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117B1 - 자동 튜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튜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117B1
KR101289117B1 KR1020110071922A KR20110071922A KR101289117B1 KR 101289117 B1 KR101289117 B1 KR 101289117B1 KR 1020110071922 A KR1020110071922 A KR 1020110071922A KR 20110071922 A KR20110071922 A KR 20110071922A KR 101289117 B1 KR101289117 B1 KR 10128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parameter
target device
parameters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044A (ko
Inventor
안정학
정종호
정경일
김진양
하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7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1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자동 튜닝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장치는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리드하는 네트워크 분석기; 상기 리드된 S 파라미터를 통해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유닛;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와 레퍼런스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튜닝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의 튜닝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튜닝 대상 장치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는 튜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분석기에서 측정되는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 중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를 가지며 슬라이싱 윈도우를 적용하여 상기 슬라이싱 윈도우의 주파수 범위 내의 S 파라미터가 리드된다. 개시된 장치에 의하면,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튜닝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튜닝 장치{Auto Tun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 튜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 듀플렉서 등과 같은 RF 장치들의 튜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필터, 듀플렉서, 멀티플렉서 등과 같은 RF 장비들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RF 장비들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등과 같은 곳에서 신호의 필터링, 신호의 분리 및 전달에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RF 장비들 중 일반적인 RF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RF 캐비티 필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RF 캐비티 필터는 하우징(100), 입력 커넥터(102), 출력 커넥터(104), 커버(106), 다수의 캐비티(108) 및 공진기(110)를 포함한다.
RF 필터는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RF 장비 중 RF 캐비티 필터와 같이 캐비티 공진을 이용하는 RF 장비의 튜닝에 적용된다.
캐비티 필터 내부에는 다수의 월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월에 의해 각각의 공진기가 수용되는 캐비티(108)가 정의된다. 커버(106)에는 하우징(100)과 커버(106)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홀 및 다수의 튜닝 볼트(200, 204, 206)가 구비된다.
튜닝 볼트(200, 202, 204)는 커버(106)에 결합되어 하우징 내부로 관통한다. 튜닝 볼트(200, 202, 204)는 필터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튜닝 볼트와 커플링 값을 조절하여 필터의 대역폭을 조절하기 위한 튜닝 볼트로 구분된다. 공진 주파수 조절을 위한 튜닝 볼트는 공진기 상부에 위치하며, 공진기와 공진 주파수 조절을 위한 튜닝 볼트와의 거리 조절을 통해 공진 주파수 튜닝이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튜닝 볼트(200, 204)가 공진 주파수 조절을 위한 튜닝 볼트에 해당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 상부에 위치한다. 대역폭 조절을 위한 튜닝 볼트는 공진기간 커플링을 위해 형성되는 커플링 윈도우(150)에 대응하여 삽입되며, 삽입 깊이에 따라 커플링 값이 조절되면서 대역폭에 대한 튜닝이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튜닝 볼트(202)가 대역폭 조절을 위한 튜닝 볼트에 해당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튜닝 볼트(200)는 커버(106)로부터 관통되어 공진기 상부에 위치된다. 튜닝 볼트(200, 204)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와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므로 회전에 의해 그 삽입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공진기와 튜닝 볼트(200, 204)와의 거리를 가변함으로써 튜닝이 이루어지며, 튜닝 볼트(200, 204)는 수작업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으며, 튜닝 볼트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튜닝 머신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적절한 위치에서 튜닝이 이루어진 경우 너트에 의해 튜닝 볼트가 고정된다.
한편, 대역폭 조절을 위한 튜닝 볼트(202)도 커버와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므로 회전에 의해 그 삽입 깊이가 조절된다.
상술한 튜닝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 조절을 통해 원하는 특성으로 튜닝하는 작업은 숙련된 작업자만이 할 수 있는 작업이고 또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튜닝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튜닝을 하는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공지된 자동 튜닝 알고리즘은 완벽하지 않고 또한 실질적인 튜닝에 수작업 이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자동 튜닝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닝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튜닝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리드하는 네트워크 분석기; 상기 리드된 S 파라미터를 통해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유닛;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와 레퍼런스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튜닝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의 튜닝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튜닝 대상 장치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는 튜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분석기에서 측정되는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 중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를 가지며 슬라이싱 윈도우를 적용하여 상기 슬라이싱 윈도우의 주파수 범위 내의 S 파라미터가 리드되는 자동 튜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싱 윈도우의 경계 주파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션 제로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미터 추출 유닛은 상기 S 파라미터를 통해 전달 함수를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공진 주파수 및 커플링 값을 추출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튜닝 볼트들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튜닝 제어 정보와 상기 튜닝 볼트들을 튜닝하는 순서에 대한 튜닝 순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 및 상기 레퍼런스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각 튜닝 볼트의 회전 각도에 따른 주파수 변화 및 커플링 값 변화를 기록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튜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튜닝 제어 정보 및 상기 튜닝 순서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튜닝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RF 장비들 중 일반적인 RF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RF 캐비티 필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튜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튜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모델 장치 및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 그래프와 종래의 슬라이싱 윈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모델 장치 및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 그래프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싱 윈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튜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튜닝 장치는 네트워크 분석기(300), 파라미터 추출 유닛(302), 제어 유닛(304) 및 튜닝 구동 유닛(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튜닝 대상 장치는 다수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RF 캐비티 필터, 다이플렉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분석기(300)는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특성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네트워크 분석기(300)는 입력신호 및 출력 신호에 대한 S 파라미터를 출력하며, S 파라미터 파형은 네트워크 분석기(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종래의 매뉴얼 튜닝은 네트워크 분석기(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파형을 보면서 작업자가 직접 튜닝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오토 튜닝 장치는 네트워크 분석기(300)에서 측정되는 S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자동적으로 튜닝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분석기(300)에서 측정되는 S 파라미터는 디지털 데이터이며, 이중 관심 대역의 디지털 데이터가 리드된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분석기에 디스플레이된 S 파라미터 중 의미 있는 데이터인 소정의 진폭 이상을 가지는 주파수 대역과 트랜스미션-제로(transmission-zero)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이 관심 대역으로 설정되며, 이와 같은 관심 대역에 슬라이싱 윈도우를 적용하여 슬라이싱 윈도우 범위 내의 S 파라미터를 리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분석기에서 리드된 S 파라미터가 1.7GHz에서 2.4GHz에서 패스 밴드를 가지며 1.6GHz, 2.6GHz 및 2.8GHz에서 트랜스미션-제로가 형성될 경우 패스 밴드 및 트랜스미션 제로가 포함되도록 1.6GHz 내지 2.8GHz로 패스 밴드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관심 대역을 기준으로 슬라이싱 윈도우를 형성하여 S 파라미터를 리드하는 방식은 자동 튜닝을 수행하는데 있어 적절하지 않다는 점이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관심 대역을 기준으로 슬라이싱 윈도를 적용할 경우 차후에 수행되는 전달함수 모델링에서 전달함수가 정확히 모델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리드된 S파라미터에서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를 가지는 슬라이싱 윈도우를 형성하여 S 파라미터를 리드하는 방식이 제안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싱 윈도우는 전달 함수 모델링에 있어 보다 정확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종래의 방식에서는 슬라이싱 윈도우의 좌우 경계 주파수는 통상적으로 트랜스미션-제로에 대응되나, 본 발명의 방식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션 제로가 포함되도록 S 파라미터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주파수 범위가 설정되기는 하나 트랜스미션-제로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슬라이싱 윈도우의 좌우 경계 주파수는 트랜스미션 제로에 대응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슬라이싱 윈도를 적용하여 S 파라미터를 리드하는 방식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파라미터 추출 유닛(302)은 읽어들인 S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튜닝 대상 장치의 전달함수를 모델링한다. 슬라이싱 윈도우를 적용한 S 파라미터 리드 동작은 네트워크 분석기(30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파라미터 추출 유닛(302)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튜닝 대상 장치의 전달 함수는 주파수를 변수로 하는 함수이며, 튜닝 대상 장치의 폴 수에 대응하는 차수를 가지고 있다. 전달 함수는 다양한 수학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파라미터 추출 유닛(302)은 모델링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필터 마라미터를 추출한다. 일례로, 필터 파라미터는 공진 주파수와 커플링 값을 추출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는 전달 함수를 최대로 하는 주파수를 찾아냄으로써 추출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4)은 파라미터 추출 유닛(302)으로부터 추출되는 필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자동 튜닝을 위한 튜닝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도 3에는 파라미터 추출 유닛(302)과 제어 유닛(304)이 별개의 모듈로 도시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PC와 같은 단일 장치가 파라미터 추출 유닛 및 제어 유닛의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제어 유닛(304)은 각 튜닝 볼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필터와 같이 3개의 튜닝 볼트가 존재할 경우, 제어 유닛(304)은 각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튜닝 볼트는 회전에 의해 그 삽입 깊이가 조절되므로 제어 유닛(304)의 제어 정보는 각 튜닝 볼트의 회전 각도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 유닛(304)은 다수의 튜닝 볼트에 대한 튜닝 순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튜닝 구동 유닛(306)은 제어 유닛(304)으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제어 정보에 따라 튜닝 볼트를 회전시켜 튜닝 대상 장치에 대한 튜닝을 수행한다. 튜닝 구동 유닛(306)은 제어 유닛(304)으로부터 각 튜닝 볼트에 대한 회전 각도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라 튜닝 볼트를 회전 시켜 튜닝 대상 장치의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를 조절한다.
튜닝 구동 유닛(306)의 튜닝에 따라 변화되는 필터 파라미터는 제어 유닛(304)에서 모니터링되며, 측정되는 필터 파라미터와 모델 필터의 필터 파라미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경우 제어 유닛(304)은 튜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튜닝을 중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은 레퍼런스 파라미터 저장부(400), 비교부(402), 튜닝 제어 정보 생성부(404), 튜닝 순서 정보 생성부(406) 및 매핑 테이블(408) 을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파라미터 저장부(400)에는 튜닝이 완료된 모델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가 저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 파라미터는 공진 주파수 및 커플링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402)는 파라미터 추출 유닛(302)으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대상 장치의 파라미터와 레퍼런스 파라미터 저장부(400)에 저장된 레퍼런스 파라미터를 비교한다. 비교부는 레퍼런스 파라미터와 튜닝 대상 장치의 파라미터의 차이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차이값은 튜닝 제어 정보 생성부(404) 및 튜닝 순서 정보 생성부(406)에서 튜닝 제어 정보 및 튜닝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튜닝 제어 정보 생성부(404) 및 튜닝 순서 정보 생성부(406)는 비교부(402)로부터 산출되는 차이값 및 매핑 테이블(408)의 정보를 이용하여 튜닝 제어 정보 및 튜닝 순서 정보를 생성한다. 매핑 테이블에는 각 튜닝 볼트의 회전에 따라 변화되는 주파수 정보 및 커플링 값 정보가 기록된다.
튜닝 제어 정보 생성부(404)는 자동 튜닝 알고리즘에 따라 매핑 테이블 및 차이값 정보에 기초하여 각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삽입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각 튜닝 볼트의 회전 각도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진기 상부에 위치하는 튜닝 볼트는 공진 주파수 조절을 위한 튜닝 볼트이고 커플링 윈도우에 상응하여 위치하는 튜닝 볼트는 커플링 값을 조절하기 위한 튜닝 볼트이며, 튜닝 제어 정보 생성부(404)는 자동 튜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각 튜닝 볼트의 회전 각도 정보를 산출한다. 물론 회전 각도 정보에는 튜닝 볼트를 위로 움직이기 위한 회전 각도인지 아니면 아래로 움직이기 위한 회전 각도 정보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튜닝 순서 정보 생성부(406)는 삽입 깊이의 조절이 필요한 다수의 튜닝 볼트 중 어떠한 튜닝 볼트의 위치를 먼저 조절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튜닝 순서 정보 생성부(406)는 튜닝에 영향이 큰 튜닝 볼트에 대한 위치 조절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튜닝 순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튜닝 순서는 사용하는 자동 튜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튜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를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단계 500).
네트워크 분석기를 통해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가 측정되면, 슬라이싱 윈도를 적용하여 네트워크 분석기의 S 파라미터를 리드한다(단계 502). S 파라미터를 리드할 때 튜닝 대상 장치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슬라이싱 윈도우를 적용하며, 튜닝 대상 장치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를 가지는 슬라이싱 윈도를 적용하여 슬라이싱 윈도우 주파수 영역 내의 S 파라미터를 리드한다.
S 파라미터를 읽어들이면, 이를 이용하여 전달 함수를 모델링한다(단계 504). 전달 함수는 주파수를 변수로 하는 함수이며, 전달 함수는 필터의 차수에 기초하여 모델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학적 기법이 전달 함수의 모델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달 함수가 모델링되면, 이를 이용하여 필터 파라미터를 추출한다(단계 506).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 파라미터는 공진 주파수 및 커플링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가 추출되면, 모델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와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를 비교한다(단계 508).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와 모델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 비교를 통해 차이값에 대한 정보가 산출된다. 즉, 모델 장치와의 공진 주파수 차이값 및 커플링 값에 대한 차이값 정보가 산출된다..
파라미터 차이값 정보가 산출되면, 산출된 차이 값 정보를 이용하여 튜닝 제어 정보 및 튜닝 순서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510). 파라미터 차이값 및 매핑 테이블의 튜닝 볼트 회전에 따른 주파수 및 커플링 변화 정보가 자동 튜닝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각 튜닝 볼트의 회전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튜닝 제어 정보와 각 튜닝 볼트의 튜닝 순서 정보에 대한 튜닝 순서 정보가 생성된다.
튜닝 제어 정보 및 튜닝 순서 정보가 제어 유닛으로부터 생성되면, 튜닝 제어 정보 및 튜닝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튜닝 작업이 튜닝 유닛에 의해 수행된다(단계 510).
튜닝 유닛은 각 튜닝 볼트를 파지하고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튜닝 제어 정보에 포함된 회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튜닝 볼트를 회전시킨다. 회전 모듈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수는 회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튜닝 유닛의 튜닝 과정 중 변화되는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는 모니터링되며, 레퍼런스 파라미터와 필터 파라미터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통해 튜닝이 완료되는지 여부가 모니터링된다(단계 512).
자동 튜닝 알고리즘에 따른 튜닝 동작에 의해 튜닝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새로운 제어 정보를 통해 튜닝을 수행하는 동작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모델 장치 및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 그래프와 종래의 슬라이싱 윈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a)는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 그래프이며, (b)는 종래 방식에 따라 모델 장치의 S 파라미터에 슬라이싱 윈도우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는 세 개의 트랜스미션-제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좌측에 한 개 우측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음을 도 6의 (a)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 종래의 일반적인 슬라이싱 윈도우는 최외곽 정보인 트랜스미션-제로를 기준으로 그 크기가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두 개의 트랜스미션 제로와 좌측에 한 개의 트랜스미션 제로가 모두 포함되도록 슬라이싱 윈도우가 설정되며, 슬라이싱 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한 주요 파라미터는 패스 밴드와 트랜스미션 제로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S 파라미터 리딩 방식은 전달 함수를 모델링할 때 정확한 모델링이 되지 않아 전달 함수를 통해 필터 파라미터를 추출하는데 정확성이 담보되지 않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도 7은 모델 장치 및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 그래프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싱 윈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a)는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 그래프이며, (b)는 본 발명의 방식에 따라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에 슬라이싱 윈도우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슬라이싱 윈도우가 형성되며, 트랜스미션 제로를 기준으로 슬라이싱 윈도우의 최외곽 지점을 설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슬라이싱 윈도우를 설정할 경우 패스 밴드 이외의 지점의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으나 보다 정확한 전달 함수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리드하는 네트워크 분석기;
    상기 리드된 S 파라미터를 통해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유닛;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와 레퍼런스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튜닝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의 튜닝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튜닝 대상 장치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는 튜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분석기에서 측정되는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S 파라미터 중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를 가지며 슬라이싱 윈도우를 적용하여 상기 슬라이싱 윈도우의 주파수 범위 내의 S 파라미터가 리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튜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싱 윈도우의 경계 주파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션 제로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튜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추출 유닛은 상기 슬라이싱 윈도우를 적용하여 리드된 S 파라미터를 통해 전달 함수를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공진 주파수 및 커플링 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튜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튜닝 볼트들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튜닝 제어 정보와 상기 튜닝 볼트들을 튜닝하는 순서에 대한 튜닝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튜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튜닝 대상 장치의 필터 파라미터 및 상기 레퍼런스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각 튜닝 볼트의 회전 각도에 따른 주파수 변화 및 커플링 값 변화를 기록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튜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튜닝 제어 정보 및 상기 튜닝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튜닝 장치.
KR1020110071922A 2011-07-20 2011-07-20 자동 튜닝 장치 KR10128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922A KR101289117B1 (ko) 2011-07-20 2011-07-20 자동 튜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922A KR101289117B1 (ko) 2011-07-20 2011-07-20 자동 튜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44A KR20130011044A (ko) 2013-01-30
KR101289117B1 true KR101289117B1 (ko) 2013-07-23

Family

ID=4784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922A KR101289117B1 (ko) 2011-07-20 2011-07-20 자동 튜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719B1 (ko) 2021-12-10 2022-06-22 (주)알엔텍 하이브리드 커플러 금속 커플링바 간격 조절을 위한 절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커플러 자동 튜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2117B (zh) * 2015-05-27 2017-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滤波器调谐方法、装置及系统
KR101864616B1 (ko) * 2017-04-24 2018-06-05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Rf 필터의 자동 튜닝 방법, 튜닝 로드 및 지그
CN114079439A (zh) * 2020-08-17 2022-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工器、网络设备、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69105A (zh) * 2021-06-02 2021-10-29 江汉大学 一种螺钉数据预测模型的处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337A (ko) * 1998-11-09 2000-06-26 무라타 야스타카 유전체 필터의 자동 특성 조정 방법 및 장치
KR20050096709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알에프 필터 자동 튜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7421B1 (ko) 2005-10-27 2007-02-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반사파의 위상을 이용한 필터의 튜닝 장치 및 그 방법과그에 의해 튜닝된 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337A (ko) * 1998-11-09 2000-06-26 무라타 야스타카 유전체 필터의 자동 특성 조정 방법 및 장치
KR20050096709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알에프 필터 자동 튜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7421B1 (ko) 2005-10-27 2007-02-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반사파의 위상을 이용한 필터의 튜닝 장치 및 그 방법과그에 의해 튜닝된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719B1 (ko) 2021-12-10 2022-06-22 (주)알엔텍 하이브리드 커플러 금속 커플링바 간격 조절을 위한 절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커플러 자동 튜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44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117B1 (ko) 자동 튜닝 장치
KR101685111B1 (ko) 자동 튜닝이 가능한 rf 캐비티 장치
DE10080443B4 (de) Vorrichtung zum Messen eines Jitters
US20190140626A1 (en) Tuning of Filters
CN105375850A (zh) 一种电机振动抑制的控制方法
CN109782139B (zh) 一种gis特高频局部放电在线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KR101285022B1 (ko) 다이플렉서 자동 튜닝 방법 및 장치
CN110286302A (zh) 局部放电信号的检测方法及检测系统
Shen et al. A novel adaptive frequency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interpolation FFT and improved adaptive notch filter
CN105812080A (zh) 一种电台信号自动搜索装置及方法以及调频收音机
CN104680011A (zh) 基于amd的消除经验模态分解中模态混叠方法
CN106485070B (zh) 一种自适应阈值调整方法
CN104022761A (zh) 一种脉冲调制信号的测试方法
CN117245873B (zh) 注塑机初始工艺参数的确定方法、装置及注塑机
EP3112882B1 (en) Automatic frequency prescaler
CN107065007A (zh) 一种地震资料振幅调整方法和装置
KR101415741B1 (ko)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방법
CN108667537B (zh) 一种干扰源定位方法和装置
CN107132471B (zh) 一种调试微波器件的方法和设备
EP2639590B1 (en) Wide range, high resolution frequency monitor
CN109460006A (zh) 一种控制系统振荡检测的方法
CN110687362A (zh) 一种实时相噪测试方法
KR101740805B1 (ko) 가변 대역 통과 필터 장치
RU201414262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атия данных, представляющих зависящий от времени сигнал
KR101227283B1 (ko) 병렬 튜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