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538B1 -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 Google Patents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538B1
KR101293538B1 KR1020130016403A KR20130016403A KR101293538B1 KR 101293538 B1 KR101293538 B1 KR 101293538B1 KR 1020130016403 A KR1020130016403 A KR 1020130016403A KR 20130016403 A KR20130016403 A KR 20130016403A KR 101293538 B1 KR101293538 B1 KR 10129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gel pad
backpack
shoulder strap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준
유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밀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밀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밀레
Priority to KR102013001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2003/045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and one additional strap around the waist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깨끈 내부에 젤패드가 내장되어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걸리는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인체의 굴곡을 따라서 용이하게 접철되는 구조를 갖는 어깨끈이 장착된 배낭에 관한 기술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A packsack having shoulder strap with gel pad}
본 발명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깨끈 내부에 젤패드가 내장되어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걸리는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인체의 굴곡을 따라서 용이하게 접철되는 구조를 갖는 어깨끈이 장착된 배낭에 관한 기술분야에 속한다.
배낭은 학생용가방이나 등산용 가방 기타 일반 가방에도 널리 애용되는 운반도구이며, 이러한 통상적인 배낭에는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어깨끈이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어깨끈을 이용하여 배낭을 어깨에 맬 경우에 배낭 및 그 내부의 소지품의 중량에 의하여 가방은 신체 등받이 하부로 쳐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어깨에는 좁은 폭을 가진 어깨끈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매우 커지게 되는 것이다.
장시간 반복적으로 이러한 배낭을 사용할 경우 착용자의 어깨 통증을 유발시키게 되며, 어깨끈 길이를 조절하여 신체에 배낭 몸체가 달라 붙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경우 배낭 착용감이 좋지 않게 되고, 배낭을 신체에 탈착하는 동작이 매우 불편해지게 된다.
한편, 어깨끈을 넓이를 넓게 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법이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어깨끈의 형상이 인체에 맞도록 제조되지 않거나 혹은 어깨끈 폭 가장자리 부위와 신체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집중하중(concentrated force)이 걸리게 되어 착용감이 그다지 우수하지 못하고, 어깨 부위가 국소적으로 마찰되는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이 안출되었으며, 보다 인체공학적인 어깨끈 설계를 위하여 실리콘 등 매우 유연한 재질의 젤 패드를 어깨끈에 내장하고 어깨끈의 단면은 인체 곡선에 맞도록 단면이 U 자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등산용 배낭의 경우 그 하중이 매우 육중하기 때문에 배낭에서의 어깨끈에 대한 인체역학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92083호(하중 분산용 가방) 상기 선행기술은 하중 분산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는 수용부가 마련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에 구비되며 신체의 등과 밀착되는 등받이부와, 그리고 일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신체의 어깨와 상기 가방본체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그 하단부에 결합되는 끈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젤패드에 관한 기술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착용자의 어깨,겨드랑이의 곡면에 상응하는 구조적 특징을 갖추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낭 및 내용물의 하중에 의하여 착용자 어깨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한층 편하게 배낭 휴대를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체에 맞도록 어깨끈 절곡부가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함은 물론 어깨와 겨드랑이 부위에서 느끼는 불편함이 현저히 줄어드는
배낭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착용자의 어깨뼈 중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대응하여 어깨끈 내부면에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어깨뼈 돌출부분을 감싸도록 하는 배낭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젤패드 자체도 여러개로 분할 되어 인접한 젤패드 사이의 공간마디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중이 분산되는 효과는 배가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배낭을 제시하고자 한다.
젤패드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타공부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젤패드의 유연성을 한층 증가시켜 전후좌우 방향으로 젤패드의 절곡이 자유로와 인체의 곡면을 따라 젤패드가 밀착되는 정도가 증가되는 배낭을 제시하고자 한다.
배낭몸체(200), 배낭몸체의 배면에 부착된 등받이부(300), 등받이부의 일측에 결합된 한쌍의 어깨끈(400)을 포함한 배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은,
제1,2 절곡부(460,470)을 기준으로 하여, 그에 인접한 부위 즉, 최하부의 겨드랑이고정부(410)와,
겨드랑이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젤패드(600)가 삽입되는 어깨접촉부(420)와,
어깨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몸체연결부(430)를 포함하며,
겨드랑이고정부와 어깨접촉부 사이에는 제1절곡부(460)가 형성되고, 어깨접촉부와 몸체연결부 사이에는 제2절곡부(47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의 중심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용 요홈부(461)가 형성되어, 배낭 착용자의 어깨뼈 부위중 전방으로 돌출되는 관절부위(80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겨드랑이고정부(410)는 겨드랑이 안쪽의 인체 곡선에 대응되게 소정의 굴곡을 가지며,
어깨접촉부(420) 내부의 젤패드는,
다수의 젤패드 단위체(610,611,612,613) 사이사이에는 인접 젤패드공간마디부(650)인 소정의 간격부를 형성하여, 배낭 착용시 어깨접촉부(4200가,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꺾이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이 제시된다.
어깨끈의 단면 형상은 역U자 형태로 형성되고, 어깨끈 단면상 양 끝단부를 잇는 수평선으로부터, 단면 굴곡 중심부까지의 거리(d)는 3mm 내지 8mm 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젤패드(600)에는 다수의 타공(640)이 형성되어, 타공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젤패드 단위체 각각이 전후좌우로 절곡되기가 용이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젤패드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젤패드를 수용하는 필름이 더 형성되어 젤패드로부터 유출되는 물질이 어깨접촉부를 이루는 섬유로 누출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발명의 상세한 구조 및 기능 설명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서술토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배낭 및 내용물의 하중에 의하여 착용자 어깨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한층 편하게 배낭 휴대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체에 맞도록 어깨끈 절곡부가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함은 물론 어깨와 겨드랑이 부위에서 느끼는 불편함이 현저히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어깨뼈 중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대응하여 어깨끈 내부면에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어깨뼈돌출부분을 감싸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젤패드 자체도 여러개로 분할 되어 인접한 젤패드 사이의 공간마디부가 있으므로 하중이 분산되는 효과는 배가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젤패드 자체에서 묻어나오는 유체물질은 봉쇄용 필름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어깨끈을 이루는 섬유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젤패드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타공부는 젤패드의 유연성을 한층 증가시켜 전후좌우 방향으로 절곡이 자유로와 인체의 곡면을 따라 젤패드가 밀착되는 정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낭의 정면도
도 2는 제1절곡부(460)를 중심으로 한 어깨끈 내부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착용상태 도면
도 3은 젤패드(600)의 봉입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어깨끈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젤패드(600)를 중심으로 하여 실 착용상태에서의 착용자에 가해지는 압력 분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어깨끈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어깨끈의 측면도로서, 길이방향에 따른 두께의 변화 및 제1,2절곡부(460,470)의 구조 및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수준의 모든 발명이 본 발명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낭의 정면도, 도 2는 제1절곡부(460)를 중심으로 한 어깨끈 내부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착용상태 도면, 도 3은 젤패드(600)의 봉입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어깨끈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젤패드(600)를 중심으로 하여 실 착용상태에서의 착용자에 가해지는 압력 분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어깨끈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어깨끈의 측면도로서, 길이방향에 따른 두께의 변화 및 제1,2절곡부(460,470)의 구조 및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낭은 기본적으로 배낭몸체(200), 배낭몸체의 배면에 부착된 등받이부(300), 등받이부의 일측에 결합된 한쌍의 어깨끈(400)을 포함한다.
허리부분을 감싸면서 배낭 착용감과 용이성을 증가시키는 허리고정부 (500,510)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에서 가장 큰 특징은 젤패드(600)가 어깨끈(400) 내부(C)와 허리고정부의 내부(A, B)에 형성된다는 점이다. 허리고정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젤패드는 선택적 사항에 해당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어깨끈의 외형적 특징은 제1,2 절곡부(460,470)을 기준으로 하여, 그에 인접한 부위 즉, 겨드랑이고정부(410)와, 어깨접촉부(420)와, 몸체연결부(430) 세 가지 부위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통상의 배낭 어깨끈의 경우에서도, 이러한 겨드랑이고정부, 어깨접촉부 및 몸체연결부에 해당하는 구성은 형성되어 있지만, 그 경계가 되는 부위는 존재하지 아니하며, 착용자의 신체에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지 못한다.
먼저, 겨드랑이고정부(410)와 어깨접촉부(420)가 연결되는 부위는 제1절곡부(460)에 해당하는데, 상기 제1절곡부의 중심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용 요홈부(461)이 형성되어 있다.
절곡용 요홈부(461)의 역할은 크게 두가지이다.
첫째 절곡용 요홈부(461)는 착용자의 어깨뼈 부위중 전방으로 돌출되는 관절부위(도 2, 800 참조)를 감싸게 된다. 즉, 어깨 관절부위와 절곡용 요홈부(461)가 상호 볼앤드소켓(ball and socket) 구조와 유사하게 접촉되므로, 여러방향으로 하중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매우 편안한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절곡용 요홈부(461)를 중심으로 하여, 겨드랑이고정부(410)와 어깨접촉부(420) 사이가 매우 쉽게 절곡될 수 있는 점이다. 배낭 사용자가 배낭을 착용하기 위하여 상기 절곡용 요홈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등에 배낭을 올릴 경우, 어깨접촉부(420) 부위가 꺾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어깨끈을 미끌림 없이 파지하기가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어깨접촉부(420)과 그 상부의 몸체연결부(430)은 그 두께의 차이로 인하여, 상호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제2절곡부(47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절곡부 역시 상기 제1절곡부(460)의 역할과 동일하게, 사용자가 어깨끈 파지시 제2절곡부(470) 부위를 잡으면, 제2절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어깨접촉부(420)와 몸체연결부(430)가 하방으로 꺾이게 되어 뒤집어진 V자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미끄럼없이 어깨끈을 잡고 배낭을 착용하기 수월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겨드랑이고정부(410)는 겨드랑이 안쪽의 인체 곡선에 맞게 휘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방으로 연결되는 어깨접촉부(420)는 착용자의 어깨전방, 어깨상부 및 어깨 후방쪽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어, 배낭무게를 어깨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어깨접촉부에는 젤패드(600)가 내장되어 있으며, 자세한 구조 및 기능설명은 후술한다.
어깨접촉부(420)의 상방으로 연결된 몸체연결부(430)는 인체에 직접 닿지는 않지만, 착용자의 어깨 후방으로부터 등받이부(300)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여, 편한 착용감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9에서는 어깨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를 통하여 어깨끈의 길이방향에 따른 두께의 변화 및 제1,2절곡부(460,470)의 구조 및 역할을 파악하기 매우 용이하다.
겨드랑이고정부(410)의 두께는 H1으로 표시되고, 젤패드(600)가 인입되는 어깨접촉부(420)는 H2로써 가장 두텁게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연결부(430)는 H3로 표시되어 있다.
겨드랑이고정부(410)는 착용자의 겨드랑이 안으로 감싸는 부위에 해당하므로, 배낭무게에 의한 하중은 직접 전달되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젤패드(600)가 내장될 필요가 없지만, 필요에 따라서 인입될 수는 있다. 겨드랑이 고정부는 그 강도가 보장되는 한, 두께가 얇고 연질의 재료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연결부(430)는 배낭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부위로서, 봉재 부위 및 섬유 강도는 매우 견고하게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신체에 접촉되는 부위가 아니므로 젤패드(600)가 내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젤패드(600)가 반드시 내장되어야 하는 어깨접촉부(420)의 좌우에는 제1,2절곡부(460,470)가 형성되며, 이 부위를 쥐고 배낭을 들어올리면, 어깨끈이 쉽게 역V자 형태로 꺾일 수 있어서, 어깨끈 파지시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절곡부(460) 중심에는 중심으로 움푹 파인 절곡용 요홈부(461)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어깨뼈 중 신체 전방으로 돌출된 관절부위(도2, 800) 주위를 감싸게 되므로, 매우 편안한 착용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절곡용요홈부(461)을 중심으로 매우 쉽게 어깨끈이 접철 가능하다.
이하, 어깨끈의 단면 구조에 대하여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어깨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임의의 부위(D1,D2 및 E1, E2)를 절단한 단면형상은 도 8과 같다. 단면의 상면은 배낭착용시 착용자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어깨끈외부노출면(480)에 해당하고, 단면의 하면은 그 반대편, 즉 배낭착용시 어깨끈신체접촉면(490)에 해당한다.
인체의 어깨굴곡은 U 자형 곡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어깨끈의 단면 형상은 도 8과 같이, 역U자 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도 8에서 d는 수평선으로부터 단면 굴곡 중심부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며 3mm 내지 8mm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치는 어깨의 곡률을 감안한 수치이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됨은 아니다.
이하, 어깨접촉부(420) 내부에 내장되는 젤패드(600)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젤패드는 다수의 젤패드 단위체(610,611,612,613) 및 젤패드를 내부에 함입하여 밀봉하는 필름(6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젤패드의 재료는 실리콘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도 외부 하중을 완화하기에 적당한 유연한 재료라면 그 종류를 국한하지 아니한다.
실리콘 젤패드는 그 표면에 점성이 있는 끈적한 유체물질이 누출되어 나오기 때문에, 필름은 젤패드유체물질 누출방지용 필름(600)에 내장시킨뒤, 가장자리를 초음파 접착시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수의 어깨접촉부(42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젤패드 단위체(610,611,612,613)가 필름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한다.
인접젤패드공간 마디부(650)는 젤패드유체물질누출방지용필름(660) 상하부를 상호 접착시킨 부위로서, 젤패드단위체가 위치이동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접젤패드공간마디부(650)를 중심으로 하여, 도 6과 같이 어깨접촉부(420)가 자연스러운 곡률을 이루도록 꺾이게 되므로, 배낭 착용자의 어깨에는 하중이 분산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젤패드(600)를 관통하여, 타공(640)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타공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젤패드 단위체 각각은 전후좌우로 절곡되기가 더용이하게 되므로, 어깨접촉부(420)가 인체와 접촉될 때, 인체 곡선을 따라 밀착, 접촉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배낭 및 내용물의 하중에 의하여 착용자 어깨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한층 편하게 배낭 휴대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체에 맞도록 어깨끈 절곡부가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함은 물론 어깨와 겨드랑이 부위에서 느끼는 불편함이 현저히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어깨뼈 중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대응하여 어깨끈 내부면에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어깨뼈돌출부분을 감싸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젤패드 자체도 여러개로 분할 되어 인접한 젤패드 사이의 공간마디부가 있으므로 하중이 분산되는 효과는 배가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젤패드 자체에서 묻어나오는 유체물질은 봉쇄용 필름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어깨끈을 이루는 섬유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젤패드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타공부는 젤패드의 유연성을 한층 증가시켜 전후좌우 방향으로 절곡이 자유로와 인체의 곡면을 따라 젤패드가 밀착되는 정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A,B,C:젤패드 삽입부
100:배낭
200:배낭몸체
300:등받이부
400:어깨끈
410:겨드랑이고정부 420:어깨접촉부 430:몸체연결부
460:제1절곡부 470:제2절곡부
461:절곡용 요홈부
480:어깨끈외부노출면
490:어깨끈신체접촉면
500,510:허리고정부
600:젤패드
610,611,612,613:젤패드 단위체
650:인접젤패드공간 마디부
660:젤패드유체물질 누출방지용 필름
800:전방돌출 어깨뼈 부위

Claims (3)

  1. 배낭몸체(200), 배낭몸체의 배면에 부착된 등받이부(300), 등받이부의 일측에 결합된 한쌍의 어깨끈(400)을 포함한 배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은,
    제1,2 절곡부(460,470)을 기준으로 하여, 그에 인접한 부위인 겨드랑이고정부(410)와,
    겨드랑이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젤패드(600)가 삽입되는 어깨접촉부(420)와,
    어깨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몸체연결부(430)를 포함하며,
    겨드랑이고정부와 어깨접촉부 사이에는 제1절곡부(460)가 형성되고, 어깨접촉부와 몸체연결부 사이에는 제2절곡부(47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의 중심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용 요홈부(461)가 형성되어, 배낭 착용자의 어깨뼈 부위중 전방으로 돌출되는 관절부위(80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겨드랑이고정부(410)는 겨드랑이 안쪽의 인체 곡선에 대응되게 소정의 굴곡을 가지며,
    어깨접촉부(420) 내부의 젤패드는,
    다수의 젤패드 단위체(610,611,612,613) 사이사이에는 인접 젤패드공간마디부(650)인 소정의 간격부를 형성하여, 배낭 착용시 어깨접촉부(420)가,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꺾이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어깨끈의 단면 형상은 역U자 형태로 형성되고, 어깨끈 단면상 양 끝단부를 잇는 수평선으로부터, 단면 굴곡 중심부까지의 거리(d)는 3mm 내지 8mm 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젤패드(600)에는 다수의 타공(640)이 형성되어, 타공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젤패드 단위체 각각이 전후좌우로 절곡되기가 용이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젤패드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젤패드를 수용하는 필름이 더 형성되어
    젤패드로부터 유출되는 물질이 어깨접촉부를 이루는 섬유로 누출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KR1020130016403A 2013-02-15 2013-02-15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KR10129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03A KR101293538B1 (ko) 2013-02-15 2013-02-15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03A KR101293538B1 (ko) 2013-02-15 2013-02-15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538B1 true KR101293538B1 (ko) 2013-08-06

Family

ID=4921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403A KR101293538B1 (ko) 2013-02-15 2013-02-15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5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02B1 (ko) 2018-09-12 2019-02-11 서경배 자세교정을 위한 어깨끈 가이드
KR20230036737A (ko) 2021-09-08 2023-03-15 우민우 길이가변형 어깨끈
KR102535922B1 (ko) 2021-12-03 2023-05-26 손찬우 다용도 어깨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566Y1 (ko) 1999-09-13 2000-03-15 주식회사천마월드 공기주머니를 갖는 배낭
JP3077635U (ja) * 2000-11-10 2001-05-29 サンワ株式会社 リュック兼用バッグ
KR20090003108U (ko) * 2007-09-28 2009-04-01 김동해 가방용 멜빵
KR101030428B1 (ko) 2010-08-20 2011-04-20 안우형 튜브타입의 어깨걸이를 갖는 배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566Y1 (ko) 1999-09-13 2000-03-15 주식회사천마월드 공기주머니를 갖는 배낭
JP3077635U (ja) * 2000-11-10 2001-05-29 サンワ株式会社 リュック兼用バッグ
KR20090003108U (ko) * 2007-09-28 2009-04-01 김동해 가방용 멜빵
KR101030428B1 (ko) 2010-08-20 2011-04-20 안우형 튜브타입의 어깨걸이를 갖는 배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02B1 (ko) 2018-09-12 2019-02-11 서경배 자세교정을 위한 어깨끈 가이드
KR20230036737A (ko) 2021-09-08 2023-03-15 우민우 길이가변형 어깨끈
KR102535922B1 (ko) 2021-12-03 2023-05-26 손찬우 다용도 어깨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538B1 (ko) 어깨끈에 젤패드가 내장된 배낭
ATE326150T1 (de) Büstenhalter
CN205492695U (zh) 带护耳结构的口罩
US20050020184A1 (en) Cushioned strap
GB2433191A (en) A wearable heat pack
KR102020013B1 (ko) 스포츠 의류
KR20150125180A (ko)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에 압박감을 분산시킬 수 있는 배낭용 패드
KR101945802B1 (ko) 자세교정을 위한 어깨끈 가이드
ATE406820T1 (de) Rucksack mit besserer verteilung des rucksackgewichtes auf die schultern des trägers
CN210250199U (zh) 一种新型颈托
CN209473662U (zh) 一种方便佩戴防尘口罩的安全帽
CN207693740U (zh) 一种垂足软足托
KR101095684B1 (ko) 등받이를 지지하는 듀얼패드를 갖는 배낭
KR102360195B1 (ko) 척추 보조 기구
KR200264050Y1 (ko) 발열용 복대
KR200430646Y1 (ko) 어깨 피로를 줄이기 위한 배낭형 아기띠
CN217186683U (zh) 一种肩颈腕拖带
KR101758224B1 (ko) 척추 자세 교정기
KR101473299B1 (ko) 신체 부담 경감용 배낭
US10888452B2 (en) Wearable thermal gel-pack
CN209219294U (zh) 一种新型多功能护腰带
CN212140741U (zh) 一种心内科用康复带
KR102535922B1 (ko) 다용도 어깨패드
CN221044632U (zh) 婴幼儿背袋
KR20180115463A (ko) 브래지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