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668B1 - Moving instrument driving system of change of driver's location - Google Patents

Moving instrument driving system of change of driver's lo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668B1
KR101289668B1 KR1020120054567A KR20120054567A KR101289668B1 KR 101289668 B1 KR101289668 B1 KR 101289668B1 KR 1020120054567 A KR1020120054567 A KR 1020120054567A KR 20120054567 A KR20120054567 A KR 20120054567A KR 101289668 B1 KR101289668 B1 KR 101289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teering device
vehicle
motor
driv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5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윤식
유재석
이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54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6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PURPOSE: A driving system for mov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driver is provid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a vehicle and maintain the weight balance of the vehicle by automatically moving a steering device and a dashboard laterally according to the riding position of a driver. CONSTITUTION: A driving system for mov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driver comprises a sensor (120), a control unit (110), a motor (130), a movable unit (140), a dashboard (150), a steering device (160), and a power supply unit (170). The sensor senses the position of a driv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or to move the steering device to the center or one sid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riding position of a driver. The motor operates the movable unit by forwardly or reversely rot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movable unit laterally moves the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The dashboard comprises a vehicular speedometer, engine RPM,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harge state of a battery. The steering device laterally moves along with the movable unit. [Reference numerals] (110) Control unit; (120) Sensor; (130) Motor; (140) Movable unit; (150) Dashboard; (160) Steering device; (170) Power supply unit

Description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Moving instrument driving system of change of driver's location}Moving instrument driving system of change of driver's location

본 발명은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전기 자동차에서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계기판 및 조향 장치가 자동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system that moves according to a change in a driver's 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system that moves according to a change in a driver's position in which a dashboard and a steering device automatically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driver's riding position in a personal electric vehicle. .

1명 또는 2명 이상 탑승하는 개인용 전기자동차는, 기존의 가솔린 또는 디젤 차량처럼 운전자와 동승자 2명이 좌우로 탑승할 경우 운전자는 왼쪽에 탑승하므로 계기판과 운전대가 왼쪽에 위치되어야 한다. 만약, 운전자 1명만 탑승할 경우 무게 밸런스(balance) 측면에서 운전자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In the case of a personal electric vehicle with one or two or more passengers, the driver and the driver should be on the left side when the driver and two passengers ride on the left and right side like a conventional gasoline or diesel vehicle. If only one driver rides, it is advantageous for the driver to be centered in terms of weight balance.

하지만, 기존의 개인용 전기자동차뿐만 아니라 가솔린 또는 디젤 차량은 운전대와 계기판이 한쪽(예를 들어, 왼쪽)에 고정 배치되어 있어서, 차량에 탑승하는 인원에 상관없이 운전석이 왼쪽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차량에 운전자만 탑승할 경우 운전석이 있는 쪽으로 무게 중심이 치우치게 됨으로써 무게 밸런스(balance)가 맞지 않아 차량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However, gasoline or diesel vehicles, as well as existing personal electric vehicles, have a steering wheel and an instrument panel fixed to one side (for example, the left side), and the driver's seat is fixed to the left side regardless of the person occupying the vehicle. In this case, when only the driver rides in the vehicle, the center of gravity is biased toward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weight balance is not matched,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stability of the vehicle.

국내 공개특허 제2011-0117980호(공개일: 2011.10.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7980 (Published: 2011.10.28.)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운전자 탑승 위치에 따라 계기판 및 조향 장치가 자동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driving system that detects a driver's position and moves the instrument panel an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driver's position to automatically move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the driver's boarding position. .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인용 전기자동차에서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계기판, 조향 장치, 기어,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등이 자동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riving system that mov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driver to move the instrument panel, steering device, gear, brake, accelerator, etc.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in the personal electric vehicle There is.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은, 운전자의 탑승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차량의 조향 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계기판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띄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상기 조향 장치가 차량의 중앙 또는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계기판 화면이 상기 조향 장치가 위치한 방향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riving system mov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river's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for detecting the riding position of the driver,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teering device of the vehicle from side to side, instrument panel and applic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driver's boarding position detected by the sensor, the steering means is moved so that the steering device moves in the center or on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instrument panel screen is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device is locat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be displayed.

상기 센서는, 비젼센서, 압력센서, 적외선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a vision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상기 이동 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된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향 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래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vement means may include a motor, a pinion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a rack for moving the steering apparatus left and right by rotation of the pinion.

상기 이동 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과 구동 축 사이에 회전하여 상기 조향 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eans for moving may comprise a motor and a chain which rotates between the shaft and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to move the steering device left and right.

상기 이동 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과 구동 축 사이에 회전하여 상기 조향 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vement means may comprise a motor and a belt that rotates between the shaft and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to move the steering device left and right.

상기 운전 시스템은, 상기 조향 장치가 이동될 때, 기어, 브레이크 페달, 엑셀레이터 페달이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driving system may include a gear, a brake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that move together when the steering device is moved.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동영상, 네비게이션, DMB, 라디오, 비디오, 날씨를 포함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며,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화면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The application screen displays one or more of information including a video, navigation, DMB, radio, video, and weather, and the position of the scree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boarding position detected by the sensor.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계기판, 조향 장치, 기어,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등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계기판 시인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ove the instrument panel, steering device, gears, brakes, accelerators, etc.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er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instrument panel.

또한, 차량에 운전자만 탑승할 경우 차량의 중앙 부분으로 조향 장치를 이동시켜 차량의 무게 밸런스(balance)를 유지시킴으로써,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only the driver rides in the vehicle, the steering apparatus may be mov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vehicle to maintain the weight balance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차량의 중앙에 계기판 및 조향 장치가 위치한 모습의 도면이고,
도 2는 차량의 왼쪽에 계기판 및 조향 장치가 위치한 모습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계기판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조향 장치와 계기판 및 어플리케이션의 위치가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은 운전석이 차량의 왼쪽에 위치한 모습이고,
도 7은 운전석이 차량의 중앙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illustrate a driving system moving according to a change in a driver's 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view of the instrument panel and steering devic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2 is a view of the instrument panel and steering devi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iving system moving according to a change in a driver's 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instrument panel mov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dr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device,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application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Figure 6 is a driver's sea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iver's sea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Exampl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차량의 중앙에 계기판 및 조향 장치가 위치한 모습의 도면이고, 도 2는 차량의 왼쪽에 계기판 및 조향 장치가 위치한 모습의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driving system mov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dr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view of the instrument panel and steering devic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Figure 2 is a dashboard and steering device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his is a drawing of the appearance.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은,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60)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50)와 함께 운전에 필요한 기어,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등이 함께 움직일 수 있다.The driving system mov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dr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iding position of the driver. Specifically, gears, brakes, accelerators, etc. required for driving together with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device 150 may move together.

예를 들어, 운전자 1명만 탑승할 경우, 도 1과 같이, 차량의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운전석(11)이 차량의 가운데 위치하고, 상기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60)도 상기 운전석(11)과 함께 차량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된다. 반면에, 운전자와 동승자 2명이 운전석(11)과 조수석(21)에 각각 탑승할 경우, 도 2와 같이 기존의 차량과 마찬가지로, 상기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60)는 차량의 한쪽 방향(예를 들어, 왼쪽 방향)에 위치한 운전석(11) 전방에 위치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only one driver boards, as shown in FIG. 1, the driver's seat 11 is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so that the balance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and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also correspond to the driver's seat 11. Together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vehicle. On the other hand, when two drivers and passengers ride in the driver's seat 11 and the passenger seat 21, respectively, as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s shown in FIG. 2,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may move in one direction of the vehicle ( For example, it is locat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11 located in the left direction).

통상적으로, 1명 또는 2명이 탑승하는 개인용 전기자동차의 경우 운전석(11)과 조수석(21)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운전자 1명만 차량에 탑승할 경우, 차량의 무게 중심이 운전석(11)이 위치한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됨으로써, 차량 운행시 안정성에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운전자 1명만 탑승하는 경우, 차량 중앙에 운전석(11)이 위치되도록 상기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60)를 차량의 가운데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personal electric vehicle for one or two passengers, the driver's seat 11 and the passenger seat 21 are arranged. At this time, when only one driver boards the vehicl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is biased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s seat 11 is located,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stability during vehicle opera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one driver rides in the vehicle,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may be mov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s seat 11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iving system that moves according to a change in a driver's 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 센서(120), 모터(130), 이동부(140), 계기판(150), 조향 장치(160), 전원부(17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riving system mov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river's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trol unit 110, the sensor 120, the motor 130, the moving unit 140,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 And a power supply unit 170.

먼저, 상기 센서(120)는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비젼센서, 압력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젼센서(Vision Sensor)는 3D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센서로서, 차량에 탑승하는 사람의 수와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는 운전석(11) 및 조수석(21)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각 시트의 무게를 감지하여 차량에 탑승하는 사람의 수와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사람의 몸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적외선을 통해 차량에 탑승하는 사람의 수와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First, the sensor 120 is a sensor for detecting a driver's position, and may include a vision sensor, a pressure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vision sensor is a sensor for capturing the movement of a person using a 3D camera, and may detect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driver's position in the vehicle.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11 and the passenger seat 21, and may detect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driver's position in the vehicle by sensing the weight of each seat. In addition, the infrared ray sensor (infrared ray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human body using the infrared, it can detect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position of the driver in the vehicle through the infrared.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120)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상기 조향 장치(160)가 차량의 중앙 또는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13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조향 장치(160)가 움직일 때 운전에 필요한 기어,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등도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motor 130 to move the steering device 160 in the center or one dire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boarding position detected by the sensor 120. In this case, when the steering apparatus 160 moves, gears, brakes, accelerators, etc. required for driving may also be configured to move together.

상기 모터(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동부(140)를 구동한다. 상기 이동부(140)는 상기 모터(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 장치(16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부(140)는 상기 모터(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The motor 130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o drive the moving unit 140. The moving unit 140 moves the steering device 16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130. At this time, the moving unit 140 is determined in the left and right mo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130.

상기 이동부(140)는 상기 모터(130)에 의해 상기 조향 장치(16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140)는 래크(rack) 및 피니언(pinion), 벨트, 체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적용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moving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n actuator for moving the steering device 16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motor 130. For example, the moving unit 140 may be composed of racks and pinions, belts, chains, and the like. These application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상기 계기판(150)은 차량의 속도계, 엔진 회전수(RPM),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 장치(160)는 차량의 방향을 운전하거나 조절하는 손잡이로서, 기존의 차량처럼 원형의 핸들과, 전철이나 항공기와 같이 앞뒤로 움직이는 손잡이, 조이스틱과 같이 전후좌우 방향을 조절하는 손잡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instrument panel 150 may include a speedometer of the vehicle, an engine speed (RPM), and a display unit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n addition, the steering device 160 is a handle for driving 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 circular handle, such as a conventional vehicle, a handle that moves back and forth, such as a train or aircraft, a handl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such as a joystick It can contain everything.

상기 조향 장치(160)는 상기 이동부(140)에 의해 좌우로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eering device 160 may be configured to move together from side to side by the moving unit 140.

본 발명은 상기 구성과 같이, 상기 센서(120)를 통해 차량의 탑승 인원 및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한 후, 상기 모터(130) 및 이동부(140)를 통해 운전자 앞에 상기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60)가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운전자 1명만 탑승한 경우에는 차량의 중앙에 위치한 운전석(11) 앞에 상기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60)가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운전자와 동승자 2명이 탑승한 경우에는 차량의 한쪽 방향에 위치한 운전석(11) 앞에 상기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60)가 위치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and the driv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sensor 120,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steering in front of the driver through the motor 130 and the moving unit 140. The device 160 is controlled to move. Specifically, when only one driver boards,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a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11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when the driver and two passengers ride on one side of the vehicle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are locat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11 located in the control unit.

그러면, 상기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60)의 이동 원리에 대해 적용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n, the moving principle of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pplication exampl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계기판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래크(rack) 및 피니언(pinion)을 사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instrument panel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dr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n example using a rack (pinion).

상기 계기판(150) 및 조향 장치(160)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130)와, 상기 모터(130)의 축(131)에 연결된 피니언(142)과, 상기 피니언(1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향 장치(16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래크(141)를 포함하고 있다.The moving means for moving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steering apparatus 160 includes a motor 130 that is rot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d a pinion 142 connected to the shaft 131 of the motor 130. ) And a rack 141 for moving the steering device 160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142.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12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조향 장치(160)가 차량의 중앙 또는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130)를 제어한다. 상기 모터(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130)의 축(131)에 연결된 상기 피니언(142)이 회전하여 상기 래크(141)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래크(14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래크(141)와 연결된 상기 조향 장치(160)가 상기 래크(141)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motor 130 to move the steering device 160 in the center or one dire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120. As the motor 130 rotates, the pinion 142 connected to the shaft 131 of the motor 130 rotates to move the rack 141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the rack 141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teering device 160 connected with the rack 141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rack 141 moves.

도 4는 상기 래크(141) 및 피니언(142)에 의해 상기 조향 장치(160)가 차량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상기 래크(141) 및 피니언(142)에 의해 상기 조향 장치(160)가 차량의 왼쪽 부분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4 shows the steering device 160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by the rack 141 and the pinion 142. FIG. 5 shows the steering device 160 by the rack 141 and the pinion 142. It is shown that the steering device 16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센서(12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조향 장치(160)가 차량의 중앙 또는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steering device 160 to move in the center or one dire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120.

본 발명의 다른 적용 예로서, 체인 또는 벨트를 사용하여 상기 조향 장치(160)를 이동시킬 수 있다.As another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the steering device 160 can be moved using a chain or belt.

예를 들어, 체인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모터(130)의 축(131)과 구동 축(미도시) 사이에 체인을 연결하여 상기 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 장치(160)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 chain, the chain is connected between the shaft 131 of the motor 130 and the driving shaft (not shown) so that the steering device 160 move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hain. Can be configured.

또한, 다른 예로서, 벨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모터(130)의 축(131)과 구동 축(미도시) 사이에 벨트를 연결하여 상기 벨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 장치(160)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 belt, the steering apparatus 160 is mov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elt by connecting the belt between the shaft 131 and the driving shaft (not shown) of the motor 130. Can be configured to be moved.

상기 체인 및 벨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 래크(141) 및 피니언(142)의 적용 예와 같이, 상기 센서(12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모터(1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 장치(160)가 차량의 중앙 또는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Even when the chain and the belt are used,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13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120, as in the application example of the rack 141 and the pinion 142. As a result, the steering device 160 may be controlled to move in the center or one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6 및 도 7은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조향 장치와 계기판 및 어플리케이션의 위치가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은 운전석이 차량의 왼쪽에 위치한 모습이고, 도 7은 운전석이 차량의 중앙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device,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Figure 6 is a view of the driver's sea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Figure 7 is a driver's seat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 figure shows the position.

상기 운전 시스템은, 동영상, 네비게이션, DMB, 라디오, 비디오, 날씨를 포함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표시화면(220)과 계기판 화면(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LCD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상기 계기판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210,220)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system includes a display device 200 including an application display screen 220 and an instrument panel screen 210 display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including a video, navigation, DMB, radio, video, and weather on a screen. have.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as an LCD screen, and the positions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application screens 210 and 220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boarding position of the driver.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상기 운전자의 탑승 위치가 차량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계기판 화면(210)은 상기 조향 장치(160)와 함께 차량의 왼쪽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상기 운전자의 탑승 위치가 차량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계기판 화면(210)은 상기 조향 장치(160)와 함께 차량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화면(220)은 상기 계기판 화면(210)이 차량의 왼쪽에 위치할 경우 도 6과 같이, 차량의 중앙 및 오른쪽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계기판 화면(210)이 차량의 중앙에 위치할 경우 도 7과 같이, 차량의 왼쪽 및 오른쪽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the boarding position of the driver is located at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he instrument panel screen 210 may be located at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steering apparatus 160. As shown in FIG. 7, when the driver's riding posi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 instrument panel screen 210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steering apparatus 160. In this case, when the instrument panel screen 210 is located at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he application display screen 22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and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6, and the instrument panel screen 210 is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If located in the can b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화면(220)과 상기 계기판 화면(210)은 상기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상기 조향 장치(160)가 위치한 방향에 화면이 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display screen 220 and the instrument panel screen 210 may be configured to float the scre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device 160 is located according to the driver's boarding position detected by the sensor 120.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120)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상기 계기판 화면(210) 및 조향 장치(160)가 차량의 중앙 또는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상기 계기판 화면(210) 및 조향 장치(160)가 움직일 때 운전에 필요한 기어,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등도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instrument panel screen 21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are configured to be moved in the center or one dire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boarding position detected by the sensor 120 is described. When the screen 210 and the steering device 160 move, gears, brakes, accelerators, etc. required for driving may also be configured to move togeth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은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조향 장치와 계기판이 자동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The driving system mov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dr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olv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steering apparatus and the instrument panel to automatically move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 운전자 11 : 운전석
20 : 동승자 21 : 조수석
100 : 전기자동차 또는 차량 110 : 제어부
120 : 센서 130 : 모터
140 : 이동부 141 : 래크(rack)
142 : 피니언(pinion) 150 : 계기판
160 : 조향 장치 170 : 전원부
180 : 대쉬보드 200 : 디스플레이 장치
210 : 계기판 화면 220 : 어플리케이션 화면
10: driver 11: driver's seat
20: passenger 21: passenger seat
100: electric vehicle or vehicle 110: control unit
120: sensor 130: motor
140: moving unit 141: rack
142: pinion 150: instrument panel
160: steering unit 170: power unit
180: dashboard 200: display device
210: instrument panel screen 220: application screen

Claims (7)

운전자의 탑승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차량의 조향 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계기판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띄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상기 조향 장치가 차량의 중앙 또는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계기판 화면이 상기 조향 장치가 위치한 방향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A sensor for detecting a riding position of the driver;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teering device of the vehicle from side to side;
A display device on which an instrument panel and an application screen are displayed; And
According to the driver's boarding position detected by the sensor, the steering device is controlled to move in the center or on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so that the instrument panel screen is display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device is located. A control unit;
/ RTI >
Driving system that moves with changing driver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비젼센서, 압력센서, 적외선 센서 중 어느 하나인,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includes:
One of vision sensor, pressure sensor and infrared sensor,
Driving system that moves with changing driver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된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향 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래크;
를 포함하는,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motor;
A pinion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A rack for moving the steering apparatus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 RTI >
Driving system that moves with changing driver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축과 구동 축 사이에 회전하여 상기 조향 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체인;
을 포함하는,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motor; And
A chain that rotates between the shaft and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to move the steering device left and right;
Including,
Driving system that moves with changing driver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축과 구동 축 사이에 회전하여 상기 조향 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는,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motor; And
A belt that rotates between the shaft and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to move the steering device left and right;
/ RTI >
Driving system that moves with changing driver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시스템은,
상기 조향 장치가 이동될 때, 기어, 브레이크 페달, 엑셀레이터 페달이 함께 이동되는,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ng system includes:
When the steering device is moved, gears, brake pedals, accelerator pedals are moved together,
Driving system that moves with changing driver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동영상, 네비게이션, DMB, 라디오, 비디오, 날씨를 포함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며,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탑승 위치에 따라 화면의 위치가 바뀌는,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pplication screen,
It displays one or more of information including video, navigation, DMB, radio, video, and weather, and changes the screen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boarding position detected by the sensor.
Driving system that moves with changing driver position.
KR1020120054567A 2012-05-23 2012-05-23 Moving instrument driving system of change of driver's location KR101289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567A KR101289668B1 (en) 2012-05-23 2012-05-23 Moving instrument driving system of change of driver's lo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567A KR101289668B1 (en) 2012-05-23 2012-05-23 Moving instrument driving system of change of driver's lo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668B1 true KR101289668B1 (en) 2013-07-26

Family

ID=4899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567A KR101289668B1 (en) 2012-05-23 2012-05-23 Moving instrument driving system of change of driver's lo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66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210B1 (en) 2012-12-27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verting driving mode of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518902B1 (en) * 2013-10-25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mart device controlling application by detecting passenger
JP2021046037A (en) * 2019-09-17 2021-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ular occupant seat and vehicle control system
CN113043845A (en) * 2019-12-27 2021-06-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Instrument panel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411A (en) * 1992-03-27 1993-10-19 Mazda Motor Corp Steering adjusting device for vehicle
KR19990064127A (en) * 1995-10-12 1999-07-26 만네스만파데오아게 Vehicles with steering wheel arranged in accordance with position change and instrument panel arranged in position change
JPH11321383A (en) * 1998-05-11 1999-11-24 Iseki & Co Ltd Head-up display for work vehicle
KR20090028187A (en) * 2007-09-14 2009-03-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411A (en) * 1992-03-27 1993-10-19 Mazda Motor Corp Steering adjusting device for vehicle
KR19990064127A (en) * 1995-10-12 1999-07-26 만네스만파데오아게 Vehicles with steering wheel arranged in accordance with position change and instrument panel arranged in position change
JPH11321383A (en) * 1998-05-11 1999-11-24 Iseki & Co Ltd Head-up display for work vehicle
KR20090028187A (en) * 2007-09-14 2009-03-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210B1 (en) 2012-12-27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verting driving mode of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518902B1 (en) * 2013-10-25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mart device controlling application by detecting passenger
JP2021046037A (en) * 2019-09-17 2021-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ular occupant seat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7075915B2 (en) 2019-09-17 2022-05-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occupant seats and vehicle control system
CN113043845A (en) * 2019-12-27 2021-06-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Instrument pane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053B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ES2963131T3 (en) Vehicle with several driving positions
CN106945611B (en) Vehicle seat back including pyrotechnic fastener
CN102343819B (en) Vehicular display device, vehicle with vehicular display device
CN105416283B (en) Parking aid
CN1815144B (en) Reverse assistant
JP5904137B2 (en) Vehicle display device
CN109969093A (en)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N103909864B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289668B1 (en) Moving instrument driving system of change of driver's location
EP3246229B1 (en) Vehicle comprising a parking control apparatus
JP6161965B2 (en) Joystick steering vehicle
EP2982571A1 (en) Vehicle stop control device
WO2015072013A1 (en) Display controller,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20190244324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KR101657656B1 (en) 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CN108961912B (en) Virtual evaluation of car VR drives and takes advantage of analog compartment device
EP3722153B1 (en) Improved safety device for vehicles
JP2005096656A (en) 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JP2011017723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05271902A (en) In-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WO2021177154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EP4364997A1 (en) Content display device for road vehicle equipped with time measurement system
JPH0654243B2 (en) Multiple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4886448B2 (en) Vehicle traveling directio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