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749B1 - Container - Google Patents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749B1
KR101113749B1 KR1020090081027A KR20090081027A KR101113749B1 KR 101113749 B1 KR101113749 B1 KR 101113749B1 KR 1020090081027 A KR1020090081027 A KR 1020090081027A KR 20090081027 A KR20090081027 A KR 20090081027A KR 101113749 B1 KR101113749 B1 KR 101113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artition
space
container
f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3264A (en
Inventor
정기성
Original Assignee
(주)초록뱀엔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록뱀엔프라 filed Critical (주)초록뱀엔프라
Priority to KR1020090081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749B1/en
Publication of KR2011002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등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의 공간을 탈부착형 칸막이에 의해 구획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을 다수의 칸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공간의 측면에 상기 칸막이가 상하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containing contents such as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capable of partitioning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by a removable parti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 spac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 partition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to divide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The container body proposes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ortion is inserted to be deta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partition on the side of the space.

용기, 포장용기, 주방용기, 용기본체, 칸막이, 식품 Container, packaging container, kitchen container, container body, partition, food

Description

용기{Container}Container {Container}

본 발명은 식품 등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의 공간을 탈부착형 칸막이에 의해 구획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containing contents such as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capable of partitioning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by a removable partition.

일반적으로 용기는 식품 등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서, 용도에 따라서 내용물을 판매, 운반 등을 목적으로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기, 가정에서 음식을 담기 위한 주방용기, 음식을 휴대하기 위한 도시락용기, 음식을 상업적으로 배달하기 위한 배달용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In general, the container is intended to contain the contents of food, etc.,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the packaging container for packaging for sale, transport, etc., the kitchen container for storing food at home, lunch box container for carrying food, food It may be classified into a delivery container for commercial delivery.

이와 같은 용기는 기본적으로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용기본체로 구성될 수 있다.Such a container may be basically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having a space for containing food and the like.

또한, 용기는 용도에 따라서 용기본체의 공간을 복개하는 뚜껑이나 용기본체의 공간의 밀폐시키기 위한 시트 등의 밀봉재 등이 함께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may include a lid for covering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or a sealing material such as a sheet for sealing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depending on the use.

또한, 용기는 하나의 용기본체에 하나의 내용물을 소량으로 나누어 담거나 여러종류의 내용물을 함께 담을 수 있도록, 용기본체의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가 용기본체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may be configured with a container body for partitioning a plurality of spaces of the container body so as to contain one content in a small amount in one container body or to contain various types of contents together.

여기서, 칸막이는 용기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탈부착 가능토록 구성된다.Here, the parti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body or configured to be detachable.

그런데, 탈부착형 칸막이는 필요에 따라서 용기본체의 공간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부여하지만, 용기본체와 분리형으로 구성됨에 따라서 용기본체에 쉽게 탈부착될 수 있어야 하며, 운반시 등에 이동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용기는 아직 개발사례가 미진하며, 무엇보다 수용할 내용물의 양에 따라 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는 가변형 칸막이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By the way, the detachable partition is given the advantage that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needed, but since it is composed of the container body and detachable type should be easily detachable to the container body, and prevents movement and detachment during transportation, etc. It should be possible. However, there are few development cases for the container that can satisfy this economically, and above all, the research on the variable partition that can partition the spa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ntents to be accommodated is extremely insuffici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칸막이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에 삽입된 칸막이의 이동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detachable to the partition body, the movement and separation of the partition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can be prevented. .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을 다수의 칸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공간의 측면에 상기 칸막이가 상하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 spac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 partition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to divide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The container body may have a fitting portion to be inserted to be detach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space.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측면을 따라서 복수 형성될 수 있다.Fitting portions of the container body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side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바닥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부는 대략 삼각형 또는 쐐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have a shap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Preferably, 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or wedge shape.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부는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be formed as a groove.

상기 칸막이는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칸막이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칸막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구획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partition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 side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the partition side surface to cross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칸막이는 상기 구획면의 상측에 형성된 상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rface formed above the partition surface.

상기 용기본체는 직사각형 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는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장방향에 대응되는 장방향 칸막이와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단방향에 대응되는 단방향 칸막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tube; The part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ongitudinal parti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unidirectional partition corresponding to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칸막이는 또 다른 칸막이와 교차된 상태로 용기본체의 공간에 삽입되기 위해, 또 다른 칸막이에 가로질러 끼워질 수 있도록 교차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n a state where the partition intersects with another partition, a cross groove may be formed so as to be intersected with another partition.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부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삽입된 칸막이의 상향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칸막이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be formed with a catching portion for catching the partition to prevent upward separation of the partition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용기본체에 삽입된 칸막이 위에 돌출 형성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be formed of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칸막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가능토록 돌출 형성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be formed of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to a groove formed in the partition.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단턱일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be a step formed by stepped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본체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복개하는 뚜껑 또는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봉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per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detachably and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or sealing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expected a variety of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chieved by exerting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용기본체의 측면 끼움부에 의해 칸막이의 탈부착이 안내됨으로써 칸막이의 탈부착이 용이하다.Detachability of the partition is facilitated by guiding the detachment of the partition by the side fitting of the container body.

또한 용기본체의 공간에 삽입된 칸막이가 용기본체의 측면 끼움부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이동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s restrained by the side fitting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and leaving.

또한 용기본체의 측면 끼움부는 적어도 일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칸막이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at least a portion toward the lower side, it may be easier to attach and detach the partition.

또한 용기본체의 끼움부가 용기본체의 공간의 바닥면에 더 형성됨으로써 칸막이가 용기본체의 공간의 바닥면에 보다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the partition can be more tightly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또한 칸막이는 구획면 및 용기본체의 끼움부에 면접촉되는 칸막이측면을 갖 도록 형성됨으로써, 칸막이가 용기본체의 공간에 보다 견고하고 기밀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is formed to have a partition side and the partition s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the partition can be inserted more firmly and hermetically into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또한 용기본체에는 칸막이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됨으로써, 칸막이의 이탈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으며, 칸막이가 용기본체의 공간에 보다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partition upward, the separation of the partition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the partition can be more tightly adhered to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기본적으로 상면이 개방된 공간(12)이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삽입되어 용기본체(10)의 공간(12)을 다수의 칸(12A,12B)으로 구획하는 칸막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one or two or more i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formed with a space 12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 partition 20 inserted to partition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12A and 12B.

특히 용기본체(10)는 공간(12)의 측면(12C)에 칸막이(20), 보다 정확하게는 칸막이(20)의 양쪽 가장자리가 상하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측면(12C)에 형성된 끼움부를 측면 끼움부(14)라 한다.In particular, the container body 10 has a partition 20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C of the space 12, more precisely, one or more fitting portions for inserting both edges of the partition 20 to be detach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It feature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C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referred to as a side fitting portion 14.

따라서,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의해 칸막이(20)의 탈부착이 가이드됨으로써 칸막이(20)가 용이하게 용기본체(10)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삽입된 칸막이(20)는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이동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detachment of the partition 20 is guided by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so that the partition 2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10 is provided. The partition 20 inserted into the 12 may be restrained by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to prevent movement and departure.

또한 용기본체(10)의 공간(12)은 상면이 개방됨으로써, 공장 등에서 복수의 용기본체(10)를 취급하는 경우, 복수의 용기본체(10)를 상하로 포개서 상태로 운반 및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opened, when the plurality of container bodies 10 are handled at a factory or the like, the plurality of container bodies 10 can be transported and supplied in a state of being stacked up and down.

이와 같은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는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ma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먼저,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삽입된 칸막이(20)의 위치를 바꾸면서 용기본체(10)의 공간(12)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는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측면(12C)을 따라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는 상하방향을 축으로 하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가 직사각형 통으로 형성되는 경우, 용기본체(10)의 전후좌우 측면(12C)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sid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so that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partitioned in various ways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20 inserted into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14 may be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12C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That is, the side fitting portions 14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bodies 10 may be formed in a lin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container body 10 is formed as a rectangular tube as shown, it can be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side 12C of the container body 10.

복수의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는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삽입될 때 칸막이(20)의 양쪽이 모두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전후, 좌우 또는 직경방향 등으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2개의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는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측면(12C)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칸막이(20)는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측면(12C)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측면(12C)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쌍을 이루는 2개의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가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측 면(12C)에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Side fitting portions 14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bodies 10 are both sides of the partition 20 when the partition 20 is inserted into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side fitting of the container body 10. More preferably, they are formed in pairs before and after, left and right, or in a radial direction so as to be fitted to the portion 14. At this time,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two container body 10 in pairs as shown can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12C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Accordingly, the partition 2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side surface 12C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side fitting portions 14 of the two container bodies 10 in pairs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partition 2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12C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12C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는 상하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는 대략 삼각형 또는 쐐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have a shap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Therefore, the partition 20 can be more easily fitted to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Preferably, as shown,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or wedge shape.

이와 같은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는 용기본체(10)의 공간(12)을 향해 돌출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내용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요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as shown in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in the groov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tents.

한편, 용기본체(10)의 끼움부는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바닥면(12D)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닥 끼움부(16)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D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bottom fitting part 16 is referred to.

용기본체(10)의 바닥 끼움부(16)가 더 형성됨에 따라서,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삽입된 칸막이(20)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바닥면(12D)에 보다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다수의 칸(12A,12B) 사이의 누수, 누설 등이 차단될 수 있다.As the bottom fitting portion 16 of the container body 10 is further formed, the partition 20 inserted into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more firmly supported, and the partition 20 may be a container. The more tightly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12D of the space 12 of the main body 10, leakage, leakage, etc.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artments 12A, 12B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blocked. have.

용기본체(10)의 바닥 끼움부(16)는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와 연결됨으로써 용기본체(10) 및 칸막이(20)가 보다 간소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The bottom fitting portion 16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but as shown in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By being connected,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partition 20 may be more simply formed, and the partition 20 as a whole may be closely sealed to the container body 10.

이와 같은 용기본체(10)의 바닥 끼움부(16) 또한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 며, 칸막이(20)가 여러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fitting portion 16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also be formed as a recess, and the partition 20 may be formed in plural so as to be inserted at various positions.

한편, 용기본체(10)는 물론 용기본체(10)의 공간(12)은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내용물의 저장이 용이하도록 대략 직사각형 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사각형 통이나 그 밖의 다각형 통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ainer body 10 as well as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Preferably,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tube to facilitate storage of various contents as shown, and of course, may be formed in a square tube or other polygonal cylinder or cylinder, although not shown.

또한 용기본체(10), 보다 정확하게는 적어도 용기본체(10)의 공간(12)은 측면(12C)과 바닥면(12D)의 모서리 부분(12E)이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둥그런 면으로 모따기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칸막이(20) 또한 용기본체(10)의 모따기 형상의 모서리 부분(12E)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칸막이(20)의 하단 양쪽이 각각 모따기 형상을 취함에 따라서 칸막이(20)의 하단의 폭(20A)이 쌍을 이루는 2개의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 사이 거리(14A)보다 짧기 때문에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10, more precisely at least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rounded or sloped as shown, as shown by the side 12C and the edge portion 12E of the bottom surface 12D. A chamfer can be taken as a face. The partition 20 may als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dge portion 12E of the chamfer shape of the container body 10.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fitting portions 14 of the two container bodies 10 in which the width 20A of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20 is paired as both lower ends of the partition 20 each take a chamfer shape. Since the partition 20 is shorter, it may be more easily fitted to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한편, 상술한 칸막이(20) 또한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partition 20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ma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칸막이(20)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artition 20 may be formed in a plane, but is more preferably formed in three dimensions as shown.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20)는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끼워지는 한 쌍의 칸막이측면(22,23) 및, 한 쌍의 칸막이측면(22,23) 사이에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공 간(12)을 가로지르는 구획면(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the partition 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is a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fitted to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23 and a partition surface 24 forme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and 23 and intersect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칸막이(20)의 한 쌍의 칸막이측면(22,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면(24)에 대하여 동일하게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획면(24)에 대하여 양쪽으로 돌출되거나, 서로 구획면(24)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The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and 23 of the partition 20 may protrude in either direction equally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surface 24 as shown, and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surface 24, although not shown. It may protrude or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surface 24 from each other.

구획면(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입체적인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artition surface 24 may be formed in a plane as shown, or may b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urface, although not shown.

따라서, 한 쌍의 칸막이측면(22,23)이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대응됨에 따라서,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삽입된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칸막이(20)의 흔들림 및 이동,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선접촉이 아니라 한 쌍의 칸막이측면(22,23)에 의해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면접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에 보다 견고하고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Therefore, as the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and 23 correspond to the side fitting portions 14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partition 20 inserted into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the container body. By being constrained by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10, the shaking, movement and separation of the partition 20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partition 20 is not in line contact with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bu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by a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and 23. Accordingly, the partition 20 may be tightly and tightly adhered to the container body 10.

나아가 칸막이(20)는 구획면(24)의 상측에 형성된 상측면(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칸막이(20)의 상측면(26)은 칸막이(20)의 한 쌍의 칸막이측면(22,23) 및 구획면(24)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20)의 상측면(26)이 형성됨에 따라서 칸막이(20)의 상측면(26)을 잡고 미끌림없이 용이하게 칸막이(20)를 탈부착할 수 있다. 한편, 칸막이(20)의 상측면(26)에는 칸막이(20)의 상측을 향해 리브(lib)(26A) 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partition 2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ide 26 formed above the partition surface 24. Preferably, the upper side 26 of the partition 2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and 23 and the partition surface 24 of the partition 20, respectively. As the upper side 26 of the partition 2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2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by holding the upper side 26 of the partition 20 without slipping. Meanwhile, ribs 26A and the like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26 of the partition 20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20.

이와 같은 칸막이(20)는 하나의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칸막이(20)는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형상에 따라서 한 종류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두 종류 이상으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One or two or more partitions 2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12 of one container body 10. In addition, the partition 20 may be formed of only one typ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or may be formed of two or more types to be selectively used.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가 대략 직사각형 통인 경우, 칸막이(20)는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단방향에 대응되는 단방향 칸막이(20B)는 물론,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장방향에 대응되는 장방향 칸막이(20C) 2종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방향 칸막이(20B)와 장방향 칸막이(20C)가 둘 다 사용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를 다방향으로 구획할 경우, 칸막이(20)들이 교차된 상태로 함께 용기본체(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칸막이(20)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또 다른 칸막이(20)에 가로질러 끼워질 수 있도록 교차용 홈(20G)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tainer body 10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arrel as shown, the partition 20 is, of course, the unidirectional partition 20B corresponding to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as shown in FIG.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t may be formed in two kinds of long direction partitions 20C corresponding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unidirectional partition 20B and the long direction partition 20C are two types. Both may be used or only one of them may be used selectivel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when partitioning the container body 10 in multiple directions, at least one of the partitions 2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together with the partitions 20 crossing. An interstitial groove 20G may be formed to be fitted across the other partition 2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칸막이(20)의 한 쌍의 칸막이측면(22,23)이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밀착됨으로써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삽입된 칸막이(20)가 어느 정도는 용기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and 23 of the partition 20 ar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fitting portions 14 of the container body 10 so that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close to each other. The partition 20 inserted in the)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to some extent.

다만,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칸막이(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칸막이(20)의 상방향 이탈이 구속되도록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칸막이(20)가 걸리는 걸림부(18)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However, the partition 20 in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to restrain the upward departure of the partition 20 in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20 is inserted into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ortion 18 is formed.

즉,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에 의해 용기본체(10)에 삽입된 칸막이(20)의 이탈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That is, the separation of the partition 20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by 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more surely prevented.

또한, 칸막이(20), 보다 정확하게는 한쌍의 칸막이측면(22,23)이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압입되지 않더라도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에 의해 상술한 칸막이(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칸막이(20)의 한쌍의 칸막이측면(22,23) 및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가 서로 충분한 여유공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칸막이(20)가 부드럽게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칸막이(20) 및 용기본체(10)가 공차에 제약받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Further, the partition 20, more precisely, the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and 23 are described in detail by 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even though the side fitting portions 14 of the container body 10 are not press-fitted. Deviation of one partition 20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and 23 of the partition 20 and the side fitting portions 14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formed to have sufficient clearance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partition 20 is smoothly formed into the container body. It may be detachable to the side fitting portion 14 of (10), the partition 20 and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more easily manufactur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olerances.

이와 같은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는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바람직한 일 예로써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는 용기본체(10)에 삽입된 칸막이(20) 위에 돌출 형성된 돌기(18A)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칸막이(20)가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삽입되면,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인 돌기(18A)가 칸막이(20)의 상측에 돌출된 상태가 된다.As a preferred example,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implemented with a projection (18A) protruding on the partition 20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have. That is, when the partition 20 is inserted into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projection 18A, which is 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is proj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20.

다른 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는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삽입된 칸막이(20)의 한쌍의 칸막이측면(22,23)에 닿도록 돌출 형성된 돌기(18A)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칸막이(20), 보다 정확하게는 칸막이측면(22,23)에는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인 돌기(18A)가 삽입 가능한 홈(20E)이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has a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22 and 23 of the partition 20 inserted into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t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ion (18A) protruding to reach, and also the partition 20, more precisely the partition side (22, 23) is a projection (18A) of 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An insertable groove 20E can be formed.

또 다른 예로써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는 용기본체(10)의 측면 끼움부(14)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단 턱(18B)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20), 보다 정확하게는 칸막이측면(22,23)은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인 단턱(18B)에 대응되게 단턱(20F)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20)에는 단턱이 형성되지 않고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만 단턱(18B)으로 구현되는 실시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6 to 8, 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has a stepped jaw 18B formed by forming a side fitting portion 14 of the container body 10 stepwise. It can be implemented as. 6 and 7, the partition 20, more specifically, the side surfaces 22 and 23 of the partition 20F corresponds to the step 18B, which is 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 May be forme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 the partition 20 is not formed with a step, and only the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implemented as the step 18B.

이와 같은 용기본체(10)의 걸림부(18)는 형상 및 크기 등이 칸막이(20)의 이탈을 방지하되, 사람이 칸막이(20)를 용기본체(10)에 넣고 빼는 힘에 의해 간단하게 칸막이(20)가 탈부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결정됨은 물론이다.Such a locking portion 18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shape and size, etc.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artition 20, a person simply divides the partition 20 by the force to put the container 20 into the container body 10 to remove it. Of course, it is determined within the range in which (2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용기본체(1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며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개방된 상면을 복개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d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0 so as to be detachable and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용기본체(10)에 결합되며 용기본체(10)의 공간(12)을 밀폐하는 필름 등의 밀봉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per such as a film which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0 by a bonding method or the like and seals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여기서,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식품이나 음식을 넣고 밀봉지로 밀폐할 때에는 식품이나 음식의 유지,보존을 위해, 용기본체(10)의 공간(12) 내 공기를 질소나 탄산가스 등으로 치환하기도 한다. 이 경우, 가스치환을 위한 기구가 용기본체(10)의 공간(12)의 상면에 연결되는데, 용기본체(10)의 공간(12)이 칸막이(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는 구획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본체(10)의 공간(12) 전체가 충분히 가스치환될 수 있다. Here, when food or food is put in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sealed with a sealed paper, the air in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nitrogen or carbon dioxide gas for th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the food or food.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mechanism for gas replacemen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because th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not part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artition 20. The entire spac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sufficiently gas-substituted.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용도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use and the like.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용도가 식품포장용기인 경우, 용기본 체(10)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packaging container,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manufactured as follows.

용기본체(10)는 시트(sheet)를 이용한 압공, 진공, 압진공, 열판압공 성형방식에 의해 제조되거나, 사출성형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 may be manufactured by pressing, vacuum, vacuum, or hot plate pressing using a sheet, or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시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시트는 단층단일소재는 물론 다층단일소재 또는 다층다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다층단일소재 또는 다층다소재의 시트는 공압출(co-extrusion)방식 또는 압출-코팅(extrusion coating)방식 또는 드라이 라미네이션(dry-lamination)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시트의 두께는 0.3mm 내지 2mm정도가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The shee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hee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single material, as well as a multi layer single material or a multi-layer multi material. Here, the multi-layer single material or the sheet of multi-layered material may be manufactured by a co-extrusion method, an extrusion coating method or a dry lamination method.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y be preferably about 0.3mm to 2mm.

칸막이(20) 또한 상술한 용기본체(10)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밀봉지는 상술한 시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20 may also b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tainer body 10 described above, and the sealing paper may be formed by the sheet described abov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inc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hich together with the base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3과 대응되는 도면.5 is a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sponds to FIG. 3.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5실시 예에 따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4와 대응되는 도면.6 to 8 are related to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corresponding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칸막이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용기본체 12; 공간10; Container body 12; space

14; 측면 끼움부 16; 바닥 끼움부14; Side fittings 16; Bottom fitting

18; 걸림부 20; 칸막이18; Catching part 20; bulkhead

22,23; 칸막이측면 24; 구획면22,23; Partition side 24; Compartment

26; 상측면 26; Upper side

Claims (13)

상면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을 다수의 칸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며;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 top surface formed therein, and a partition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to divide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공간의 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요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칸막이가 상하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측면을 따라서 복수의 측면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칸막이가 상하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바닥 끼움부가 형성되며;The container body is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space along the side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partition can be fitted so as to be deta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ide fitting portions are formed, and a bottom fit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so as to be detach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칸막이는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구획면 및, 상기 구획면이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면에 대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끼움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끼움부에 끼워지는 칸막이측면을 포함하며;The partition comprises a partition surface that crosses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pair so that the partition surface is formed therebetween and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surface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fitting of the container body. A partition side surface fitted to the side fit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끼움부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삽입된 칸막이의 상향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칸막이의 칸막이측면이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side fit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to hold the partition side of the partition to prevent upward separation of the partition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칸막이는 상기 구획면의 상측에 상기 칸막이의 한 쌍의 칸막이측면 및 구획면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 상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And the partition further comprises an upper sid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partition surfac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air of partition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and the partition surface,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용기본체는 직사각형 통으로 형성되며;The container body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tube; 상기 칸막이는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장방향에 대응되는 장방향 칸막이와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단방향에 대응되는 단방향 칸막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partition is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longitudinal parti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unidirectional partition corresponding to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is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용기본체에 삽입된 칸막이 위에 돌출 형성된 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catch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rojections projecting on the partition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칸막이의 칸막이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가능토록 돌출 형성된 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catch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rojection formed so as to protrude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partition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끼움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단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catching part of the container body is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formed by forming the step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stepped. 청구항 1,7,8,10,11,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8,10,11,12, 상기 용기본체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복개하는 뚜껑 또는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봉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And a lid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and to seal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or to seal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KR1020090081027A 2009-08-31 2009-08-31 Container KR1011137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27A KR101113749B1 (en) 2009-08-31 2009-08-31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27A KR101113749B1 (en) 2009-08-31 2009-08-31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64A KR20110023264A (en) 2011-03-08
KR101113749B1 true KR101113749B1 (en) 2012-02-27

Family

ID=4393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027A KR101113749B1 (en) 2009-08-31 2009-08-31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74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040U (en) * 1983-05-06 198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accessory case
JPS62130029U (en) * 1986-02-10 1987-08-17
JP2004268978A (en) 2003-03-07 2004-09-30 Avanti:Kk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040U (en) * 1983-05-06 198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accessory case
JPS62130029U (en) * 1986-02-10 1987-08-17
JP2004268978A (en) 2003-03-07 2004-09-30 Avanti:Kk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64A (en)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1270A (en) Two-part box
CN107487513B (en) Transport container
KR200438192Y1 (en) Fruit packing box
JP2008285185A (en) Cold insulating container
KR101113749B1 (en) Container
JP3208996U (en) Assembly type heat insulation box
CN211309263U (en) Packing box
US10739054B2 (en) Rigid refreezable portable storage container insert
US9517875B2 (en) Packaging, use of a packag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several packaging
US20050242092A1 (en) Resealable divided plate
KR101552574B1 (en) Stackable food storage containers
JP2017149462A (en) Food packaging container
JP2011162235A (en) Box for conveying plate-like product
JP2010149909A (en) Container inner member and container with inner member
KR20110098205A (en) Package container
KR102351533B1 (en) Lunch box with sealing means
KR200364895Y1 (en) a case for vegetablessalad
US20150225112A1 (en) Box for packaging multiple format
KR101636206B1 (en) Packing box
KR200478210Y1 (en) Packing vessel
US20050045507A1 (en) Storage box for HotWheelsR or MatchboxR die-cast model vehicles
US20070007160A1 (en) Box
JP3210115U (en) Foamed resin container, packaging container, and assembly of packaged food and foamed resin container
JP5281299B2 (en) Foamed synthetic resin container
KR200367522Y1 (en) Separable box capable of fabricating and f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