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637B1 - Packing carton - Google Patents

Packing cart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637B1
KR101294637B1 KR1020120037083A KR20120037083A KR101294637B1 KR 101294637 B1 KR101294637 B1 KR 101294637B1 KR 1020120037083 A KR1020120037083 A KR 1020120037083A KR 20120037083 A KR20120037083 A KR 20120037083A KR 101294637 B1 KR101294637 B1 KR 101294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otrusion
cross
packaging box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재홍
정옥규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주)코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모텍 filed Critical (주)코모텍
Priority to KR102012003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6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68U-shaped or inverted U

Abstract

PURPOSE: A packaging box is provided to resolve a cover separating problem due to excessive sealing and improve sealing performance. CONSTITUTION: The upper part of a body (20) is opened for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21). A body edge part (24) contacting a cov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art (22). The cover comprises a cover edge part (13) contacting the body edge part. A recessed part (11) for a protrusion part to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cover edge part.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recessed part and protrusion part is a cross sectional shape in which a horizontal expansion part (11a), which is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a lower side, is formed at an upper side. A cover contact part (12) is formed at the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Description

포장용 상자{packing carton}Packing carton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와 커버의 결합 부분의 형상을 개선하여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몸체와 커버의 결합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를 형성함으로써, 과도한 밀폐로 인한 커버 분리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and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cover, and by forming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co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that can solve the difficulty.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상품들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박스와 같은 적절한 포장 수단을 이용하여 포장되어 공장 등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품들은 상품가치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시각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내부에 담기는 상품의 보호와 더불어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상자 등과 같은 적당한 형태의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다.In general, most products are packaged using appropriate packaging means such as boxes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shipped from factories. These products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ducts and at the same time induce consumer interest in the visual aspect. The containment is packaged using a suitable type of packaging material such as a box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handling and transport as well as the protection of the goods.

이러한 포장상자는 중공의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덮개면, 저면 등으로 구성되고, 통상적으로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packaging box is composed of a front, rear, left side, right side, cover side, bottom, and the like to form a hollow quadrangular shape, and is usually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한편, 최근에는 박스에 수납되는 내용물에 따라 포장 상자의 형상이 정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자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자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상자 커버를 구비한 포장상자로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packaging box is configured to have a square shape according to the contents stored in the box, or is used as a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box cover to cover the box body to open and close the top of the box body. .

도 1은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의 분리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packaging box.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는 포장 대상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1)을 가지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 상부에 결하되어 상기 수용 공간(21)을 밀폐시키는 커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general packing box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2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20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21 for accommodating a packing object to seal the accommodating space 2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10.

상기 몸체(2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및 측면이 폐쇄되어 상기 수용 공간(21)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20)의 측면 상단에는 상기 수용 공간(21)을 구획하면서 상기 커버(10)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몸체 테두리부(24)가 형성된다.The body 20 is open at the top, and the bottom and the side are closed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21. Accordingly, a body edge portion 24 i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body 20 in contact with the cover 10 while partitioning the accommodation space 21.

상기 몸체 테두리부(24)는 단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커버(10)에 형성되는 오목부(11)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22)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22)를 제외한 부분으로서, 상기 커버(10)를 지지할 수 있는 몸체 지지부(23)로 구성된다.The body rim 24 is not merely formed in a plane, but has a protrusion 22 that can be inserted into a recess 11 formed in the cover 10, except for the protrusion 22. As, it is composed of a body support 23 that can support the cover (10).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는 몸체(20) 상부에 상기 커버(10)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10)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커버 테두리부(13)가 외곽을 따라 형성된다. The cover 1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ver 10 is coupled to the body edge portion 24 so that the cover edge portion 13 is coupled to the outer edge thereof. Is formed.

상기 커버 테두리부(13)에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와 마찬가지로, 단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22)가 삽입되도록 하는 오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를 제외한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 지지부(23)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커버 접촉부(12)를 구비한다.Like the body rim 24, the cover rim 13 is not merely formed in a planar shape, but has a recess 11 to insert the protrusion 22 formed in the body rim 24. And a cover contact portion 12 formed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body support 23 as a portion except for the recess 11.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는 상기 몸체(20)에 상기 커버(10)를 쉽게 결합시키고,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2)와 상기 커버 테두리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의 단면이 단순한 형상에 해당하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오목부(11)에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ventional general packaging box is formed in such a structure has a structure to easily couple the cover 10 to the body 20, and to be easily separated. That is,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part 22 formed in the said body edge part 24 and the recessed part 11 formed in the cover edge part 13 is comprised by the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a simple shape, the said protrusion part Allow 22 to be easi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the recess 11.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에서는, 상기 커버(10)를 상기 몸체(20)에 쉽게 결합할 수 있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몸체(20)의 수용 공간(21) 내의 밀폐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21) 내에 포장되는 포장 대상체의 신선도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없고, 냉기 또는 온기를 원하는 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In this conventional general structure, the cover 1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body 2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but the sealing performance in the receiving space 21 of the body 20 is There is a problem falling. Therefore, the freshness of the packaging object packag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 can not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maintain the cold or warm for a desired time.

또한, 상기와 같이, 밀폐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포장 대상체에서 흘러나오는 액체 등이 상기 돌출부(22)와 오목부(11)가 결합되는 부위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aling performance is p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etc. flowing out of the packaging object is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22 and the recess 11 is coupl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에 상기 커버(10)를 결합시킨 후, 접착성 테이프(1)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20)와 상기 커버(10)가 결합되는 부분을 따라 테이프 처리하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포장용 상자를 이용하여 포장 대상체를 포장함에 있어서, 추가적인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2, after the cover 10 is coupled to the body 20, the body 20 and the cover 10 are formed by using an adhesive tape 1. You will have to do some additional tape processing along the lines where it join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time, effort, and cost in packaging the object to be packaged using the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포장용 상자를 구성하는 몸체와 커버의 결합 부분의 형상을 개선하여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몸체와 커버의 결합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를 형성함으로써, 과도한 밀폐로 인한 커버 분리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cover constituting the packaging box,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cov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box that can solve the difficulty of removing the cover due to excessive sealing.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포장 대상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로 구성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커버와 접촉하는 몸체 테두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에 접촉하는 커버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테두리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하측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를 가지는 수평 확장부가 상측에 형성되는 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ackaging box consisting of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ackaging object and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body to seal the receiving space. In the above, the body is open at the top to form the receiving space, the body ed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ver while partitioning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e cover is the cover ed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edge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for allowing the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cover edge portion,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and the concave portion is a cross-sectional shape formed at an upper side of a horizontal extension having a width larger than a lower width thereof. .

또한,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는 하단에서 시작하여 단면 너비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한 후, 다시 상단까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단면 너비가 증가하여 최대가 되는 지점의 너비는 상기 하단의 단면 너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and the concave portion has a shape starting from the bottom and the cross-sectional width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gain, and then decreases to the top again, and the width of the point at which the cross-sectional width increases and becomes maximum is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bottom. It is characterized by large.

또한,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는 하단에서 시작하여 단면 너비가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증가한 후, 다시 상단까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and the reces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width is maintained at a constant starting from the bottom, and after increasing, has a shape that decreases to the top again.

여기서,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삭감되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통풍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t least one sid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t least one first ventilation hole which is cut inward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of the protrusion and is formed in a depth direction.

여기서, 상기 오목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기 커버 테두리의 내측으로 삭감되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통풍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t least one side of the concave portion, at least one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second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is cut into the inner side of the cover edge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여기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1 통풍구와 상기 제2 통풍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recess, the first vent and the second vent is preferably formed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몸체의 측면 상단에는 상기 테두리부가 깊이 방향으로 삭감되어 형성되는 분리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groove is formed by cutting the edge portion in the depth direction at the upper side of the body.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에 의하면, 포장용 상자를 구성하는 몸체와 커버의 결합 부분의 형상을 개선하여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몸체와 커버의 결합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를 형성함으로써, 과도한 밀폐로 인한 커버 분리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ckaging box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the cover constituting the packaging box,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cover By forming a vent of th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olve the difficulty of removing the cover due to excessive sealing.

또한, 포장용 상자의 밀폐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포장용 상자 내의 포장 대상체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냉기 또는 온기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외부와의 공기 차단 및 내부 포장 대상체로부터 흘러나오는 액체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테이프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packaging box,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packaging object in the packaging box,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ld or warm air for a long time, and to block the air to the outside and liquid flowing out from the inner packaging object The advantage is that no extra tape treatment is required to prevent flow.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에 대한 테이프 처리를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및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에 형성된 제1 통풍구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에 형성된 제2 통풍구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통풍구와 제2 통풍구의 형성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홈의 상세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eneral packing box.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pe treatment of a conventional general packaging box.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s “A” and “B” shown in FIG. 4.
6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vent formed in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view of a second vent formed in a reces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vent and a second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view of the separation gro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aging box having the above problems, solving means and effect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attached Figures 3 and 4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대상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1)을 가지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21)을 밀폐시키는 커버(10)로 구성된다.3 and 4,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ody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21 for accommodating the packaging object and the accommodation space 21 ) Is composed of a cover 10 for sealing.

상기 몸체(2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및 측면이 폐쇄되어 상기 수용 공간(21)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20)의 측면 상단에는 상기 수용 공간(21)을 구획하면서 상기 커버(10)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몸체 테두리부(24)가 형성된다.The body 20 is open at the top, and the bottom and the side are closed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21. Accordingly, a body edge portion 24 i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body 20 in contact with the cover 10 while partitioning the accommodation space 21.

상기 몸체 테두리부(24)는 단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커버(10)에 형성되는 오목부(11)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22)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22)를 제외한 부분으로서, 상기 커버(10)를 지지할 수 있는 몸체 지지부(23)로 구성된다.The body rim 24 is not merely formed in a plane, but has a protrusion 22 that can be inserted into a recess 11 formed in the cover 10, except for the protrusion 22. As, it is composed of a body support 23 that can support the cover (10).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는 몸체(20) 상부에 상기 커버(10)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10)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커버 테두리부(13)가 외곽을 따라 형성된다. The cover 1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ver 10 is coupled to the body edge portion 24 so that the cover edge portion 13 is coupled to the outer edge thereof. Is formed.

상기 커버 테두리부(13)에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와 마찬가지로, 단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22)가 삽입되도록 하는 오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를 제외한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 지지부(23)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커버 접촉부(12)를 구비한다.Like the body rim 24, the cover rim 13 is not merely formed in a planar shape, but has a recess 11 to insert the protrusion 22 formed in the body rim 24. And a cover contact portion 12 formed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body support 23 as a portion except for the recess 11.

상기 커버 테두리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는 상기 커버 테두리부(13)의 가운데 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즉, 커버 테두리부(13)는 상기 오목부(11)가 가운데 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의 양측에 상기 커버 접촉부(12)가 형성된다.The recessed portion 11 formed in the cover edge portion 13 is formed along the center portion of the cover edge portion 13. That is, the cover edge portion 13 is formed with the recess 11 along the center portion, and the cover contact portion 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 11.

상기 커버 테두리부(13)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의 일측(수용 공간측) 외곽을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22)의 일측면은 상기 수용 공간(21)의 내측면이 상방향으로 연장된 측면에 해당된다. 즉,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의 일측 외곽을 따라 상기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타측 외곽 부분이 상기 몸체 지지부(23)에 해당된다.The protruding portion 22 formed on the body edge portion 24 corresponding to the cover edge portion 13 is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one side (accommodating space side) of the body edge portion 24. Specifically, on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22 corresponds to a side surfac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 extends upward.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22 is formed along one outer edge of the body edge portion 24, and the other out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ody edge portion 24 corresponds to the body support portion 23.

이를 통해 살펴볼 때, 상기 커버 테두리부(13)의 너비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의 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0)가 상기 몸체(20)에 결합될 때,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오목부(11)에 삽입되어 접촉되고, 상기 커버 접촉부(12) 중, 상기 오목부(11)의 타측(포장용 상자 바깥쪽 부분)에 형성되는 커버 접촉부(12)는 상기 몸체 지지부(23)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커버 접촉부(12) 중, 상기 오목부(11)의 일측(포장용 상자의 수용 공간(21)측)에 형성되는 커버 접촉부(12)는 상기 수용 공간(21) 내에 위치하게 된다. As seen through this, the width of the cover rim 13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rim 24. Therefore, when the cover 10 is coupled to the body 20, the protrusion 22 is inserted into and in contact with the recess 11, of the cover contact 12, the recess 11. The cover contact portion 12 formed on the other side (outside of the box for packaging)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dy support 23, and one side of the recess 11 of the cover contact portion 12 (of the packaging box). The cover contact part 12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21 side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21.

즉, 상기 커버 접촉부(12) 중, 상기 오목부(11)의 일측(포장용 상자의 수용 공간(21)측)에 형성되는 커버 접촉부(12)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에 접촉되는 부분에 해당되지 않고, 상기 수용 공간(21) 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 공간(21) 내에 수용되는 포장 대상체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오목부(1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 공간(21) 내에 위치하는 커버 접촉부(12)가 필요하다.That is, the cover contact portion 12 formed on one side (the receiving space 21 side of the packaging box) of the recess 11 of the cover contact portion 12 is in contact with the body edge portion 24. Not applicable, it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 and performs a function for stably fixing the packaged objec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 Of course, in order to form the recess 11, a cover contact 12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 is required.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2)와 상기 커버 테두리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22)와 오목부(11)의 단면 형상은 기존 단면 형상과 달리, 호리병 형태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ncludes a protrusion 22 formed at the body edge 24 and a recess 11 formed at the cover edge 13, and the protrus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22 and the recessed part 11 has the shape of a vial bottle, unlike the existing cross-sectional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의 단면 형상은 하측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를 가지는 수평 확장부(11a, 22a)가 상측에 형성되는 단면 형상이다. 즉,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의 형상은 하측의 너비보다 상측의 너비가 더 큰 단면 구조를 가진다.Specifically,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are cross-sectional shapes in which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s 11a and 22a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lower width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That is,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have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width is larger than the lower width.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의 단면 구조가 하측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를 가지는 수평 확장부(11a, 22a)가 상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오목부(1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몸체(20)에 대한 상기 커버(10)의 결합력이 더 강해지고,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킨다.As such, since the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s 11a and 22a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ide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protrusions 22 are formed. When is coupled to the recess 11, the bonding force of the cover 10 to the body 20 is stronger, further improves the sealing.

따라서, 상기 몸체(20)에 상기 커버(10)를 결합한 경우, 상기 수용 공간(21) 내로 외부 공기 유입이 차단되고,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밀폐 성능은 매우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ver 10 is coupled to the body 20, since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 is blocked, and maintains a strong bonding force, the sealing performance can be greatly improved.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의 형상은 그 단면의 너비를 볼 때, 하측보다 상측에 더 큰 너비를 가지고, 더 큰 너비를 가지는 부분에 해당하는 수평 확장부(11a, 22a)가 형성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have a larger width at the upper side than the lower side whe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is viewed, and the horizontal extensions 11a and 22a corresponding to the portions having the larger width are provided. If formed, i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도 5는 상기 돌출부(22)와 오목부(11)의 다양한 단면 형상 중, 가장 적절한 단면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FIG. 5 illustrates the most suitable cross-sectional shape among th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는 하단(L0)에서 시작하여 다면 너비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한 후, 다시 상단(L3)까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의 단면 하단에 해당하는 위치(L0)에서 시작하여 LO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는 L1까지 감소하고, 다시 L2 위치까지 증가한 후, 다시 단면 상단에 해당하는 L3 위치까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As shown in (a) of FIG. 5,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rt at the lower end L0 and decrease in width if they increase in width, and then increase to the upper end L3 again. It has a decreasing shape. That is, starting from the position (L0)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ross-section of the protrusions 22 and the concave portion 11 to L1 located higher than LO, increases to the L2 position, and then corresponds to the upper end of the cross-section again. It has a shape that decreases to the L3 position.

여기서, 상기 단면 너비가 증가하여 최대가 되는 지점의 너비(b)는 상기 하단(L0)의 단면 너비(a)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단면 너비가 최대가 되는 단면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수평 확장부(11a, 22a)의 너비(b)는 상기 단면 하단(L0)의 너비(a)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Here, the width b of the point where the cross-sectional width is increased to the maximum is form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a of the lower end L0. That is, the width b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s 11a and 22a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portion where the cross-sectional width is maximum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a of the lower end of the cross-section L0.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는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력은 매우 향상되고, 밀폐 성능 역시 매우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having such a cross-sectional shap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force may be greatly improved, and the sealing performance may also be greatly improved.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는 하단(L0)에서 시작하여 단면 너비가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증가한 후, 다시 상단(L3)까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의 단면 하단에 해당하는 위치(L0)에서 시작하여 L0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는 L1까지 너비가 동일하게 유지되다가, 너비가 L2 위치까지 증가한 후, 다시 단면 상단에 해당하는 L3 위치까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5,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start at the lower end L0 and maintain a constant cross-sectional width, and then increase to the upper end L3 again. It may have a decreasing shape. That is, starting at the position (L0)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ross-section of the protrusion 22 and the recess 11, the width is kept the same to L1 located above the L0, and then the width is increased to the L2 position, It has a shape that decreases again to the position L3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cross section.

여기서, L0에서 L1까지 너비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증가 추세로 전환되면서 L2까지 증가한 후, 다시 L3까지 감소 추세로 가는 단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단면 너비가 최대가 되는 단면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수평 확장부(11a, 22a)의 너비(b)는 상기 단면 하단(L0)의 너비(a)보다 당연히 더 크게 형성된다.Here, since the width is kept constant from L0 to L1, increases to L2 while switching to an increasing trend, and then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that goes to a decreasing trend again to L3, the horizontal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portion where the cross-sectional width is maximum. The width b of the extensions 11a and 22a is naturally larger than the width a of the cross section lower end L0.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돌출부(22) 및 오목부(11)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수용 공간(21) 내의 밀폐성은 매우 향상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22) 및 오목부(11)의 결합은 밀폐성은 매우 향상시키는 반면, 상기 수용 공간(21) 내의 상태를 거의 진공 상태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몸체(20)로부터 상기 커버(10)의 분리를 다소 어렵게 만들 수 있다.By the combination of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having such a structure, the sealing property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 is greatly improved. However, the combination of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greatly improves the sealability, while forming the state in the accommodating space 21 in a substantially vacuum state, and thus, the body 20. The separation of the cover 10 from the can be made somewhat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의 측면에 소량의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통풍구를 구비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의 측면에 제1 통풍구(2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몸체(20)로부터 상기 커버(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Therefore,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ent through which a small amount of air can be distributed on the sides of the protrusions 22 and the recesses 11. That is, as shown in Figure 6, by forming the first vent hole 25 on the side of the protrusion 22, it is easy to remove the cover 10 from the body 20.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2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삭감되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통풍구(25)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제1 통풍구(25)는 상기 돌출부(22)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제1 통풍구(25)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sion part 22 is cut inward from an upper end to a bottom end of the protrusion part 22 to be formed in a depth direction. At least one) is formed. The first vent 25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22, or both sides may be formed, and the number of the first vents 25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may be at least one. .

상기와 같이 제1 통풍구(25)가 형성된 상기 돌출부(22)를 상기 커버(10)의 오목부(11)에 삽입시켜 결합하면, 상기 수용 공간(21)의 밀폐성은 충분한 정도가 되고, 상기 커버(10)를 상기 몸체(20)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제1 통풍구(25)를 통하여 소량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10)의 분리가 충분하게 용이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otrusion 22 having the first vent hole 25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1 of the cover 10 to be coupled, the sealing property of the accommodating space 21 is sufficiently high. When the 10 is detached from the body 20, since a small amount of air can be sucked through the first vent 25, the detachment of the cover 10 is sufficiently easy.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풍구는 상기 커버(10)의 오목부(11)도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1)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오목부(1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기 커버 테두리(13)의 내측으로 삭감되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통풍구(14)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제2 통풍구(14)는 상기 오목부(11)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제2 통풍구(14)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ventilation hole may also be formed in the recess 11 of the cover (1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recess 11 is cut into the cover edge 13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ecess 11 to the depth. At least one second vent 14 formed in a direction is formed. The second vent 14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concave portion 11, or both sides may be formed,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vents 14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may be at least one. do.

상기와 같이 제2 통풍구(14)가 형성된 상기 오목부(11)에 상기 몸체(20)의 돌출부(22)를 삽입하여 결합하면, 상기 수용 공간(21)의 밀폐성은 충분한 정도가 되고, 상기 커버(10)를 상기 몸체(20)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제2 통풍구(14)를 통하여 소량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10)의 분리가 충분하게 용이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otrusion 22 of the body 2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cess 11 having the second vent 14 formed therein, the sealing property of the accommodating space 21 is sufficiently high, and the cover When the 10 is detached from the body 20, since a small amount of air can be sucked through the second vent 14, the detachment of the cover 10 is sufficiently easy.

상기와 같은 통풍구는 상기 돌출부(22)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오목부(11)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vent hole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nly in the protrusion 22, or may be formed only in the recess 11, or may be formed in both the protrusion 22 and the recess 11.

상기 통풍구가 상기 돌출부(22) 및 오목부(11) 모두에 형성되는 경우, 즉 상기 돌출부(22)에 제1 통풍구(25)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에 제2 통풍구(14)가 형성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풍구(22)와 상기 제2 통풍구(14)는 반드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vent is formed in both the protrusion 22 and the recess 11, that is, the first vent 25 is formed in the protrusion 22, and the second vent 14 in the recess 11. ) Is formed, as shown in FIG. 8, the first vent hole 22 and the second vent hole 14 are not necessari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ut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desirable.

즉, 상기 돌출부(22)에 제1 통풍구(25)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1)에 제2 통풍구(14)를 형성한 후,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오목부(11)에 삽입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풍구(25)와 상기 제2 통풍구(1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 즉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after the first vent hole 25 is formed in the protrusion 22, and the second vent hole 14 is formed in the recess 11, the protrusion 22 is formed in the recess 11. When inserted, as shown in FIG. 8, the first vent 25 and the second vent 14 are preferab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at is, facing each oth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 및(또는) 오목부(11)에 통풍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21) 내의 공기 유입 불가에 따른 커버(10) 분리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vents in the protrusions 22 and / or the recesses 11, the difficulty of separating the cover 10 due to the inflow of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 can be solved.

한편, 상기 몸체(20)의 측면 상단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테두리부(24)가 깊이 방향으로 삭감되어 형성되는 분리홈(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 테두리부(24)에 상기 분리홈(2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분리홈(26)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쉽게 상기 커버(10)를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 the upper side of the body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groove 26 is formed by cutting the body edge portion 24 in the depth direction. As such, when the separation groove 26 is formed in the body rim 24, when the cover 10 is to be separated, the user easily inserts a finger into the separation groove 26 to cover the cover 10. ) Can be remo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가 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it is usually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테이프 10 : 커버
11 : 오목부 11a : 오목부의 수평 확장부
12 : 커버 접촉부 13 : 커버 테두리부
14 : 제2 통풍구 20 : 몸체
21 : 수용 공간 22 : 돌출부
22a : 돌출부의 수평 확장부 23 : 몸체 지지부
24 : 몸체 테두리부 25 : 제1 통풍구
26 : 분리홈
1: Tape 10: Cover
11 concave portion 11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12: cover contact portion 13: cover edge portion
14 second vent hole 20 body
21: accommodating space 22: protrusion
22a: horizontal extension of the protrusion 23: body support
24: body rim 25: first vent
26: separation groove

Claims (7)

삭제delete 포장 대상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로 구성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커버와 접촉하는 몸체 테두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에 접촉하는 커버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테두리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하측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를 가지는 수평 확장부가 상측에 형성되는 단면 형상이고,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는 하단에서 시작하여 단면 너비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한 후, 다시 상단까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단면 너비가 증가하여 최대가 되는 지점의 너비는 상기 하단의 단면 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삭감되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통풍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In the packaging box consisting of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a packaging object and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body to seal the receiving space,
The body is open at the top to form the receiving space, the body bord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ver while partitioning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e cover has a cover ed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edge portion, The cover edge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 for inserting the protrus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and the recess is a cross-sectional shape formed on the upper side horizontal expansion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ide,
The protrusions and the recesses have a shape starting from the bottom and decreasing in cross-sectional width and then increasing again, and then decreasing to the top again. ,
Packaging box,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two sides of the projection, at least one side is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by cutting inwar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포장 대상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로 구성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커버와 접촉하는 몸체 테두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에 접촉하는 커버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테두리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하측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를 가지는 수평 확장부가 상측에 형성되는 단면 형상이고,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는 하단에서 시작하여 단면 너비가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증가한 후, 다시 상단까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삭감되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통풍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In the packaging box consisting of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a packaging object and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body to seal the receiving space,
The body is open at the top to form the receiving space, the body bord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ver while partitioning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e cover has a cover ed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edge portion, The cover edge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 for inserting the protrus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and the recess is a cross-sectional shape formed on the upper side horizontal expansion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ide,
The protrusions and the recesses have a shape starting from the bottom and keeping the cross-sectional width constant, increasing and then decreasing back to the top,
Packaging box,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two sides of the projection, at least one side is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by cutting inwar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삭제delete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기 커버 테두리의 내측으로 삭감되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통풍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t least one side of the concave por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packaging box,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cond vent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is formed by cutting the inner side of the cover edge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1 통풍구와 상기 제2 통풍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recess, the first vent and the second vent is formed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packaging box.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 상단에는 상기 몸체 테두리부가 깊이 방향으로 삭감되어 형성되는 분리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The method of claim 6,
Packaging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groove formed by cutting the body edge portion in the depth direction.
KR1020120037083A 2012-04-10 2012-04-10 Packing carton KR101294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083A KR101294637B1 (en) 2012-04-10 2012-04-10 Packing car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083A KR101294637B1 (en) 2012-04-10 2012-04-10 Packing cart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637B1 true KR101294637B1 (en) 2013-08-08

Family

ID=4922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083A KR101294637B1 (en) 2012-04-10 2012-04-10 Packing cart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63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207A (en) * 2001-07-13 2003-01-29 Sumida Kogyo Kk Elastic container
KR20120002092U (en) * 2010-09-13 2012-03-22 문준혁 Pack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207A (en) * 2001-07-13 2003-01-29 Sumida Kogyo Kk Elastic container
KR20120002092U (en) * 2010-09-13 2012-03-22 문준혁 Packing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4471U (en) packing box
RU2018115686A (en) COMPLETED WITH THE POSSIBILITY OF RE-SEALING THE CAPACITY CONTAINING THE INSERT
JP5698275B2 (en) Lid and packaging container provided with the lid
KR200438192Y1 (en) Fruit packing box
KR102103278B1 (en) Split type package
US20140054308A1 (en) Food container
KR101294637B1 (en) Packing carton
KR20180090921A (en) Packing box for eggs
KR200468685Y1 (en) Multi-function pack
JP2007216994A (en) Cut flower packaging case with water bag
KR101712412B1 (en) Recyclable box
KR101997678B1 (en) Food packaging box
KR100737291B1 (en) A box for package
KR200478760Y1 (en) isolation type airtight container
KR200390518Y1 (en) Cake box
KR200478210Y1 (en) Packing vessel
KR200476650Y1 (en) Base for package box
KR200478871Y1 (en) Packaging Box
JPH1095419A (en) Storage container
KR200383756Y1 (en) Cake box
KR200484314Y1 (en) Box of sleeve one touch
KR101526145B1 (en) A packaging box
JP3193344U (en) Lid
KR101794815B1 (en) Air tube type package box
JP2017047908A (en) Pa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