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031B1 - 급속 커넥터용 수동 트랜스미터 - Google Patents

급속 커넥터용 수동 트랜스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031B1
KR101290031B1 KR1020077013748A KR20077013748A KR101290031B1 KR 101290031 B1 KR101290031 B1 KR 101290031B1 KR 1020077013748 A KR1020077013748 A KR 1020077013748A KR 20077013748 A KR20077013748 A KR 20077013748A KR 101290031 B1 KR101290031 B1 KR 101290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onnector body
retainer
male member
quick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980A (ko
Inventor
짐 케린
Original Assignee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7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Abstract

본원은 유체 라인 시스템에서 연결부를 형성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에 대한 것이다. 상기 급속 커넥터 커플링은 암 커넥터 몸체, 수 부재 및 커넥터 몸체와 결합하는 래치를 포함한다. 상기 암 커넥터 몸체는 상기 몸체를 통해 형성된 슬롯과, 커넥터 몸체의 단부로부터 신장된 구멍을 갖는다. 상기 수 부재는 커넥터 몸체의 단부를 통해 상기 구멍 안으로 신장된다. 상기 수 부재는 관형상 면과 환형상 전도부를 갖는다. 상기 전도부는 관형상 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래치는 수 부재 전도부와 상호 접촉하는 관계로 있다. 상기 래치는 수동 트랜스미터를 구비한다.
수 부재, 암 커넥터 몸체, 전도부, 래치, 수동 트랜스미터, 슬롯, 리테이너.

Description

급속 커넥터용 수동 트랜스미터{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본 발명은 급속 커넥터 커플링을 구비한 유체 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적으론 커플링이 적절하게 연결되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수동 트랜스미터를 가진 급속 커넥터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및 그외 유사한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암 커넥터 몸체에 수용되어 밀봉 유지되는 수 부재를 구비한 급속 커넥터 커플링을 흔하게 이용하여, 2개 구성요소 또는 도관 사이에 유체 연결부를 제공하여서, 2개 구성요소 사이에 유체 라인을 확립시키게 된다. 급속 커넥터 커플링의 사용 이점은 밀봉 및 고정 유체 라인을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급속 커넥터 커플링의 암 커넥터 몸체와 수 부재를 고정하는 데에는 다수 방법과 메카니즘이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몸체의 실외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삽입된 리테이너의 사용을 포함하는 한 형태의 유지(retention) 메카니즘이 있다. 상기 유지 메카니즘은, 슬롯을 통해 연장 형성된 빔을 슬롯을 형성하고 있는 후방 면과 수 부재 전도부(upset)와의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시키어서, 커플링의 분리를 방지시킨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 물체의 외관으로 인해서, 이들을 당 업계에서는 "편자(horseshoe)" 리테이너로 언급하기도 한다.
또한, 커넥터 몸체 내에 배치된 리테이너의 사용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유지 메카니즘도 있다. 상기 리테이너는 수 부재에 형성된 확장 전도부와 커넥터 몸체 내에 형성된 방사 면과의 사이로 연장 형성된 로드-베어링 부재를 가지어서, 커넥터 몸체 내에 상기 수 부재를 고정한 것이다.
본원은 유체 라인 시스템에서 연결부를 형성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에 대한 것이다. 상기 급속 커넥터 커플링은 암 커넥터 몸체, 수 부재 및 커넥터 몸체와 결합하는 래치를 포함한다. 상기 암 커넥터 몸체는 상기 몸체를 통해 형성된 슬롯과, 커넥터 몸체의 단부로부터 신장된 구멍을 갖는다. 상기 수 부재는 커넥터 몸체의 단부를 통해 상기 구멍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수 부재는 관형상 면과 환형상 전도부를 갖는다. 상기 전도부는 관형상 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래치는 수 부재 전도부와 상호 접촉하게 구성된다. 상기 래치는 수동 트랜스미터를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의 제1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2는 도1의 암 커넥터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 몸체의 측부 단면도이다.
도4는 리테이너 하우징 단면을 절취하여 취해진 도1의 커넥터 몸체의 전방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주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주 리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주 리테이너의 후면도이다.
도8는 도1의 제2래치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1의 제2래치의 후면도이다.
도10은 도1의 제2래치의 측면도이다.
도11은 11-11선을 따라 절취된, 도9의 제2래치의 후방 단면도이다.
도12는 선택적 구역에 위치한 트랜스미터를 가진 도1의 커플링에 사용되는 제2래치의 후방 단면도이다.
도13은 비-걸림 위치에 있는 제2래치와 잠금 위치에 있는 주 리테이너를 가진, 도1의 커플링의 측면도이다.
도14는 14-14선을 따라 절취된, 도13의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15는 걸림 위치에 제2래치와 커넥터 몸체에 적절히 삽입된 수 부재를 가진, 도1의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16은 비-걸림 위치에 있는 제2래치와 커넥터 몸체에 충분하게 삽입되지 않은 수 부재를 가진, 도1의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17은 비-걸림 위치에 있는 제2래치를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르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18은 도17의 커넥터 몸체의 측단면도이다.
도19는 도17의 제2래치의 측면도이다.
도20은 도17의 제2래치의 정면도이다.
도21은 도17의 제2래치의 상부도이다.
도22는 22-22선을 따라 절취된, 도19의 제2래치의 정단면도이다.
도23은 선택적 구역에 위치한 트랜스미터를 가진 도17의 커플링에 사용되는 제2래치의 전방 단면도이다.
도24는 비-걸림 위치에 있는 제2래치와 커넥터 몸체에 적절하게 삽입된 수 부재를 가진, 도17의 커플링의 측단면도이다.
도25는 걸림 위치에 있는 제2래치와 커넥터 몸체에 적절하게 삽입된 수 부재를 가진, 리테이너 하우징 단면으로 절취된, 도17의 커플링의 정단면도이다.
도26은 걸림 위치에 있는 제2래치와 커넥터 몸체에 적절하게 삽입된 수 부재를 가진, 도17의 커플링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27은 비-걸림 위치에 있는 제2래치와 커넥터 몸체에 충분하게 삽입되지 않은 수 부재를 가진, 도17의 커플링의 측단면도이다.
도28은 걸림 위치에 있는 제2래치와 커넥터 몸체에 충분하게 삽입되지 않은 수 부재를 가진, 리테이너 하우징 단면으로 절취된, 도17의 커플링의 정단면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에 이용된 수동 트랜스미터에서 나온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30은 다른 수동 트랜스미터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은 유체 라인에 형성된 급속 커넥터 커플링(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커플링(10)에는 대략 원통형의 암 커넥터 몸체(12)와 주 리테이너(16)와 제2래치(18)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수 부재(14)가 포함된다. 래치(18)가 "제2(secondary)"로서 언급되고 다른 리테이너와 관련하여 함께 도시되었지만, 본원에서는 다른 "주(primary)" 리테이너를 갖지 않고, 래치(18)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한 적용 예가 상정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수 부재(14)는 유체 라인 시스템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중공 관(15)의 단부에 형성된다. 사용 시, 암 커넥터 몸체(12)는 유체 라인 시스템의 일 부분인 호스(도시 않음)에 연결된다. 암 커넥터 몸체(12)와 수 부재(14)는 유체 라인에서 지속하는 것이지만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유체 라인에 형성하도록 연결가능하다.
커넥터 몸체(12)는 도2 내지 도4에 상세하게 나타내었다. 커넥터 몸체(12)는 대략 원통형으로 단차진 실외 벽(20)과 대략 원통형으로 단차진 실내 벽(22)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몸체(12)는 축선(24)에 대하여 중앙 설정되고, 양호하게 나일론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실내 벽(22)에는 관통 구멍(26)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26)은 대 직경 유입 또는 수 부재 유입 단부(28)에서, 소 직경 호스 연결 단부(30)로 커넥터 몸체(12)를 완전하게 통하여 연장 형성된 것이다.
커넥터 몸체(12)의 실내 벽(22)의 직경 변화로 구멍(26)을 4개의 특정 구간으로 나눈다. 수 부재 유입 단부(28)에서 호스 커넥터 단부(30)로 축선 내부방향으로의 이동 구간에는,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32), 밀봉 실(34), 관 단부 리셉터 클, 및 유체 통로(38)가 있다.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32)은 수 부재 유입구 단부(28)에 인접하여 있다. C-형상 외부 림(40)은 상부 지지부재(44), 양측 지지부재(46, 48), 2개의 중앙 지지부재(50, 52), 및 2개의 저부 지지부재(54, 56)에 의해 내부 림(42)에 연결된다. 외부 림의 슬롯(41)은 C-형상 외부 림(40)의 저부에 형성된다. 노치(43)는 내부 림(42)의 저부에 형성된다. 양측 지지부재(46, 48)와 상부 지지부재(44) 사이의 공간은 2개의 상부 슬롯(58, 60)을 형성한다. 양측 지지부재(46, 48)와 저부 지지부재(54, 56) 사이의 공간은 양측 슬롯(62, 64)을 형성한다. 2개의 저부 지지부재(54, 56) 사이의 공간은 저부 슬롯(66)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슬롯(58, 60)은 커넥터 몸체(12)의 중앙 축(24)에 대해 가로축으로 주 리테이너(16)를 수용하여 위치시킨다. 측부 슬롯(62, 64)과 저부 슬롯(66)은 커넥터 몸체의 중앙 축(24)에 대해 가로축으로 제2래치(18)를 수용하여 위치시킨다. 상부 지지부재(44)는 구부러진 상부면(45)을 형성한다. 각각의 중앙 지지부재(50, 52)는 잠금 견부(68, 70)를 형성한다. 잠금 융기부(72, 74)는 각각의 저부 지지부재(54, 56)의 외부 엣지에서 측면방향으로 신장된다.
밀봉 실(34)은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32)의 축선 내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밀봉 실은, 원추형 견부(78)에서 방사형 견부(80)로 축선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32)과 상관하여 실내 벽(22)의 감소 직경부분으로 형성된다. 밀봉 실(34)이 밀봉 요소를 수용하도록 제공되어 커넥터 몸체(12)와 수 부재(14)사이에 유체 밀봉부를 형성한다.
관 단부 리셉터클(36)은 밀봉 실(34)의 축선 내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셉터클은 밀봉 실(34)과 상관하여, 실내 벽(22)의 감소 직경부분으로 형성되고, 방사형 견부(80)의 소 직경 단부에서 원추형 견부(82)로 축선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관 단부 리셉터클(36)은 수 부재(14)의 개방 단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유체 통로(38)는 실내 벽(22)의 최소 직경부로 한정된다. 상기 통로는 원추형 견부(82)의 소 직경부에서 호스 연결단부(30)로 이어진다. 유체 통로(38)를 둘러싸고 있는 실외 벽(20) 부분은 유체 라인에서 다른 구성요소에 수월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조된다. 예를 들어, 상술된 커넥터 몸체(12)를 가요성 호스에 연결되게 특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원추형 돌출부(84)가 단부(30)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가요성 호스 안으로의 삽입을 수월하게 하고 그리고 경사진 미늘(ramped barbs)(86)이 상기 돌출부(84)의 외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커넥터 몸체에 호스가 유지되게 한다. 오목 홈(88)을 형성하여, 필요 시에, 실외 0-링 밀봉체를 수용한다.
도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 부재(14)는 경성 관(15)의 단부에 형성된다. 수 부재는 개방 관 단부(92)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방사방향 확장 전도부(90)를 갖는다. 상기 관 단부(92)는 둥글거나 경사진 것으로, 커넥터 몸체(12) 안으로 수 부재(14)가 어려움 없이 삽입하게 한다. 완만한 원통형 밀봉 면(94)은 전도부(90)와 관 단부(92) 사이로 연장 형성된다. 밀봉 면(94)의 외부 직경은 수 부재(14)의 단부가 관 단부 리셉터클(36) 내에 안정적으로 맞추어지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5 내지 도7에서, "편자"타입 리테이너(16)를 주로 하여 설명한다. 양호하게, 상기 리테이너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의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주 리테이너(16)는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32)의 상부 슬롯(58, 60)을 통해 삽입되어 커넥터 몸체(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주 리테이너(16)는, 크로스 부재(98)로부터 연장되고 일 단부에서 연결된 1조의 신장형으로, 대체로 평행한 유지 빔(96)을 구비한다. 상기 크로스 부재(98)는 수 부재(14)의 비-전도 외부 직경과 대략 동일한 길이의 유지 빔(96) 사이에 분리부를 제공한다. 상기 유지 빔(96)은 상부 슬롯(58, 60)의 축선방향 폭과 대략 동일하지만 약간 작을 수도 있는(공차허용) 축선 폭으로 이루어진다. 유지 빔(96)의 측면 폭은 상부 슬롯(58, 60)의 측면 폭보다 현저하게 작아서, 유지 빔(96)의 외부방향 팽창을 허용하게 된다(수 부재의 삽입 및 방출 허용).
크로스 부재(98)는 유지 빔(96)의 폭보다 대체로 더 큰 축방향 폭을 갖는다. 도6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98)는 주 리테이너(16)가 유지 빔(96)의 전방 면(102)과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유지 빔(96)의 후방 면(104) 너머로 축방향으로 신장된다.
각각의 유지 빔(96)은 크로스 부재(98)에서 원격진 단부에 형성된 래치(106)와, 방출 램프(108) 및, 래치(106)와 크로스 부재(98)사이에 전방 면(102)에 형성된 경사진 선도 구역(110)을 포함한다. 주 리테이너(16)가 커넥터 몸체(12) 안으로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래치(106)가 주 리테이너(16)를 커넥터 몸체(12)와 상관된 위치에 고정된다. 래치(106)에 형성된 걸림 엣지(112)는 커넥터 몸체(12)의 중앙 지지부재(50, 52)에 의해 형성된 잠금 견부(68, 70)와 결합하여 주 리테이너(16)를 제위치에 고정시킨다.
방출 램프(108)는 크로스 부재(98)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조립 시에, 방출 램프(108)는 커넥터 몸체(12)의 상부 지지부재(44)의 구부러진 상부 면(45) 바로 위에 위치한다. 만일 압력이 크로스 부재(98)에 가해져 주 리테이너(16)가 커넥터 몸체(12) 안으로 더욱 눌러지게 되면, 방출 램프(108)가 상부 지지부재(44)와 접하여 활주하거나 캠 동작하게 된다. 그러한 결과로, 유지 빔(96)은 양쪽으로 벌려져, 수 부재(14)의 방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선도 구역(110)은 각 유지 빔의 전방 면(102)에서 내부 방사 및 축선 방향으로 경사지며 그리고, 전방 면(102)과 후방 면(104) 사이에 대략 중간에서 마감된다. 선도 구역(110) 사이에 공간은 전방 면(102)에 인접하여 최대가 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은 수 부재(14)상에 형성된 전도부(90)의 직경과 거의 같다. 선도 구역(110)의 후방 엣지(116)에서, 선도 구역(110) 사이에 공간은 수 부재(14)의 (비-전도부)외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래치(106)에 보다 가까운 선도 구역(110) 부분은 "118"에서 내부 방향으로 굽어져 수 부재 전도부(90)의 외부 환형상 부분과 짝을 이룬다. 이러한 구성은 커넥터 몸체(12)를 통한 수 부재(14)의 안내와 중앙설정 동작에 유익한 것이다.
제2래치(18)를 도8 내지 도10을 통해 설명한다. 상기 제2래치(18)는 플라스틱 성형부분(160)과 수동 트랜스미터(162)를 구비한다. 제2래치(18)의 플라스틱 성형부분(160)은 주 몸체 부분(124)에 의해 연결된 1조의 신장된 대략 평행한 포획 빔(122)과, 리테이너 빔(119)을 구비한다.
주 몸체 부분(124)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노치(125)가 형성된다. 상기 노치(125)는 돌림 나사의 단부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횡단면이 공구 엣지(edge)가 그 안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걸림 위치(도15 참고)에서 비-걸림 위치(도14 참고)로 제2래치(18)를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지레 작용부를 제공한다. 관 확인부(tube verifier)(126)는 리테이너 빔(119)의 후방에서 축선방향으로 신장된다. 유지 클립(128)은 주 몸체 부분의 전방에서 축선방향으로 신장된다.
상기 리테이너 빔(119)은 측방향 확장부(120)와 협폭 부분(121)을 구비한다. 상기 확장부(120)의 측면 폭은 커넥터 몸체(12)의 저부 슬롯(66)의 측면 폭 보다 약간 더 작다. 협폭 부분(121)의 측면 폭은 외부 림 슬롯(41)의 측면 폭 보다 약간 더 작다. 확장부(120)는 수 부재(14)의 전도부(90)와 접촉부로 채택된 접촉면(123)을 형성한다. 리테이너 빔(119)의 내부 면(127)은 방사상으로 구부러지며, 수 부재(14)를 형성하는 관의 외부면 굴곡에 대응한다.
각각의 포획 빔(122)은 주 몸체 부분(124)에서 원격진 단부에 형성된 후크(130)를 구비한다. 후크(130)로 형성된 노치(132)는 저부 지지부재(54, 56)로 한정된 잠금 융기부(72, 74)와 결합하여, 제2래치(18)가 비-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커넥터 몸체(12)에 상기 제2래치(18)를 고정한다. 후크(130)와 주 몸체 부분(124) 사이에 위치하여, 각 포획 빔(122)의 내부 면이 경사면(134)과 측면 확장면(136)을 형성한다. 2개 포획 빔의 경사면(134) 사이에 거리는 잠금 융기부(72, 74) 사이에 거리보다 짧다. 2개 포획 빔의 측면 확장면(136)사이에 거리는 대략 잠금 융기 부(72, 74)사이에 거리와 대체로 같다. 또한, 포획 빔(122)의 내부면 사이에 최협폭 거리는 주 리테이너(16)의 유지 빔(96)의 외부면 사이에 거리보다 약간 더 크다. 포획 빔(122)의 축선 폭은 유지 빔(96)의 축선 폭과 대체로 동일하다.
관 확인부(126)는 대략 달(moon)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관 확인부(126)의 방사 내부면은 제1곡선면(138)과 제2곡선면(140)을 갖는다. 제1곡선면(138)의 곡선의 굴곡은 수 부재(14)를 형성하는 관의 외부 면의 굴곡에 대응한다.
유지 클립(128)은 주 몸체 부분(124)의 전방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장된다. 리브(142)는 주 몸체 부분(124)의 후방 면에 유지 림(28)의 전방 면을 연결한다. 리브(142)의 측면 폭은 내부 림(42)의 노치(43)의 측면 폭보다 약간 더 작다. 리브(142)의 축방향 길이는 내부 림(42)의 축방향 두께보다 약간 더 크다. 엣지(144)는 유지 클립(128)의 방사 내부방향 엣지에 형성된다. 엣지(144)의 곡률은 밀봉 실(34)을 둘러싸는 실외 벽(20) 부분의 곡률과 대응한다. 엣지(144)의 굴곡은 상향하는 압력이 제2래치가 비-걸림 위치로 방출되게 하고 수 부재가 동작하게 굽어진다.
도9 내지 도1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동 트랜스미터(162)는 주 몸체 부분(124)의 상부에 배치된다. 수동 트랜스미터(162)는 파워 서플라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한 수동 트랜스미터의 예로는 본원에 참고로서 기재된 힐드브랜드의 미국특허 5,227,798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수동 트랜스미터는 거리, 변형력, 압력, 및 그외 다른 환경 인자의 변화에 반응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서, 수동 트랜스미터(162)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프로브(164)는 트랜스미터(162)에 연결된다. 프로브(164)는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127)에서 트랜스미터(162)로 신장된다. 프로브(164)의 터미널 단부(166)는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상으로 구부러진 내부면(127)에서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트랜스미터(162)는 트랜스미터(162) 둘레에 직접 주 몸체 부분(124)을 성형하여 주 몸체 부분(124)의 상부에 매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버몰드 트랜스미터(162)에서는, 프로브(164)가 또한 제2래치(18)의 플라스틱 부분(160)을 성형하는 공정 중에 리테이너 빔(119)에 오버몰드 된다. 트랜스미터(162)와 프로브(164)가 플라스틱 부분(160)에 오버몰드 되는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트랜스미터(162)와 프로브(164)가 성형 공정 중에 받게되는 열에 대해 견딜 수 있어야만 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스미터(162)를 주 몸체 부분(124)의 상부면에 형성된 공동에 배치할 수 있다. 1개의 구멍이 상기 공동에서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으로 신장된다. 상기 공동은 제2래치(18)의 플라스틱 부분(160)을 성형하는 공정의 파트로 형성된다. 트랜스미터(162)는 주 몸체 부분(124)에 접합되거나 기계적으로 고착된다. 프로브(164)는 리테이너 빔(119)에 형성된 구멍 안으로 삽입된다.
도12는 다른 장소에 위치한 트랜스미터를 가진 도1의 커플링에 사용되는 제2래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주 몸체 부분(124)의 상부에 트랜스미터를 위치하고 그리고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에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프로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며, 트랜스미터(162A)가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127)의 방사 외부방향으로 바로 배치한 것이다. 트랜스미터(162A)는 트랜스미터(162A) 둘레에 직접 리테이너 빔(119)을 오버몰딩 하여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 근방에 매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랜스미터(162A)를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에 형성된 공동에 배치할 수 있다.
급속 커넥터 커플링을 연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주 리테이너(16)를 커넥터 몸체(12)에 부착한다. 주 리테이너(16)의 유지 빔(96)을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32)의 상부 슬롯(58, 60)을 통해 삽입한다. 주 리테이너(16)를 크로스 부재(98)와 방출 램프(108)가 지지부재(44) 위에 위치되게 방향을 정하고 그리고, 유지 빔(96)의 선도 구역(110)과 수 부재 유입구 단부(28)와 마주하게 한다.
상부 슬롯(58, 60)을 통한 유지 빔(96)의 삽입은 크로스 부재(98)에 하방향 힘을 적용하여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본원을 설명할 목적으로, "하방향 힘"용어는 커넥터 몸체(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 정의한다. 하방향 힘의 증가는 유지 빔(96)이 중앙 지지부재(50, 52)의 측부와 접촉할 때에 필요하다. 충분한 하방향 힘을 적용하여, 유지 빔(96)의 둥근 단부가 중앙 지지부재(50, 52)의 측부에 대항하여 활주하며, 유지 빔(96)이 벌려져서 유지 빔(96)이 중앙 지지부재(50, 52)에 의해 통과되게 한다. 유지 빔(96)이 중앙 지지부재(50, 52)를 통과하면, 유지 빔(96)이 저부 지지부(78)의 잠금 견부(68, 70) 밑에 위치한 걸림 엣지(112)로 내부방향으로 탄력을 받아서 주 리테이너(16)를 커넥터 몸체(12)에 고정한다. 도14와 도15는 적절하게 부착된 주 리테이너(16)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착된 위치에서, 주 리테이너(16)의 유지 빔(96)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도1과 도13 참고) 구멍(26)의 축선(24)에 대해 거의 수직적으로 있다.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보았을 때에, 유지 빔(96)은 구멍(26)의 축선(24)에서 거의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다(도14와 도15 참고).
커넥터 몸체(12)에 주 리테이너(16)를 적절하게 부착한 상태에서, 수 부재(14)가 커넥터 몸체(12)에 삽입된다. 수 부재(14)의 밀봉 면(94)은, 유지 빔(96) 사이에 공간이 수 부재(14)의 비-전도부 외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여, 유지 빔(96) 사이를 통과하고 그리고 저항을 거의 받지 않거나 전혀 받지 않고 밀봉 실(34)로 전해진다. 삽입에 따른 저항은 수 부재(14)의 전도부(90)가 유지 빔(96)과 접촉하였을 때에 발생한다. 유지 빔(96)의 선도 구역(110)은 축선 내부방향으로 힘을 충분히 가하였을 때에 유지 빔 사이를 전도부(90)가 통과할 수 있다. 전도부(90)가 유지 빔(96) 사이를 지나가서, 선도 구역(110)을 따라서 얹혀지고, 유지 빔(96)이 반경 외부방향으로 굽혀진다. 전도부(90)가 유지 빔을 통과하였으면, 유지 빔(96)은 잠금 위치로 전도부(90) 뒤에 위치로 탄성 반력이 일어난다. 유지 빔(96)의 후방 면(104)은 전도부와 맞닿아서 커넥터 몸체(12)에서 수 부재(14)의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잘못된 후퇴동작을 방지한다.
수 부재(14)의 잠금 위치로부터의 방출은 크로스 부재(98)에 하향 힘을 발휘하여 달성할 수 있다. 크로스 부재(98)에 발휘되는 하향 힘은 방출 램프(108)가 커넥터 몸체(12)의 상부 지지부재(44)의 구부러진 상부면(45)과 접촉을 일으키게 한다. 상기 방출 램프(108)는 상부 지지부재(44)에 대하여 활주 또는 캠 동작하여, 하향 힘의 지속적인 적용으로, 유지 빔(96)이 측방향으로 벌려지게 한다. 결국적으로, 유지 빔(96)은 유지 빔(96) 사이를 전도부(90)가 통행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양측으로 벌려질 것이다. 다음, 수 부재(14)는 커넥터 몸체(12)에서 후퇴하게 된다. 커넥터 몸체(12)로부터 부재(14)의 후퇴와 주 리테이너(16)의 이완으로, 상기 주 리테이너(16)는 정상 설치 위치를 되찾게 된다.
상호 결합은, 잠금 융기부(72, 74)가 노치(132) 내에 위치된(도13과 도14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음) 비-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도15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음)로 제2래치(18)를 위치 설정시키어 완료된다. 제2래치(18)를 걸림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하향 힘이 주 몸체 부분에 가해진다. 충분한 하향 힘으로, 포획 빔(122)의 경사면(134)이 잠금 융기부(72, 74)의 측부에 대하여 활주하며, 포획 빔(122)을 양측으로 벌리어서 상기 포획 빔이 저부 지지부재(54, 56)를 지나가게 한다. 도16 및 도17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12)에 적절하게 삽입된 수 부재(14)를 가지고, 제2래치는 제2래치(18)의 포획 빔(122) 구간이 주 리테이너(16)의 유지 빔(96)의 측면 외부방향으로 배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동시에, 리테이너 빔(119)과 관 확인부(126)가 수 부재(14) 쪽으로 반경 내부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유지 클립(128)이 밀봉 실(34) 둘레에 실외 벽(20)을 향하는 쪽으로 반경 내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래치(18)가 커넥터 몸체(12) 안으로 완전하게 삽입되면, 잠금 융기부(72, 74)가 포획 빔(122)의 경사면(134)을 넘어서, 측방향 확장 면(136)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2래치(18)의 포획 빔(122)은 도17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걸림 위치로 측면 내부방향으로 휘어진다. 제2래치(18)의 포획 빔(122)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1과 도13 참고) 구멍(26)의 축선(24)에 대해 거의 직교하여 있다.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보았을 때, 포획 빔(122)은 구멍(26)의 축선(24)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다(도14와 도15 참고). 걸림 위치에서, 제2래치(18)의 각각의 포획 빔(122) 부분은 주 리테이너(16)의 대응 유지 빔(96)의 측면 외부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유지 빔(96)에 대한 포획 빔(122)의 위치는 유지 빔(96)이 측면 외부방향으로 잘못 이동하여 수 부재(14)가 잠금 위치에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 위치에서, 리테이너 빔(119)의 후방면은 수 부재(14)의 전도부(90)와 축방향으로 상호 접촉하는 관계로 있다. 리테이너 빔(119)과 전도부(90)사이의 이러한 축방향으로 상호 접촉하는 관계는 제2래치(18)에, 주 리테이너(16)가 실패하여도 수 부재(14)를 커넥터 몸체(12)에 보유하게 제2래치의 특징을 제공한다.
전도부(90)가 주 리테이너(16)의 유지 빔(96)을 넘어서 있도록, 커넥터 몸체(12) 안으로 수 부재(14)가 완전하게 삽입되어 졌으면, 리테이너 확인부(119)의 방사 내부면이, 주 리테이너의 유지 빔 사이로 반경 내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유지 빔의 방사 내부면(127)이 수 부재를 형성하는 관의 외부면과 접하는 걸림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걸림 위치로 방사 내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래치(18)의 이동성은 사용인이 시각적으로 부재(14)가 커넥터 몸체(12)안으로 적절하게 삽입되어져 있음을 확인하게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시각적 확인을 제공하는 일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2래치(18)는 또한 수 부재(14)가 커넥터 몸체(12)에 적절하게 삽입되어져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기에 보낼 수도 있는 것이다.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이 관(15)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걸림 위치에 제2래치(18)를 삽입하면,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의 중간이 상기 관(15)의 외부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관(15)과의 이러한 리테이너 빔(119)의 접촉은 압력이 프로브(164)의 터미널 단부(166)가 놓여지는 방사 내부면의 중간에서 변화를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압력 변화는 트랜스미터(162)에 의해 전해진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일으킨다. 수신기는, 도29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래치(18)가 커넥터 몸체(12)에 삽입된 장소에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수신기는 트랜스미터(162)에서 나온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주파수 변화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진, 도29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처리장치(process unit)로 보낸다. 다음, 상기 처리장치는 도29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로 신호를 보내어서, 커플링(10)이 적절하게 연결되어져 있음을 알리는 통보를 한다. 상기 처리장치는 또한 커플링(10)이 적절하게 연결되어져 있음을 기록하는 기록부를 만들 수 있는 레코더(도시 않음)로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도16은 수 부재(14)가 커넥터 몸체(12)에 적절하게 삽입되어져 있지 않았을 때에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상태에서, 수 부재(14)는 전도부(90)가 주 리테이너(16)의 유지 빔(96)을 넘어서도록 커넥터 몸체(12) 안으로 충분히 삽입되지 않았다. 유지 빔(96)이 여전히 벌어진 상태에서는, 제2래치(18)의 포획 빔(122)이, 포획 빔(122)의 단부가 주 리테이너(16)의 벌어져 있는 유지 빔(96)과 접하기 때문에, 커넥터 몸체(12) 안으로 방사 내부방향으로 삽입될 수가 없다. 또한, 수 부재(14)가 커넥터 몸체(12)안으로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 도부(90)가 제2래치(18)의 리테이너 빔(119)의 바로 방사 내부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전도부(90)의 방사 외부면과의,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의 접촉은, 상기 제2래치가 커넥터 몸체(12) 안으로 방사 내부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동작을 방지한다. 제2래치(18)가 걸림 위치로의 방사 내부방향으로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여, 수 부재(14)가 커넥터 몸체(12)에 충분하게 삽입되어져 있지 않다는 사실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127)의 곡률은 전도부(90)의 외부면의 곡률과 동일하지 않다.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127)은 전도부(90)의 외부면의 직경보다 작다. 이러한 대응하지 않는 전도부(90)의 외부면과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의 곡률 상황에서는, 오직 리테이너 빔(119)의 엣지 만이 전도부(90)와 접촉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리테이너 빔(119)의 엣지가 커넥터 몸체(12) 내로의 적절하지 않게 이루어진 수 부재(14)의 삽입 상태에서 전도부(90)와 접하게 되더라도, 리테이너 빔(119)의 중간은 전도부(90)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프로브(164)의 터미널 단부(166)가 위치한 리테이너 빔(119)의 중간에 압력이 변화하지 않는다. 이러한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의 중간에서의 압력 변화의 결여는 트랜스미터(162)에 의해 보내진 주파수를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처리 장치는 커플링(10)이 적절하게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하는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
도29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동 트랜스미터(162) 형태의 매립된 센서를 설치하여 걸림 위치에 제2래치(18)와 주 리테이 너(16)의 적절한 위치설정 및 수 부재(14)의 존재를 탐지한다. 다르게는, 상기 센서를, 주 리테이너가 이용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2래치(18)의 적절한 위치설정동작을 감지하도록 배열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센서는 다른 장비와 물리적인 연결을 행할 필요가 없으며 파워 소스에 직접 연결할 필요도 없다. 상기 센서는 유도 자계 트랜스미터로서 동작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관(15)의 완만한 원통형 밀봉 면(94)에 대한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127)의 접촉부에 압력을 고려하였지만, 회로를, 수동 트랜스미터가 수동 트랜스미터(162)와 수 부재(14)의 관(15) 또는 다른 리테이너 구성요소와의 사이에서 근접성, 위치, 또는 다른 상호 관계와 같은 다른 조건에 반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은 도29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수신기(400)는 조립 라인 또는 작업장과 같은 수 부재(14)에 급속 커넥터 커플링(10)을 조립하는 장소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수신기(400)는 수동 트랜스미터(162)에 유도적으로 결합된 수신 인덕터(402)를 구비한다. 수신 인덕터는 전송 인덕터에 유도된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적절한 연결이 이루어졌을 때에, 도1 내지 도16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 내부면(127)이 수 부재(14)의 관(15)의 표면(94)과 접촉하고 그리고 수동 트랜스미터(162)가 압력의 변화 또는 증가를 인식한다.
도29를 참고로 설명하면, 수신기는 스위프(sweep)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프 신호 소스(401)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프 신호 소스는 버퍼(403a)를 통해 수신 인덕터(402)에 결합한다. 스위프 신호 소스(401)는 동일하게 기준 인덕터(405)에 버퍼(403a)를 통해 결합한다. 기준 인덕터는 시일드(407)에 의해 차폐되어 수동 트랜스미터(162)에 결합이 방지된다. 양측 인덕터(402, 405)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차동 증폭기(difference amplifier)에 연결된다.
상기 인덕터(402, 405)는 소스(401)에서 동일한 스위프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각각의 터미널(7, 8)에서의 전압(V1, V2)은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그런데, 스위프 신호 소스(401)가 수동 트랜스미터(162)의 공진 주파수를 통해 지나감으로서, 수동 트랜스미터는 수신 인덕터(402)에 의해 생성되는 근접 또는 유도 전자기장(near or induction electromagnetic field)에 의해 수신 인덕터(402)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낮은 임피던스 부하를 형성한다. 이 부하는 인식되는 수신 인덕터를 가로지르는 전압(V1)을 저하시키고, 이것이 차동 증폭기(408)로 인식되어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컴퓨터와 같은 관련된 처리 장비(409)가 설치되어 차동 증폭기(408)에 의해 발생된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차동 증폭기(408)에서 나온 출력 신호는, 다음에 오디오 또는 영상 신호 데이터 또는 데이터 조합 기록물 또는 그 유사 반응물을 제공할 수 있는 평가 및 처리를 하는 상관 처리 장비(409)에 전달된다.
수동 트랜스미터(162)의 회로는 도29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상기 회로는 송신 인덕터(410), 저항(412), 및 축전기(414)를 구비한다. 상기 회로는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수동 트랜스미터 또는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수동 트랜스미터로 정렬 배치되어 진다. 상기 차이는 저항(412)의 위치에 있다.
도29에서, 저항(412)은 송신 인덕터(410)와 축전기(414)와 병렬로 설치된다. 도30에서는, 저항(412)이 송신 인덕터(410)와 축전기(414)와 직렬로 설치된다.
저항(412)은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수동 트랜스미터(162)가 도1 내지 도1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압력을 감지하는 것이라면, 가변성인, 힘에 민감한 저항이 이용된다. 수동 트랜스미터(162)가 거리 또는 근접도를 감지하는 것이라면, 고정 저항이 이용된다. 일정 시간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가변 저항은, 거리 또는 근접도가 감지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신호의 진폭이 트랜스미터 인덕터(402)와 수동 트랜스미터(162) 사이의 분리된 거리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허용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의 제2실시예를 도17 내지 도25를 통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210)은, 수 부재가 커넥터에 적절하게 삽입되어져 있는 지를 확인하는 신호를 수신기에 보내기 위해 제2래치의 플라스틱 부분에 위치한 트랜스미터를 제외하고는, 참고로서 본원에 개재된 미국 특허 5,628,531호에 기술된 급속 커넥터 커플링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급속 커넥터 커플링(210)은 중공 암 커넥터 몸체(212)와 연결할 수 있는 수 부재(214)를 구비한다.
수 부재(214)는 유체 라인 시스템의 일 파트를 형성하는 중공의 경성 관(215)의 단부에 형성된다. 수 부재(214)는 수 부재의 단부에서 주어진 거리에 형성된 환형상 플랜지 또는 전도부(290)를 구비한다.
암 커넥터 몸체(212)는 중공이고 구멍(22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몸체는 플라스틱 재료, 양호하게는 나일론으로 제조된다. 확장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232)은 커넥터 몸체(212)의 일 단부에 형성된다.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232)은 방사 환형상 림(240)으로 한정된 유입구(228)를 갖는다. 1조의 180도로 원주 둘레에 배치된 직사각형 윈도우(262, 264)는 커넥터 몸체(212)를 통해 형성되고 유입구(22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림(240)에서부터 연장 형성된다.
슬롯(258)은 커넥터 몸체(212)의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232)을 통해 형성된다. 슬롯(258)은 윈도우(262, 264)보다 협폭이고, 상기 윈도우에서 90도로 원주 둘레에 떨어져 있다. 곡선진 캠 표면(246, 248)은 슬롯(258)과 윈도우(262, 264) 사이에 원주 둘레로 연장 형성된다. 2개의 원통형 장착 지주(268)는 커넥터 몸체(212)의 실외 반대편 측에 형성된다.
리테이너(216)는 커넥터 몸체(212)의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232)에 배치된다. 리테이너(216)는 커넥터 몸체(212) 내에 수 부재(214)를 고정한다. 리테이너(216)는 플라스틱, 양호하게는 나일론으로 제조된다. 도26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216)는 기부 링(298)에서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2개 지지 구성체(29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구성체(295)는 기부 링(298)과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기부 링(298)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각각의 지지 구성체(295)는 유입구(228)쪽으로 기부 링(298)에서 연장 형성된 2개의 평행한 지지 빔(도시 않음)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빔은 반-원형 크로스 빔(310)에 의해 기부 링(298)에서부터 원거리에 있는 단부에서 연결된다. 크로스 빔(310)은 유입구 림(240)의 실내 내부에 안착되게 한다. 크로스 빔(310) 사이에 방사상으로 떨어져 있는 거리는 전도부(290)의 외측부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따라서, 수 부재(214), 전도부(290) 및 기타 구성요소들이 저항 없이 크로스 빔(310) 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유지 빔(296)은 지지 구성체(295)의 지지 빔에 의해 걸터 앉은 각각의 크로스 빔(310)에 중앙 집중적으로 장착된다. 유지 빔(296)은 접합면(304)에서 끝나는 수렴 각도로 크로스 빔(310)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접합면(304)은 리테이너 안으로 충분하고 적절하게 삽입되는 수 부재 상에 수 부재의 전도부와 상호 접촉하는 관계로 있게 한다. 접합면(304)과 기부 링(298) 사이의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거리는 적어도 전도부(290)의 축방향으로의 폭 만큼 크게 되어야 한다. 접합면(304) 사이의 방사상으로 떨어져 있는 거리는 수 부재 전도부(290)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유지 빔(296)은 방사 외부방향으로 힘을 받아야만 전도부가 통과하게 된다.
제2래치(218)는 커넥터 몸체(212)의 실외에 부착된다. 래치(218)가 "제2"로 언급되고 다른 리테이너와 관련하여 나타내었지만, 적용은, 다른 "주(primary)" 리테이너를 가지지 않고, 래치(218) 만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또는 매우 양호하게 되는 것이 고려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2래치(218)는 플라스틱 성형 부분(360)과 수동 트랜스미터(362)를 구비한다. 제2래치(218)의 플라스틱 성형 부분(360)은 주 몸체 부분(324)을 구비한다. 2개 레그(316)는 몸체 부분(324)의 측부 엣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각각의 레그(316)는 직사각형 구멍(318)을 형성하여 커넥터 몸체(212)에 형성된 대응 지주(268)를 수용한다. 2개 대향 포획 빔(322)은 몸체 부분(324)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내부방향-연장 후크(330)는 포획 빔의 단부에 형성된다.
직사각형 리테이너 빔(319)은 주 몸체 부분(324)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리테이너 빔(319)은 외부방향 연장 클립(328)을 형성한다.
도17 내지 도22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동 트랜스미터(362)는 주 몸체 부분(32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프로브(364)는 트랜스미터(362)에 연결된다. 프로브는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에서 트랜스미터(362)로 연장 형성된다. 프로브(364)의 터미널 단부(366)는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에서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트랜스미터(362)는 트랜스미터(362) 둘레에 직접 주 몸체 부분(324)을 성형하여 주 몸체 부분(324)의 상부에 매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버몰드 트랜스미터용으로, 프로브(364)가 또한 제2래치(318)의 플라스틱 부분(360)을 성형하는 공정 중에 리테이너 빔(319)에 오버몰드 된다. 트랜스미터(362)와 프로브(364)가 플라스틱 부분(360)에 오버몰드 되는 이러한 실시예용으로, 트랜스미터(362)와 프로브(364)가 성형 공정 중에 받게되는 열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다르게는, 트랜스미터(362)가 주 몸체 부분(324)의 상부면에 형성된 공동에 위치시킬 수 있다. 구멍은 공동에서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으로 연장 형성된다. 공동은 제2래치의 플라스틱 부분을 성형하는 공정의 일 파트로서 형성된다. 트랜스미터(362)는 주 몸체 부분(324)에 접합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고착된다. 프로브(364)는 리테이너 빔(319)에 형성된 구멍 안으로 삽입된다.
도23은 다른 구역에 위치한 트랜스미터를 가진 도17의 커플링에 사용하는 제2래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에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데 프로브를 사용하고 그리고 주 몸체 부분(324)의 상부에 트랜스미터를 위치시키기 보다는, 트랜스미터(362A)가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의 바로 방사 외부방향으로 위치된 것이다. 상기 트랜스미터(362A)는 트랜스미터(362A) 둘레에 직접 리테이너 빔(319)을 오버몰딩 하여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 근방에 매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랜스미터(362A)는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에 형성된 공동에 위치시킬 수 있다.
리테이너(216), 제2래치(218) 및 수 부재(214)가 미국 특허 5,628,531호에 기술된 방식으로 각각 커넥터 몸체(212)에 조립된다.
수 부재(214)가 리테이너(216)와 커넥터 몸체(212)에 적절하게 삽입되어진 후에, 제2래치(218)가 걸림 위치로 이동된다. 제2래치는 포획 빔(332)의 후크(330)가 윈도우(262, 264)와 슬롯(258) 사이에 커넥터 몸체(212)의 실외에 형성된 곡선진 캠 표면(246, 248)과 접하게 될 때까지 커넥터 몸체(214)의 지주(268)상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 동작하게 된다. 후크(330) 사이에 공간은 상기 곡선진 캠 표면(246, 248)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압력이 래치(218)의 주 몸체 부분(324)의 상부측에 가해져야만, 캠 표면(246, 248)에 대하여 캠 동작하고 포획 빔(332)이 외부방향으로 벌려진다. 만일 충분한 압력을 받게 된다면, 후크(330)는 윈도우(262, 264)에 들어와서 도25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걸림 위치에서 래치(218)를 유지한다.
후크(330)가 윈도우(262, 264)에 들어오는 것과 동시에, 리테이너 빔(319)이 커넥터 몸체(212)에 형성된 축방향 신장 슬롯(258)에 들어온다. 도24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빔(319)의 내부방향 대향 엣지는 전도부(290)와 상호 접촉하는 관계로 있어서 수 부재(214)의 의도하지 않은 후퇴동작을 방지한다. 또한, 클립(328) 부분은 림(240)의 바로 밑으로 신장되며, 상기 림은 후크(330)를 도와서 래치가 걸림 위치 밖으로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막는다. 걸림 위치로 피벗 동작하는 제2래치(218)의 성질은 수 부재(214)가 커넥터 몸체(212)에 적절하게 삽입되어져 있음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시각적 확인을 할 수 있게 하는 사실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2래치(218)는 또한 수신기로 신호를 보내어 수 부재가 커넥터 몸체(212)에 적절하게 삽입되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이,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215)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걸림 위치에 제2래치(218)를 삽입하면,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의 중간이 관(215)의 외부면과 접한다. 이러한 상기 관(215)과의 리테이너 빔(319)의 접합은, 프로브(364)의 터미널 단부(366)가 위치된 방사 내부면의 중간에서 압력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압력의 변화는 트랜스미터(362)에 의해 전달된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일으킨다. 도29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기는 제2래치(218)가 커넥터 몸체(212)에 삽입되는 장소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수신기는 트랜스미터(362)에서 나온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의 변화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도29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장치로 신호를 보낸다. 다음, 상기 처리 장치는 도29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신호를 보내어, 커플링(210)이 적절하게 연결되어져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처리 장치는 커플링(210)이 적절하게 연결되어져 있음을 기록할 수 있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코더로 신호를 보낼 수도 있는 것이다.
도27과 도28은 수 부재(214)가 커넥터 몸체(212)에 적절하게 삽입되어져 있지 않은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상태에서, 수 부재(214)는, 전도부(290)가 리테이너(216)의 유지 빔(296)을 넘도록 커넥터 몸체(212) 안으로 충분하게 삽입되어져 있지 않다. 수 부재(214)가 커넥터 몸체(212) 안으로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도부(290)는 제2래치(318)의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방향으로 바로 위치하게 된다. 전도부(290)의 방사 외부면과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과의 접촉은, 제2래치가 커넥터 몸체(212)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동작을 방지한다. 걸림 위치에 대한 피벗 동작으로부터 제2래치(218)의 이러한 불능기능은 수 부재(214)가 커넥터 몸체(212)에 충분하게 삽입되어져 있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확인시켜 준다.
더우기,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의 곡률은 전도부(290)의 외부면의 곡률과 동일하지 않다.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의 내부 직경은 전도부(290)의 외부면의 직경보다 작다. 전도부(290)의 외부면과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의 곡률의 이러한 오정합 상태에서는, 오직 리테이너 빔(319)의 엣지 만이 전도부(29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 빔(319)의 엣지가 수 부재(214)가 커넥터 몸체(212)에 적절히 삽입되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도부(290)와 접하더라도, 리테이너 빔(319)의 중간이 상기 전도부(290)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프로브(364)의 터미널 단부(366)가 위치한 리테이너 빔(319)의 중간에 압력이 변하지 않는다. 리테이너 빔(319)의 방사 내부면의 중간에 압력 변화의 결여는 트랜스미터(362)가 보낸 주파수를 변경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처리 장치는 커플링(210)이 적절하게 연결되었다는 지식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술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 청구범위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변경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9)

  1. 커넥터 몸체를 통해 형성된 슬롯(62, 64, 66)과 상기 커넥터 몸체의 단부로부터 신장된 구멍(26)을 가진 암 커넥터 몸체(12)와;
    상기 커넥터 몸체(12)의 단부를 통해 상기 구멍(26) 안으로 삽입되며, 관형 표면과, 관형 표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환형상 전도부(90)를 가진 수 부재(14) 및;
    상기 커넥터 몸체(12)와 결합하며 상기 수 부재의 전도부(90)와 접촉하며, 수동 트랜스미터(162)를 갖게 구성된 래치(18)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18)는 부가로 수 부재가 상기 커넥터 몸체 안에 충분히 삽입되었을 때 수 부재의 전도부(90)와 축방향으로 접촉하게 구성된 리테이너 빔(119)을 갖고;
    상기 리테이너 빔(119)은 방사상으로 구부러진 내부면(127)을 갖는;
    유체 라인 시스템에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급속 커넥터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수동 트랜스미터(162)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며, 공진 주파수의 변화로서 압력변화에 응답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브(164)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빔의 방사상으로 구부러진 내부면(127)의 직경을 전도부(90)의 외부 면의 직경보다 작게하여, 리테이너 빔의 방사상 내부면(127)의 중간부분이 그 외부 엣지가 전도부(90)와 접촉했을 때 전도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부가로 상기 커넥터 몸체(12)에 결합된 리테이너(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수 부재의 전도부(90)와 접촉하게 구성된 2개의 유지 빔(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18)는 2개의 포획 빔(122)을 포함하며, 각각의 포획 빔은 유지 빔(96) 중의 1개의 유지 빔의 측면 외부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빔(122)은 유지 빔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만 상기 유지 빔(96) 중의 1개의 유지 빔의 측면 외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18)는 부가로 리브(142)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커넥터 몸체(12)에 대해 래치(18)를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 빔(119)은 수 부재가 커넥터 몸체 안으로 충분히 삽입되어져 있어야만, 수 부재의 전도부와 축방향으로 상호 접촉하여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18)는 커넥터 몸체(12)에 피벗동작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6. 제1항에 있어서, 래치는 수동 트랜스미터(162)로부터 빔(119)의 방사상 내부 면으로 또는 그 근방까지 신장된 프로브(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7. 제1항에 있어서, 수동 트랜스미터(162)는 빔(119)의 방사상 내부 면(127)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18)는 트랜스미터 둘레에 성형된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9. 삭제
KR1020077013748A 2004-11-18 2005-11-17 급속 커넥터용 수동 트랜스미터 KR101290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91,973 2004-11-18
US10/991,973 US7128347B2 (en) 2004-11-18 2004-11-18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PCT/US2005/041599 WO2006055668A2 (en) 2004-11-18 2005-11-17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980A KR20070073980A (ko) 2007-07-10
KR101290031B1 true KR101290031B1 (ko) 2013-07-30

Family

ID=3638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748A KR101290031B1 (ko) 2004-11-18 2005-11-17 급속 커넥터용 수동 트랜스미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28347B2 (ko)
EP (1) EP1828662B1 (ko)
JP (1) JP4885873B2 (ko)
KR (1) KR101290031B1 (ko)
CN (1) CN100523582C (ko)
AT (1) ATE540255T1 (ko)
BR (1) BRPI0517758A (ko)
WO (1) WO20060556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662A (ja) * 2003-12-22 2005-07-07 Honda Motor Co Ltd 樹脂チューブ付クイックコネクタ
JP4663254B2 (ja) * 2004-05-25 2011-04-06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011575B2 (ja) * 2004-10-15 2007-11-21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7484774B2 (en) * 2005-05-03 2009-02-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Redundant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DE102005023583B4 (de) * 2005-05-18 2011-01-27 Norma Germany Gmbh Steckkupplung
BRPI0505733A (pt) * 2005-12-19 2007-09-25 Click Automotiva Ind Ltda conector compacto
US7503784B2 (en) * 2006-03-08 2009-03-17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US7866711B2 (en) * 2006-08-22 2011-01-1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with conductive path
US7731245B2 (en) * 2006-10-06 2010-06-08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FR2908494B1 (fr) * 2006-11-15 2008-12-26 Legris Sa Connecteur rapide
US20090026758A1 (en) * 2007-07-24 2009-01-29 Sanzone Brian D Tube fitting with indication of fit
GB2460641B (en) * 2008-06-02 2013-03-13 Joy Mm Delaware Inc A clip for pin retention
JP5219978B2 (ja) * 2008-12-25 2013-06-26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ファンヒータ
FR2945100A1 (fr) * 2009-04-30 2010-11-05 Hutchinson Raccord encliquetable entre un conduit de fluide et un embout rigide avec un dispositif temoin de connexion et procede de controle de cette connexion
US20100289256A1 (en) * 2009-05-18 2010-11-18 Dennis Shumard Pipe insertion indicator and method of use
US9273812B2 (en) 2009-09-24 2016-03-01 Perfection Clutch Hydraulic line connector
US9464743B2 (en) * 2009-10-21 2016-10-11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Bias release cartridge
US9494268B2 (en) * 2009-10-21 2016-11-15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US9506592B2 (en) 2009-10-21 2016-11-29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US9523454B2 (en) * 2009-10-21 2016-12-20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Anti-rotation gripper ring
EP2722574B1 (en) * 2011-06-16 2017-08-30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connector
JP5687152B2 (ja) * 2011-08-01 2015-03-18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CN106975117A (zh) 2011-09-21 2017-07-25 拜耳医药保健有限责任公司 连续的多流体泵装置、驱动和致动系统以及方法
US9103478B2 (en) * 2011-12-09 2015-08-11 Mercury Plastics, Inc. Quick-connect tube coupling
DE202011052283U1 (de) * 2011-12-13 2013-03-14 Caterpillar Global Mining Europe Gmbh Steckverbindung mit Sicherungselement und Sicherungselement hierfür
JP6045368B2 (ja) * 2013-01-24 2016-12-14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機器ユニット
EP2796758B1 (de) * 2013-04-23 2016-12-07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Kupplung
US10859194B2 (en) 2013-05-20 2020-12-08 Steere Enterprises, Inc. Clean air duct and retaining clip and assembly thereof
US9664321B2 (en) 2013-05-20 2017-05-30 Steere Enterprises, Inc. Clean air duct and retaining clip and assembly thereof
CN107427411B (zh) 2015-01-09 2021-04-02 拜耳医药保健有限公司 具有多次使用可丢弃套件的多流体递送系统及其特征
US10422459B2 (en) 2015-01-14 2019-09-24 Norma U.S. Holding Llc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FR3044070B1 (fr) * 2015-11-20 2019-06-2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securise a connexion automatique
US11617874B2 (en) 2016-07-08 2023-04-04 Nordson Corporation Luer connector
US10816121B2 (en) *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US11199282B2 (en) 2017-08-11 2021-12-14 Norma U.S. Holding Llc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US11306857B2 (en) 2017-08-11 2022-04-19 Norma U.S. Holding Llc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RU2738540C1 (ru) 2017-08-11 2020-12-14 Норма Ю.С. Холдинг Ллк Соединитель жидкост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узел с контролем крепления
US11048994B2 (en) 2017-08-11 2021-06-29 Norma U.S. Holding Llc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US11560967B2 (en) 2018-09-04 2023-01-24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Rotation-resistant push-on conduit coupling cartridge
CN109210304A (zh) * 2018-11-20 2019-01-15 弗兰科希管件系统(上海)有限公司 快插连接接头及汽车管路系统
MX2022004963A (es) * 2019-11-01 2022-07-11 Norma Us Holding Llc Conector de linea de fluido y montaje con deteccion de aseguramiento.
US11633224B2 (en) 2020-02-10 2023-04-25 Icecure Medical Ltd. Cryogen pump
US11262008B2 (en) * 2020-03-12 2022-03-0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Transmitter for quick connector
US11898676B2 (en) 2020-05-13 2024-02-13 Mercury Plastics Llc Quick-connect fitting
US20230375113A1 (en) * 2020-10-26 2023-11-23 Oetiker Ny, Inc. Fluid connection assembly
US20240019058A1 (en) 2022-07-18 2024-01-18 Icecure Medical Ltd. Cryogenic System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8531A (en) * 1995-04-26 1997-05-13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DE202004002116U1 (de) * 2004-02-11 2004-06-24 Faller Jun., Alexander Prüfbare 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550B2 (ja) * 1988-03-01 1997-12-1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227798A (en) 1992-06-24 1993-07-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assive transmitting sensor
US5395140A (en) * 1993-05-13 1995-03-07 Enhanced Applications, L.C. Secondary latch and indicator for fluid coupling
US5683117A (en) * 1995-12-14 1997-11-04 Flex Technologies, Inc. Retainer clip for a connector
DE19608675C2 (de) * 1996-03-06 1999-07-29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Temperaturmeßvorrichtung mit einer medienführenden Rohrlei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8531A (en) * 1995-04-26 1997-05-13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DE202004002116U1 (de) * 2004-02-11 2004-06-24 Faller Jun., Alexander Prüfbare Verbi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28347B2 (en) 2006-10-31
WO2006055668A2 (en) 2006-05-26
US20060103134A1 (en) 2006-05-18
EP1828662A2 (en) 2007-09-05
ATE540255T1 (de) 2012-01-15
KR20070073980A (ko) 2007-07-10
JP2008520932A (ja) 2008-06-19
JP4885873B2 (ja) 2012-02-29
CN100523582C (zh) 2009-08-05
WO2006055668A3 (en) 2007-09-07
CN101124427A (zh) 2008-02-13
BRPI0517758A (pt) 2008-10-21
EP1828662B1 (en) 2012-01-04
EP1828662A4 (en)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031B1 (ko) 급속 커넥터용 수동 트랜스미터
US11262008B2 (en) Transmitter for quick connector
JP5025091B2 (ja) 急速継手用の補助ラッチ/確認機構
KR101328375B1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KR101594621B1 (ko)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US7494156B2 (en) Quick connector
CA3072465C (en)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US11199282B2 (en)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JP2005291497A5 (ko)
CA2219290A1 (e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US20200074260A1 (en)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CN211853130U (zh) 快速连接器
US20220010907A1 (en) Transmitter for quick connector
JP3913827B2 (ja) 継手装置
JP4264325B2 (ja) 接続構造或いは締結構造
US6273741B1 (en) Locking connector for antenna cable
CN114616417A (zh) 具有紧固检测的流体管线连接器和组件
CN111094825B (zh) 流体管线连接器和具有固定检测的组件
WO2020227346A1 (en)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WO2020165625A1 (en) Quick connector with verifie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