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615B1 -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615B1
KR101294615B1 KR1020130072072A KR20130072072A KR101294615B1 KR 101294615 B1 KR101294615 B1 KR 101294615B1 KR 1020130072072 A KR1020130072072 A KR 1020130072072A KR 20130072072 A KR20130072072 A KR 20130072072A KR 101294615 B1 KR101294615 B1 KR 10129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cony
drainage plate
thickness
drai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현
양진국
Original Assignee
(주)중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중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7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측의 두께보다 후방측의 두께가 두껍고 공동주택의 발코니 바닥에 시공되는 직사각형상의 합성수지 판체로, 발코니의 배수구를 향하는 전방측 선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 상부에는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홈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홈 내측 상부에는 너트홈을 상부에서 밀폐시키는 마감캠이 형성되고, 후방측 선단부에는 상부 두께가 반 이상이 절단되는 안착요부를 갖는 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되는 앵커볼트가 다수 개 수직 기립되게 설치되어, 다수 개가 순차적으로 볼트공과 앵커볼트에 의해 너트로 체결고정되어 서로 포개어지면서 연속적으로 시공되는 다수 개의 경사배수판; 우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배수판의 받침부가 삽입되는 삽입요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받침부의 앵커볼트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다수 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끼움요부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결구; 상기 연결구 저면의 끼움요부에 끼움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판체로, 상기 발코니의 배수구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고 배수구와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다수 개의 높이조절러버; 및 측단면이 "ㄱ"자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다수 개 연속적으로 시공된 경사배수판의 측단을 빙둘러서 마감하는 마감패킹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코니에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필요시 철거가 보다 용이하며, 바닥의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배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Prefabricated Draining Board of Roofing Tile Type for Balcony of Apartmem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코니에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필요시 철거가 보다 용이하며, 바닥의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배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은 물론 빌딩 등을 건축할 때 발코니(Balcony)나 베란다(Veranda)에는 빗물 또는 오수 등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발코니 바닥 타일 마감공사시 한쪽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 즉 한쪽면 가장자리 전체 또는 중앙부를 다른 곳 보다 낮게 경사면을 갖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상기 배수로를 통해 물을 배수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방식은 배수로 구배를 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감각에 의존하게 되므로, 구배가 일정하지 않으면 빗물이 배수로를 통해 확실하게 배수되지 못한 채 낮은 곳으로 모이게 되고, 이처럼 배수되지 않고 고여 있는 물은 점차 바닥으로 스며들게 되어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는 물론 아래층의 천장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어 그 정도가 심하면 바닥면을 재시공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코니 배수구조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581015호 및 국내등록특허 제10-0691386호 등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코니에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필요시 철거가 보다 용이하며, 바닥의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배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측의 두께보다 후방측의 두께가 두껍고 공동주택의 발코니 바닥에 시공되는 직사각형상의 합성수지 판체로, 발코니의 배수구를 향하는 전방측 선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 상부에는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홈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홈 내측 상부에는 너트홈을 상부에서 밀폐시키는 마감캠이 형성되고, 후방측 선단부에는 상부 두께가 반 이상이 절단되는 안착요부를 갖는 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되는 앵커볼트가 다수 개 수직 기립되게 설치되어, 다수 개가 순차적으로 볼트공과 앵커볼트에 의해 너트로 체결고정되어 서로 포개어지면서 연속적으로 시공되는 다수 개의 경사배수판;
우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배수판의 받침부가 삽입되는 삽입요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받침부의 앵커볼트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다수 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끼움요부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결구;
상기 연결구 저면의 끼움요부에 끼움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판체로, 상기 발코니의 배수구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고 배수구와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다수 개의 높이조절러버; 및
측단면이 "ㄱ"자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다수 개 연속적으로 시공된 경사배수판의 측단을 빙둘러서 마감하는 마감패킹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경사배수판의 전방측 선단 또는 선단 저면에는 경사배수판 간의 밀폐력을 높여 경사배수판 하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이 일체로 더 포함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코니에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필요시 철거가 보다 용이하며, 바닥의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배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의 결합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한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1)은, 발코니(50)의 바닥면에 기와의 배열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경사면을 형성시키는 다수 개의 경사배수판(10)과, 경사배수판(10)의 후방선단에 결합되어 높이조절러버(30)에 의해 경사배수판(10)의 후방 높이를 적당히 높여주는 연결구(20)와, 연결구(20)의 저면에 삽입되어 경사배수판(10) 후방측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높이조절러버(30)와, 기와 배열방식으로 발코니(50)의 바닥면에 경사지게 배열된 다수 개 경사배수판(10)의 측면을 마감시켜 경사배수판(10)의 유동을 방지하는 마감패킹(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배수판(10)은, 전방측의 두께보다 후방측의 두께가 두껍고 공동주택의 발코니(50) 바닥면에 시공되는 직사각형상의 합성수지 판체로, 발코니(50)의 배수구(51)를 향하는 전방측 선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개의 볼트공(14)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14) 상부에는 너트(15a)가 삽입되는 너트홈(15)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홈(15) 내측 상부에는 너트홈(15)을 상부에서 밀폐하면서 상면을 동일 연장선으로 마감시키는 마감캠(16)이 형성되고, 후방측 선단부에는 상부 두께가 반 이상이 절단되는 안착요부(12)를 갖는 받침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1)에는 상기 볼트공(14)에 대응되는 앵커볼트(13)가 다수 개 수직 기립되게 설치되어, 다수 개가 순차적으로 볼트공(14)과 앵커볼트(13)에 의해 너트(15a)로 체결고정되어 서로 포개어지면서 연속적으로 시공된다. 이때, 상기 경사배수판(10)의 전방측 선단 또는 선단 저면에는 경사배수판(10) 간의 밀폐력을 높여 경사배수판(10) 하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17)이 일체로 포함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킹(17)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경사배수판(10)과 다른 경사배수판(10)과의 접촉면에는 방수나 접착을 위한 실링부재(도시않음)나 접착부재(도시않음)를 도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20)는, 우측단면이 "ㄷ"자 형상인 프레임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배수판(10)의 받침부(11)가 삽입되는 삽입요부(2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받침부(11)의 앵커볼트(1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다수 개의 장공(22)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끼움요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러버(30)는, 상기 연결구(20) 저면의 끼움요부(23)에 끼움결합되는 고무재질의 다수 개 판체로, 상기 발코니(50)의 배수구(51)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고 배수구(51)와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져 구배를 가짐으로써 물빠짐이 좋도록 한다.
상기 마감패킹(40)은, 측단면이 "ㄱ"자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시공된 경사배수판(10)의 측단을 빙둘러서 마감시킴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해 다수 개 경사배수판(10)의 배열이 흩트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 개 경사배수판(10)의 후방측 받침부(11)에 연결구(20)를 각각 끼움결합시킨다. 이때, 장공(22) 내부에 앵커볼트(13)를 위치시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 발코니(50)의 배수구(51)에서 멀어지는 순서에 따라 연결구(20) 저면의 끼움요부(23)에 두께가 얇은 높이조절러버(30)에서 두께가 높은 높이조절러버(30)를 순차적으로 삽입고정시킨다.
그 다음, 연결구(20)와 높이조절러버(30)를 결합하지 않은 경사배수판(10)을 발코니(50)의 배수구(51)와 가장 인접되게 위치시킨 후, 경사배수판(10) 중에서 두께가 가장 얇은 높이조절러버(30)가 고정된 연결구(20)를 갖는 경사배수판(10)을 그 다음으로 발코니(50)의 배수구(51)와 인접되게 위치시킨다.
그 상태에서, 그 다음의 높이를 갖는 높이조절러버(30)가 고정된 연결구(20)를 갖는 경사배수판(10)의 전방측 볼트공(14)을 가장 전방측 경사배수판(10)의 앵커볼트(13)에 맞춰 삽입시킨 다음, 너트홈(15) 내에서 너트(15a)로 각각 체결고정시킨 다음 마감캡(16)으로 너트홈(15)을 마감처리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발코니(50)의 배수구(51)에서 가장 먼 방향으로 높이조절러버(30)의 두께가 얇은 순서대로 경사배수판(10)을 배열 고정시키면 된다.
그런 다음, 다수 개가 기와형으로 배열된 경사배수판(10)의 외측단을 마감패킹(40)으로 둘러서 기와형으로 배열된 경사배수판(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배열이 흩트려지지 않도록 모서리 마감처리하면 된다.
이렇게 발코니(50)의 바닥면에 시공된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1)은 구배가 정확하게 시공되어 경사배수판(10) 위에 떨어진 물은 경사면을 따라 그대로 흘러 배수구(51)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1 :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10 : 경사배수판 11 : 받침부
12 : 안착요부 13 : 앵커볼트
14 : 볼트공 15 : 너트홈
15a : 너트 16 : 마감캡
17 : 패킹
20 : 연결구 21 : 삽입요부
22 : 장공 23 : 끼움요부
30 : 높이조절러버
40 : 마감패킹
50 : 발코니 51 : 배수구

Claims (2)

  1. 전방측의 두께보다 후방측의 두께가 두껍고 공동주택의 발코니 바닥에 시공되는 직사각형의 합성수지 판체로, 발코니의 배수구를 향하는 전방측 선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 상부에는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홈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홈 내측 상부에는 너트홈을 상부에서 밀폐시키는 마감캠이 형성되고, 후방측 선단부에는 상부 두께가 반 이상이 절단되는 안착요부를 갖는 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되는 앵커볼트가 다수 개 수직 기립되게 설치되어, 다수 개가 순차적으로 볼트공과 앵커볼트에 의해 너트로 체결고정되어 서로 포개어지면서 연속적으로 시공되는 다수 개의 경사배수판;
    우측단면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배수판의 받침부가 삽입되는 삽입요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받침부의 앵커볼트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다수 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끼움요부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결구;
    상기 연결구 저면의 끼움요부에 끼움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판체로, 상기 발코니의 배수구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고 배수구와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다수 개의 높이조절러버; 및
    측단면이 "ㄱ"자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시공된 경사배수판의 측단을 빙둘러서 마감하는 마감패킹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배수판의 전방측 선단 또는 선단 저면에는 경사배수판 간의 밀폐력을 높여 경사배수판 하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이 일체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KR1020130072072A 2013-06-24 2013-06-24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KR10129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072A KR101294615B1 (ko) 2013-06-24 2013-06-24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072A KR101294615B1 (ko) 2013-06-24 2013-06-24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615B1 true KR101294615B1 (ko) 2013-08-08

Family

ID=4922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072A KR101294615B1 (ko) 2013-06-24 2013-06-24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6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080U (ja) * 1993-02-04 1994-09-02 勝也 平岡 化粧材打込み床板
JPH0738302U (ja) * 1993-12-27 1995-07-14 ダイワラクダ工業株式会社 床 材
KR101085466B1 (ko) 2011-09-23 2011-11-21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1216598B1 (ko) 2012-07-13 2012-12-31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080U (ja) * 1993-02-04 1994-09-02 勝也 平岡 化粧材打込み床板
JPH0738302U (ja) * 1993-12-27 1995-07-14 ダイワラクダ工業株式会社 床 材
KR101085466B1 (ko) 2011-09-23 2011-11-21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1216598B1 (ko) 2012-07-13 2012-12-31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4650C2 (ru) Нару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US20120079652A1 (en) Reversible low profile shower base
US10165905B2 (en) Shower base
US20110197355A1 (en) Low profile shower base
US7694477B2 (en) Hangerless precast cladding panel system
US8490349B2 (en) In-floor track assembly for sliding panels with built-in drainage system
US8561367B2 (en) Parapet vent
KR101216598B1 (ko) 건축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2020686B1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KR101311682B1 (ko) Lsp 조립식 칸막이
US20160281417A1 (en) A drainage unit
US8601751B2 (en) Concealed sliding partition track and integrated subterranean water removal system
KR100986204B1 (ko) 평슬라브 옥상의 방수 시스템
KR101294615B1 (ko)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되는 기와형 조립식 배수판
US10028623B1 (en) Unitary shower curb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a unitary shower curb system
KR20110083890A (ko)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GB2468676A (en) Elongated drain for a wet area
US11293189B2 (en) Flooring system for use in a sloped floor
US20180184854A1 (en) Modular shower pan
KR100581015B1 (ko) 발코니 배수시설
US20230380637A1 (en) Shower curb system
JP5951313B2 (ja) 建物付設物
WO2016120911A1 (ja) 防水構造
NZ587475A (en) Bathroom floor with gaps to allow drainage to a waterproof tray on a sub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