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189B1 -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 Google Patents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189B1
KR101293189B1 KR1020110109319A KR20110109319A KR101293189B1 KR 101293189 B1 KR101293189 B1 KR 101293189B1 KR 1020110109319 A KR1020110109319 A KR 1020110109319A KR 20110109319 A KR20110109319 A KR 20110109319A KR 101293189 B1 KR101293189 B1 KR 10129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mart window
window film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946A (ko
Inventor
한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1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in organic liquid solutions, e.g. viologen solu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G02F1/15165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68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having two or more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f microcup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투명한 고분자 기재층, 상기 고분자 기재층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투명전극층,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일면에만 형성된 유기변색물질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과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사이에 개재된 액체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서 다공성 통로를 통해 전자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액체 전해질의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Smart window film using liquid electrolyte}
본 발명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윈도우는 태양광의 투과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윈도우를 말하는 것으로, 전자 커튼, 투과도 가변 유리, 조광 유리 등으로도 불린다.
종래에는 유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투과율을 조절하기 위해, 유리 조성에 착색 산화물을 첨가하여 착색 유리를 만들거나, 유리 표면에 특정 투과율을 가지는 필름지를 부착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법들은 태양광에 대한 능동적인 조절 기능이 없고, 단지 일정한 광 파장 영역에 한해 선택적으로 차폐 또는 투과를 수행하는 수동적인 방식이었다.
스마트 윈도우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 투과율과 색상 등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동형 제품으로, 현재 유리 분야의 차세대 제품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종래 스마트 윈도우는 유리층에 투명전극 및 변색물질을 코팅 및 증착하여 제조되는데, 코팅 및 증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 윈도우 전체가 불량품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를 해결하고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창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개발하였으나, 이 또한 무기 전해질을 사용하게 되면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응답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고,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게 되면 액체 전해질의 형상이 쉽게 변이되어 하부로 쏠리는 문제점이 나타나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2개의 투명한 고분자 기재층, 상기 고분자 기재층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투명전극층,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일면에만 형성된 유기변색물질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과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사이에 개재된 액체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투명한 고분자 기재층, 상기 고분자 기재층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투명전극층,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일면에만 형성된 유기변색물질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과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사이에 개재된 액체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서 다공성 통로를 통해 전자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액체 전해질이 하부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창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을 형성시킴으로써 기능적으로 향상된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개의 투명한 고분자 기재층, 상기 고분자 기재층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투명전극층,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일면에만 형성된 유기변색물질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과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사이에 개재된 액체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기재층은 종래 스마트 윈도우에 사용되는 유리층 대신 기판으로 사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창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종래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에 사용되는 유리층에 투명전극 및 변색물질을 코팅 및 증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 윈도우 전체가 불량품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고분자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투명한 재질의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명전극층은 2개의 투명한 고분자 기재층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투명전극층을 2개의 투명한 고분자 기재층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원자, 분자, 또는 이온을 응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화학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전극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PDP), 광학필터, 전자차폐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태양전지, 액정 표시 장치(LCD),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EL 키패드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고, 투명전극은 투명한 유리기판 또는 얇은 고분자 기판 위에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원자, 분자 또는 이온을 응축시킨 것으로, 가시광 영역(380~780㎚ 파장)에서 투명하고, 전기전도도가 큰 전극을 의미하는 것이고, 투명전극은 광투과도와 전기전도도 외에도 내열성, 내알칼리성, 식각특성, 전기화학적 안정성, 막표면형상, 부착강도, 부착경도, 막두께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투명전극층은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은 나노와이어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투명전극으로 사용되는 은 나노와이어층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져 광투과도가 크고 면저항이 적어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은 나노와이어층의 형태는 지름이 1 나노미터 정도의 극미세선으로서 성장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털실같이 생긴 물질인 것으로, 은 나노와이어층은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투명전극으로 사용되는 ITO에 비하여 저항이 낮아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대형화에 유리하고, 표면 거칠기 또한 작아 투명전극으로 적합하다.
상기 유기변색물질층은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일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기존의 무기변색물질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화-이온반응, 즉, 이온의 이동으로 인해 색이 변하기 때문에 전해질층에 있는 이온이 무기변색물질층 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대전극에서 이온을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층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유기변색물질층은 이러한 이온의 이동이 아니라 전자 이동시 밴드갭 차이로 인해 변색이 되는 것으로 별도의 층이 필요하지 않아, 기존의 변색물질층이 양면에 형성된 경우와 동등한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기존 변색물질층이 양면에 형성된 경우에 비해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두께를 보다 얇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변색물질층은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반응에 의하여 물질의 색을 가역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서, 산화 혹은 환원시 수반되는 전자 이동에 의해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에너지 흡수 변화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유기변색물질층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무기변색물질 또는 유기변색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유기변색물질층은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유도체 또는 비올로겐(viologen)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형성된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은 마이크로 컵이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행과 열로 조밀하게 배열(close-packed)될 수 있고, 이러한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액체 전해질이 하부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컵 내부에는 다공성 통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전자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은 UV레진으로 경화시켜 필름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은 에칭 공정을 통해 변색물질 내부에 형성시킬 수 있는데, 에칭 공정은 공지의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본 발명에서는 MLA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을 에칭시켰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MLA 공정은 기판 상에 Ni 몰드를 형성하는 단계, Ni 몰드가 형성된 기판 상에 스핀 코팅법 또는 롤 코팅법을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PR)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노광 및 현상시키는 단계, 상기 현상된 포토레지스트를 리플로우시키는 단계, 시드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UV레진 필름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에 다공성 통로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액체 전해질층은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과 유기변색물질층 사이에 개재되는데, 상기 유기전해질층은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과 유기변색물질층 사이에 주입됨으로써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체 전해질은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용매에 리튬복합염을 용해시킨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 전해질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용매에 1 mol의 LiClO4 리튬복합염을 용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마 알드리티 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상기 스마트 윈도우 필름; 상기 스마트 윈도우 필름 하면에 형성된,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투명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유리창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실리콘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및 우레탄계 점착제와 같은 광학용 투명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점착제로는 광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아크릴 점착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상기 스마트 윈도우 필름; 상기 스마트 윈도우 필름 하면에 형성된,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투명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하면에 부착되는 이형 필름층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층은 점착제와 같은 접착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름으로, 이형 필름층을 부착하면 점착층의 부착력 저하를 막고, 이물질 등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서 다공성 통로를 통해 전자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액체 전해질이 하부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필름(100)은 2개의 투명한 고분자 기재층(110, 110'), 상기 고분자 기재층(110, 110')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투명전극층(120, 120'), 상기 투명전극층(120, 120')의 마주보는 양면 중 일면에만 형성된 유기변색물질층(130), 및 상기 상기 투명전극층(120, 120')의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과 상기 유기변색물질층(130) 사이에 개재된 액체 전해질층(140)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변색물질층(130) 내부에 다공성 통로(133)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132) 구조의 격벽(131)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도 1에서 도시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100); 상기 스마트 윈도우 필름(100) 하면에 형성된,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투명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00); 상기 점착층(200) 하면에 부착되는 이형 필름층(30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변색물질층(130) 내부에 형성된 다공성 통로(133)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132) 구조의 격벽(131)은 마이크로 컵(132)이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복수의 행과 열로 조밀하게 배열(close-packed)될 수 있고, 마이크로 컵(132) 내부에는 다공성 통로(133)가 형성되어 격벽(131)을 구성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마트 윈도우 필름
110, 110': 고분자 기재층
120, 120': 은 나노와이어층
130: 유기변색물질층
131: 격벽
132: 마이크로 컵
133: 다공성 통로
140: 전해질층
200: 점착층
300: 이형 필름층

Claims (8)

  1. 2개의 투명한 고분자 기재층,
    상기 고분자 기재층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투명전극층,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일면에만 형성된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유도체 또는 비올로겐(viologen) 유도체로 이루어진 유기변색물질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의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과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사이에 개재된 액체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변색물질층 내부에 전자의 이동을 위한 다공성 통로를 가진 복수의 마이크로 컵 구조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층은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는 은 나노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전해질층은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용매에 리튬복합염을 용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하면에 형성된,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투명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하면에 부착되는 이형 필름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KR1020110109319A 2011-10-25 2011-10-25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KR10129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19A KR101293189B1 (ko) 2011-10-25 2011-10-25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19A KR101293189B1 (ko) 2011-10-25 2011-10-25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46A KR20130044946A (ko) 2013-05-03
KR101293189B1 true KR101293189B1 (ko) 2013-08-05

Family

ID=4865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319A KR101293189B1 (ko) 2011-10-25 2011-10-25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615A (ko) 2015-10-05 2017-04-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022B1 (ko) * 2016-07-28 2019-05-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변색 연속섬유의 제조방법
KR102096418B1 (ko) * 2018-12-05 2020-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과포화 용액의 가변 상변화를 활용한 스마트 윈도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0792A (ko) * 1997-01-23 1998-10-26 오오자와 히데지로오 일렉트로크로믹 장치
KR20100037991A (ko) * 2008-10-02 2010-04-12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02392A (ko) * 2009-03-11 2010-09-24 (주)에이치앤비이십일 스마트그라스용 광학점착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95526A (ko) * 2010-02-19 2011-08-25 주식회사 모린스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0792A (ko) * 1997-01-23 1998-10-26 오오자와 히데지로오 일렉트로크로믹 장치
KR20100037991A (ko) * 2008-10-02 2010-04-12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02392A (ko) * 2009-03-11 2010-09-24 (주)에이치앤비이십일 스마트그라스용 광학점착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95526A (ko) * 2010-02-19 2011-08-25 주식회사 모린스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615A (ko) 2015-10-05 2017-04-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46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 et al. Emerging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devices for future displays
US10429715B2 (en) Electrode structures for electro-optic displays
US11022854B2 (en) Method of forming a top plane connection in an electro-optic device
EP3338271B1 (en) Displays intended for use in architectural applications
KR101319443B1 (ko)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US8498042B2 (en) Multi-layer sheet for use in electro-optic displays
US9470950B2 (en) Electro-optic display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40015633A (ko) 에지 시일을 구비한 전기 광학 디스플레이
CN104241327B (zh) 显示装置
KR102356886B1 (ko) 광 제어 장치, 광 제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광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067399B2 (en) Transmittance-variabl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725358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101293189B1 (ko)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CN103547957A (zh) Mems锚定器及间隔物结构
US7623284B2 (en) Electropolymerization method for preparing nano-tube type conducting polymer using porous template, method for preparing electrochromic device, and electrochromic device prepared therefrom
US9715155B1 (en) Electrode structures for electro-optic displays
CN102708758B (zh) 显示装置、双面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
KR20150117477A (ko) 전기변색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026775A1 (en) An electro-optic device comprising integrated conductive edge seal and a method of production of the same
KR2008003453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3037369A (ja) 透明導電性素子、入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212391694U (zh) 电致变色显示面板及电子纸
US20230333437A1 (en) Display material including patterned areas of encapsulated electrophoretic media
CN111123601A (zh) 电致变色显示面板及电子纸
CN212060827U (zh) 电致变色显示面板及电子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