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077B1 -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077B1
KR101292077B1 KR1020100129323A KR20100129323A KR101292077B1 KR 101292077 B1 KR101292077 B1 KR 101292077B1 KR 1020100129323 A KR1020100129323 A KR 1020100129323A KR 20100129323 A KR20100129323 A KR 20100129323A KR 101292077 B1 KR101292077 B1 KR 101292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rogress
amount
modul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758A (ko
Inventor
성기순
남현순
이주철
전부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0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3Visualisation of programs or trac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련된 모듈별 작업량을 모니터링하여 각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산출하는 모듈별 작업 관리부 및 수행 예정 작업량과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을 이용하여 각 모듈의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를 포함하며,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는 완료 작업량을 이용하여 다음 작업 단계를 결정하고, 다음 작업 단계의 프로그래스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Description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본 발명은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개발 진행 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개발의 자동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도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발 지원 도구는 이클립스나 마이크로 소프트웨어사의 비쥬얼 스튜디오 등과 같은 도메인에 특화되지 않은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개발 도구 이외에도 도메인에 특화되어 복잡한 개발 방법론을 적용한 크고 작은 개발 도구들이 있다.
이러한 개발 지원 도구들은 도메인의 개발 방법론과 도구 자체를 익히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며, 이미 익숙한 도구인 경우에도 복잡도 때문에 현재 사용자가 자신의 업무 진척도 및 로드맵을 파악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개발 진행 상태에 따라 업무의 진척도를 쉽고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개발 지원 도구에 관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개발 진행 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련된 모듈별 작업량을 모니터링하여 각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산출하는 모듈별 작업 관리부; 및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을 이용하여 상기 각 모듈의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는 상기 완료 작업량을 이용하여 다음 작업 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다음 작업 단계의 프로그래스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상기 모듈별 작업 관리부는, 프로젝트의 최초 시작 시 각 모듈로부터 기본 작업량을 전달받고,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작업 진행 변경이 생길 때 마다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완료 작업량을 산출하는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 및 상기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로부터 모듈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완료 작업량을 전달받아 상기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로 전달하는 모듈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는, 상기 모듈별 작업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모듈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완료 작업량을 전달하는 프로그래스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프로그래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모듈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완료 작업량을 전달받아 모듈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을 이용하여 상기 각 모듈의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고, 뷰구간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구간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완료 작업량을 이용하여 다음 작업 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다음 작업 단계의 프로그래스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키기 위해 지표 이동 메시지를 생성하는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는, 상기 구간 표시 메시지가 전달되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여 설정된 뷰구간을 표시하고, 상기 지표 이동 메시지가 전달되면 다음으로 진행해야 하는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는, 선행 작업이 이루어져야 활성화되는 단계의 작업에 대해서는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각 모듈별 작업량을 입력받아 해당 작업량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는, 입력된 작업량에 따라 해당 뷰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프로젝트의 작업 단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상황 모니터링 방법은, 모듈별 작업 관리부가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련된 모듈별 작업량을 모니터링하여 각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가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을 이용하여 상기 각 모듈의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가 모듈별로 결정된 상기 뷰구간의 길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가 상기 완료 작업량을 이용하여 다음 작업 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다음 작업 단계의 프로그래스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트의 최초 진행 시 기본값으로 설정 최소한의 기본 작업량을 모듈별로 전달받아 표시하며,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구간 길이를 결정하고, 다음 작업 단계의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켜 표시함에 따라 전체 프로젝트의 작업량과 해당 뷰구간 길이에 따라 해당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작업량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빠르게 자신의 업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모듈별 작업 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스 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 진행 상황을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모듈별 작업 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100)는 소프트웨어 및 개발의 자동화를 위한 개발 도구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면 지금까지 개발 중이던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체 프로젝트의 작업량과 현재 개발 상황을 제공한다.
이러한,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100)는 모듈별 작업 관리부(110) 및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모듈별 작업 관리부(110)는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해 사용되는 각 모듈(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프로젝트가 최초 시작될 때 기본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본 작업량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모듈별 작업 관리부(110)는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모듈별 작업량의 변화를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로 전달한다. 이러한, 모듈별 작업 관리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111) 및 모듈 인터페이스부(112)를 포함한다.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111)는 프로젝트의 최초 시작 시 각 모듈로부터 기본 작업량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111)는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프로젝트의 진행 시 각 모듈이 수행해야 하는 작업량(이하 "수행 예정 작업량"이라고 함)을 산출한다. 그리고,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111)는 프로젝트 내에서 각 모듈이 진행한 작업량(이하, "완료 작업량"이라고 함)을 산출한다. 즉,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111)는 프로젝트의 진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작업 진행의 변경이 생길 때 마다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산출한다.
모듈 인터페이스부(112)는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111)로부터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모듈 인터페이스부(112)는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로 전달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는 모듈별 작업 관리부(110)로부터 전달된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이용하여 프로그래스 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래스 인터페이스부(121),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122) 및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123)를 포함한다.
프로그래스 인터페이스부(121)는 모듈별 작업 관리부(110)의 모듈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해 전달되는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프로그래스 인터페이스부(121)는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122)로 전달한다.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122)는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프로그래스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전달받는다.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122)는 현재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과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을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각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의 구간(이하, "뷰구간"라고 함) 길이를 결정한다. 그리고,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122)는 뷰구간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구간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123)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뷰구간에 대응하여 프로젝트의 작업 단계가 결정되며, 이후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그리고,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122)는 완료 작업량을 이용하여 현재 프로젝트의 총 작업 단계에서 다음으로 진행할 작업 단계를 결정한다. 그리고,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122)는 다음으로 진행할 작업 단계의 뷰구간으로 지표(indicator)를 이동시키기 위해 지표 이동 메시지를 생성하여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123)로 전달한다.
한편,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122)는 사용자로부터 각 모듈별 작업량을 입력 받아 해당 작업량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입력된 작업량에 따라 해당 뷰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프로젝트의 작업 단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123)는 구간 표시 메시지 및 지표 이동 메시지를 전달받는다.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123)는 구간 표시 메시지가 전달되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각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작업량에 대응하여 설정된 뷰구간을 표시한다.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123)는 지표 이동 메시지가 전달되면 다음으로 진행해야 하는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123)는 선행 작업이 이루어져야 활성화되는 단계의 작업에 대해서는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라 지표가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뷰구간의 색상을 변경하여 진행 상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스 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스 뷰(200)의 작업 단계(ST1-ST5)는 개발 도구의 특성과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에 따라 뷰구간(T1-T5)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뷰프로그래스 뷰(200)의 지표(210)는 프로젝트가 시작되는 최초 상태인 경우, 작업 단계(ST1-ST5)의 가장 앞에 위치한 단계(T1)의 뷰구간(T1)에 표시된다. 그리고,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해당 작업 단계(T1)에서 완료 작업량이 산출되면, 지표(210)는 다음으로 진행해야 하는 작업 단계(T2)의 뷰구간(T2)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동일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지표(210)는 점차 프로젝트의 끝에 위치한 작업 단계(ST5)의 뷰구간(T5)으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이처럼 프로그래스 뷰(200)를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지표(210)의 이동으로 현재 프로젝트의 진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해당 뷰구간의 길이에 따라 해당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작업량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 진행 상황을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프로젝트가 처음 시작되는 상황에서 작업 진행 상황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100)의 모듈별 작업 관리부(110)는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해 사용되는 각 모듈로부터 기본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본 작업량을 전달받는다(S100).
모듈별 작업 관리부(110)는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산출한다(S110). 모듈별 작업 관리부(110)는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로 전달한다.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는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전달받는다.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는 현재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과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을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각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작업량에 대응하는 뷰구간 길이를 결정한다(S120).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는 모듈별로 결정된 뷰구간의 길이를 표시한다(S130).
그리고,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120)는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122)는 현재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에서 완료 작업량에 해당하는 뷰구간을 가리키던 지표(indicator)를 다음으로 진행해야 하는 작업 단계의 뷰구간으로 이동시킨다(S1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프로젝트의 최초 진행 시 기본값으로 설정 최소한의 기본 작업량을 모듈별로 전달받아 표시하며,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모듈별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구간 길이를 결정하고, 다음 작업 단계의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켜 표시함에 따라 전체 프로젝트의 작업량과 해당 뷰구간 길이에 따라 해당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작업량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빠르게 자신의 업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110: 모듈별 작업 관리부
111: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
112: 모듈 인터페이스부
120: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
121: 프로그래스 인터페이스부
122: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
123: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

Claims (8)

  1.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련된 모듈별 작업량을 모니터링하여 각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산출하는 모듈별 작업 관리부; 및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을 이용하여 상기 각 모듈의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는,
    상기 모듈별 작업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모듈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완료 작업량을 전달하는 프로그래스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프로그래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모듈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완료 작업량을 전달받아 모듈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을 이용하여 상기 각 모듈의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고, 뷰구간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구간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완료 작업량을 이용하여 다음 작업 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다음 작업 단계의 프로그래스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키기 위해 지표 이동 메시지를 생성하는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 상기 구간 표시 메시지가 전달되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여 설정된 뷰구간을 표시하고, 상기 지표 이동 메시지가 전달되면 다음으로 진행해야 하는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별 작업 관리부는,
    프로젝트의 최초 시작 시 각 모듈로부터 기본 작업량을 전달받고,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작업 진행 변경이 생길 때 마다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완료 작업량을 산출하는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 및
    상기 모듈 작업상태 관리부로부터 모듈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완료 작업량을 전달받아 상기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로 전달하는 모듈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스 뷰 표시부는,
    선행 작업이 이루어져야 활성화되는 단계의 작업에 대해서는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각 모듈별 작업량을 입력받아 해당 작업량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스 뷰 생성부는,
    입력된 작업량에 따라 해당 뷰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프로젝트의 작업 단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8. 모듈별 작업 관리부가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련된 모듈별 작업량을 모니터링하여 각 모듈에서 수행해야 하는 수행 예정 작업량과 완료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프로그래스 뷰 관리부가 상기 모듈별 작업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모듈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완료 작업량을 전달받아,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과 상기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을 이용하여 상기 각 모듈의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뷰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뷰구간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구간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완료 작업량을 이용하여 다음 작업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다음 작업 단계의 프로그래스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키기 위해 지표 이동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 표시 메시지가 전달되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상기 수행 예정 작업량에 대응하여 설정된 뷰구간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지표 이동 메시지가 전달되면 다음으로 진행해야 하는 뷰구간으로 지표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행상황 모니터링 방법.
KR1020100129323A 2010-12-16 2010-12-16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292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323A KR101292077B1 (ko) 2010-12-16 2010-12-16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323A KR101292077B1 (ko) 2010-12-16 2010-12-16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758A KR20120067758A (ko) 2012-06-26
KR101292077B1 true KR101292077B1 (ko) 2013-07-31

Family

ID=4668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323A KR101292077B1 (ko) 2010-12-16 2010-12-16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026B1 (ko) * 2019-01-22 2020-04-22 이소영 부동산 토탈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720A (ja) * 1993-06-14 1994-12-22 Toshiba Corp 生産開発管理表示装置
JP2004094827A (ja) * 2002-09-03 2004-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ソフトウェア開発進捗管理方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720A (ja) * 1993-06-14 1994-12-22 Toshiba Corp 生産開発管理表示装置
JP2004094827A (ja) * 2002-09-03 2004-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ソフトウェア開発進捗管理方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026B1 (ko) * 2019-01-22 2020-04-22 이소영 부동산 토탈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758A (ko)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3524A1 (en) Programming assistance apparatus, robot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gram
KR101641853B1 (ko) 시뮬레이션 시스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뮬레이션 장치, 엔지니어링 툴
EP3352033A1 (en) Maintenance operation support device, maintenanc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3699473A (zh) 一种任务进度指示的方法和装置
KR20130027472A (ko) 원격 제어식 유체 디스펜서
JP2012194680A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ツール装置および収集指示プログラム
JP2013106102A5 (ko)
EP2495946A3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CN105808347A (zh) 集群服务器部署计算方法及装置
CN108958212B (zh) 校准作业辅助装置、校准作业辅助方法和记录介质
KR101292077B1 (ko) 진행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15070345A5 (ko)
EP2602987A3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WO2013008036A3 (en) Modelling virtualized infrastructure
KR102282194B1 (ko)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진단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183599B (zh) 脚本录制系统及方法
CN106462139B (zh) 可编程显示器以及绘图方法
CN105955745B (zh) 一种流程图仿真调试方法及装置
JP2005243017A (ja) 工作機械用の数値制御装置
JP2010020539A (ja) 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作成方法
CN105808068A (zh) 一种液体供给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JP6318223B2 (ja) シリアル通信のフレーム受信モニタリング方法
JP6167092B2 (ja) 作業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633471B1 (en) Program development support device, program development support system, program development support method, and program development support program
Knott et al. Data-flow oriented software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haptic-enabled physics si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