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786B1 -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786B1
KR101294786B1 KR1020110118125A KR20110118125A KR101294786B1 KR 101294786 B1 KR101294786 B1 KR 101294786B1 KR 1020110118125 A KR1020110118125 A KR 1020110118125A KR 20110118125 A KR20110118125 A KR 20110118125A KR 101294786 B1 KR101294786 B1 KR 101294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pt
identifier
user terminal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835A (ko
Inventor
김선영
박인식
최은숙
Original Assignee
최은숙
(주)에스모바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숙, (주)에스모바일텍 filed Critical 최은숙
Priority to KR102011011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7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6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security or operator identification provisions, e.g. password en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영수증을 모바일 기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포스(Point of Sales management: POS)단말이 무선으로 영수증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이 상기 포스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상기 포스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브로드캐스팅 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관찰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상기 포스 단말을 식별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포스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무선으로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포스 단말, 상기 방법에 의해 무선으로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및 장치{WIRELESS RECEIPT TRANSMISSION EQUIPMENT AND METHOD OF THEREOF}
개시된 기술은 영수증을 모바일 기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든 판매관리단말기에서 영수증 발행은 즉석에서 종이에 기록 출력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인터넷상에서 웹포스 단말기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에서와 같이 판매관리단말기에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여 다수의 판매관리단말기를 보다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판매시점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와 같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게 함으로서 향상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우리 나라 정부는 판매에 따른 전자영수증의 발행과 사용을 이미 법제화하였고, 특히 2005년 1월부터 현금영수증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판매관리단말기에서 발행되는 영수증 또한 종이 형태로 발급되는 영수증이다. 고객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러한 전자영수증의 발행은 매우 필요하다. 이러한 종이영수증을 대체하기 위하여 영수내역이 인터넷을 통하여 구매고객의 휴대폰으로 메시지와 화상 정보로서 제공하는 기술이 제공하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인터넷을 통해야하고 영수증 피 발급자가 사전에 인터넷 영수증 서비스에 가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전자 영수증 시스템(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84905호)
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영수증 관리방법(특허출원번호: 제 10-2004-0025380호)
3. 전자영수증 발행이 가능한 판매관리단말기(POS 단말기)(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03359호)
개시된 기술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로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영수증을 발급하는 포스 단말과 영수증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신속한 페어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1측면은, 포스(Point of Sales management: POS)단말이 무선으로 영수증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이 상기 포스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브로드캐스팅 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관찰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포스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2측면은, 사용자 단말로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포스(Point of Sales management: POS)단말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식별자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식별자 인식을 확인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 수행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포스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3측면은, 사용자 단말이 포스(Point of Sales management: POS)단말로부터 무선으로 영수증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이 상기 포스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 패킷을 관찰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상기 식별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포스 단말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영수증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4측면은, 포스(Point of Sales management: POS)단말로부터 무선으로 영수증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이 상기 포스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 패킷을 관찰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상기 식별자를 인식하는 식별자 인식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인식되면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을 수행하여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수증 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영수증 수신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5측면은, 포스(Point of Sales management: POS)단말이 발행하는 영수증을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아답터(Adapter)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식별자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식별자 인식을 확인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 수행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무선 영수증 전송 아답터를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무선 영수증 발급 포스 단말, 무선 영수증 수신 사용자 단말 및 무선 영수증 발급을 위한 아답터는 포스 단말이 사용자 단말이 포스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페어링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신속하게 포스 단말과 사용자 단말의 연결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무선 영수증 발급 포스 단말, 무선 영수증 수신 사용자 단말 및 무선 영수증 발급을 위한 아답터는 식별 정보로서 사용자가 결제에 사용하는 신용카드의 고유번호 또는 사용자가 현금영수증 발급을 위해 미리 현금영수증 발급 서버에 등록해놓은 번호를 사용하여 페어링을 위해 별도의 정보 입력이 불필요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포스(POS)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영수증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무선으로 영수증을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포스(POS)단말 무선 어댑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블루투스 장치를 통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해 휴대폰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식별자 인식부에서 수행되는 식별자 인식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블루투스 장치를 통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해 휴대폰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식별자 인식부에서 수행되는 식별자 인식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포스(POS)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스 단말(100)은 식별자 제공부(110), 연결 수행부(120),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130) 및 무선 통신 장치(140)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PDA 및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수단을 갖춘 모든 정보 기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식별자 제공부(110)는 포스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300)간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3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고유번호 또는 사용자가 현금영수증을 발급받기 위해 미리 현금 영수증 발급서버에 등록한 번호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무선 통신장치(140)는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장치 및 NFC(근거리 무선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포스 단말(100)에 블루투스 장치가 무선 통신장치(140)로서 탑재되어 있는 경우 식별자 제공부(110)는 블루투스 장치의 이름을 식별자가 포함된 이름으로 설정하여 브로드캐스팅 한다. 포스 단말(100)에 Wifi 장치가 무선 통신장치(140)로서 탑재되어 있는 경우 식별자 제공부(110)는 Wifi 장치를 AP로 사용하고 AP의 이름을 식별자가 포함된 이름으로 설정하여 브로드캐스팅 한다. 포스 단말(100)의 무선 통신장치가 지그비, 적외선 또는 NFC인 경우에도 각각의 장치 이름에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이때, 포스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300)에 어떤 무선 통신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포스 단말(100)에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장치 및 NFC(근거리 무선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중에서 복수 개의 무선 통신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 식별자 제공부(110)는 탑제된 무선 통신장치(140)를 동시에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팅을 수행하거나, 한 장치씩 순차적으로 브로드캐스팅을 수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과의 연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장치(140)가 NFC 장치인 경우 사용자 단말(300)과의 패어링은 각각의 단말이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 자동적으로 수행되므로 NFC 장치의 명칭에 식별자의 포함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식별자가 포함된 블루투스 장치 이름이 브로드캐스팅 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Wifi 장치가 AP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 내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포스 단말(100)이 탑재된 무선 통신장치(140)의 이름을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름으로 변경하면, 사용자 단말(300)이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 통신장치(140)를 인식하여 연결이 수행되고 있으나,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팅은 무선통신 장치(140)의 이름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에 그 실시가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통신 장치(140)의 장치 명과 무관하게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연결 수행부(1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식별자의 인식을 확인받아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을 수행한다. 종래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300)의 블루투스 장치를 가동하고 주변에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 목록중에서 사용자가 연결을 원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고 PIN을 입력하여 페어링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장치(140)로서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 단말(300)과의 연결(페어링)은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장치(140)는 자신의 블루투스 명칭에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300)의 발신번호, 카드 번호와 같은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고유번호, 또는 사용자가 현금 영수증 발행을 위해 현금 영수증 발급 서비스에 등록한 번호(현금 영수증 발급용 휴대폰 번호) 내지 현금 영수증 발급 서비스에 가입한 I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포스 단말(100)과의 페어링을 위해 사용자 단말(300)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는데, 사용자 단말(300)은 식별자가 포함된 블루투스 장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포스 단말(100)과의 페어링을 수행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식별자 인식에 의해 블루투스 페어링이 수행되므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조작하여 블루투스 장치를 가동하고 포스 단말(100)을 선택하고 PIN을 입력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단말(100)의 무선 통신장치(140)가 Wifi 장치인 경우 무선 통신장치(140)는 AP(Access Point)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사용자 단말이 AP에 접속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Wifi 장치를 활성화 시키면, 사용자 단말 주변의 접속 가능한 AP리스트가 검색된다. 사용자는 접속을 원하는 AP를 선택하여 연결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이 AP로 동작하는 무선 통신장치(140)에 접속하는 방법은, 무선 통신장치(140)는 자신의 AP 명칭에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300)의 발신번호, 카드 번호와 같은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고유번호, 또는 사용자가 현금 영수증 발행을 위해 현금 영수증 발급 서비스에 등록한 번호(현금 영수증 발급용 휴대폰 번호) 내지 현금 영수증 발급 서비스에 가입한 I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포스 단말(100)과의 연결을 위해 사용자 단말(300) 주변의 AP를 검색하는데, 사용자 단말(300)은 식별자가 포함된 AP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포스 단말(100)과의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식별자 인식에 의해 연결 수행되므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조작하여 Wifi 장치를 가동하고 포스 단말(100)의 무선 통신 장치(140)를 선택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선 통신장치(140)가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장치 및 NFC인 경 또한 사용자 단말(300)과의 연결은 각각의 연결 규약에 의한 연결 방식을 따른다.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130)는 사용자 단말(300)로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영수증 데이터는 종이로 발급되는 영수증과 동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형식이 데이터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미지 형식의 데이터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의 포스 단말(100)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식별자 제공부(110), 연결 수행부(120),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130) 및 무선 통신장치(14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S201 단계에서, 포스 단말(100)은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브로드 캐스팅한다. 보다 상세하게, 포스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300)간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3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고유번호 또는 사용자가 현금영수증을 발급받기 위해 미리 현금 영수증 발급서버에 등록한 번호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번호는 사용자 단말의 발신 및 수신을 위한 번호이다. 사용자 결제수단의 고유번호는 신용카드의 16자리 번호 또는 현금카드, 직불카드, 체크카드 등에 부여된 고유 번호이다. 현금 영수증 발급서버에 등록한 번호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300)의 식별번호가 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서버가 구현될 경우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서비스를 위해 가입한 사용자의 아이디 또한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영수증 발급이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에 의해 발급되는 경우, 결제에 사용되는 신용카드의 고유 번호가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포스 단말(100)은 결제시 신용카드의 고유 번호를 입력받아 결제 승인에 사용하는데 이때, 입력된 카드의 고유번호를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신용카드 고유 번호 입력은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필드 또는 신용카드의 IC 칩으로부터 읽어 오기 때문에 별도의 포스 단말(100) 조작 없이도 식별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영수증 발급이 현금 결제에 의해 발급되는 경우,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해 미리 등록된 번호를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번호가 현금 영수증 발행을 위한 등록된 휴대폰 번호일 경우, 포스 단말(100)의 조작자는 사용자로부터 등록된 휴대폰 번호를 구두로 전달받고 포스 단말(100)을 조작하여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구두로 전달에 의한 입력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라 등록된 휴대폰 번호를 미리 발급되어 있는 바코드 인식에 의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S2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데이터 패킷을 관찰한다. 사용자 단말은 브로드캐스팅 되는 데이터 패킷을 관찰하여 데이터 패킷에 포스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포스 단말(100)과 연결을 수행(S203)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스 단말(100)은 포스 단말의 무선 통신장치(140)의 이름에 식별자를 포함하게 하므로 사용자 단말(300)은 검색된 여러 개의 무선 통신장치 중에서 연결을 위한 포스 단말(100)의 무선 통신장치(140)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은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와 포스 단말(100)의 무선 통신장치(140)의 이름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식별자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수행된다.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식별자 인식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2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포스 단말(100)과 연결을 수행한다.
S2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포스 단말(100)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영수증 데이터는 종이로 발급되는 영수증과 동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형식이 데이터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미지 형식의 데이터로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영수증 데이터의 전송은 사용자 단말(100)과 포스 단말(100)간의 무선 통신장치의 연결에 의해 수행되나,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서버가 구현되어 있는 경우 실시예에 따라, 서버를 통하여 MMS 서비스 내지 인터넷을 통한 단문 전송 기능을 통하여 영수증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영수증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식별자 인식부(310), 식별자 저장부(320), 영수증 수신부(330), 및 무선 통신 장치(340)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PDA 및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수단을 갖춘 모든 정보 기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식별자 인식부(310)는 포스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300)간의 연결을 위해 브로드 캐스팅되는 데이터 패킷을 관찰하여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스 단말(100)식별을 위한 식별자를 인식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포스 단말(100)은 포스 단말(100)의 무선 통신장치의 이름에 식별자를 포함한다. 식별자 인식부(310)는 사용자 단말(300)의 무선 통신 장치(340)를 동작시켜 사용자 단말(300) 주변의 무선 통신 장치를 검색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300)이 주변의 무선 통신장치를 '검색'한다고 기술하였으나 무선 통신 장치의 종류에 따라 각 무선 통신 장치가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이 수행되는 방법이 각각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의 '검색'은 어떤 무선 통신장치 다른 무선 장치와 연결되기 위해 주변의 무선 통신 장치들을 파악하기 위한 과정 또는 결과의 의미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340)가 블루투스 장치인 경우 식별자 인식부(310)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 주변에서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들의 리스트를 얻게 된다. 무선 통신 장치(340)가 Wifi 인 경우 식별자 인식부(310)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 주변에서 검색된 AP 리스트를 얻게 된다.
도 6은 블루투스 장치를 통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B마트 역삼점 2 번 계산대에서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해 휴대폰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식별자 인식부(310)에서 수행되는 식별자 인식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조작하여 무선 영수증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식별자 인식부(310)는 블루투스 장치를 가동하여 사용자 단말(300)주변의 블루투스 장치 리스트를 생성한다. 식별자 인식부(310)는 식별자 정보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들과 수신된 블루투스 장치 리스트를 비교하여 식별자가 일치되는 블루투스 장치가 있는지를 찾는다.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B마트 역삼점 2 번 계산대에서 결제를 진행한다. 사용자는 현금영수증 발급을 위한 휴대폰 번호 "010-7777-8888"를 구두로 전달하고 포스 단말(100)의 조작인은 휴대폰 번호"010-7777-8888"를 포스 단말(100)에 입력하여 영수증을 발급한다. 이때, 포스 단말(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장치의 이름에 "010-7777-8888"를 포함하여 표시하게 되고 식별자 인식부(310)는 식별자 정보 저장부(320)에 저장된 식별자 "010-7777-8888"이 수신된 블루투스 장치들의 리스트에 있는 것을 확인하여 'B마트역삼점계산대2_010-7777-8888'장치와 연결을 수행한다.
도 7은 Wifi 장치를 사용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B마트 역삼점 2 번 계산대에서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해 휴대폰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식별자 인식부(310)에서 수행되는 식별자 인식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식별자 인식부(310)는 수신된 AP리스트에서 식별자가 일치하는 AP가 있는지를 찾는 것만 상이하며, 인식의 수행은 블루투스 장치인 경우와 동일한 개념으로 수행된다.
도 6 내지 도 7에서는 포스 단말(100)의 식별을 위한 식별자로서 현금영수증 발행을 위한 휴대폰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영수증 발급이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에 의해 발급되는 경우, 결제에 사용되는 신용카드의 고유 번호가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포스 단말(100)은 결제시 신용카드의 고유 번호를 입력받아 결제 승인에 사용하는데 이때, 입력된 카드의 고유번호를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신용카드 고유 번호 입력은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필드 또는 신용카드의 IC 칩으로부터 읽어 오기 때문에 별도의 포스 단말(100) 조작 없이도 식별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를 모든 자리 그대로 사용하게 될 경우 사용자 보안에 좋지 않으므로 필요에 따라 신용카드 번호의 몇 개 자리는 '*'표로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3으로 돌아오면, 식별자 인식부(310)은 사용자 단말(300)에 Wifi,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 장치 내지 NFC 중 복수의 무선 통신장치가 탑재되어있는 경우, 포스 단말(100)의 빠른 인식을 위해 사용자 단말(300)에 탑재된 무선통신 장치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주변의 무선 통신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영수증 수신부(330)는 포스 단말(100)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한다. 영수증 수신부(33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무선으로 영수증을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이 무선으로 영수증을 수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사용자 단말(300)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식별자 인식부(310), 식별자 저장부(320), 영수증 수신부(130) 및 무선 통신장치(34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S4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포스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관찰하여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식별자를 인식(S402)한다. S4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포스 단말과 연결을 수행한다. S4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포스 단말로부터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한다. S401 내지 S404 단계는 도 3, 도6 및 도 7에서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포스(POS)단말 무선 어댑터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스 단말 무선 어댑터(500)는 식별자 제공부(510), 연결 수행부(520),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530) 및 무선 통신 장치(54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포스 단말 무선 어댑터(500)는 포스 단말의 USB포트, 시리얼 포트, 패러럴 포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식별자 제공부(510), 연결 수행부(520),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53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 장치(540)만 포스 단말의 USB포트, 시리얼 포트 또는 패러럴 포트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540)는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장치 및 NFC(근거리 무선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식별자 제공부(510), 연결 수행부(520),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530) 및 무선 통신 장치(540)에 관한 설명은 도 1에서의 식별자 제공부(110), 연결 수행부(120),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130) 및 무선 통신 장치(140)와 각각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POS 단말
110 : 식별자 제공부
120 : 연결 수행부
130 :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
140 : 무선 통신 장치

Claims (15)

  1. 포스(Point of Sales management: POS)단말이 무선으로 영수증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이 상기 포스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브로드캐스팅 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관찰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자신을 식별하는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포스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 상기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아이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직불카드의 번호-의 고유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현금 영수증발급을 위해 미리 현금 영수증 발급 서버에 등록된 번호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영수증을 신용카드 결제에 의해 발급받는 경우, 상기 결제에 사용되는 신용카드의 고유번호를 상기 식별자로 사용하고,
    상기 영수증을 현금 결제에 의해 발급받는 경우,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해 미리 등록된 번호를 상기 식별자로 사용하는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장치, 및 NFC 중에서 선택된 복수 개의 무선 통신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선택된 장치들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브로드캐스팅을 수행하는 영수증 전송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결 승인 조작을 입력받아 수행되는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6. 사용자 단말로 무선으로 영수증을 전송하는 포스(Point of Sales management: POS)단말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식별자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식별자 인식을 확인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 수행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수증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 상기 무선 영수증 전송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아이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직불카드의 번호-의 고유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현금 영수증발급을 위해 미리 현금 영수증 발급 서버에 등록된 번호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포스 단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인식은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에 있는 식별자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게 하는 포스 단말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영수증을 신용카드 결제에 의해 발급받는 경우, 상기 결제에 사용되는 신용카드의 고유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이고,
    상기 영수증을 현금 결제에 의해 발급받는 경우,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해 미리 등록된 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포스 단말.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장치, 및 NFC 중에서 선택된 복수 개의 무선 통신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선택된 장치들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브로드캐스팅을 수행하는포스 단말.
  11. 삭제
  12. 포스(Point of Sales management: POS)단말로부터 무선으로 영수증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자신을 식별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이 상기 포스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 패킷을 관찰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상기 식별자를 인식하는 식별자 인식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인식되면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을 수행하여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수증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 상기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아이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직불카드의 번호-의 고유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현금 영수증발급을 위해 미리 현금 영수증 발급 서버에 등록된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자로 하여 저장하는 식별자 저장부를 포함하는 무선 영수증 수신 사용자 단말.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은
    상기 포스 단말의 무선통신장치가 블루투스 장치인 경우 상기 블루투스 장치 이름을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명칭으로 설정하고,
    상기 무선통신장치가 Wifi 장치인 경우 상기 Wifi 장치를 AP로 동작시키고 상기 AP의 이름을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명칭으로 설정하여 수행하는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15. 삭제
KR1020110118125A 2011-11-14 2011-11-14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294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25A KR101294786B1 (ko) 2011-11-14 2011-11-14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25A KR101294786B1 (ko) 2011-11-14 2011-11-14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35A KR20130052835A (ko) 2013-05-23
KR101294786B1 true KR101294786B1 (ko) 2013-08-08

Family

ID=4866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125A KR101294786B1 (ko) 2011-11-14 2011-11-14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7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986A (ko) * 2008-11-13 2010-05-24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블루투스 장치와 단말 간의 자동 페어링 방법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KR20110027009A (ko) * 2009-09-09 2011-03-16 김강석 전자 영수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986A (ko) * 2008-11-13 2010-05-24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블루투스 장치와 단말 간의 자동 페어링 방법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KR20110027009A (ko) * 2009-09-09 2011-03-16 김강석 전자 영수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35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0996B2 (en) Mobile device discovery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for an indicia reader system at retail establishment
US8494908B2 (en) Retail checkout system and method
CN105374135B (zh) 用于递送系统和销售传消息的信标传消息点的方法和装置
US83462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rvices using bearer tags
US8818851B2 (en) Integrated payment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7543737B2 (en) Method for recharging a subscription card using wireless equipment
US20140114780A1 (en) Payment Processing Access Device and Method
US20150170298A1 (en) Fueling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060124430A (ko) 쿠폰/티켓 실시간 사용을 위한 즉석 발급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10068116A (ko)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카드 및 그 방법
KR20150138869A (ko) 주문 정보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
US20130332356A1 (en) Mobile card management method
CN114881628A (zh) 支付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20150069237A (ko) 다이나믹nfc태그를 이용한 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4733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2373304A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294786B1 (ko) 무선 영수증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20134852A (ko)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49939B1 (ko) 전화번호와 매칭된 결제 이미지 기반 전자 결제 인증 서버, 전자 결제 시스템, 전자 결제 방법 및 전자 결제 어플리케이션
JP2016186671A (ja) 移動通信端末、情報送信方法、及び情報送信システム
US8731472B2 (en) Portable mobile apparatus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for user and method thereof
KR20120007434A (ko) 결제처리서버 및 그 구동 방법
KR20170019760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온라인 쇼핑몰 서버,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12943B1 (ko)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자동 판매기 시스템
KR20150138868A (ko) 거래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이용한 서버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