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744B1 -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 Google Patents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744B1
KR101294744B1 KR1020110004811A KR20110004811A KR101294744B1 KR 101294744 B1 KR101294744 B1 KR 101294744B1 KR 1020110004811 A KR1020110004811 A KR 1020110004811A KR 20110004811 A KR20110004811 A KR 20110004811A KR 101294744 B1 KR101294744 B1 KR 101294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xpansion
section
inclined portio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608A (ko
Inventor
문형록
이광영
박성주
Original Assignee
반석기초이앤씨(주)
박성주
이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석기초이앤씨(주), 박성주, 이광영 filed Critical 반석기초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1000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7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0); 본체(100)의 폭에 비해 큰 폭을 갖도록, 본체(100)의 선단에 형성된 확장부(200);를 포함하고, 확장부(200)의 상면은 가장자리부에 비해 중앙부가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을 제시함으로써, 압축부재로서의 기능은 물론 인장부재로서의 기능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EXTENDED PILE HAVING INCLINED SECTION}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파일(pile)이란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기초구조물로서, 압축력만이 작용한다는 전제하에 압축부재로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파일이라 하더라도 연약지반에서 부등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인장력(부력)에 대하여 저항하는 인장부재(부력 앵커)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파일은 이와 같이 인장부재로서 역할을 하는 경우에 관한 구조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압축부재로서의 기능은 물론 인장부재로서의 기능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폭에 비해 큰 폭을 갖도록, 상기 본체(100)의 선단에 형성된 확장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200)의 상면은 가장자리부에 비해 중앙부가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을 제시한다.
상기 확장부(200)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200)의 경사도(θ)는 연직방향에 대하여 4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200)의 종단면은 원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200)는 횡단면이 사다리꼴 구조이고, 종단면이 원형 구조인 경사부(210); 상기 경사부(210)의 하부에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바닥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200)의 상측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삽입공(21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하단 외주면 및 상기 확장부(200)의 삽입공(211)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부(220)의 저면에는 횡단면이 역사다리꼴 구조이고, 종단면이 원형 구조인 테이퍼부(23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부(220)의 저면에는 다수의 비트부(240)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트부(240)는 뾰족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원추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트부(240)는 뾰족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삼각 기둥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압축부재로서의 기능은 물론 인장부재로서의 기능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단확장형 파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제2 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 5는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제5 실시예의 저면도.
도 9는 제5 실시예의 부분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단확장형 파일은 기본적으로, 본체(100); 본체(100)의 폭에 비해 큰 폭을 갖도록, 본체(100)의 선단에 형성된 확장부(200);를 포함하고, 그 확장부(200)의 상면은 가장자리부에 비해 중앙부가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구성을 취한다.
즉, 파일 본체(100)의 선단에 확장부(200)를 형성하되, 그 확장부(200)의 상면이 경사진 구조를 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연약지반에서 부등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와 같이, 파일이 인장력(부력)에 대하여 저항하는 인장부재(부력 앵커)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확장부(200) 상면의 경사진 구조가 상부 토사의 토압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저항하게 되는바, 인장부재로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확장부(200)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확장부(200)의 경사도(θ)는 연직방향에 대하여 40~50°정도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파일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구조를 취하는바, 확장부(200)의 종단면도 원형 구조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구조의 일체성 및 제조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1).
확장부(200)는 전체적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횡단면이 사다리꼴 구조이고, 종단면이 원형 구조인 경사부(210); 경사부(210)의 하부에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바닥부(2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압축부재로서의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파일의 경우에는 본체(100)와 확장부(20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좋지만, 강관 파일의 경우에는 본체(100)와 확장부(200)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조립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제조의 용이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확장부(200)의 경사부(200)의 상측 중앙부에는 본체(10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삽입공(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체(100)의 하단 외주면 및 확장부(200)의 삽입공(211)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 양자를 나사결합에 의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바닥부(220)의 저면에, 횡단면이 역사다리꼴 구조이고, 종단면이 원형 구조인 테이퍼부(230)가 형성되는 경우, 천공 홀에 대한 파일의 삽입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5).
한편, 천공 비트에 의한 천공 홀의 형성작업 후, 이에 의해 형성된 천공 홀의 저면에는 상당한 양의 슬라임이 존재하는데, 그 위에 그대로 파일을 삽입하는 경우, 파일의 저면과 천공 홀의 저면이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파일의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닥부(220)의 저면에 다수의 비트부(240)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취하고, 천공 홀에 대한 파일의 삽입 후, 위 비트부(240)를 이용하여 재차 천공작업을 수행함으로써(파일 자체를 천공장치로 활용함), 파일의 저면과 천공 홀의 저면이 실질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비트부(240)는 뾰족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원추형 구조를 취하거나(도 6,7), 뾰족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삼각 기둥 구조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도 8,9).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200 : 확장부
210 : 경사부 211 : 삽입공
220 : 바닥부 230 : 테이퍼부
240 : 비트부

Claims (11)

  1. 삭제
  2.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폭에 비해 큰 폭을 갖도록, 상기 본체(100)의 선단에 형성된 확장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200)의 상면은 가장자리부에 비해 중앙부가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200)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구조이며,
    상기 본체(100) 및 확장부(200)는 강관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천공 홀에 삽입되고,
    상기 확장부(200)의 종단면은 원형 구조이며,
    상기 확장부(200)는
    횡단면이 사다리꼴 구조이고, 종단면이 원형 구조인 경사부(210);
    상기 경사부(210)의 하부에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바닥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210)의 상측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삽입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하단 외주면 및 상기 확장부(200)의 삽입공(211)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220)의 저면에는
    다수의 비트부(240)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200)의 경사도(θ)는 연직방향에 대하여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20)의 저면에는
    횡단면이 역사다리꼴 구조이고, 종단면이 원형 구조인 테이퍼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부(240)는 뾰족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원추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부(240)는 뾰족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삼각 기둥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KR1020110004811A 2011-01-18 2011-01-18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KR10129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11A KR101294744B1 (ko) 2011-01-18 2011-01-18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11A KR101294744B1 (ko) 2011-01-18 2011-01-18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08A KR20120083608A (ko) 2012-07-26
KR101294744B1 true KR101294744B1 (ko) 2013-08-16

Family

ID=4671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811A KR101294744B1 (ko) 2011-01-18 2011-01-18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3028B (zh) * 2016-07-12 2018-03-27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升降平台的桩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133A (ja) * 2002-02-01 2003-08-15 Shimizu Corp 基礎杭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60000825A (ko) * 2004-06-29 2006-01-06 이엑스티 유한회사 헤드 확장형 파일의 나사결합식 보강소켓부재
KR100813917B1 (ko) * 2007-07-23 2008-03-18 윤인병 강관루프 구조체의 강관 압입용 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133A (ja) * 2002-02-01 2003-08-15 Shimizu Corp 基礎杭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60000825A (ko) * 2004-06-29 2006-01-06 이엑스티 유한회사 헤드 확장형 파일의 나사결합식 보강소켓부재
KR100813917B1 (ko) * 2007-07-23 2008-03-18 윤인병 강관루프 구조체의 강관 압입용 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08A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593B1 (ko) 선단지지력 및 주면마찰력 확보가 가능한 복합파일 및 그 시공방법
CN103758551B (zh) 多段锚固式树脂锚杆及其锚固方法
KR101495315B1 (ko) 합성 목재 지지 보강 및 하중분배 보강 구조체
KR100825484B1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956879B1 (ko) 응력분산형 마이크로파일
KR101625192B1 (ko)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94744B1 (ko) 경사부가 형성된 선단확장형 파일
KR101410397B1 (ko) 타격쐐기를 구비한 다중 확장 영구앵커 구조체
KR101680872B1 (ko) 마이크로 파일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파일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489387B1 (ko) 지반 보강과 부력 방지용 마이크로 파일 및 이 시공 방법
CN110337513B (zh) 打桩用前端靴
KR101855458B1 (ko) 복합파일
KR20120102480A (ko) 선단 지지력이 강화된 phc 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 매입 공법
KR101460180B1 (ko) 소일네일링 공법용 이종 철근 연결구
KR20160025179A (ko) 선단보강 마이크로파일
KR20110000458A (ko) 연약층 보강수단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US20210348352A1 (en) Hybrid permanent anchor
KR101182802B1 (ko) 복합 마이크로파일
KR20190100753A (ko)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0741506B1 (ko) 토목용 보강재
KR101534036B1 (ko)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7342B1 (ko) 수평하중 저항성능이 향상된 복합마이크로 파일
KR200467348Y1 (ko) 앵커볼트
KR101825018B1 (ko) 복합형 하중분산 앵커
KR100721605B1 (ko) 쏘일네일의 전면 지압판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