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963B1 -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963B1
KR101293963B1 KR1020110075493A KR20110075493A KR101293963B1 KR 101293963 B1 KR101293963 B1 KR 101293963B1 KR 1020110075493 A KR1020110075493 A KR 1020110075493A KR 20110075493 A KR20110075493 A KR 20110075493A KR 101293963 B1 KR101293963 B1 KR 10129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e
defrost
air conditioning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3725A (en
Inventor
박지민
김선원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963B1/en
Publication of KR2013001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7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96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7Control means therefor for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윈도우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에어컨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조제어기가 센서로부터 검출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를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현재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 경우,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되도록 디프로스트 모드로 제어하되,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moisture removal of a vehicl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 passive air conditioner vehicle that can more effectively perform window moisture removal and generation prevention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sive air conditioner. It i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by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whether the current indoor condition satisfies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based on the window temperature and the indoor humidity detected by the sensor; 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air mode is currently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outside air mode is operated while satisfying the conditions for entering the auto defog, the air is controlled in the defrost mode so that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efrost vent, and the air distribution to the defrost vent is gradu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irflow blower. It provides a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removing the window of the vehicle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Description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windows

본 발명은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윈도우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에어컨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dehumidifying a window of a vehicle,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for automatically dehumidifying a window of a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that can more effectively perform window dehumidification and generation prevention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sive air conditioner It is about a method.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와 외부 사이에는 온도차가 있으므로 습도가 높을 경우 차량 윈도우에 수증기가 응축되어 시야를 차단하는 포깅(fogging) 현상이 발생한다.In general, since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when the humidity is high, water vapor condenses on the vehicle window, causing a fogging phenomenon that blocks the view.

이러한 포깅 현상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증대시키고, 특히 전방의 윈드쉴드 글래스에 포깅 현상이 발생하면 주행 중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차단하므로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The fogging phenomenon increase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especially when the fogging phenomenon occurs on the windshield glass in front of the driver, the front vision of the driver may be blocked while driving, which may cause serious accidents.

이에 공조장치의 제어 모드에는 윈도우의 포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즉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한 디포그(defog)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mode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defog mode for preventing the window from fogging, that is, for removing moisture and preventing genera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모드는 공기유입방식과 공기토출방식에 따라 여러 모드로 분류되고 있는데, 공기유입방식에 따라서는 외기모드와 내기모드, 혼합모드 등으로 구분되고, 공조장치의 에어 인테이크부에는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에어 인테이크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The air conditioning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classified into various modes according to the air inflow method and the air discharge method, and according to the air inflow method, it is divided into the air mode, the bet mode, and the mixed mode. Air intake doors are provid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the outside air inlet.

외기모드에서는 에어 인테이크 도어에 의해 내기유입구가 닫히고 외기유입구가 열려 차량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In the outdoor mode, the air inlet door is closed and the air inlet is opened to allow fresh air from outside the vehicle.

반면 내기모드에서는 에어 인테이크 도어에 의해 외기유입구가 닫히고 내기유입구가 열려 차량 내부 공기를 재유입 및 순환시킴으로써 신속한 공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etting mode, the air intake door is closed by the air inlet door and the inlet is opened to allow quick air conditioning by re-introducing and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공기 토출 방식에 따라서는 페이스 모드(FACE; 또는 벤트(Vent) 모드라 함)와 디프로스트 모드(DEF), 플로어 모드(FLR), 바이레벨(Bi-level) 모드 등으로 구분되며, 이를 위해 공조장치는 공기 유동 경로를 변화(풍향 조절)시키는 도어와, 각 벤트를 개폐시키는 벤트 도어를 포함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air discharging method, it is divided into face mode (FACE) or vent mode, defrost mode (DEF), floor mode (FLR), and bi-level mode. The apparatus includes a door for changing the air flow path (wind adjustment) and a v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vent.

공조장치의 벤트는 차량 플로어 및 운전자 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플로어 벤트, 얼굴 및 가슴 등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페이스 벤트,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디프로스트 벤트로 구분되고, 각 벤트의 입구부에 벤트 도어가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해당 벤트를 개폐시키고 있다.Vents are classified into floor vents for discharging air to the vehicle floor and driver's feet, face vents for discharging air to the face and chest, and defrost vents for discharging air to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The vent door is provided at the inlet of each vent to open and close the vent in accordance with the air conditioning mode.

디포그 모드는 상기한 통상적인 제어와는 달리 포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제어에 해당하며, 주로 외기를 유입시켜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시키는 방식으로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Unlike the conventional control, the defog mode corresponds to a special control for preventing a fogging phenomenon, and mainly refers to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by introducing external air and discharging it through the defrost vent.

일반적인 디포그시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은 포깅 현상이 발생하거나 예상되었을 때 외기모드로 전환, 디프로스트 모드로 전환, 공조블로워 풍량 증대, 에어컨 작동(A/C On)의 방법으로 포깅 현상을 제거하거나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when defogging,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is to remove the fogging phenomenon by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to the defrost mode, increasing the air conditioning blower air volume, and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A / C On) when a fogging occurs or is expected. To prevent it.

한편, 최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실내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주는 오토 에어컨(FATC: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의 장착이 증가하고 있다.Meanwhile, recently, the installation of an automatic air conditioner (FATC: 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which automatically adjusts the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user settings and maintains a comfortable environment, is increasing.

오토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이하, 오토 에어컨 차량이라 함)에서는 공조 작동시 윈도우의 습기 발생 조건(포깅 발생 조건)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습기를 제거 및 생성 방지하는 오토디포그(autodefog) 모드가 수행된다.Vehicles equipped with auto air condition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to air conditioners) have an autodefog mode that automatically removes and prevents moisture when the window detects moisture generation conditions (fogging conditions) during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즉, 차량 윈도우에 응집된 습기의 자동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해 공조제어기가 윈도우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고, 검출된 온도와 이슬점 온도(검출된 습도로부터 계산됨)의 차이에 따라 자동으로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한 선택적이면서도 단계적인 공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automatic removal and generation of moisture condensed on the vehicle window,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receives a signal of a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the window surface temperature and a humidity sensor detecting the indoor humidity, and detects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dew point temperature (detection). Automatic control based on the difference in humidity) to perform selective and step-by-step air conditioning control to remove moisture and prevent generation.

도 1은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기본적으로 공조제어기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S1) 소정의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습기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공조장치를 오토디포그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for automatic moisture removal in an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and basically,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receives signals from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S1), and enters a predetermined auto defog entry condition (humidity generating condition). 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in the auto defogging mode.

이때, 외기모드 전환(S2), 디프로스트 모드 전환(S3), 공조블로워 풍량 증대(S4), 에어컨 작동(S5) 등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S2 ~ S5의 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하며, 각 단계의 작동만으로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의 작동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제어가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external air mode switching (S2), defrost mode switching (S3), air conditioning blow air volume increase (S4), air conditioner operation (S5), etc. are performed in stages, S2 ~ S5 until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Steps are performed in order, and if the auto defogger canceling condition is not satisfied by the operation of each step, the control is performed by procee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ext step.

예컨대,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에서 외기모드로 전환하되(S2), 외기모드 진입 및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 즉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외기를 토출시키는 디프로스트 모드로 전환하는 식이다(S3).For example, when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is switched to the external air mode (S2), but the auto defogging release condition is not reached even after entering the external air mode and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defrost which discharges the outside air through the next step, that is, the defrost vent. The mode is switched to (S3).

또한 디프로스트 모드를 통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공조블로워의 풍량을 증대시키고(S4), 공조블로워의 풍량 증대로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에어컨을 작동시킨다(S5).In addition, when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not reached through the defrost mode,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increased (S4), and when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not reached even by the increase of the airflow blower air conditioner (S5). ).

이와 같이 차량 내 온/습도 검출을 통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상기 S2 ~ S5 단계를 자동 수행하는 방식으로 공조 제어가 이루어진다.As such, when the conditions for entering the auto defog are satisfied through the detection of temperature / humidity 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is performed 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steps S2 to S5 until the conditions for auto defog release are satisfied in order to remove moisture and prevent generation. Is done.

이러한 공조 제어는 디포그를 위해 에어컨 작동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무조건 에어컨을 작동시킬 경우 차량 연비가 악화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으로, 에어컨 작동을 최소화하면서 디포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상황에서만 에어컨을 작동시키므로 습기 제거의 목적 달성과 더불어 연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This air conditioning control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air conditioner for defog, but it takes into account that the fuel economy may deteriorat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unconditionally, and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only when necessary for defog while minimizing the air conditioner operation. In addition to achieving its goals, it also contributes to improved fuel economy.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조 제어 과정은 오토 에어컨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오토 에어컨의 경우 외기모드로의 전환, 디프로스트 모드로의 전환, 풍량 제어, 에어컨 작동이 모두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However,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an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In the case of the auto air conditioner, the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the switching to the defrost mode, the air volume control, and the air conditioner operation may all be automatically controlled.

특히,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는 공조제어기가 FET 회로를 제어하여 공조블로워의 회전속도와 풍량을 별도 수조작 없이 전기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in an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controls the FET circuit to electrically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rotation speed and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without any manual operation.

반면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이하, 수동 에어컨 차랑이라 함)의 경우 외기모드로의 전환, 디프로스트 모드로의 전환, 에어컨 작동은 필요 시점에서 공조제어기가 자동으로 전환 및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절에 대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풍량조절 스위치를 조작할 때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sive air conditio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ssive air conditioner car)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witch and operate the air conditioner when necessary when the air conditioner, the defrost mode, and the air conditioner are switched. However, the air volume control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possible only when the driver directly operates the air volume control switch.

따라서,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는 상기한 공조 제어 과정 중 습기 제거를 위한 풍량 증대 과정(S4)의 수행이 불가하고,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모드가 오토 에어컨 차량만큼 세분화될 수 없다. Therefore, in the air conditioner vehicle, the air volume increase process S4 for removing moisture is not per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control process, and the air conditioner control mode for removing moisture cannot be subdivided as much as the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는 풍량조절 스위치로서 주로 회전식 풍량조절 노브(가변 레지스터(resistor) 타입)가 사용되므로 운전자 수조작이 있기 전에는 전기적으로 스위치 제어 및 풍량 제어가 불가능하다. In a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a rotary air volume control knob (variable resistor type) is mainly used as the air volume control switch, so that switch control and air volume control are not possible until there is manual operation by a driver.

특히,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 운전자가 풍량조절 스위치를 저단으로 조작해놓은 상태에서 풍량 부족시에는 디프로스트 모드를 통한 습기 제거에 한계가 있으므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In particular, in a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air volume control switch at a low stage, when the air volume is insufficient, there is a limit in removing moisture through the defrost mode, and thus it needs to be improv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윈도우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에어컨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 passive air conditioner vehicle, which can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to prevent window moisture removal and generation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passive air conditioner. ha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공조제어기가 센서로부터 검출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를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b)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현재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c)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 경우,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되도록 디프로스트 모드로 제어하되,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indoor condition satisfies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based on the window temperature and the indoor humidity detected by the air conditioner; b) 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air mode is currently operating in a state where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c) If the outside air mode is operated while satisfying the conditions for entering the auto defog, the air is controlled in the defrost mode so that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efrost vent, but the air distribution to the defrost vent according to the airflow blower It provides a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removing the window of the vehicle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tep.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공조블로워의 설정된 풍량 조작 단수를 기준으로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적은 저단일수록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air distribution amount to the defrost vent step, the lower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relative to the set air flow rate stag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relative to the air distribution amount to the defrost vent It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또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작 단수가 미리 설정된 단수 이상의 고단인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설정된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고,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작 단수가 상기 설정된 단수 미만의 저단인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이 상대적으로 많게 설정된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air distribution of the defrost vent step by step, when the air flow rate operation stag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a high stag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stage, the air distribution amount to the defrost vent in the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is set relatively small And controlling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in which the air distribution amount to the defrost vent is set to be relatively large when the air flow manipulation stag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a low stage less than the set stage.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로부터 계산된 이슬점 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from the window temperature and the room humidity in step a) is less than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defog entry conditions are satisfied.

또한 상기 a) ~ c) 단계의 공조 제어 과정은 사용자가 차량에 설치된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오토디포그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은 공조제어기의 제어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steps a) to c)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an air conditioning controller that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witch when the user operates the auto defog switch installed in the vehicl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조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만 가능한 풍량 증대 모드 대신, 수동 에어컨 차량의 오토디포그 작동시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외기를 토출시키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 배분율(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세분화하여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자동 습기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volume distribution ratio of the defrost vent in the defrost mode in which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efrost vent during the auto defogging operation of the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instead of the air volume increase mode that is possible only in the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By subdividing and controlling the air distribution amount to the defrost vent according to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automatic moisture removal can be achieved.

또한 오토디포그시 공조블로워의 저단 풍량에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디프로스트 배분량)을 증대시켜 풍량 부족을 보완해줌으로써, 보다 용이한 습기 제거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air distribution (defrost distribution) to the defrost vent in the low-stage air flow of the air defoaming air blow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age of air volume, it is possible to remove moisture more easily.

또한 수동 에어컨 차량의 오토디포그시 습기 제거를 위한 에어컨 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연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o remove moisture during the automatic defogging of the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도 1은 종래의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 자동 습기 제거(오토디포그)를 위한 공조 제어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수동 에어컨 차량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위한 풍향조절 캠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위해 수동 에어컨 차량에 구비되는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by-step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for automatic moisture removal (auto defogging) in a conventional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passive air conditioner vehicle.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cam for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 defog switch provided in a passive air conditioner vehicle for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은 수동 에어컨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자동 습기 제거(오토디포그)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오토 에어컨 차량의 풍량 증대 모드 대신,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외기를 토출시키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 배분율(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차별화한 복수의 모드(후술하는 제1 및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세분화하여 제어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dehumidification (auto defogging) that can be applied to a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and in the defrost mode for discharg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defrost vent instead of the air volume increasing mode of the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The main characteristic is that the air volume distribution ratio of the frost vent (the air distribution ratio to the defrost v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es (first and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s described below)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will be.

이는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 효율적인 오토디포그 모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는 풍량 자동 제어가 불가하여(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만 풍량 조절이 가능한 레지스터 타입)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적은 저단 조작 상태(예, 풍량 1단 조작 상태 등)에서 풍량 부족으로 인해 습기 제거의 어려움이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This is to allow efficient auto defog mode to be performed in a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In the air conditioner vehicle, the air volume is not automatically controlled (a register type whose air volume can be adjusted only by the operator's switch operation). Considering the difficulty in removing moisture due to the lack of air volume in the operating state (eg, air flow stage 1 operating state, etc.).

따라서, 자동으로 풍량을 증대시키는 모드 대신, 본 발명에서는 오토디포그시 공조블로워의 저단 풍량에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디프로스트 배분량)을 증가시켜,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되는 증가된 풍량으로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stead of the mode of automatically increasing the air volume,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ir distribution amount (defrost distribution amount) to the defrost vent at the low stage air flow rat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at the time of auto defogging,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efrost vent. The amount of air flow can effectively remove moisture and prevent generation.

이렇게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세분화하여 제어할 경우, 오토 에어컨 차량의 풍량 제어를 대신할 수 있어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에어컨 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바, 차량의 연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f the defrost distribution is divid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t can replace the air volume control of the auto air conditioner vehicle, thereby minimiz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utomatic moisture removal. Will be.

도 2는 수동 에어컨 차량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위한 풍향조절 캠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위해 수동 에어컨 차량에 구비되는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passive air conditioner vehicle,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nd direction control cam for an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llustrate an auto defog switch provided in a passive air conditioner vehicle.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에서는 수동 에어컨 차량의 풍량 자동 제어가 불가함을 고려하여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풍량 배분율(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 이하, 디프로스트 배분량이라 약칭함)을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디프로스트 모드가 세분화된다. In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volume distribution ratio to the defrost vent according to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n consideration of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air volume of the manual air conditioner vehicle (air distribution amount to the defrost vent, hereinafter, the defrost distribution amount Defrost mode is subdivided to allow for multiple steps.

특히, 공조블로워의 저단 풍량에서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공조제어기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In particular, in order to relatively increase the amount of defrost distribution in the low stage air flow rat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a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defrost distribution in the defrost mode by an electrical signal of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is required.

이와 같이 공조제어기가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디프로스트 모드의 세분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 풍향조절 캠의 구조가 변경된다.Thus,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wind direction control cam is changed to enabl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to control the defrost distribution step by step while realizing the segmentation of the defrost mode.

상기 풍향조절 캠은 공조장치에서 사용자의 공조스위치 조작, 즉 노브 또는 버튼 조작에 따라 공조모드를 변경시키는 기구로, 공조장치의 하우징 외면에 설치되고, 회전 위치에 따라 공기 유동 경로를 변화(풍향 조절)시키는 도어의 위치를 변화시키게 된다.The air direction control cam is a mechanism for changing the air conditioning mode according to a user's air conditioning switch operation, that is, a knob or a button operation 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hanges the air flow path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wind adjustment Will change the position of the door.

통상 풍향조절 캠의 주변에는 3개의 아암이 구비되고, 풍향조절 캠이 케이블에 의해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3개의 아암이 동시에 작동하여 아암축에 연결된 덕트 내 도어들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선택된 공조모드가 실행된다. In general, three arms are provided around the wind direction control cam, and when the wind direction cam is rotated by a cable, the three arms connected to the wind direction control are simultaneously operated to adjust the positions of the doors in the duct connected to the arm shaft to execute the selected air conditioning mode. do.

또한 풍향조절 캠(21)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안내슬롯(22,23,24)이 형성되고, 풍향조절 캠의 회전에 따른 각 아암의 움직임은 상기 안내슬롯에 의해 안내 또는 제한된다.In addition, three guide slots 22, 23, and 24 are formed in the wind direction control cam 21, and the movement of each arm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cam is guided or restricted by the guide slots. .

즉, 각 아암에 형성된 돌기(25,26,27)가 풍향조절 캠(21)의 안내슬롯(22,23,24)을 따라 이동하면서 아암들의 움직임이 제어되는데, 도 3의 캠(21)이 회전되면 돌기(25,26,27)들은 안내슬롯(22,23,24) 내에서 그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돌기(25,26,27)들의 위치에 따라 아암의 위치가 결정되면서 공조모드가 선택된다.That is, as the projections 25, 26, and 27 formed on each arm move along the guide slots 22, 23, and 24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cam 21, the movement of the arms is controlled. The cam 21 of FIG. When rotated, the protrusions 25, 26, 27 move along the trajectory within the guide slots 22, 23, 24, and the air conditioner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ar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s 25, 26, 27. The mode is selected.

이러한 풍향조절 캠의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 수준에서 주지의 기술적 사항이고, 공개특허 제2009-0034150호 등의 선행특허문헌에도 개시되어 있는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The configuration of such a wind direction control cam is a technical matter well known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disclosed in prior patent documents such as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0034150,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

단,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향조절 캠(21)에 기존 공조모드 외에 오토디포그 모드시 선택되는 2개의 모드 위치가 추가되며(예, 기존 7 개소→ 본 발명 9 개소), 이때 추가되는 모드는 오토디포그시 공조블로워의 고단 풍량(예, 전체 4단 중 2단 이상) 조작 상태에서 선택되는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 공조블로워의 저단 풍량(예, 전체 4단 중 1단) 조작 상태에서 선택되는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이다.However,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wo mode positions selected in the auto defog mode are added to the wind direction control cam 21 in addition to the existing air conditioning mode (for example, existing 7 locations → 9 lo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additional mode is the position of the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selected in the high stag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e.g., two or more stages of the four stages) and the low stag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e.g., all four). It is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position selected in operation stage 1).

따라서, 본 발명의 오토디포그 제어시에는, 특히 오토디포그의 디프로스트 모드가 수행될 때에는, 풍행조절 캠(21)의 회전이 공조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풍향조절 캠의 각 안내슬롯(22,23,24)에서 아암의 돌기(25,26,27)들이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2단 이상의 고단 풍량시)에 있게 되거나,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저단 풍량시)에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auto defo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when the defrost mode of the auto defog is performed, the rotation of the wind control cam 21 is controlled by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so that the guide slots 22, 23 and 24, the protrusions 25, 26 and 27 of the arm may be in the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position (at two or more stages of high stage air volume) or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position (low stage) depending on the airflow blower air volume. Air volume).

상기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와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는 기존의 디프로스트 모드 위치와 구분되는 것으로, 도 2의 오토디포그 모드 수행에 있어서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결정하는 위치이며,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에서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에 비해 디프로스트 배분량이 증가되도록 설정된다(돌기, 아암, 도어의 위치가 설정됨).The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and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positions are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defrost mode positions, and are positions for determining the defrost distribution amount in the execution of the auto defogging mode of FIG. 2. The defrost distribution amount is set to be increased in the frost distribution mode position compared to the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position (positions of the protrusions, arms, and doors are set).

이에 아암들의 움직임이 제1,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로 제한되면서 도어의 위치가 결정되고, 도어의 위치에 따라 디프로스트 배분량이 조절될 수 있는바, 결국 오토디포그시 풍향조절 캠의 회전 제어를 통해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증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s the movement of the arms is limited to the first and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positions, the position of the door can be determined, and the defrost distribution amoun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oor. The control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efrost distribution step by step.

한편, 도 2의 공조 제어 과정, 즉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이 운전자나 사용자가 조작할 경우 자동 수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오토디포그 스위치(11)가 추가되며, 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Figure 2, that is, a separate auto defog switch 11 is added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driver or the user operates, as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공조스위치들과 함께 오토디포그 스위치(11)가 차량에 설치되는데, 운전자나 사용자가 오토디포그 스위치(11)를 조작할 경우 공조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오토디포그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이에 공조제어기의 제어하에 도 2의 공조 제어 과정이 수행된다.As shown, the auto defog switch 11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existing air conditioning switches. When the driver or the user operates the auto defog switch 11,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not shown) is auto depot.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is received, and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FIG. 2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오토디포그 스위치(11)는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식이 될 수도 있으나, 회전 조작으로 선택할 수 있는 노브식이 될 수도 있다.The auto defog switch 11 may be a button type as shown, or may be a knob type that can be selected by a rotation operation.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moisture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의 자동 습기 제거(오토디포그)를 위한 공조 제어 과정에서는 디프로스트 모드 작동시 공조블로워의 설정된 풍량 조작 단수를 기준으로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적은 저단일수록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 배분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In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for automatic dehumidification (auto defogg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rate distribution ratio of the defrost vent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low on the basis of the set air flow control stag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during the defrost mode operation. Let's do it.

먼저, 공조 일반 모드 작동 동안 오토디포그 스위치가 조작된 상태에서 공조제어기가 차량 윈도우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검출된 온도와 습도를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게 된다(S11).First, while the auto defog switch is operated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receives signals from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the vehicle window surfac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sensor detecting the indoor humidity. On the basis of th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indoor condition satisfies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S11).

이때,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이슬점 온도(검출된 습도로부터 계산됨)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이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오토디포그 모드가 수행된다.At this tim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from the detected humidity) is less than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and until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Auto-defog mode is performed.

즉,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게 되면, 공조제어기는 현재 외기모드로 작동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S12), 만약 내기모드나 혼합모드로 작동되고 있는 경우라면, 외기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S13).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air conditioner is currently operating in the external air mode (S12), and if it is operated in the bet mode or the mixed mode, switches to the external air mode. (S13).

이렇게 외기모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설정시간 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데(S22),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이슬점 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오토디포그 모드가 해제되고, 다시 공조 일반 모드로 전환된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the set time in the state of switching to the outside mode (S22).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value,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 defogging mode is released, and the mode is switched back to the air conditioning normal mode.

상기 S12 단계에서,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으로 판정한 상태에서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었다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할 때까지 오토디포그를 위한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한바, 이후 단계인 디프로스트 벤트로 공기(외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어 과정이 진행된다.In step S12, if the external air mode is operated in the state determined as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an additional process for auto defog is required until the auto defog release condition is reached. A control process for discharging (outside air) is performed.

즉, 외기모드에서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현재의 디프로스트 모드가 100 % 디프로스트 모드이거나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인지를 확인하고(S14), 여기서 100 % 디프로스트 모드 및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가 모두 아닌 경우,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또는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S15,S16,S17).That is, if the auto defogging entry condition is in the outside mode,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defrost mode is 100% defrost mode or defrost distribution mode (S14), where 100% defrost mode and defrost distribution mode are present. If not, the control is performed in the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or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according to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S15, S16, S17).

100% 디프로스트 모드는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율이 100%인 상태로서, 공기가 모두 디프로스트 벤트로 배분되는 모드를 의미하며,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는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와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The 100% defrost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air distribution ratio to the defrost vent is 100%, which means that all the air is distributed to the defrost vent, and the defrost distribution mode is the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and the second defrost. It means any one of the distribution modes.

S14 단계에서 100 % 디프로스트 모드 및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가 모두 아닌 경우, 현재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미리 설정된 단수 이상의 고단 상태인가를 확인하는데(S15), 예를 들어 2단 이상의 고단 상태이면, 풍향조절 캠의 회전 제어를 통해 쾌적성 위주의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시킨다(S16).If the 100% defrost mode and the defrost distribution mode in step S14 are not both,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air conditioning blower is a predetermined high stage or higher stage (S15), for example, if two or more stages of high stage, wind direction control The rotation control of the cam switches to the comfort-oriented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S16).

반면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1단의 저단 상태이면(고단 상태가 아니면), 풍향조절 캠의 회전 제어를 통해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증대시켜 풍량 부족을 보완하기 위한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시킨다(S17).On the other hand, if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in the low stage of the first stage (other than the high stage), the rotation control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cam increases the amount of defrost distribution to switch to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air volume ( S17).

상기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또는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도 설정시간 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데(S22),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오토디포그 모드가 해제되고, 다시 공조 일반 모드로 전환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or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is switch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to defogging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a set time (S22). The mode is released and the air conditioner is switched back to the normal mode.

한편, S14 단계에서 현재의 디프로스트 모드가 100% 디프로스트 모드이거나,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인 것으로 판정되면,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2단 이상의 고단인지를 판정하고(S18), 여기서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2단 이상인 경우라면, 고단 상태에서도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신속한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기 위해 에어컨을 작동시키게 된다(S20,S21).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the current defrost mode is 100% defrost mode or the defrost distribution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two or more stages (S18), where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In the case of two or more stages, the auto-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even in the high-stage state, so that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to reach the rapid auto-de-fog release condition (S20, S21).

반면 S18 단계에서 공조불로워의 풍량이 고단 상태가 아닌 경우, 예컨대 1단의 저단 상태인 경우, 현재 디프로스트 모드가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가 아니라면, 풍량 보족을 보완하기 위해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시킨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ir volume of the air-conditioning blower is not in the high stage in the step S18,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low stage of the first stage,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defrost mode is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and if it is not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ir volume, it is switched to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이렇게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되고 나면, 이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를 계속 유지하거나, 공조 일반 모드로 전환된다(오토디포그 모드 해제). After the switching to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the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is continuously maintained or switched to the air conditioning normal mode depending on whether the auto defogging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이와 같이 하여, 도 2의 공조 제어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은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 공조제어기의 제어하에 자동 수행되고, 위에서 오토디포그 모드시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가 풍량에 따라 제1 및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선택됨을 예로 들었으나,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와 배분 모드의 선택 기준이 되는 풍량 단수는 좀더 세분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FIG. 2 has been described, and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when the auto defog switch is operated, and the defrost distribution mode in the auto defog mode. Although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and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air volume, the air flow rate stages for selecting the defrost distribution mode and the distribution mode may be further subdivid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 오토디포그 스위치
21 : 풍향조절 캠
22, 23, 24 : 안내슬롯
25, 26, 27 : 돌기
11: auto defog switch
21: Wind direction control cam
22, 23, 24: guide slot
25, 26, 27: turning

Claims (5)

a) 공조제어기가 센서로부터 검출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를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b)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현재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c)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 경우,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되도록 디프로스트 모드로 제어하되,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공조블로워의 설정된 풍량 조작 단수를 기준으로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적은 저단일수록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a)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indoor condition satisfies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based on the window temperature and the indoor humidity detected from the sensor;
b) 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air mode is currently operating in a state where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c) If the outside air mode is operated while satisfying the conditions for entering the auto defog, the air is controlled in the defrost mode so that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efrost vent, but the air distribution to the defrost vent according to the airflow blower Controlling step by step;
Lt; / RTI >
In step of controlling the air distribution to the defrost vent,
A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for automatically removing a window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distribution to the defrost vent is relatively increased as a lower stage of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small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작 단수가 미리 설정된 단수 이상의 고단인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설정된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고,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작 단수가 상기 설정된 단수 미만의 저단인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이 상대적으로 많게 설정된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of controlling the air distribution of the defrost vent,
When the air flow rate operation stag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a high stage or more than a preset stage, the air is controlled to the first defrost distribution mode in which the air distribution amount to the defrost vent is set relatively low.
When the air flow rate operation stage of the air conditioning blower is a low stage less than the set stag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for automatically dehumidifying the window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in a second defrost distribution mode in which the air distribution amount to the defrost vent is set to be relatively high. W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로부터 계산된 이슬점 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in the step a),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from the window temperature and the indoor humidity is less than the set value, determining that the auto defog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 c) 단계의 공조 제어 과정은 사용자가 차량에 설치된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오토디포그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은 공조제어기의 제어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process of steps a) to c)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an air conditioning controller that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to defog switch when the user operates the auto defog switch installed 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dehumidification of windows.

KR1020110075493A 2011-07-28 2011-07-28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Active KR101293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493A KR101293963B1 (en) 2011-07-28 2011-07-28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493A KR101293963B1 (en) 2011-07-28 2011-07-28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725A KR20130013725A (en) 2013-02-06
KR101293963B1 true KR101293963B1 (en) 2013-08-07

Family

ID=4789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493A Active KR101293963B1 (en) 2011-07-28 2011-07-28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9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228A (en) * 2013-08-13 2015-02-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654A (en) * 2014-09-12 2016-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defogging of vehicle
KR102579713B1 (en) * 2016-11-25 2023-09-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6900186B2 (en) * 2016-12-21 2021-07-07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株式会社 Vehicle air conditioner
CN113375289A (en) * 2021-06-17 2021-09-10 中洁环境科技(西安)集团有限公司 Defrosting method and device for full-quality air conditioner
KR102633972B1 (en) * 2021-09-24 2024-02-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vehicle defogging service
CN114872661A (en) * 2022-03-29 2022-08-09 东风汽车有限公司东风日产乘用车公司 Energy-saving-based automatic demis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0391B2 (en) 1988-12-28 1997-1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Heater unit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
KR19990070967A (en) * 1998-02-26 1999-09-15 홍종만 Automatic generation device of frost and its method
KR20040099993A (en) * 2003-05-21 2004-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conditioner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elimination water vapor of window automatically in automobi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0391B2 (en) 1988-12-28 1997-1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Heater unit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
KR19990070967A (en) * 1998-02-26 1999-09-15 홍종만 Automatic generation device of frost and its method
KR20040099993A (en) * 2003-05-21 2004-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conditioner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elimination water vapor of window automatically in automob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228A (en) * 2013-08-13 2015-02-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645184B1 (en) 2013-08-13 2016-08-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725A (en)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963B1 (e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JP4710616B2 (en) Vehicle battery cooling system
KR101315708B1 (en) Operation and dis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 defog system
KR20070062728A (en) Automatic dehumidification system of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222506B1 (en) 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or fogging prevention
JP5101999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s
KR100534888B1 (en) Airconditioner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elimination water vapor of window automatically in automobile
KR10212943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100022693A (en) 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99137B1 (en) Auto defog apparatus of window for vehicle and its method
KR10157257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JP483288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649685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80080759A (en) How to control the defrost mode of the car air conditioner
KR101575546B1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S60440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396908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10124651A (e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KR20110020377A (en) Control method of vehicle air conditioner
KR20090090642A (en) How to control fog display inside the vehicle
KR100931678B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using interactive interface
KR100412847B1 (en) variable control type ventilation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KR20120131930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150022501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110089582A (en) Car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