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426B1 - Constructing method for cantilever structure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 Google Patents

Constructing method for cantilever structure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426B1
KR101289426B1 KR1020110143122A KR20110143122A KR101289426B1 KR 101289426 B1 KR101289426 B1 KR 101289426B1 KR 1020110143122 A KR1020110143122 A KR 1020110143122A KR 20110143122 A KR20110143122 A KR 20110143122A KR 101289426 B1 KR101289426 B1 KR 10128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fting
loop
cantilever structur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4973A (en
Inventor
장범택
정재석
조우석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to KR102011014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426B1/en
Publication of KR2013007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9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틸레버 방식으로 축조된 대형 구조물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정밀한 축조가 가능한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시공된 캔틸레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서 루프부와 지지부를 동시에 제작하는 지면제작공정, 지면에 수평이동부를 설치하는 이동부설치공정, 상기 수평이동부의 상측으로 리프팅부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부와 연결하는 리프팅부설치공정, 상기 리프팅부에 구비되는 스트랜드잭을 통하여 상기 루프부를 상기 지지부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리프팅공정, 상기 수평이동부를 통하여 상기 리프팅부를 수평이동하여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인접시키는 수평이동공정 및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결합하는 체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루프부와 지지부가 동시에 제작되고 리프팅공정을 거쳐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공기가 현저히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antilever structure that can shorten the air of a large structure constructed by a cantilever method and capable of precise construction, and a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is method. Process, a moving par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horizontal moving part on the ground, a lifting par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lifting part above the horizontal moving part and connecting with the loop part, the loop part through a strand jack provided in the lifting part Lifting process for rais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upport, a horizontal movement process for moving the lifting portion horizontally through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to adjoin the loop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nd a fastening process for coupling the loop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 ball. Therefore, since the roof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and the coupling is performed through a lifting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is significantly shortened.

Description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시공된 캔틸레버 구조물{CONSTRUCTING METHOD FOR CANTILEVER STRUCTURE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Construction method of cantilevered structure and cantilevered structure constructed by this method {CONSTRUCTING METHOD FOR CANTILEVER STRUCTURE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캔틸레버 방식으로 축조된 대형 구조물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정밀한 축조가 가능한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시공된 캔틸레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antilever structure that can shorten the air of a large structure constructed by a cantilever method while enabling precise construction, and a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is method.

일반적으로 대형 구조물의 지붕은 벽체의 상부에 철제 프레임 등으로 골조를 구축하고 이러한 골조에 지붕을 결합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벽체의 상부에 규격화된 프레임 등을 상호 결합하고, 결합된 각각의 프레임에 대하여 분할된 개별 프레임을 설치한 이후에 지붕을 이룰 수 있는 부재들을 덮어서 시공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roof of a large structure is made by constructing a frame with an iron frame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and joining the roof to the frame. In general, each frame is combined with each other by combining a standardized frame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The construction is done by covering the roofable member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individual frames divided for.

전시장, 경기장이나 공연장과 같은 대형 구조물은 그 특성상 일반 주거 및 업무용 건축물에 비해 외관의 미관적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최근에는 건축기술과 재질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다양한 외관을 갖는 대형 구조물들이 축조되고 있다. Large structures such as exhibition halls, stadiums, and performance halls emphasize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 exterior compared to general residential and business buildings. Recently, large structures having various appearances have been built by the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and material technology.

이러한 구조물 중에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물이 시공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Among these structures, cantilever structures are increasingly constructed.

캔틸레버 구조물이란 일측만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돌출되는 구조물의 유형으로서, 종래 베란다나 교량의 슬래브와 같은 구조물에서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자유단부를 가진 보 형태의 캔틸레버가 형성된다. A cantilever structure is a type of structure in which only one side is supported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In a structure such as a veranda or a slab of a bridge, a cantilever having a beam shape having one side fixed and the other end having a free end is formed.

최근에는 이러한 캔틸레버 구조가 철골이나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는 현대식의 구조물에 많이 적용되는데, 예를 들어 캔틸레버식 교량과 같은 대형 구조물에도 사용되는 예가 있다.Recently, such a cantilever structure is widely applied to a modern structure using steel frame or reinforced concrete, for example, there is an example used for a large structure such as a cantilever bridge.

그런데, 이러한 캔틸레버 구조물은 전단강도나 응력 등의 면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와 작업의 까다로움으로 인하여 대형화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cantilever structure has a problem in size due to the structurally weak problem in terms of shear strength and stress and the difficulty of work.

특히 캔틸레버 구조물은 일반적인 구조물에 비하여 하중의 불균형이 심화되므로 시공 과정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축조 과정에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도한 자재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밀한 공정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In particular, the cantilever structure is more difficult than the general structure, because the construction process is very difficult, not only excessive material is required to prevent collapse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but also requires a lot of time and precision process difficult constru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형의 캔틸레버 구조물에서 루프부와 지지부를 별도로 동시에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조립의 정밀성을 높여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시공된 캔틸레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be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separately from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in a large cantilever structure can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can increase the precision of the assembly cantilever structure can be improv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and a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is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면에서 루프부와 지지부를 동시에 제작하는 지면제작공정, 지면에 수평이동부를 설치하는 이동부설치공정, 상기 수평이동부의 상측으로 리프팅부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부와 연결하는 리프팅부설치공정, 상기 리프팅부에 구비되는 스트랜드잭을 통하여 상기 루프부를 상기 지지부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리프팅공정, 상기 수평이동부를 통하여 상기 리프팅부를 수평이동하여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인접시키는 수평이동공정 및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결합하는 체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루프부와 지지부가 동시에 제작되고 리프팅공정을 거쳐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공기가 현저히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produc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t the same time on the ground, a moving portion installation process for installing a horizontal moving portion on the ground, and installing a lifting portion above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Lifting part installation process for connecting with the roof portion, a lifting process for raising the loop portion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strand jack provided in the lifting portion, by horizontally moving the lifting portion through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comprising a horizontal movement step of adjoining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nd a fastening process of coupling the loop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herefore, since the roof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and the coupling is performed through a lifting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is significantly shorte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지면제작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의 결합부위는 평면상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작된다. 따라서, 리프팅 이후에 수평이동하여 결합함으로써 공정상 발생되는 오차를 극복하여 정밀한 조립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produ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on a plane in the sheet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e, by assembling by horizontally moving after lifting,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ssemble by overcoming the errors generated in the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리프팅부설치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의 불균형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상기 리프팅부를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설치된다. 따라서, 파손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공정의 신뢰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fting unit installation step, in order to support the unbalanced load of the loop portion, a wire is provided to connect the ground and the lifting unit to provide tension. Therefore, breakage and inclination can be prevented and process reliability improv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리프팅부설치공정에서, 상기 리프팅부는 4개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루프부의 서로 다른 부위를 지지한다. 따라서, 고른 하중의 배분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fting unit installation step, four lifting portions are provided to support different portions of the loop portion, respectively. Therefore, even load distribution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리프팅공정에서, 각각의 리프팅부에 구비되는 스트랜드잭은 상기 루프부를 각각의 부위의 하중에 대응되는 압력으로 상승시킨다. 따라서, 수평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부하를 최소화하는 공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fting step, the strand jack provided in each lifting portion raises the loop portion to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each portion. Therefore, a process for minimizing the loa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accuracy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수평이동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가 상기 수평이동부를 통하여 인접되면 상기 리프팅부에 구비되는 미세조정잭을 통하여 수평이동하여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밀접시킨다. 따라서, 오차를 보정하여 정밀한 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rizontal moving process, when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adjacent through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through the fine adjustment jack provided in the lifting portion to move the loop portion And close support. Therefore, accurate coupling is possible by correcting the err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미세조정잭은 상기 리프팅부에 높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루프부의 높이에 따른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의 간격의 오차를 조정하면서 밀접시킨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의 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adjustment jack i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the lifting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ndividually controlled to the error of the gap between the loop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oof portion. Close while adjusting. Thus, the coupling to the correct position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지면제작공정 전에, 지면에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서포트부를 배치하는 서포트부설치공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지면에서 제작과정에서 정확한 수평 및 형상의 유지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installation step of arranging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op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n the ground before the grou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exact horizontal and shap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n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체결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는 상단부측에서부터 체결된다. 따라서, 하중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astening step, the loop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fastened from the upper end side. Therefore, the coupling i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load appropriat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체결공정 이후에, 상기 리프팅부가 상기 루프부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면서 상기 루프부의 단부측의 처짐을 측정하는 측정공정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deflection of the end side of the loop part while the lifting part releases the support for the loop part after the fastening ste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측정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의 단부측의 처짐이 미리 설정된 허용치보다 큰 경우, 상기 루프부와 상기 지지부의 체결을 해제하는 체결해제공정, 상기 루프부를 보강하는 보강공정 및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재결합하는 재체결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상 오차나 제작상의 오차가 있는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asuring step, when the deflection of the end side of the loop portion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allowable value, the release process for releasing the fastening of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he loop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rocess for reinforcing and a re-joining process for recombining the loop and the support. Therefore, if there is a design error or manufacturing error, it is possible to adjust quickly and easi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은,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 루프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후방루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ntilev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it may further include a rear loop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loop portion.

또한, 상기 후방루프부는,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loop part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art.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시공된 캔틸레버 구조물은, 루프부와 지지부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가 현저히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is method have the effect that the air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because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can be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또한, 별개로 제작된 구조물의 부위들을 리프팅부와 수평이동부를 통하여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축조 비용이 절감되고 정밀하면서도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rts of the structure manufactured separately can be combined while precisely controlling the lifting portion and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and precise and stable coupling is possible.

또한, 루프부와 지지부가 동시에 제작되어 리프트업 방식을 통하여 조립되는 경우 이러한 처짐의 보강 또는 재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향상되고 이를 보정하는 공정의 노력과 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oof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and assembled through a lift-up method, since the deflection may be reinforced or rearranged, the accuracy is improved and the effort and cost of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deflection are significan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을 도시한 측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is a sid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시공된 캔틸레버 구조물을 도면을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캔틸레버 구조물(100)이란 일부만 지면에 대해 지지되고 일측 단부는 돌출되는 구조물의 유형을 말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전체 구조를 지탱하는 지지부(120)와 캔틸레버를 이루는 루프부(110)로 이루어진다.The cantilever structure 100 refers to a type of structure in which only a part of the cantilever structure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one end thereof protrudes. As shown in FIG. 1, the cantilever structure 100 is a loop portion constituting the cantilever with the support 120 supporting the entire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ground. 110).

또한, 상기 캔틸레버 구조물(100)은 상기 지지부(120)를 기준으로 루프부(11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후방루프(1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루프부(110)는 지지부(12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ntilever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rear loop 130 disposed to face the roof part 110 based on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loop part 110 may include the support part 120. It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상기 루프부(110)는 일단측이 상기 지지부(120)에 지지되고 타단측이 자유단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루프부(110)의 배치방향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하중의 편중이 심화되기 때문에 시공 과정에서 지지를 위하여 과도한 부재가 소요되고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One end of the roof part 1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other end forms a free end part. In the construction process, since the bias of the load deepens toward the end side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oof part 110.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an excessive member is required for the support and a lot of construction time is required.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한 캔틸레버 구조물(100)의 루프부(110)를 지지부(120)와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하는데, 도 2 내지 도 4에서 이하 설명한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f unit 110 of the cantilever structure 100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s the support unit 120. The concept of FIG. 2 to FIG. 4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2 to 4 is a side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캔틸레버 구조물(100)의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지면에서 루프부(110)와 지지부(120)를 동시에 제작하는 지면제작공정과, 지면에 수평이동부(400)를 설치하는 이동부설치공정과, 상기 수평이동부(400)의 상측으로 리프팅부(300)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부(110)와 연결하는 리프팅부설치공정과, 상기 리프팅부(300)에 구비되는 스트랜드잭을 통하여 상기 루프부(110)를 상기 지지부(120)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리프팅공정과, 상기 수평이동부(400)를 통하여 상기 리프팅부(300)를 수평이동하여 상기 루프부(110)와 지지부(120)를 인접시키는 수평이동공정 및 상기 루프부(110)와 지지부(120)를 결합하는 체결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ground production process for simultaneously manufacturing the roof portion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20 on the ground, and a moving portion installation process for installing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400 on the ground. And a lifting unit installation process for installing a lifting unit 300 above the horizontal moving unit 400 and connecting the roof unit 110, and a strand jack provided at the lifting unit 300. A lifting step of elevating the part 11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art of the support part 120 and horizontally moving the lifting part 300 through the horizontal moving part 400 and the roof part 110. It includes a horizontal movement step of adjoining the support portion 120 and a fastening process of coupling the loop portion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20.

상기 지면제작공정은 지지부(120)와 루프부(110)의 시공이 지면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지지부(120)의 경우 미리 정한 형상과 높이로서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축조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루프부(110)는 후술할 리프팅 공정의 진행 전에 지면에서 먼저 제작된다.The ground fabric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on the ground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0 and the roof portion 110, the support portion 120 is produced in a manner that is built up from the ground to the upper side with a predetermined shape and height, the roof portion ( 110 is first manufactured on the ground before the progress of the lift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종래기술의 경우 캔틸레버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메인 기둥을 이루는 지지부(120)를 먼저 축조하고 지지부(120)의 축조가 완료되면 타측으로 캔틸레버를 이루는 루프부(110)를 연장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시공방법에서는 지면에서 루프부(110)와 지지부(120)가 동시에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prior art, in order to form a cantilever structure, the construction is generally performed by first constructing the support part 120 forming the main column and extending the cantilever loop part 110 to the other side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art 120 is completed. Because of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s excessively consumed. Note that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can be remarkably reduced because the roof unit 110 and the support unit 120 are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mbined at the same time on the ground. shall.

본 발명의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대형의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에 더욱 적합하기 때문에, 상기 루프부(110)와 지지부(120)를 별도로 지면에서 제작함에 있어서 형상의 유지를 위하여 루프부(110)와 지지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서포트부(200)를 먼저 지면에 설치한 이후에 루프부(110)와 지지부(120)가 제작될 수 있다.Sinc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of a large cantilever structure, the roof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are separately manufactured on the groun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roof part 110 and The roof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may be manufactured after the support part 200 is first installed on the groun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120.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트부(200)는 루프부(110) 및/또는 지지부(120)의 저면을 지지하여 제작시에 형상을 유지하고 결합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각의 서포트부(200)의 높이는 지지되는 루프부(110) 및/또는 지지부(120)의 하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높이로 이루어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art 200 is arranged in plural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part 110 and / or the support part 120 to maintain the shape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to facilitate the coupling process. In this case, the height of each support part 200 is made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part 110 and / or the support part 120 being supported.

다만, 상기 서포트부(200)는 루프부(110) 및/또는 지지부(120)의 측면 또는 상면 등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However, the support part 200 may selectively support the side or the top surface of the roof part 110 and / or the support part 120.

또한, 캔틸레버 구조물(100)은 루프부(110)에 대향되는 위치에 후방루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후방루프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의 제작시에 함께 축조될 수 있음은 물론, 루프부(110)와 같이 지면에서 제작되어 추후 결합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ntilever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rear loop part 130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roof part 110, and the rear loop part 130 may be formed of the support part 120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constructed together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course, it can be constructed in a manner that is manufactured in the ground, such as the loop portion 110 is coupled later.

지면에서의 루프부(110)와 지지부(120)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루프부(110)를 이동하기 위한 장치들로서 우선 지면에 수평이동부(400)가 마련된다.When the manufacturing of the roof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on the ground is completed, the horizontal moving part 400 is first provided on the ground as devices for moving the roof part 110.

상기 수평이동부(400)는 상측에 리프팅부(300)를 지지하면서 리프팅공정 이후에 수평이동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압잭과 같은 유압동력수단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orizontal moving unit 400 i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horizontal moving process after the lifting process while supporting the lifting unit 300 on the upper side, and may be driven by hydraulic power means such as a hydraulic jack,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이동부(400)는 콘크리트매트와 같은 스키드웨이(skidway) 상에서 스키드슈(skidshoe)와 같은 이동이 가능한 부재를 유압잭을 사용하여 소정의 스트로크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rizontal moving part 400 may be configured to move a movable member such as a skidshoe on a skidway such as a concrete mat by a predetermined stroke using a hydraulic jack.

상기와 같이 수평이동부(400)가 지면에 대해 고정 설치되면, 상측으로 리프팅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부(300)는 루프부(11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루프부(110)는 리프팅부(300)에 구비되는 스트랜드잭(strand jack)에 연결된다.When the horizontal moving unit 4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unit 300 is installed upward and the lift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roof unit 110. Specifically, the loop part 110 is connected to a strand jack provided in the lifting part 300.

상기 리프팅부(300)는 일종의 잭킹 레그(jacking leg)로서 루프부(110)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 및 지지 역할을 하게 된다.The lifting part 300 serves as a guide and a support for moving the roof part 110 upward as a kind of jacking leg.

또한, 상기 리프팅부(300)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각각 루프부(110)의 서로 다른 부위를 지지하여 리프팅공정시에 높은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게 되는데, 배치되는 개수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하중의 고른 지지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4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300 is formed of a plurality and each supports a different portion of the roof unit 110 to support a high load distribution during the lifting process, the number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election And four are preferably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even support and stability of the load.

상기 리프팅부(300)는 루프부(11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지만, 루프부(110)의 구조물의 뼈대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The lifting part 300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roof part 110, but may be located between the skeletons of the structure of the roof part 110.

루프부(110)는 상기 리프팅부(300)를 따라 이송되는 공정을 거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수평이동되어 지지부(120)와 인접되는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부(300)가 배치되는 위치는 평면상 루프부(110)가 지지부(120)와 소정 간격(ℓ) 이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한 지면제작공정에서 루프부(110)가 평면상 지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roof part 110 is horizontally moved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along the lifting part 300 and goes through a process of being adjacent to the support part 120, the position where the lifting part 300 is disposed is planar. The roof part 110 is mad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art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 According to this concept, it is preferable that the roof part 110 is manufact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lanar support 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bove-described paper making process.

이때, 리프팅부(300)는 루프부(110)의 지지하는 부위마다 서로 다른 하중을 받기 때문에 회전방향 모멘트를 받는 부위가 발생할 수 있고, 충분한 강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도나 파손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면과 상기 리프팅부(300)를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백타이 또는 가잉 와이어와 같은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ifting part 300 receives different loads for each of the supporting parts of the roof part 110, a part receiving a rotational moment may occur, and there is a fear of falling or breaking when sufficient rigidity is not guaranteed. .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ire such as a back tie or a gaining wire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ground and the lifting part 300 to provide tension.

또한, 상기 와이어를 대체하거나 보강하여 구조물로서 소정 부위에 형성되는 인장 브레이스(brace)가 리프팅부(300)의 설치공정에서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tension br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as a structure by replacing or reinforcing the wire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lifting unit 300.

상기한 리프팅부설치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리프팅부에 구비되는 스트랜드잭(strand jack)을 통하여 상기 루프부(110)를 상기 지지부(120)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리프팅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lifting unit installation process is completed, a lifting process is performed to raise the roof unit 11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upport unit 120 through a strand jack provided in the lifting unit. You lose.

상기한 스트랜드잭은 리프팅부(300)를 상승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리프팅 장치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f the strand jack can lift the lifting unit 300, various lifting devices may be selectively applied.

상기한 바와 같이 리프팅부(300)는 지지되는 리프팅부(300)의 부위마다 서로 다른 하중을 받을 수 있고, 상승 과정에서 기울어짐이나 리프팅부(300)에 과도한 모멘트를 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리프팅부(300)에 구비되는 스트랜드잭은 상기 루프부(110)를 각각의 부위의 하중에 대응되는 압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unit 300 may receive different loads for each portion of the lifting unit 300 to be supported, and may incline or exert excessive moments on the lifting unit 300 during the ascending process. Therefore, the strand jack provided in each lifting part 300 may raise the loop part 110 to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each part.

상기한 단계를 거쳐 루프부(110)가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루프부(110)와 지지부(120)의 결합부위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수평이동공정이 진행된다.When the roof part 110 is raised to a desired height through the above steps, the horizontal moving process is performed because the coupling part of the roof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s described above.

상기 수평이동공정은 전술한 수평이동부(400)에 의하여 진행되는데, 상기 수평이동부(400)는 루프부(110)를 지지하는 리프팅부(300)를 이동시킴으로써 루프부(110)와 지지부(120)를 인접시키거나 밀착시킬 수 있다.The horizontal mov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moving part 400, wherein the horizontal moving part 400 moves the lifting part 300 supporting the loop part 110 to support the loop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 120 may be adjacent or in close contact.

다만, 수평이동부(400)가 리프팅부(300)의 상측에 위치된 루프부(110)를 수평이동시킴에 있어서 공정상의 오차에 따라 충격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수평이동부(400)는 루프부(110)를 지지부(120)에 인접시키고, 리프팅부(300)는 미세조정잭(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미세조정잭을 조정함으로써 루프부(110)와 지지부(120)를 밀접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horizontal moving part 400 horizontally moves the loop part 110 positioned above the lifting part 300, there is a risk of shock due to a process error, so the horizontal moving part 400 is a loop part. The 110 is adjacent to the support 120, and the lifting unit 300 may include a fine adjustment jack (not shown) to adjust the fine adjustment jack to close the loop 110 and the support 120. .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조정잭은 상기 리프팅부(300)의 루프부(110)를 지지하는 높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루프부(110)의 높이에 따른 루프부(110)와 지지부(120)의 간격의 오차를 조정하면서 밀접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fine adjustment jack is disposed in a plurality in the height direction for supporting the roof portion 110 of the lifting portion 300, are individually controlled to loop portion 11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oof portion 110. ) And the gap between the support 120 can be closely adjusted.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이동이 2단의 공정을 통해 진행되는 경우, 정밀한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불균형 하중을 가지는 대형의 캔틸레버 구조물(100)에 있어서 시공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is performed through a two-stage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of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in the large cantilever structure 100 having an unbalanced load and at the same time capable of precise movement.

상기한 바와 같이 루프부(110)와 지지부(120)가 밀착되어 위치되면 체결공정이 진행되는데, 상기 체결공정은 용접이나 볼팅과 같은 다양한 체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of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fastening process is performed. The fastening process may be various fastening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ing.

체결의 순서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하중의 분포를 고려하여 결합부위의 상단부측에서부터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부측의 체결이 이루어진 이후에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상하 교번하면서 체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체결의 순서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rder of fastening may be made selectively,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is made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coupling par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fter the fastening of the upper end side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to the lower side, the fastening may be made while alternately up and down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to the inner peripheral side. The order of fastening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selectively.

이와 같이 루프부(110)와 지지부(120)의 체결이 완료되면, 서포트부(200)에 의한 지지를 순차적으로 해제하여 상기 루프부(110)의 하중이 지지부(120)의 단부측에서 완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캔틸레버 구조물(100)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때 설계상의 오차나 조립상의 문제로 인하여 루프부(110)의 단부측이 설계에서의 허용치보다 지면에 대해 지나치게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fastening of the roof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y the support part 200 is sequentially released, so that the load of the loop part 110 is completely at the end side of the support part 120. Installation of the cantilever structure 100 is completed by allowing it to be supported. At this time, an end side of the roof part 110 may sag excessively to the ground than an allowable value in the design due to a design error or an assembly problem.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오프셋(offset)은 전체적인 구조상의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전체에 예상치 못한 하중이나 토크를 발생하여 파손 또는 심각한 경우 붕괴의 위험을 가지게 된다.This undesirable offset not only hinders the overall structural aesthetic but also creates unexpected loads or torques throughout the structure, leading to the risk of breakage or serious collapse.

따라서 본 발명의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에서는 상기한 체결공정 이후에 상기 리프팅부(300)가 루프부(110)에 대한 하중의 지지를 해제하면서 단부측의 처짐을 측정하는 측정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deflection of the end side while the lifting unit 300 releases the support of the load to the roof unit 110 after the fastening process. have.

예를 들어, 캔틸레버 구조물이 대형으로 형성되고 루프부(110)가 85m 정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루프부(110)의 단부측의 처짐의 오프셋이 300mm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antilever structure is formed in a large size and the loop part 110 is about 85 m,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offset of the deflection of the end side of the loop part 110 becomes 300 mm or more.

따라서, 상기 측정공정에서 상기 루프부(110)의 단부측의 처짐이 미리 설정된 허용치보다 큰 경우, 상기 루프부(110)와 상기 지지부(120)의 체결을 해제하는 체결해제공정, 상기 루프부(110)를 보강하는 보강공정 및 상기 루프부(110)와 지지부(120)를 재결합하는 재체결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measuring step, if the deflection of the end side of the loop portion 110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allowable value, the release process of releasing the fastening of the loop portion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20, the loop portion ( A reinforcing process for reinforcing 110 and a refastening process for recombining the roof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may be performed.

상기 재체결공정 이후에 다시 측정공정을 거쳐 처짐을 확인하고 허용치 이내인 경우에는 리프팅부(300)의 지지를 완전히 해제하여 공정을 완료하게 되고, 허용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체결해제공정 및 재체결공정을 다시 반복하게 된다.After the retightening process, the sag again is checked through the measuring process, and if the deflection is within the allowable value, the support of the lifting unit 300 is completely released to complete the process. It will repeat again.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120)의 제작을 완료한 이후에 일측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루프부(110)가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은 설계공정에서는 루프부(110)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처짐을 측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보강 작업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개념에서와 같이 루프부(110)와 지지부(120)가 동시에 제작되어 리프트업 방식을 통하여 조립되는 경우 이러한 처짐의 보강 또는 재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향상되고 이를 보정하는 공정의 노력과 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prior art, the roof part 110 is formed by extending to one side after the manufacture of the support part 120 is completed. In such a design process, the loop part 110 sag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loop part 110 is completed. Since the reinforcement work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can not only measure,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excessive cost is required to adjust this, as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f 110 and the support 120 are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to lift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assembled through reinforcement or repositioning of this deflection, the accuracy is improved and the effort and cost of the process of correcting it are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후방루프부(130)가 루프부(110)와 같이 지면에서 먼저 지지부(120)와 동시에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후방루프부(130)를 결합하는 공정은 루프부(110)의 결합공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ar loop part 130 is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as the support part 120 on the ground, such as the roof part 110, the process of coupling the rear loop part 130 may be combined with the loop part 110. The same thing is omitted.

또한, 상기 후방루프부(130)는 지지부(12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rear loop part 13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art 120.

상기한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비대칭의 캔틸레버 구조물 또는 양팔보 형상을 가진 대칭 형상의 캔틸레버 구조물 등 다양한 형상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various shapes such as an asymmetric cantilever structure or a symmetrical cantilever structure having a two-armed beam shap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캔틸레버 구조물 110...루프부
120...지지부 130...후방루프부
200...서포트부 300...리프팅부
400...수평이동부
100 ... cantilever structure 110 ... loop part
120 ... support 130 ... rear loop
200 ... support 300 ... lifting
400 ... horizontal moving parts

Claims (14)

지면에서 루프부와 지지부를 동시에 제작하는 지면제작공정;
지면에 수평이동부를 설치하는 이동부설치공정;
상기 수평이동부의 상측으로 리프팅부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부와 연결하는 리프팅부설치공정;
상기 리프팅부에 구비되는 스트랜드잭을 통하여 상기 루프부를 상기 지지부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리프팅공정;
상기 수평이동부를 통하여 상기 리프팅부를 수평이동하여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인접시키는 수평이동공정; 및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결합하는 체결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가 상기 수평이동부를 통하여 인접되면 상기 리프팅부에 구비되는 미세조정잭을 통하여 수평이동하여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밀접시키며,
상기 미세조정잭은 상기 리프팅부에 높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루프부의 높이에 따른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의 간격의 오차를 조정하면서 밀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A ground production process for simultaneously producing a roof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on the ground;
Moving uni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horizontal moving unit on the ground;
A lifting unit installation process of installing a lifting unit and connecting the roof unit to an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moving unit;
A lifting step of lifting the loop portion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through a strand jack provided at the lifting portion;
A horizontal moving step of horizontally moving the lifting part through the horizontal moving part to adjoin the roof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Includes; fastening process for coupling the loop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n the horizontal moving process, when the loop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horizontal moving part, the horizontal part moves horizontally through a fine adjustment jack provided in the lifting part to close the loop part and the support part,
The fine adjustment jack is disposed in a plurality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lifting portion, and individually controlled to close while adjusting the error of the gap between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oof por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제작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의 결합부위는 평면상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ground fabrication process,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s produce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설치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의 불균형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상기 리프팅부를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lifting unit installation proces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provided to connect the ground and the lifting unit to provide a tension in order to support the unbalanced load of the loop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설치공정에서, 상기 리프팅부는 4개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루프부의 서로 다른 부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lifting unit installation process, the lifting unit is provided with fou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different portions of the loop portion,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공정에서, 각각의 리프팅부에 구비되는 스트랜드잭은 상기 루프부를 각각의 부위의 하중에 대응되는 압력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lifting process, the strand jack provided in each lifting portion raises the loop portion to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each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제작공정 전에, 지면에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서포트부를 배치하는 서포트부설치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upport part installation step of arranging the support part on the groun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oof part and the support part before the ground production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는 상단부측에서부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astening process,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astening from the upper end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정 이후에,
상기 리프팅부가 상기 루프부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면서 상기 루프부의 단부측의 처짐을 측정하는 측정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fastening process,
And a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deflec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loop portion while releasing the support of the lifting portion from the loop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공정에서 상기 루프부의 단부측의 처짐이 미리 설정된 허용치보다 큰 경우,
상기 루프부와 상기 지지부의 체결을 해제하는 체결해제공정;
상기 루프부를 보강하는 보강공정; 및
상기 루프부와 지지부를 재결합하는 재체결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deflection of the end side of the loop portion in the measuring step is larger than a preset allowable value,
A release release step of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roof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Reinforcing step of reinforcing the loop portion; And
Re-fastening step of recombining the loop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ntilever structure further comprises.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A cantilevered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8 to 1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후방루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2,
A cantilever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rear loop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roof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루프부는,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ar loop part, the cantilev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unit and the integral.
KR1020110143122A 2011-12-27 2011-12-27 Constructing method for cantilever structure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KR101289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22A KR101289426B1 (en) 2011-12-27 2011-12-27 Constructing method for cantilever structure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22A KR101289426B1 (en) 2011-12-27 2011-12-27 Constructing method for cantilever structure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973A KR20130074973A (en) 2013-07-05
KR101289426B1 true KR101289426B1 (en) 2013-07-24

Family

ID=4898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122A KR101289426B1 (en) 2011-12-27 2011-12-27 Constructing method for cantilever structure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4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847A1 (en) * 2019-03-19 2020-09-24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Method for installing and constructing girder bridge of marine brid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810B1 (en) 1998-04-17 2001-09-06 김형벽ㅂ Bridge on sea and constructing device and method for stationary structure on sea
JP2004115174A (en) 2002-09-25 2004-04-15 Mitsubishi Heavy Ind Ltd Movable carriage for member erection, and bridging member erection method using it
KR20050091252A (en) * 2004-03-11 2005-09-15 엠에스아시아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using a jig apparatus
KR20080002502U (en) * 2007-01-04 2008-07-09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Apparatus for transmitting b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810B1 (en) 1998-04-17 2001-09-06 김형벽ㅂ Bridge on sea and constructing device and method for stationary structure on sea
JP2004115174A (en) 2002-09-25 2004-04-15 Mitsubishi Heavy Ind Ltd Movable carriage for member erection, and bridging member erection method using it
KR20050091252A (en) * 2004-03-11 2005-09-15 엠에스아시아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using a jig apparatus
KR20080002502U (en) * 2007-01-04 2008-07-09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Apparatus for transmitting b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847A1 (en) * 2019-03-19 2020-09-24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Method for installing and constructing girder bridge of marine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973A (en)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90932B (en) Construction method of large-span thin-wall plane arch truss based on stiff ring beam
JP6025963B2 (en) Crane with at least one crane girder, in particular bridge crane or portal crane
CN112963028B (en) Construction method for assembled steel structure of overlong overhanging variable-section arc beam of stand
KR102029301B1 (en) Prefabricated column assembly with foundation reinforcement part
CN111206768A (en) Light beam plate structure plat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89426B1 (en) Constructing method for cantilever structure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KR101572245B1 (en) Support for a upper reinforcing bar of footings
JP2006063718A (en) Method of constructing overhung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plate web
JP5558757B2 (en) Climbing crane refilling mechanism and floor climbing method
JP6736226B2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constructed on the tower-shaped building
JP5003253B2 (en) RC beam construction method
JP7041463B2 (en) How to build a building
KR101253679B1 (en) Precast segment bea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6592623B (en) Pit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KR10226663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with composite beam structure using module deck
JP2009024449A (en) Building internal staircas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291517B1 (en)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 shape steel plate
KR101491212B1 (en) The extension of the trussed structure building roof and adding method
CN110359649B (en) Prestress construction process for large-span support-free steel structure spiral stair
JP4795838B2 (en) Variable floor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12477391U (en) Support for cast-in-situ porous steel plate combination beam of urban viaduct
JP7390259B2 (en) How to install building units
CN218713231U (en) Construction elevator foundation supporting device and construction elevator system
CN215368341U (en) Large-span light prefabricated staircase
KR101206790B1 (en) Pillar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