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30)의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31)이 마련됨으로써 관통공(31)을 통해 상부고정블럭(10)에 결합하는 핀(14) 관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롤러(30)가 상부고정블럭(10)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40)는 하부고정블럭(20)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일측의 굴곡면(41)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롤러(30)와 접촉함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40)의 굴곡면(41)에는 경사부(41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40)의 굴곡면(41)에 경사부(41a)가 마련됨으로써 경사부(41a)를 따라 롤러(30)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가이드(40)의 회전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40) 측면에는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42)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40)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42)이 마련됨으로써 관통공(42)을 통해 하부고정블럭(20)에 결합하는 핀(24) 관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가이드(40)가 하부고정블럭(20)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편(50)은 하부고정블럭(20)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가이드(40) 회전에 따라 전방 선단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편(50)의 후방에는 하부로 이어지는 요홈(5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편(50)의 후방에 하부로 이어지는 요홈(51)이 마련됨으로써 요홈(51)을 통해 작동편(50) 내측으로 가이드(40)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편(50)의 측면에는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52)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편(50)의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52)이 마련됨으로써 관통공(52)을 통해 하부고정블럭(20)에 결합하는 핀(24) 관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작동편(50)이 하부고정블럭(20)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편(50)의 전방 선단에는 내주면이 나선으로 된 홀(5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편(50)의 전방 선단에 내주면이 나선으로 된 홀(53)이 마련됨으로써 홀(53)을 통해 누름봉(60)이 나선 물림하여 작동편(5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누름봉(60)은 작동편(50) 전방 선단에 결합하는 것으로, 작동편(50) 전방 선단의 하강에 따라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300)의 스핀들(310) 상단을 압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누름봉(60)의 외면에는 나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봉(60)의 외면에 나선이 형성됨으로써 누름봉(60)과 작동편(50)의 홀(53)이 나선물림할 수 있게 되므로 작동편(50)상에 누름봉(6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누름봉(60)의 상단에는 이중의 너트(61)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봉(60)의 상단에 이중의 너트(61)가 체결됨으로써 작동편(50)상에서의 누름봉(60)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중 너트(61) 체결 높이 조절에 따라 작동편(60)으로부터의 누름봉(60)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누름봉(60)의 하단부는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한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봉(60)의 하단부가 전후좌우로 유동가능한 형태로 됨으로써 누름봉(60) 하단부가 체크밸브(300)의 스핀들(310) 상단을 압착할 때 누름봉(60) 하단부의 유동에 의해 누름봉(60)과 스핀들(310)이 밀접할 수 있게 되므로 누름봉(60)을 통한 스핀들 압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누름봉(60) 하단부의 전후좌우 유동은 누름봉(60) 하단이 반구 형태로 되고, 반구 형태로 된 누름봉(60) 하단에 반구 형태에 상응하는 수용홈(62a)이 형성된 압착부재(62)가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A)를 통한 체크밸브(300) 구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요크(100) 하강에 의해 상부고정블럭(10)이 하강된다.
본 발명에서 롤러(30)가 결합된 상부고정블럭(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구동에 의해 승하강을 반복하는 요크(100)상에 결합하고 있는바, 캠 구동에 의하여 요크(100)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면 요크(100)에 결합된 상부고정블럭(10)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부고정블럭(10)의 하강에 의해 가이드(40)가 회전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40)가 결합된 하부고정블럭(20)은 요크(100) 하부의 프리챔버(200)에 결합하고 있는바, 상부고정블럭(10)이 하강하게 되면 상부고정블럭(10)에 결합된 롤러(30)가 하부고정블럭(20)에 결합된 가이드(40)의 굴곡면(41)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40)는 하부고정블럭(20)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고, 가이드(40)의 굴곡면(41)에는 경사부(41a)가 마련되어 있는바, 경사부(41a)와 접하며 롤러(30)가 하강하게 되면 롤러(30) 선단이 가이드(40)를 일측으로 밀게 되므로 가이드(40)는 하부고정블럭(20)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롤러(30)는 중앙부의 직경이 양측 단부의 직경에 비해 큰 것인바, 롤러(30)와 가이드(40)의 굴곡면(41)은 점접촉하게 되므로 롤러(30)와 가이드(40)의 접촉이 반복되더라도 롤러(30)와 가이드(40)의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어 롤러(30)와 가이드(40) 마모로 인한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가이드(40) 회전에 의해 작동편(50)이 회전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40)는 요홈(51)이 형성된 작동편(50) 내측에 위치하고, 작동편(50)은 하부고정블럭(20)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인바, 가이드(4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가이드(40)의 전방 선단이 작동편(50)을 일측으로 밀게 되므로 작동편(50)은 하부고정블럭(20)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동편(50) 회전에 의해 누름봉(60)이 체크밸브(300)의 스핀들(310) 상단을 압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작동편(50)의 전방 선단에는 하단이 체크밸브(300)의 스핀들(310) 상단에 인접하는 누름봉(60)이 마련되어 있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50)이 회전하게 되면 작동편(50)의 전방 선단이 하강하게 되므로 작동편(50) 전방 선단의 누름봉(60)이 체크밸브(300)의 스핀들(310) 상단을 압착하게 된다.
이때, 누름봉(60)에 의해 압착된 스핀들(310)의 하단은 체크밸브(300)의 몸체(320) 하부로 돌출되어 체크밸브(300)의 몸체(320)에 형성된 통공(도면상 미도시)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통공으로부터 유출되는 가스가 프리챔버(200)의 연소실(220) 내로 주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300) 구동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A)는, 캠에 의해 구동되는 요크(100)의 주기적 상하 운동을 이용하는바, 체크밸브(300)의 구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A)를 통한 체크밸브(300)의 가스 분사 사기 및 분사량 조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누름봉(60)의 상단은 이중 너트(61) 체결에 의해 작동편(50)에 결합하고 있는바, 너트(61)의 체결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작동편(50)으로부터의 누름봉(60)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체크밸브(300)의 분사량을 이전에 비해 늘리고자 하는 경우 이중 너트(61)를 이전에 비해 더 낮게 체결하여 작동편(50)으로부터 누름봉(60)의 돌출 정도를 더 작게 하면 누름봉(60) 하단과 스핀들(310) 상단 사이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체크밸브(300)의 양정이 길어지기 때문에 분사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체크밸브(300)의 분사 시기를 이전에 비해 앞당기고자 하는 경우 이중 너트(61)를 이전에 비해 더 높이 체결하여 작동편(50)으로부터 누름봉(60)의 돌출 정도를 더 크게 하게 되면 누름봉(60) 하단과 스핀들(310) 상단 사이의 간격이 좁혀짐에 따라 체크밸브(300)의 양정이 줄어들기 때문에 분사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40)를 작동편(50)으로부터 교체할 수 있는바, 가이드(40)의 굴곡면(41)에서 경사부(41a) 형상을 다르게 하여 가스 분사 시기 및 분사량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체크밸브(300)의 분사 시기를 앞당겨 분사량을 늘리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40)의 경사부(41a)위치를 상단으로 올려 제작하여 교체하면, 이전에 비해 롤러(30)가 경사부(41a)를 빨리 접촉하기 때문에 분사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반대로 체크밸브의 분사 시기를 늦춰 분사량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40)의 경사부(41a)위치를 하단으로 내려 제작하여 교체하면, 이전에 비해 롤러(30)가 경사부(41a)를 늦게 접촉하기 때문에 분사 시기를 늦출 수 있다.
한편, 하강상태의 요크(100)는 캠 구동에 의하여 승강하게 된다.
캠 구동에 의하여 요크(10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면 요크(100)에 결합된 상부고정블럭(10)이 상승하게 되어 롤러(30)는 가이드(40)와 접한 상태에서 해제되므로 가이드(40)는 회전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처럼 가이드(40)가 회전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가이드(40)에 의해 회전하였던 작동편(50)이 회전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작동편(50)이 회전 이전의 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작동편(50) 전방 선단에 결합된 누름봉(60) 또한 하강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누름봉(60) 하단에 의해 눌려 있던 스핀들(310)은 체크밸브(300) 내에 장착된 스프링(도면상 미도시)의 탄성에 의해 하강 이전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어 체크밸브(300)의 몸체(320)에 마련된 통공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체크밸브(300) 내부로 미연소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A)는, 캠 구동에 의해 일정한 주기로 승하강을 반복하는 요크(100)상의 상부고정블럭(10)에 결합한 롤러(30)가 프리챔버(200)상에 결합한 하부고정블럭(20)상의 가이드(40)와 접촉하여 롤러(30) 접촉에 의한 가이드(40) 회전에 의해 작동편(50)상의 누름봉(60)이 승하강함으로써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300)의 스핀들(310) 상단을 압착하는 것인바, 체크밸브(300)의 구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편(50)상의 누름봉(60) 높이 조절을 통해 체크밸브(300)를 통한 가스 분사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작동편(50)으로부터 경사부(41a)를 변경하여 가이드(40)를 교체하여 가스 분사 시기 및 분사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A)는 롤러(30) 중앙부의 직경이 양측 단부의 직경에 비해 큰 것이어서 롤러(30)와 가이드(40)가 점접촉하게 되므로 반복되는 작동 과정에서 롤러(30) 및 가이드(40)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장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상부고정블럭 11 : 볼트체결공
12 : 볼트 13 : 통공
14 : 핀 20 : 하부고정블럭
21 : 볼트체결공 22 : 볼트
23 : 통공 24 : 핀
30 : 롤러 31 : 관통공
40 : 가이드 41 : 굴곡면
41a : 경사부 42 : 관통공
50 : 작동편 51 : 요홈
52 : 관통공 53 : 홀
60 : 누름봉 61 : 너트
62 : 압착부재 62a : 수용홈
100 : 요크 110 : 볼트체결공
200 : 프리챔버 210 : 볼트체결공
220 : 연소실 300 : 체크밸브
310 : 스핀들 320 : 몸체
A : 체크밸브 구동장치

Claims (8)

  1. 캠 구동에 의해 승하강을 반복하는 요크상에 결합하는 상부고정블럭과;
    상기 상부고정블럭이 결합하는 요크 하부의 프리챔버에 결합하는 하부고정블럭과;
    상기 상부고정블럭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부의 직경이 양측 단부의 직경에 비해 큰 롤러와;
    상기 하부고정블럭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일측의 굴곡면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롤러와 접촉함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와;
    상기 하부고정블럭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가이드 회전에 따라 전방 선단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 전방 선단에 결합하고, 작동편 전방 선단의 하강에 따라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의 스핀들 상단을 압착하는 누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블럭은 전면 양측에 후방으로 이어지는 볼트체결공이 마련되고,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블럭은 상면 양측에 하부로 이어지는 볼트체결공이 마련되고,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굴곡면에 경사부가 마련되고,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은 후방에 하부로 이어지는 요홈이 마련되고, 측면에 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이 마련되며, 전방 선단에는 내주면이 나선으로 된 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은 외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단에 이중의 너트가 체결되며, 하단부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한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은 하단이 반구 형태로 되고, 반구 형태로 된 누름봉 하단에 반구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의 수용홈이 형성된 압착부재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KR1020120014408A 2012-02-13 2012-02-13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KR101295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408A KR101295263B1 (ko) 2012-02-13 2012-02-13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US14/374,968 US9599251B2 (en) 2012-02-13 2012-12-20 Check valve driving device for injecting gas
CN201280068211.8A CN104081033B (zh) 2012-02-13 2012-12-20 气体注入用单向阀驱动装置
PCT/KR2012/011142 WO2013122317A1 (ko) 2012-02-13 2012-12-20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EP12868345.5A EP2816216B1 (en) 2012-02-13 2012-12-20 Check valve driving device for injecting gas
JP2014551181A JP6084235B2 (ja) 2012-02-13 2012-12-20 ガス注入用チェックバルブ駆動装置
CN201280068986.5A CN104105870B (zh) 2012-02-13 2012-12-21 气体注入用单向阀
US14/374,970 US9482362B2 (en) 2012-02-13 2012-12-21 Check valve for injecting gas
JP2014554656A JP5889440B2 (ja) 2012-02-13 2012-12-21 ガス注入用チェックバルブ
EP12868583.1A EP2816217B1 (en) 2012-02-13 2012-12-21 Valve for injecting gas
PCT/KR2012/011265 WO2013122318A1 (ko) 2012-02-13 2012-12-21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408A KR101295263B1 (ko) 2012-02-13 2012-02-13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263B1 true KR101295263B1 (ko) 2013-08-09

Family

ID=4922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408A KR101295263B1 (ko) 2012-02-13 2012-02-13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2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752A (ja) * 1983-11-14 1985-06-10 Nippon Denso Co Ltd ガス燃料噴射装置
JPH11303708A (ja) * 1998-04-22 1999-11-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ユニットインジェクタ
KR20110053048A (ko) * 2009-11-13 2011-05-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체크밸브 제어용 타이밍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752A (ja) * 1983-11-14 1985-06-10 Nippon Denso Co Ltd ガス燃料噴射装置
JPH11303708A (ja) * 1998-04-22 1999-11-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ユニットインジェクタ
KR20110053048A (ko) * 2009-11-13 2011-05-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체크밸브 제어용 타이밍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4235B2 (ja) ガス注入用チェックバルブ駆動装置
CN202473829U (zh) 一种节能灯自动打钉装置
CN209249888U (zh) 一种自动插针机
CN109162032B (zh) 一种多色绣花机
KR101295263B1 (ko)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EP1344932A3 (en) Lubricant supply unit of high pressure fuel pump
WO2016110231A1 (zh) 具有可变压缩比的发动机
KR101421753B1 (ko) 체크밸브 제어용 타이밍 디바이스
US9669529B2 (en) Driving tool with push lever configured to contact housing
CN203175222U (zh) 定位门条
CN113464664B (zh) 一种基于闭环反馈控制的节水灌溉阀及其使用方法
CN2823989Y (zh) 光电头固定支架调节机构
CN210789024U (zh) 利用改变行程原理控制传送长度的钢筋传送装置
CN212317722U (zh) 一种滑轮及带有滑轮的移动门
CN109295623B (zh) 一种缝纫机
CN204108809U (zh) 连杆齿面磨损自动研磨装置
KR101415425B1 (ko)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CN106012268B (zh) 针织大圆机归零三角固定座
CN218206271U (zh) 一种隐藏式门碰
CN109026418A (zh) 一种正时与持续期可调的压油装置及调节方法
KR101295262B1 (ko)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CN111720610B (zh) 灶具阀体
CN215873685U (zh) 一种快换式新型拉头
CN210789885U (zh) 铜刺环自动插针机构
KR102121652B1 (ko) 엔진용 가변밸브의 오리피스형 타이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