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752B1 -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 Google Patents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752B1
KR101294752B1 KR1020120047240A KR20120047240A KR101294752B1 KR 101294752 B1 KR101294752 B1 KR 101294752B1 KR 1020120047240 A KR1020120047240 A KR 1020120047240A KR 20120047240 A KR20120047240 A KR 20120047240A KR 101294752 B1 KR101294752 B1 KR 10129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cissors
fruit
finger
harv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린
Original Assignee
(주)환경개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환경개발시스템 filed Critical (주)환경개발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4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두 칼날과 후미 레버로 된 제 1, 제 2 날부재를 교차되게 하여 힌지 결합한 가위날부와, 상기 제 1, 제 2 날부재 후미 레버에 결합되는 제 1, 제 2 손잡이부와, 상기 제 1, 제 2 손잡이부 사이에 연결되어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손잡이부에는 검지, 중지, 약지가 각각 끼움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에 따르면, 검지, 중지, 약지가 각각 끼움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위질을 장시간 하더라도 작업자의 손에 무리가 가지 않고 작업자가 힘을 덜 들여서 쉽고 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가위를 손가락에 걸어 쥔 채로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할 수 있어 가위질 작업과 가위질 이외의 작업을 쉽게 병행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Scissors for Harvesting Fruit-type Vegetable Having Multi purpose}
본 발명은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위의 절삭작업은 물론 가위를 쥔 채로 양손의 사용이 가능하여 과채류 수확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는 과일, 채소, 꽃 등의 재배 및 수확 시에 사용하는 농업용 가위로서,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사용할 때에는 피 절단물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가위질을 하여 과채류를 수확하게 된다.
그러나 과채류를 수확하다 보면 작업도중 과일을 감싸고 있는 봉지를 풀어야 하거나, 또는 과일나무 또는 채소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끈을 묶거나 풀어야 하는 등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는데, 이런 경우 종래에는 손에 쥐고 있던 가위를 땅에 내려놓고 양손을 사용하거나, 과일 나무 위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는 경우, 쥐고 있던 가위를 옆구리 또는 호주머니 등에 끼워넣고 양손을 사용하여 가위질 이외의 작업을 행한 뒤 다시 가위를 손에 쥐고 가위질을 해야 함에 따라 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로 작업속도를 지연시키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850752 (공고일 2008.08.06)
한국공개특허: 10-2002-0053049 (공개일 2002.07.04)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이 걸림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가위를 손가락에 걸어 쥔 채로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위질 작업과 가위질 이외의 작업을 손쉽게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위질을 장시간 하더라도 작업자의 손에 무리가 가지 않고 작업자가 힘을 덜 들여서 쉽고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는 선두 칼날과 후미 레버로 된 제 1, 제 2 날부재를 교차되게 하여 힌지 결합한 가위날부; 상기 제 1, 제 2 날부재 후미 레버에 결합되는 제 1, 제 2 손잡이부; 상기 제 1, 제 2 손잡이부 사이에 연결되어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손잡이부에는 검지, 중지, 약지가 각각 끼움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위날부의 후미 레버에는 가위날부의 작동을 제한하는 잠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위날부의 후미 레버에는 가위날부의 최대 벌림각을 제한하는 안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위날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위날부의 다른 예로서, 제 1, 제 2 날부재의 칼날이 일 방향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위날부의 또 다른 예로서, 제 1 날부재 선단에 칼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날부재 선단에 칼날을 수용하는 받침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에 따르면, 검지, 중지, 약지가 각각 끼움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위를 손가락에 걸어 쥔 채로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할 수 있어 가위질 작업과 가위질 이외의 작업을 병행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위질을 장시간 하더라도 작업자의 손에 무리가 가지 않고 작업자가 힘을 덜 들여서 쉽고 편하게 작업할 수 있어 제품의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가위날을 사용함으로써 절삭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용수명이 길어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위날부를 잠금부재로 잠금하여 보관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가위날부가 잠금부재에 의해 잠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가위날부가 잠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손가락에 걸어 쥔채로 가위질 이외의 작업을 병행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은 도 8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가위날부가 잠금부재에 의해 잠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가위날부가 잠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의 일 실시예는 가위날부(100)와, 제 1, 제 2 손잡이부(210,220)와, 탄성부재(300)와, 잠금부재(400)와, 안내부재(500)를 포함한다.
가위날부(100)는 선두 칼날(111,121)과 후미 레버(112,122)로 된 제 1, 제 2 날부재(110,120)가 교차되고, 교차시 겹침되는 부분이 힌지(130)로 결합된다. 여기서, 가위날부(10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칼날(111,121)은 절삭 및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스테인레스강 SK-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제 2 손잡이부(210,220)는 제 1, 제 2 날부재의 후미 레버(112.122)에 연장 결합된다. 제 1 날부재(110)의 후미 레버(112)에 결합된 제 1 손잡이부(210)는 검지, 중지, 약지가 각각 끼움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211)가 형성되고, 제 2 날부재(120)의 후미 레버(122)에 결합된 제 2 손잡이부(220)는 엄지손가락이 올려지거나 또는 손아귀 부분에 걸림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제 2 손잡이부(210,220)는 손으로 파지하기가 용이하고 파지한 느낌이 좋도록 부드럽고 소프트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진 부분이 없도록 부드러운 곡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300)는 제 1, 제 2 손잡이부(210,220)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날부재(110)와 제 2 날부재(120)가 신속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제 1, 제 2 손잡이부(210,220)에 탄발력을 제공한다.
잠금부재(400)는 제 1 날부재(110)의 후미 레버(112) 후단부에 걸림돌부(410)가 구비되고, 제 2 날부재(120)의 후미 레버(122) 후단부에 걸림돌부(410)에 걸림되는 스토퍼(420)가 힌지(430)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스토퍼(420)의 일측면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면(421)을 형성하여 스토퍼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제 2 손잡이부(110,220)를 눌러 제 1 날부재(110)와 제 2 날부재(120)가 포개지도록 가위날부(100)를 접은 후 스토퍼(4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420)의 고리부가 걸림돌부(410)에 걸림되도록 하면 가위날부(100)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도 1의 상태가 된다. 가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위날부(100)가 작동되지 않도록 가위날부(100)를 잠금부재(400)로 잠금하여 보관한다.
그리고, 가위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걸림돌부(410)에 걸림되어 있는 스토퍼(42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420)의 고리부를 걸림돌부(410)로부터 걸림해제시키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300)가 복원되면서 제 1 날부재(110)와 제 2 날부재(120)가 신속하게 벌어지는 도 2의 상태가 된다.
안내부재(500)는 제 1 날부재(110)의 후미 레버(112) 선단부에 가이드돌부(510)가 구비되고 제 2 날부재(120)의 후미 레버(122) 선단부에 가이드돌부(51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520)가 구비되어 가위날부(100)의 접힘과 벌림시 가이드돌부(510)가 가이드홈부(520) 내에서 왕복 슬라이딩하듯이 자유이동하고 가위날부(100)의 최대 벌림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손가락에 걸어 쥔채로 가위질 이외의 작업을 병행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손잡이부(210)의 고리부(211)에 각각 검지, 중지, 약지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리부(211)를 손가락으로 감싸고, 제 2 손잡이부220)에 엄지손가락을 올려 힘을 가함으로써 가위질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질 작업도중 과일을 감싸고 있는 봉지를 풀어야 하거나, 또는 과일나무 또는 채소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끈을 묶거나 풀어야 하는 등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검지, 중지, 약지의 손가락에 고리부(211)를 걸어 쥔 채로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위질 이외의 작업을 할 때 굳이 손에 쥐고 있던 가위를 땅에 내려놓지 않아도 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가위질 작업과 가위질 이외의 작업을 손쉽게 병행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의 다른 실시예는 가위날부(100)와, 제 1, 제 2 손잡이부(210,220)와, 탄성부재300)와, 잠금부재(400)와, 안내부재(50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가위날부(100)는 제 1 날부재(110) 선단에 칼날(11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날부재(120) 선단에 칼날(111)을 수용하는 받침틀(12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칼날(111) 및 받침틀(123)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손잡이부(210,220)와, 탄성부재(300)와, 잠금부재(400)와, 안내부재(500)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갖는 가위날부(100)에 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가위날부(100)는 제 1 날부재(110) 선단에 볼트공(110a)이 형성되고, 칼날(111)에는 볼트공(110a)과 대응되는 구멍(111a)이 형성되며, 칼날의 구멍(111a)과 제 1 날부재의 볼트공(110a)에 조립되는 볼트(113) 결합으로 칼날(111)이 제 1 날부재(110)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칼날(111)이 마모되어 절삭이 용이하지 못할 경우 볼트(113)를 풀고 마모된 칼날(111)을 제 1 날부재(110)로부터 분리시켜 새 칼날로 교체시킨 후 볼트(113)를 다시 체결함으로써 칼날(111)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가위의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 2 날부재(120)의 선단에는 칼날(111)을 수용하는 받침틀(123)이 볼트(126)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받침틀(123)은 상면에 칼날(111)을 수용하는 U자형 삽입홈(12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삽입홈(124) 외측 상면에 톱니형상의 요철면(12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가 사용되는 피절단물과 다른 성질의 피절단물을 절삭하는 데 사용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손잡이부(210)의 고리부(211)에 각각 검지, 중지, 약지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리부를 손가락으로 감싸고 제 2 손잡이부(220)에 엄지손가락을 올려 힘을 가함으로써 가위질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가위질 작업도중 과일을 감싸고 있는 봉지를 풀어야 하거나 또는 과일나무 또는 채소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끈을 묶거나 풀어야 하는 등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도 4와 동일하게 검지, 중지, 약지의 손가락에 고리부(211)를 걸어 쥔 채로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가위날부(100)와, 제 1, 제 2 손잡이부(210,220)와, 탄성부재(300)와, 잠금부재(400)와, 안내부재(50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가위날부(1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칼날(111,121)이 일 방향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손잡이부(210,220)와, 탄성부재(300)와, 잠금부재(400)와, 안내부재(500)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는 제 1, 제 2 날부재(110,1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칼날(111,121)이 일 방향을 향해 휘어진 것으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가 사용되는 피절단물과 다른 성질의 피절단물을 절삭하는 데 사용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손잡이부(210)의 고리부(211)에 각각 검지, 중지, 약지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리부(211)를 손가락으로 감싸고 제 2 손잡이부(220)에 엄지손가락을 올려 힘을 가함으로써 가위질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가위질 작업도중 과일을 감싸고 있는 봉지를 풀어야 하거나 또는 과일나무 또는 채소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끈을 묶거나 풀어야 하는 등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도 4와 동일하게 검지, 중지, 약지의 손가락에 고리부(211)를 걸어 쥔 채로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검지, 중지, 약지가 각각 끼움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위질을 장시간 하더라도 작업자의 손에 무리가 가지 않고 작업자가 힘을 덜 들여서 쉽고 편하게 가위질 작업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가위를 손가락에 걸어 쥔 채로 가위질 이외의 작업에 양손을 사용할 수 있어 가위질 작업과 가위질 이외의 작업을 쉽게 병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가위날을 사용함으로써 절삭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용수명이 길어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가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위날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가위날부를 잠금부재로 잠금하여 보관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위날부 110: 제 1 날부재
110a: 볼트공 111: 칼날
111a: 구멍 112: 레버
113: 볼트 120: 제 2 날부재
121: 칼날 122: 레버
123: 받침틀 124: 삽입홈
125: 요철면 126: 볼트
130: 힌지 210: 제 1 손잡이부
211: 고리부 220: 제 2 손잡이부
300: 탄성부재 400: 잠금부재
410: 걸림돌부 420: 스토퍼
421: 요철면 430: 힌지
500: 안내부재 510: 가이드돌부
520: 가이드홈부

Claims (6)

  1. 선두 칼날과 후미 레버로 된 제 1, 제 2 날부재를 교차되게 하여 힌지 결합한 가위날부;
    상기 제 1, 제 2 날부재 후미 레버에 결합되는 제 1, 제 2 손잡이부;
    상기 제 1, 제 2 손잡이부 사이에 연결되어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손잡이부에는 검지, 중지, 약지가 각각 끼움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날부의 후미 레버에는 가위날부의 작동을 제한하는 잠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날부의 후미 레버에는 가위날부의 최대 벌림각을 제한하는 안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날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날부는 제 1, 제 2 날부재의 칼날이 일 방향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날부는 제 1 날부재 선단에 칼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날부재 선단에 칼날을 수용하는 받침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KR1020120047240A 2012-05-04 2012-05-04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KR10129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240A KR101294752B1 (ko) 2012-05-04 2012-05-04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240A KR101294752B1 (ko) 2012-05-04 2012-05-04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752B1 true KR101294752B1 (ko) 2013-08-08

Family

ID=4922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240A KR101294752B1 (ko) 2012-05-04 2012-05-04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6951A (zh) * 2018-02-28 2018-06-15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一种剪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511U (ko) * 1995-12-22 1997-07-24 권순호 전정 가위
KR0117472Y1 (en) * 1994-06-24 1998-04-23 Ars Edge Co Ltd Long shears for high branch
KR0138313Y1 (ko) * 1996-09-09 1999-04-01 최원백 전지가위
JP2005130846A (ja) 2003-10-07 2005-05-26 Saboten:Kk 剪定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472Y1 (en) * 1994-06-24 1998-04-23 Ars Edge Co Ltd Long shears for high branch
KR970026511U (ko) * 1995-12-22 1997-07-24 권순호 전정 가위
KR0138313Y1 (ko) * 1996-09-09 1999-04-01 최원백 전지가위
JP2005130846A (ja) 2003-10-07 2005-05-26 Saboten:Kk 剪定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6951A (zh) * 2018-02-28 2018-06-15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一种剪刀
CN108156951B (zh) * 2018-02-28 2024-02-13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一种剪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95357T3 (es) Atadora para jardinería
EP2160273B1 (en) Multipurpose shears
US10412899B2 (en) Loppers with detachable saw and pruner
US20130219722A1 (en) Ergonomic tool for cutting flowers and fruits
CN107846847B (zh) 兼备树枝悬挂及缓解冲击功能的剪枝剪
KR101246152B1 (ko)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CN108366534B (zh) 兼备悬挂于树枝及缓解冲击功能的剪枝剪
US20170238633A1 (en) Multifunctional tool glove
KR20110001684U (ko) 전지가위
KR200476050Y1 (ko) 전동 전지가위
KR101294752B1 (ko)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JP5719069B1 (ja) アタッチメント式高枝切鋏
CN207410853U (zh) 一种多功能园艺剪
US20140013516A1 (en) Gardening Implement
KR101413119B1 (ko) 농업용 가위
US20030167640A1 (en) Pruners for cutting vegetation
KR20070001195U (ko) 전지가위
KR200472495Y1 (ko) 조경용 전지 가위
KR101564930B1 (ko) 농업용 가위
WO2020200503A1 (en) Lopper having improved cutting performance
US20080301881A1 (en) Log hook
US443178A (en) Thomas
KR20090100184A (ko) 꼭지커터
KR100274929B1 (ko) 서서 사용하는 잔디가위
CN208523264U (zh) 指环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