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862B1 -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862B1
KR101292862B1 KR1020110003442A KR20110003442A KR101292862B1 KR 101292862 B1 KR101292862 B1 KR 101292862B1 KR 1020110003442 A KR1020110003442 A KR 1020110003442A KR 20110003442 A KR20110003442 A KR 20110003442A KR 101292862 B1 KR101292862 B1 KR 10129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as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pipe body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120A (ko
Inventor
서동운
김찬수
홍성덕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8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는,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관 형상의 파이프 본체; 및 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파이프 본체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불순물 제거부는, 파이프 본체의 내부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단부가 절곡 형성된 복수 개의 제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의 불순물 제거부를 파이프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신뢰성 있게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고온 및 고압 가스에 의해 불순물 제거부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Apparatus to filter ga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확실하게 여과할 수 있으면서도 고온의 가스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며 아울러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가 개시된다.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는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하는 장치이다.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는 하나의 다공성망이나 또는 공극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다공성망을 중첩으로 설치하여 이용하는 방식과, 클리너와 같은 흡착 방식에 의해서 불순물을 여과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들이 적용되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는 고온 및 고압 기체 조건, 예를 들면 800℃ 이상의 고온 기체 조건에서는 사용에 많은 제약을 받는다.
한편, 기존의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에서 공극을 갖는 세라믹으로 제작되는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손의 위험성이 있어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의 필터로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신뢰성 있게 여과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이 용이하며 내구성 및 내열성을 구비한 새로운 구조의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의 불순물 제거부를 파이프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신뢰성 있게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고온 및 고압 가스에 의해 불순물 제거부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파이프 본체로부터 불순물 제거부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불순물 제거부에 포집된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는,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관 형상의 파이프 본체;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로 유입된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단부가 절곡 형성된 복수 개의 제거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의 불순물 제거부를 파이프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신뢰성 있게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고온 및 고압 가스에 의해 불순물 제거부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본체가 직선 형태의 관인 경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제1 제거부재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제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제2 제거부재의 단부는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절곡 각도는 상기 제1 제거부재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0도 보다는 크고 90도 보다는 작을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2 제거부재는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경의 반지름보다 긴 돌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본체가 곡선 형태의 관인 경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측에서 절곡된 상기 파이프 본체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제거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거부재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거부재 각각은 외주연 부분이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 부분이 상기 제거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거부재의 크기는 상호 다르며,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거몸체의 일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상기 제거부재가 상기 제거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내열성 및 내구성을 구비한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금속 재질 중 alloy 800HT 또는 hastelloy C-276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는,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며, 직선 형태의 관 및 곡선 형태의 관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로 유입된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제1 제거부재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제거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안 가스 여과 장치는,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절곡된 부분을 갖는 관 형상의 파이프 본체;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로 유입된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외주연 부분이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거부재;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측에서 절곡된 상기 파이프 본체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거부재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거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의 불순물 제거부를 파이프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신뢰성 있게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고온 및 고압 가스에 의해 불순물 제거부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본체로부터 불순물 제거부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불순물 제거부에 포집된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의 일부 구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에서 직선 형태의 파이프 본체 내의 불순물 제거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에서 곡선 형태의 파이프 본체 내의 불순물 제거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의 일부 구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에서 직선 형태의 파이프 본체 내의 불순물 제거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에서 곡선 형태의 파이프 본체 내의 불순물 제거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100)는,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을 구비하며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관 형상의 파이프 본체(110)와, 파이프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파이프 본체(110)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120)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파이프 본체(110)는, 직선 구간(111) 및 곡선 구간(115)을 구비하며, 내측에는 후술할 불순물 제거부(120)가 소정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파이프 본체(110)는, 고온 및 고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고온 및 고압 가스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외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본체(110)가 직선 구간(111) 및 곡선 구간(115)을 구비한다고 상술하였으나, 파이프 본체(110)는 직선 구간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곡선 구간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불순물 제거부(120)는, 파이프 본체(110)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먼지 또는 불순물 등의 이물질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부분으로서, 파이프 본체(110)의 직선 구간(111) 및 곡선 구간(115)에 각각 배치되되 약간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불순물 제거부(110)는, 제작이 용이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내구성 및 내열성을 구비하며, 또한 파이프 본체(110)에 대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불순물 포집 후 제거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불순물 제거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구간(111)에 장착되는 제1 불순물 제거부(130)와, 곡선 구간(115)에 장착되는 제2 불순물 제거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제1 불순물 제거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본체(110)의 직선 구간(111)의 내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제거부재(131)와, 복수 개의 제1 제거부재(131)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되 직선 구간(111)의 내측에서 제1 제거부재(131)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제거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본체(110)의 직선 구간(111)으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는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제거부재(131) 및 복수 개의 제2 제거부재(135)를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고온 및 고압 가스에 포함된 함유된 불순물은 제1 제거부재(131) 또는 제2 제거부재(135)들과 부딪히면서 불순물이 제1 제거부재(131) 또는 제2 제거부재(135)에 포집되고 따라서 여과된 고온 및 고압 가스가 파이프 본체(1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제거부재(131)는 일부분이 절취된 원판 형상을 갖되, 파이프 본체(11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단부(131a)는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제거부재(135) 역시 제1 제거부재(1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절취된 원판 형상을 갖되 제1 제거부재(131)의 사이사이에서 제1 제거부재(131)들과 상하로 배치되며, 제2 제거부재(135)의 단부(135a) 역시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제1 제거부재(131)들을 파이프 본체(110)의 내측에서 저면에 장착되는 것이라면, 제2 제거부재(135)들은 파이프 본체(110)의 내측에서 상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이프 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는 하나의 제1 제거부재(131)에서 방향 전환한 후 제2 제거부재(135)로 이동하며 마찬가지로 제2 제거부재(135)에서 방향 전환되어 제1 제거부재(13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이동할 때 입자 상태의 불순물을 제거부재(131, 135)들과 충돌하며 제거부재(131, 135)의 벽면에 포집된다. 특히, 제거부재(131, 135)들의 절곡 형성된 단부(131a, 135a)로 인해 불순물은 제거부재(131, 135)의 꺽인 부분에 더 잘 포집되며 따라서 고온 및 고압 가스의 여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거부재(131, 135)의 절곡 정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부재(131, 13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대략 45도 정도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제거부재(131, 135)를 따라 이동할 때 절곡된 부분에 고온 및 고압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이 포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신뢰성 있게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제거부재(131, 135)의 절곡 정도는 전술한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온 및 고압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가 아니라면, 0도 내지 90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 제거부재(131) 및 제2 제거부재(1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취된 원판 형상을 갖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파이프 본체(110)의 내경의 반지름보다 길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 제거부재(131) 및 제2 제거부재(135)의 단부(131a, 135a)들이 일부 겹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파이프 본체(110)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는 필수적으로 제1 제거부재(131) 및 제2 제거부재(135)와 접촉하며 이동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고온 및 고압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본체(110)로는 고온 및 고압 상태를 갖는 가스가 유입되기 때문에 제1 제거부재(131) 및 제2 제거부재(135) 역시 열 및 압력에 강한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거부재(131) 및 제2 제거부재(135(는 금속 재질 중 alloy 800HT 또는 hastelloy C-276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온 및 고압 가스와 상호 접촉하더라도 변형되거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 불순물 제거부(130)는 직선 형태의 파이프 본체(1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지만, 파이프 본체(110)가 곡선 형태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불순물 제거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파이프 본체(110)의 직선 구간(111)과 곡선 구간(115)에는 상호 다른 구조를 갖는 불순물 제거부(130, 1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파이프 본체(110)의 곡선 구간(115)에 배치되는 제2 불순물 제거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 본체(110)의 곡선 구간(115)에 배치되는 제2 불순물 제거부(140)는, 파이프 본체(110)의 내측에서 절곡 형성된 파이프 본체(110)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제거몸체(141)와, 제거몸체(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제거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거몸체(141)는, 내열성 및 내구성을 구비한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전술한 alloy 800HT 또는 hastelloy C-276등으로 마련되며, 파이프 본체(110)의 절곡된 부분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제거몸체(141)와 파이프 본체(110)의 결합 부분을 통해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 부분은 실링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복수 개의 제거부재(145)는, 외주연 부분(145a)이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 부분이 제거몸체(14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복수 개의 제거부재(145)의 형상은 동일하되 크기는 서로 다르며, 파이프 본체(11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제거몸체(141)의 일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거부재(145)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파이프 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본체(110)의 곡선 구간(115)을 지날 때 제거몸체(141)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제거몸체(141)에 결합된 복수 개의 제거부재(145)에 의해 고온 및 고압 가스 내의 불순물은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온 및 고압 가스를 신뢰성 있게 여과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거부재(145)의 절곡 형성된 외주연 부분(145a)에 의해서 고온 및 고압 가스의 불순물이 제거부재(145)에 포집되는 비율이 향상되며, 아울러 복수 개의 제거부재(145)가 상부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커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제거부재(145)에 의해 흐름이 방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거부재(14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마련되되, 특히 내열성 및 내구성을 구비한 alloy 800HT 또는 hastelloy C-276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제2 불순물 제거부(140)는 파이프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경우에 따라 파이프 본체(110)로부터 제2 불순물 제거부(1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거부재(145) 사이에 포집된 불순물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이프 본체(110)가 직선 구간(111) 및 곡선 구간(115)이 혼합된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직선 구간(111) 및 곡선 구간(115)에 따라 적절한 불순물 제거부(120)를 장착함으로써 고온 및 고압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신뢰성 있게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순물 제거부(120)가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200)는, 절곡 형성된 곡선 구간(211)을 구비하는 파이프 본체(210)와, 파이프 본체(210)의 내측에 배치되어 파이프 본체(210) 내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불순물 제거부(220)는, 파이프 본체(210)의 내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제거부재(231)와, 복수 개의 제1 제거부재(231)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되 파이프 본체(210)의 내측에서 제1 제거부재(231)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제거부재(235)를 포함한다.
다만,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본체(110, 도 3 참조)의 곡선 구간(115)에 다른 구조를 갖는 제2 불순물 제거부(140)가 장착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본체(210)의 곡선 구간(211)에도 제1 제거부재(231) 및 제2 제거부재(235)가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파이프 본체(210)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는 제1 제거부재(231) 및 제2 제거부재(235)들을 지나면서 제거부재(231, 235)들의 벽에 부딪혀 불순물이 제거부재(231, 235)의 충돌면에 포집되고 따라서 고온 및 고압 가스의 여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300)는, 복수 개의 곡선 구간(315)을 갖는 파이프 본체(310)와, 파이프 본체(310)의 곡선 구간(315)에 결합되어 파이프 본체(310) 내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불순물 제거부(32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본체(110, 도 3 참조)의 곡선 구간(115)에 결합된 제2 불순물 제거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곡선 구간(315)마다 이러한 불순물 제거부(320)가 장착되고 각각의 불순물 제거부(320)에 복수 개의 제거부재(345)가 구비됨으로써 파이프 본체(310) 내로 유입된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신뢰성 있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110 : 파이프 본체 111 : 직선 구간
115 : 곡선 구간 120 : 불순물 제거부
130 : 제1 불순물 제거부 131 : 제1 제거부재
135 : 제2 제거부재 140 : 제2 불순물 제거부
141 : 제거몸체 145 : 제거부재

Claims (11)

  1. 삭제
  2.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관 형상의 파이프 본체;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로 유입된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직선 형태의 관으로 마련되는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제1 제거부재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제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제2 제거부재는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단부가 절곡 형성된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제2 제거부재의 단부는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절곡 각도는 상기 제1 제거부재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0도 보다는 크고 90도 보다는 작은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1 제거부재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 공간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2 제거부재는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경의 반지름보다 긴 돌출 높이를 갖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5.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관 형상의 파이프 본체;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로 유입된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곡선 형태의 관으로 마련되는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파이프 본체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제거몸체; 및
    상기 제거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거부재;
    를 포함하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거부재 각각은 외주연 부분이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 부분이 상기 제거몸체에 결합되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거부재의 크기는 상호 다르며,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거몸체의 일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상기 제거부재가 상기 제거몸체에 결합되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8.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내열성 및 내구성을 구비한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9.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금속 재질 중 alloy 800HT 또는 hastelloy C-276으로 제조되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10. 삭제
  11.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절곡된 부분을 갖는 관 형상의 파이프 본체;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로 유입된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외주연 부분이 상기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거부재; 및
    상기 파이프 본체의 내측에서 절곡된 상기 파이프 본체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거부재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거몸체를 포함하는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KR1020110003442A 2011-01-13 2011-01-13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KR10129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442A KR101292862B1 (ko) 2011-01-13 2011-01-13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442A KR101292862B1 (ko) 2011-01-13 2011-01-13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20A KR20120082120A (ko) 2012-07-23
KR101292862B1 true KR101292862B1 (ko) 2013-08-02

Family

ID=4671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442A KR101292862B1 (ko) 2011-01-13 2011-01-13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64B1 (ko) * 2022-03-10 2022-12-01 안영탁 액상도장용 집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440A (ja) * 1987-12-30 1989-07-12 Sumitomo Electric Ind Ltd 化合物粉末の気相合成装置
KR100775299B1 (ko) 2006-12-13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배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440A (ja) * 1987-12-30 1989-07-12 Sumitomo Electric Ind Ltd 化合物粉末の気相合成装置
KR100775299B1 (ko) 2006-12-13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배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20A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382B1 (ko) 펄스 클린닝 필터 시스템 배열체
KR101813347B1 (ko) 난형의 관형 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 시스템
KR101388639B1 (ko) 공기정화 장치 및 시스템
ES2724569B2 (es) Colector de polvo para fluidos gaseosos y método para fabricar dicho colector de polvo
JP6771631B2 (ja) 粉塵堆積を防止するバグフィルター濾過集塵装置
KR101278150B1 (ko) 다공관을 갖는 미세먼지 포집장치
KR101951465B1 (ko) 집진기용 필터백 조립체
US20170312675A1 (en) Filter element
CN112469491A (zh) 模块化过滤元件
KR101292862B1 (ko) 고온 및 고압 가스 여과 장치
KR102283478B1 (ko) 메탈필터
KR101423665B1 (ko) 여과재의 교체가 가능한 주름형 필터
KR20190097645A (ko)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RU119023U1 (ru) Ступенчатый фильтр штангового глубинного насоса
ES2762483T3 (es) Retirada de contaminante en fase gaseosa de entrada de turbina de gas
RU2563482C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KR200407392Y1 (ko) 이중필터 구조 집진기
KR101131700B1 (ko) 스트레이너
CN209392890U (zh) 一种高温烟气除尘装置
CN207694361U (zh) 一种半圆插口滤芯
KR20100127611A (ko) 필터 조립체
US10279299B2 (en) Air compressor dryer filter
KR20120112926A (ko) 집진용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오일 미스트 집진기
WO2011109908A1 (en) Filter bag and filter cage assembly
CN209519532U (zh) 一种设有除尘机构的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