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881B1 -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881B1
KR101294881B1 KR1020110112621A KR20110112621A KR101294881B1 KR 101294881 B1 KR101294881 B1 KR 101294881B1 KR 1020110112621 A KR1020110112621 A KR 1020110112621A KR 20110112621 A KR20110112621 A KR 20110112621A KR 101294881 B1 KR101294881 B1 KR 10129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upport
fixing
coupled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834A (ko
Inventor
박성운
Original Assignee
박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운 filed Critical 박성운
Priority to KR102011011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8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용 안장부재, 상기 안장부재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 상기 안장지지부를 자전거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안장고정부, 및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여 안장지지부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서 고정해제하여 안장지지부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안장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벨트 형상의 안장부재가 자전거의 전진방향과 수직으로 결합된 안장지지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전시켜 자전거의 전진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경우 안장부재 및 안장지지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Saddle for Bicycle having Tur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 형상의 안장부재가 자전거의 전진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된 그네형 안장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재가 결합된 안장지지부를 필요에 따라 고정하거나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경우 상기 그네형 안장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인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교통수단 중 하나로서 오랜 시간동안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특성과 운동기구로서의 건강증진 효과가 새롭게 주목되면서 이용자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전거의 안장은 대부분 사용자가 페달을 밟은 동작(이하, '페달링'이라 함)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앞부분은 좁고 뒷부분은 넓은 삼각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탑승시 안장의 앞부분이 사용자의 양측 대퇴부와 엉덩이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회음부와 밀착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페달링시 안장의 앞부분이 사용자의 회음부를 반복하여 압박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장시간 자전거를 사용하는 경우 발기부전과 같은 신체적 손상을 사용자에게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전거의 전진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된 벨트형상의 안장부재에 사용자의 둔부가 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달링시 사용자의 회음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한 그네형 자전거 안장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그네형 자전거 안장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문헌 1]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에 개시된 그네형 자전거 안장의 경우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있을 경우에는 회음부가 압박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안장의 구성이 자전거 전진방향의 양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 1]에 개시된 그네형 자전거 안장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안장구조에 의하여 횡단보도를 건너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자전거를 끌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안장이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써 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09-103857호 (2009. 10. 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형상의 안장부재가 자전거의 전진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된 그네형 안장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재가 결합된 안장지지부를 필요에 따라 고정하거나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경우 상기 그네형 안장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용 안장부재, 상기 안장부재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 상기 안장지지부를 자전거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안장고정부, 및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여 안장지지부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서 고정해제하여 안장지지부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안장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장지지부는 안장회동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장부재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안장지지부는 안장고정부에서 고정해제시 상기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안장고정부에는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축형 돌기와 상기 축형 돌기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안장회동부는 연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삽입공을 통해 고정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고정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홈에서 제거되는 경우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서 고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안장회동부는 연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연결공을 통해 연결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안장고정부에 결합되는 축형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안장고정부에 결합되는 결합강도에 따라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공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안장회동부는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삽입공을 통해 안장고정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강도에 따라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거나 고정홈에서 제거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장회동부는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축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안장고정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축형 돌기를 관통하여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됨으로써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축형 돌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누름바(bar)와, 상기 누름바의 하부에서 축형 돌기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돌기는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누름바와 함께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홈에서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장회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축형 돌기에 결합되어 안장지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안장고정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 동작이 해제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장지지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안장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안장회동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안장지지부는 안장고정부에서 고정해제시, 상기 지지부재가 각각의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용 안장부재,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장부재를 지지하도록 안장부재의 양측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구비한 안장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안장지지부를 자전거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안장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 각각은 연결부재에 연결된 제1지지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안장부재에 연결된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측 단부를 제1지지부재에 연결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에 결합되어 힌지부재와의 결합강도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장부재는 벨트 형상이고, 상기 안장지지부는 안장부재에 결합되는 양측 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장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벨트 형상의 안장부재가 자전거의 전진방향과 수직으로 결합된 안장지지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전시켜 자전거의 전진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경우 안장부재 및 안장지지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이 적용된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
도2a와 도2b는 각각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및 결합도,
도2c와 도2d는 각각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C-C부 단면도,
도3a와 도3b는 각각 도1의 A부 동작에 의하여 자전거의 안장지지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4a 내지 도4e는 각각 도1의 B부 상세 구성에 대한 서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5a와 도5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및 결합도,
도5c와 도5d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D-D부 단면도,
도6a와 도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및 결합도,
도6c와 도6d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E-E부 단면도,
도7a와 도7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및 결합도,
도7c와 도7d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F-F부 단면도,
도8a 내지 도8c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결합사시도 및 결합평면도,
도8d와 도8e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G-G부 단면도,
도9a와 도9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동작에 의하여 자전거의 안장지지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도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지지부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이 적용된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a와 도2b는 각각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및 결합도이며, 도2c와 도2d는 각각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C-C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벨트 형상의 안장부재(10), 상기 안장부재(10)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양측 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장부재(10)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20), 상기 안장지지부(20)를 자전거프레임(1)에 결합시키는 안장고정부(30), 및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안장회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장부재(10)는 직물, 가죽, 합성수지, 고무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탑승시 사용자의 둔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의 폭(자전거 전진방향의 길이)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다.
또한, 상기 안장부재(10)의 폭은 사용자의 둔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선택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페달링시 사용자의 대퇴부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장지지부(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장회동부(4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1)와, 상기 연결부재(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장부재(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1)는 일예로서 원반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중앙에는 연결공(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공(21a)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공(21a)은 일예로서 관통공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깊이를 가지는 끼움공 형상으로 연결부재(2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21b)은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공(21b)이 연결공(21a)의 외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는 연결부재(21)의 양측으로 연장된 바(bar)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안장부재(10)와 결합되는 양측 단부는 상기 안장부재(10)를 상부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2)는 도4a 내지 도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1)에 연결되는 수평부재(22a)와 안장부재(10)에 연결되는 절곡부재(22b)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수평부재(22a)와 절곡부재(22b)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장고정부(30)는 안장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bar)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일측 단부(미도시)는 클램프 또는 QR(quick release)레버와 같은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프레임(1)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부재(21)와의 결합을 위하여 판 형상의 플랜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31)에는 상기 연결공(21a)에 삽입되는 축형 돌기(31a)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형 돌기(31a)의 일측에는 복수의 고정홈(31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축형 돌기(31a)는 연결공(21a)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21)의 회전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31b)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관통공으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플랜지(31)의 상면(즉, 연결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끼움공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31b)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삽입공(21b)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축형 돌기(31a)와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장회동부(40)는 판 형상의 걸림부재(41)와 상기 걸림부재(41)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걸림부재(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42)가 삽입공(21b)에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재(21)의 상부에 걸쳐짐으로써 안장회동부(40)가 연결부재(21)의 하부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42)가 두개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하나 또는 세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삽입공(21b) 및 고정홈(31b)의 갯수도 본 실시예와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41)의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서는 판 형상으로 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40)는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하는 경우에는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42)가 연결부재(21)의 상부에서 삽입공(21b)을 통해 고정홈(31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장지지부(20)를 안장고정부(30)에 고정시켜 안장지지부(20)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인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40)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끌고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안장회동부(40)를 상부로 들어올려 고정부재(42)를 고정홈(31b)에서 제거하는 경우에는 도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장지지부(20)가 안장고정부(30)에서 고정해제되기 때문에 안장지지부(20)가 연결부재(21)를 중심으로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3a와 도3b에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안장회동부(40)에 의하여 안장지지부(20)가 안장고정부(30)에 고정된 상태와 고정해제되어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사용자 탑승시 자전거의 전진방향에 대하여 양측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고정된 안장지지부(20)가 보관 또는 운반시에는 자전거의 전진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안장지지부(2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안장지지부(20)가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안장고정부(30)에 다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31b)은 안장지지부(20)의 회동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장지지부(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20)의 양측 단부 각각에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결합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안장부재(10)의 양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2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25)와 제2결합부(15)는 안장부재(10)를 지지부재(22)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4a 내지 도4e는 제1결합부(25)와 제2결합부(15)의 다양한 변형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제1결합부(25)와 제2결합부(15)의 모든 변형예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4a 내지 도4c에는 제1결합부(25)가 서로 대향하는 고리(26)로 구성되고 제2결합부(15)는 상기 고리(26)에 결합되는 걸쇠(16)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는데, 상기 고리(26)와 걸쇠(16)의 형상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걸쇠(16)의 일측 단부에는 안장부재(10)의 단부가 결합되는 홈(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안장부재(10)의 단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결합, 나사결합, 볼트결합, 리벳결합 등과 같이 안장부재(10)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홈(17)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장부재(10)의 단부는 벨크로 결합이나 걸쇠(16)에 형성된 다수의 홈(17)에 대한 다중 끼움결합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안장부재(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다른 방식으로는 도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하우징(27)으로 된 제1결합부(25)의 내부에 안장부재(10)의 단부와 결합된 고리일체형 막대부재(18)가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제1,2결합부(25,15)가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27)의 측면에는 막대부재의 고리(18a)가 통과되기 위한 가이드홈(27a)이 형성되어 있으며, 막대부재(18)의 삽입이 완료되면 이탈방지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27)의 개구에는 캡부재(27b)가 나사결합의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제1,2결합부(25,15)를 구성할 경우 전술한 고리와 걸쇠 타입과 대비할 때 안장부재(10)의 단부가 흔들림이 없이 지지부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둔부를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4e에 도시한 결합구조는 제1결합부(25)에 대한 제2결합부(15)의 결합각도를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4e에 도시한 결합구조는 상기 제1결합부(25)는 관통공(28)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15)는 안장지지부(2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28)에 삽입되는 체결부재(19)와 상기 안장지지부(20)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공(28)을 통과한 체결부재의 단부(19a)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19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8)의 내면과 체결부재(19)의 외면 일부에는, 관통공(28)에 대한 안장부재(10)의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19)의 삽입에 의해 서로 치합되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순히 관통공(28)에 삽입되는 체결부재(19)의 삽입각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안장부재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19)는, 너트부재와(19b) 결합되기 위한 나사탭이 형성된 단부(19a)의 직경이 세레이션이 형성된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장부재(10)가 안장지지부(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안장부재(10)는 안장지지부(20)에 고정결합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5a와 도5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및 결합도이고, 도5c와 도5d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D-D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안장지지부, 안장고정부 및 안장회동부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지지부(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장회동부(14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21)와, 상기 연결부재(1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장부재(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21)는 일예로서 원반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중앙에는 연결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공(121a)은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장고정부(130)는 안장지지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bar)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일측 단부(미도시)는 클램프 또는 QR(quick release)레버와 같은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프레임(1)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부재(121)와의 결합을 위하여 판 형상의 플랜지(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31)에는 후술하는 안장회동부(14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3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장회동부(140)는 연결부재(121)의 상부에서 상기 연결공(121a)을 통해 플랜지(131)의 결합홈(131a)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121)의 회동축을 제공하는 축형의 결합부재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장회동부(140)와 결합홈(131a)이 각각 볼트(또는 나사)와 이에 결합되는 나사홈의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장회동부(140)와 플랜지(131) 사이의 결합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경우이면 QR 레버 등 여러 가지 공지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안장회동부(140)가 QR 레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홈(131a)은 관통공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장회동부(140)와 연결부재(121)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장회동부(140)가 플랜지(131)에 완전히 결합되는 경우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 스프링 기능을 하는 와셔(미도시) 등이 더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140)는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하는 경우에는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장회동부(140)가 연결부재(121)의 상부에서 연결공(121a)을 통해 플랜지(131)의 결합홈(131b)에 완전히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장지지부(120)를 안장고정부(130)에 고정시켜 안장지지부(120)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140)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끌고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안장회동부(140)와 플랜지(131) 사이의 나사결합을 적절하게 풀어서 결합강도를 약하게 하는 경우에는 도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장지지부(120)가 안장고정부(130)에서 고정해제되기 때문에 안장지지부(120)가 연결부재(121)를 중심으로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3실시예)
도6a와 도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및 결합도이고, 도6c와 도6d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E-E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안장지지부, 안장고정부 및 안장회동부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지지부(2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장회동부(24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21)와, 상기 연결부재(2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장부재(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21)는 일예로서 원반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중앙에는 연결공(2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공(221a)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2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공(221a)과 삽입공(221b)은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공(221b)이 연결공(221a)의 외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안장고정부(230)는 안장지지부(2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bar)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일측 단부(미도시)는 클램프 또는 QR(quick release)레버와 같은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프레임(1)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부재(221)와의 결합을 위하여 판 형상의 플랜지(2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231)에는 후술하는 안장회동부(240)의 결합부재(241)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31a)의 일측에는 복수의 고정홈(2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31b)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플랜지(231)의 상면(즉, 연결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끼움공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관통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31b)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삽입공(221b)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결합홈(231a)과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장회동부(240)는 연결부재(221)의 상부에서 상기 연결공(221a)을 통해 플랜지(231)의 결합홈(231a)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21)의 회동축을 제공하는 축형의 결합부재(241), 상기 결합부재(241)와 연결부재(221)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부재(221)의 상부에서 상기 삽입공(221b)을 통해 고정홈(231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42)는 결합부재(241)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242c)이 형성된 판 형상의 걸림편(242a)과 상기 걸림편(242a)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24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242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편(242b)이 삽입공(221b)에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재(221)의 상부에 걸쳐짐으로써 고정부재(242)가 연결부재(221)의 하부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장회동부(240)는 고정부재(242)와 연결부재(221) 사이에 개재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241)와 플랜지(231) 사이의 결합강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242)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21)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재(243)가 수용되는 수용홈(미도시)이 더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재(241)와 결합홈(231a)이 각각 볼트(또는 나사)와 이에 결합되는 나사홈의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241)와 플랜지(231) 사이의 결합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경우이면 QR 레버 등 여러 가지 공지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부재(241)가 QR 레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홈(231a)은 관통공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240)는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하는 경우,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241)가 연결부재(221)의 상부에서 연결공(221a)을 통해 플랜지(231)의 결합홈(231b)에 적절한 결합강도로 결합되면 고정편(242b)이 고정홈(231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장지지부(220)를 안장고정부(230)에 고정시켜 안장지지부(220)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240)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끌고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재(241)와 플랜지(231) 사이의 나사결합을 적절하게 풀어서 결합강도를 약하게 하는 경우에는 도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편(242b)이 고정홈(231b)에서 제거됨으로써 상기 안장지지부(220)가 안장고정부(230)에서 고정해제되기 때문에 안장지지부(220)가 연결부재(221)를 중심으로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4실시예)
도7a와 도7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및 결합도이고, 도7c와 도7d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F-F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안장지지부, 안장고정부 및 안장회동부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지지부(4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장회동부(44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21)와, 상기 연결부재(4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장부재(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21)는 일예로서 후술하는 안장회동부(440)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원형 캡(cap)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중앙에는 연결공(4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공(421a)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4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공(421a)은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홈(421b)은 관통공으로 형성되거나 연결부재(421)의 하면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끼움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장고정부(430)는 안장지지부(4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bar)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일측 단부(미도시)는 클램프 또는 QR(quick release)레버와 같은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프레임(1)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안장회동부(440)와의 결합을 위하여 가장자리 부근에 복수의 체결공(431a)이 형성된 판 형상의 플랜지(43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장회동부(440)는 안장고정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441)와, 상기 가이드부재(441)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고정부재(4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41)는 원반형의 본체(441a)와 상기 본체(441a)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축형 돌기(44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축형 돌기(441b)는 연결공(421a)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421)의 회동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441)는 플랜지의 체결공(431a)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체결부재(444)에 의하여 상기 안장고정부(430)에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441a)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플랜지의 체결공(43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공(44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441)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재(442)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공형의 가이드공(441d,441e)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441d,441e)은 축형 돌기(441b) 및 본체(441a)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가이드공(441d)과, 상기 축형 돌기(441b)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441a)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가이드공(441d)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가이드공(441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42)는 축형 돌기(441b)의 내부(즉, 제1가이드공(441d))에 삽입되는 누름바(442a)와, 상기 누름바(442a)의 하부에서 축형 돌기(441b)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공(441e)을 통해 고정홈(421b)에 결합되는 고정돌기(4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바(442a)는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재(442c)를 통하여 상기 고정돌기(442b)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안장회동부(440)는 고정부재(442)와 플랜지(43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442)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43)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탄성부재(443)는 사용자가 누름바(442a)를 누를 경우 압축되었다가 누름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부재(442)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름바(442a)를 캡 형상으로 구성하여 그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443)가 수용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사용자가 누름바(442a)를 누르기 용이하도록 상기 누름바(442a)의 길이는 축형 돌기(441b)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장회동부(440)는 연결부재(421)의 상부에서 상기 축형 돌기(441b)의 단부에 결합되어 안장지지부(4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체결부재(445)를 더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일예로서 상기 제2체결부재(445)를 너트 형상으로 구성하고 축형 돌기(441b)의 단부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축형 돌기(441b)의 단부와 연결부재(42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체결부재(445)의 체결에 의하여 연결부재(421)가 가이드부재(441)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421)가 안장고정부(430)에서 고정해제된 경우에도 안장지지부(420)의 회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440)는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하는 경우에는 도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돌기(442b)가 제2가이드공(441e)을 통해 연결부재(421)의 고정홈(421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장지지부(420)를 안장고정부(430)에 고정시켜 안장지지부(420)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440)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끌고 이동하기 위하여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누름바(442a)를 누를 경우에는 도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바(442a)와 고정돌기(442b)는 각각 제1가이드공(441d)과 제2가이드공(441e)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돌기(442b)는 고정홈(421b)에서 결합해제됨으로써 안장지지부(420)가 연결부재(421)를 중심으로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5실시예)
도8a 내지 도8c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전개도, 결합사시도 및 결합평면도이고, 도8d와 도8e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1의 A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G-G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안장지지부, 안장고정부 및 안장회동부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는 안장지지부가 일체로 구성된 경우에 관한 것이나, 본 실시예의 경우 안장지지부가 2개로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들과 차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지지부(520)는 일측 단부가 안장부재(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522,622)와, 상기 지지부재(522,622)의 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안장회동부(54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521,6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21,621)는 일예로서 원반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각각의 중앙에는 연결공(521a,6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공(521a,621a)의 일측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521b,6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21,6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장고정부(530)의 축형 돌기(531a)에 적층된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을 형성하는 지지부재(522,622)에 대하여 상하위치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521,621)가 서로 적층된 형상으로 축형 돌기(531a)에 결합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 사이에 다른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상기 축형 돌기(531a)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공(521a,621a)과 상기 삽입공(521b,621b)은 일예로서 관통공으로 형성되되, 연결부재(521,621) 각각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공(521b,621b)이 각각 연결공(521a,621a)의 외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22,622)는 해당 연결부재(521,621)의 일측으로 연장된 바(bar)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안장부재(10)와 결합되는 각각의 단부는 상기 안장부재(10)를 상부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장고정부(530)는 안장지지부(5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bar)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일측 단부(미도시)는 클램프 또는 QR(quick release)레버와 같은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프레임(1)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부재(521,621)와의 결합을 위하여 판 형상의 플랜지(5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531)에는 상기 연결공(521a,621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축형 돌기(531a)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형 돌기(531a)의 일측에는 복수의 고정홈(531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축형 돌기(531a)는 연결공(521a,621a)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521,621) 각각의 회전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531b)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관통공으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플랜지(531)의 상면(즉, 연결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끼움공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531b)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삽입공(521b,621b)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축형 돌기(531a)와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장회동부(540)는 판 형상의 걸림부재(541)와 상기 걸림부재(541)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재(5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걸림부재(5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542)가 삽입공(521b,621b)에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재(521)의 상부에 걸쳐짐으로써 안장회동부(540)가 연결부재(521)의 하부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542)가 두개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하나 또는 세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삽입공(521b,621b) 및 고정홈(531b)의 갯수도 본 실시예와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541)의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서는 판 형상으로 된 경우을 일예로서 설명하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각각의 지지부재(522,622)가 해당 연결부재(521,621)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540)는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하는 경우에는 도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542)가 연결부재(521,621)의 상부에서 삽입공(521b,621b)을 통해 고정홈(531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장지지부(520)를 안장고정부(530)에 고정시켜 안장지지부(520)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인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회동부(540)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끌고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안장회동부(540)를 상부로 들어올려 고정부재(542)를 고정홈(531b)에서 제거하는 경우에는 도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장지지부(520)가 안장고정부(530)에서 고정해제되기 때문에 각각의 지지부재(522,622)가 해당 연결부재(521,621)를 중심으로 지면방향을 축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9a와 도9b에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안장회동부(540)에 의하여 안장지지부(520)가 안장고정부(530)에 고정된 상태와 고정해제되어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도9b는 각각의 지지부재(522,622)가 서로 반대 방향(즉, 자전거 핸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지지부재(522,622)가 모두 자전거 핸들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다른 실시예들과 대비할 때 자전거의 보관 또는 운반시에 안장지지부(520)가 차지하는 공간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안장회동부(540)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적용한 안장회동부와 그에 대응되는 안장지지부 및 안장고정부의 구성을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분리형 안장지지부(52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여기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지지부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경우 안장지지부가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안장지지부가 지지부재의 중도에 설치된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안장지지부, 안장고정부 및 안장회동부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지지부(미도시)는 연결부재(721)와, 상기 연결부재(7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장부재(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7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장고정부(730)는 연결부재(721)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bar)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일측 단부(미도시)는 클램프 또는 QR(quick release)레버와 같은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프레임(1)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부재(721)와의 결합을 위하여 판 형상의 플랜지(7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21)와 플랜지부(731) 사이의 결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식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방식에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부재(721)가 플랜지(731)에 고정결합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722) 각각은 연결부재(721)에 연결된 제1지지부재(722a), 일측 단부가 상기 안장부재(10)에 연결된 제2지지부재(722b), 상기 제2지지부재(722b)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722b)의 타측 단부를 제1지지부재(722a)에 연결하는 힌지부재(722c), 및 상기 힌지부재(722c)에 결합되어 힌지부재(722c)와의 결합강도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722b)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결합부재(72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부재(722c)와 결합부재(722d)를 일예로서 통상의 QR 레버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힌지부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구성된 다른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QR 레버의 상세 구성 및 동작 원리는 공지 기술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은 결합부재(722d)와 힌지부재(722c)와의 결합강도를 조정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722b)를 제1지지부재(722a)와 평행하게 펴거나, 제1지지부재(722a)와 소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안장지지부(미도시)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안장부재 20,120,220,420,520: 안장지지부
30,130,230,430,530,730 : 안장고정부 40,140,240,440,540: 안장회동부

Claims (11)

  1. 자전거용 안장부재;
    상기 안장부재를 지지하는 안장지지부;
    회전축을 제공하는 축형 부재에 의해 상기 안장지지부를 자전거프레임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안장고정부; 및
    상기 축형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안장지지부와 안장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안장지지부와 안장고정부에 동시에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안장지지부의 회동을 제한하고, 상기 안장지지부와 안장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안장지지부의 회동을 허용하는 안장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부는 축형 부재에 의해 상기 안장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장부재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안장고정부에는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축형 부재인 축형 돌기와, 상기 축형 돌기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안장회동부는 연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삽입공을 통해 고정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고정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홈에서 제거되는 경우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서 고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축형 부재는 연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연결공을 통해 연결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안장고정부에 결합되는 축형의 결합부재이며,
    상기 안장회동부는,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삽입공을 통해 안장고정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강도에 따라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거나 고정홈에서 제거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장회동부는,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축형 부재인 축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안장고정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축형 돌기를 관통하여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됨으로써 상기 안장지지부를 안장고정부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축형 돌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누름바(bar)와, 상기 누름바의 하부에서 축형 돌기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돌기는,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누름바와 함께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홈에서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회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축형 돌기에 결합되어 안장지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안장고정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 동작이 해제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지지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안장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안장회동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안장지지부는 안장고정부에서 고정해제시, 상기 지지부재가 각각의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10. 자전거용 안장부재;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장부재를 지지하도록 안장부재의 양측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구비한 안장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안장지지부를 자전거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안장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 각각은 연결부재에 연결된 제1지지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안장부재에 연결된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가 지면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측 단부를 제1지지부재에 연결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에 결합되어 힌지부재와의 결합강도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11.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재는 벨트 형상이고,
    상기 안장지지부는 안장부재에 결합되는 양측 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장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KR1020110112621A 2011-11-01 2011-11-01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KR101294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21A KR101294881B1 (ko) 2011-11-01 2011-11-01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21A KR101294881B1 (ko) 2011-11-01 2011-11-01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34A KR20130047834A (ko) 2013-05-09
KR101294881B1 true KR101294881B1 (ko) 2013-08-16

Family

ID=4865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621A KR101294881B1 (ko) 2011-11-01 2011-11-01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8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269A (ja) * 1991-09-18 1993-05-07 A Deniser Richard ペダル操作装置用のシート
JPH09109960A (ja) * 1995-10-17 1997-04-28 Kunio Nomura 揺動サドル及びペダル操作装置
KR20090103857A (ko) * 2009-09-13 2009-10-01 박성운 자전거 안장
KR100959114B1 (ko) 2009-11-12 2010-05-25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자전거의 안장 또는 조향핸들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269A (ja) * 1991-09-18 1993-05-07 A Deniser Richard ペダル操作装置用のシート
JPH09109960A (ja) * 1995-10-17 1997-04-28 Kunio Nomura 揺動サドル及びペダル操作装置
KR20090103857A (ko) * 2009-09-13 2009-10-01 박성운 자전거 안장
KR100959114B1 (ko) 2009-11-12 2010-05-25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자전거의 안장 또는 조향핸들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34A (ko)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918B2 (en) Foldable scooter
US8403342B1 (en) Bicycle ski attachment assembly
CA2574764C (en) Support rail for a bicycle saddle shell
CN103269946A (zh) 平衡自行车
US9352183B2 (en) Bicycle-mounted exercise apparatus
US9409614B2 (en) Bicycle saddle structure
US10717485B2 (en) Bicycle saddle quick release
GB2538352A (en) Bottle structure
AU2016275067A1 (en) Adjustable bike rack for bicycle including wide tires
US9457260B2 (en) Skateboard truck system and method
US20040256430A1 (en) Fastening device for bicycle rack
KR101294881B1 (ko) 안장 회전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
US8640935B2 (en) Mounting assembly for child's bicycle seat
KR101287131B1 (ko) 복수의 롤러를 이용한 자전거 거치 스탠드
US20150151809A1 (en) Bicycle handlebar assembly
KR200455407Y1 (ko) 이륜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8226102B2 (en) Baby trailer safety structure that prohibits baby from standing up
US6942290B1 (en) Quick-mount and pivot base for bicycle seat or the like
KR20120050026A (ko)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KR101740038B1 (ko) 자전거 프레임
KR101241993B1 (ko)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구
TWI616227B (zh) 雪上滑行具
US9561419B2 (en) Bicycle trainer with a bicycle wheel holding fixture
US20200179780A1 (en) Collapsible bicycle trainer support structure
DE602005005231T2 (de) Fahrradlen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