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957B1 - Slab unit and stress distribution matching type slab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lab unit and stress distribution matching type slab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8957B1 KR101288957B1 KR1020110066323A KR20110066323A KR101288957B1 KR 101288957 B1 KR101288957 B1 KR 101288957B1 KR 1020110066323 A KR1020110066323 A KR 1020110066323A KR 20110066323 A KR20110066323 A KR 20110066323A KR 101288957 B1 KR101288957 B1 KR 1012889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stress distribution
- center
- suppor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에 제공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재로 구성되되, 하중에 따른 응력분포에 대응토록,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는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슬래브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응력분포에 효과적으로 대응토록, 양측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투입된 재료량이 감소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료비용을 감소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키면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provided on both sides and at least two connection members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ad, the connection member, the stress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from the support to the cen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unit including a distribution-coupling connection unit and a stress distribution-adaptive slab using the same, which is configured to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introduced while going from the two sides to the center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It is effectiv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while reducing the cost and improving the economics.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래브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응력분포에 효과적으로 대응토록 구성되는 슬래브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unit and a stress distribution-adaptive slab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ab unit and a stress distribution-adaptive slab configured to cope with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ad acting on the structure.
건물의 슬래브는 건물자중 및 이동하중과 같은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외부의 풍하중이나 지진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건물을 구성하는 주요부재이다. The slab of a building is the main member of the building that supports vertical loads such as building weight and moving load, and supports horizontal loads such as external wind load and earthquake load.
이러한 슬래브의 기본적인 형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슬래브(3)는 양단에서 지지시 상기한 하중들에 의해 상부에서 등분포 수직하중(W1)을 받고, 양쪽 측면에서 대칭적으로 수평하중(W2)을 받는다.The basic form of such a slab is shown in FIG. 1. In general, when the
따라서, 슬래브(3)는 상기한 등분포 수직하중(W1) 및 수평하중(W2)에 대하여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슬래브(3)에 등분포 수직하중(W1)과 수평하중(W2)에 작용할 때, 슬래브(3)에 발생하는 응력은 양단부에서 가장 크며, 중심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서, 일정하게 분포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applied to the equal distribution vertical load (W1) and horizontal load (W2) to the
구체적으로, 슬래브(3)는 양단부에서 기둥 등에 의해 지지되므로, 양단부로 갈수록 전단응력이 커진다. 즉, 전단응력은 슬래브(3)의 양단부에서 가장 크며, 중심에서 가작 작다.Specifically, since the
또한, 슬래브(3)는 등분포 수직하중(W1)에 의해 발생하는 굽힘응력은 중심으로 갈수록 커진다. 즉, 굽힘응력은 슬래브(3)의 양단부에서 가장 작고, 중심에서 가장 크다.In addition, the bending stress generated by the evenly distributed vertical load W1 of the
그런데, 상기한 기본적인 슬래브(3)는 이와 같은 응력분포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중심에는 필요 이상으로 재료가 투입된 것이다. 즉, 재료가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By the way, the above-described basic slab (3) is produced uniformly without considering such a stress distribution, the material is injected more than necessary in the center. That 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was not used efficiently.
더욱이, 건축물 등에는 슬래브가 아주 많이 설치되므로, 전체적으로 경제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since a lot of slabs are installed in a building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conomy is very poor overall.
따라서,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면서, 구조적인 안정성 또한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구조를 갖는 슬래브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lab having an optimal structure that can efficiently use materials and improve economical efficiency while also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응력분포에 효과적으로 대응토록, 양측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투입된 재료량이 감소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료비용을 감소시키면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슬래브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to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injected while going to the center from both sides so as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ad acting on the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slab unit that can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while reducing the cost and a stress distribution-compatible slab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양측에 제공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재로 구성되되, 하중에 따른 응력분포에 대응토록,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는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슬래브 단위체를 제공한다.
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provided on both sides and at least two connection members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so as to correspond to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ad, the connection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ab unit including a stress distribution corresponding connection portion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while going from the support portion to the center portion.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분리되어 결합하고, 중심부로 가면서 합쳐진 후 다시 분리된다.
More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is joined to the center and then separated again.
삭제delete
삭제delet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합쳐져 결합하고, 중심부로 가면서 분리된 후 다시 합쳐진다.
More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joined to the support and coupled, separated after going to the center, and then joined again.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높이는 일정하되 두께는 얇아진다.
More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the height is constant while going from the support to the center portion is thinner.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된다.
More preferably, the stress distribution-compliant connection portion, both sid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슬래브 단위체가 복수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결합체 및 상기 단위체 각각의 일면 또는 상기 결합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ess distribution-compatible slab comprising a combination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lab units described above and a support plate coupled to one surface of each of the units or one surface of the assembly.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체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소정 패턴의 격자구조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재료량이 감소된다.Preferably, the combination is formed by the connecting member in a lattice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pattern, the amount of material is reduced while going from the support to the cent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에 의하면,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응력분포에 효과적으로 대응토록, 양측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투입된 재료량이 감소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료비용을 감소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lab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ess distribution-adaptive slab using the same,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ad acting on the structure, 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input while going to the center from both sides,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economic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도 1은 기본적인 슬래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2b 및 2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위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위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의 하측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ic slab;
Figure 2a, 2b and 2c is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lab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3b and 3c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lab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ress distribution-compatibl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lab unit and a stress distribution-compatible slab using the same.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위체(1)(1')의 실시예들을 각 방향에서 나타내고, 도 4는 상기 슬래브 단위체(1)가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2)를 나타낸다.2 and 3 show embodiments of the
먼저,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위체(1)(1')는 양측에 제공되는 지지부(10)와 양측의 지지부 사이를 연결토록 제공되는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slab unit (1) (1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ess distribution
여기서, 양측의 지지부(10)는 슬래브 단위체(1)(1') 양측에서 예를 들어 기둥에 의해 지지될 때,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하중에 작용하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응력분포가 형성될 수 있다.Here, when the
그리고, 이러한 응력분포는 일반적으로 양측 지지부(10)에서 크고 그 사이의 중심부(M)로 가면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stress distribution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is generally large in both
본 발명에서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는 상기와 같은 응력분포에 대응토록 지양측 지지부(10)에서 그 사이의 중심부(M)로 가면서 재료량이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ss distribution-
즉, 양측 지지부(10) 가까이에서는 작용하는 응력이 크므로 이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재료량이 많아야 하는 반면, 중심부(M) 가까이에서는 작용하는 응력이 작으므로 투입되는 재료량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That is, since the stress acting near both
이에,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는 양측 지지부(10)로부터 중심부(M)로 갈수록 투입되는 재료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구성하여 재료를 효율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Accordingly, the stress distribution-
여기서, 재료량은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를 이루는 재료의 양으로서, 부피 또는 무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amount of material is an amount of material constituting the stress distribution-
예를 들어,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는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ress distribution-
구체적으로,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는 지지부(10)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재(22)(24)(22')(24')로 구성되되, 연결부재는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ress distribution-
즉, 연결부재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연결부재는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슬래브 단위체(1)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단면적의 합이 작아지게 형성되면 된다.That is, the number of connecting members is not limited,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um of the cross sectional area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는 두 개의 연결부재(22)(24)(22')(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결부재의 횡단면적 합이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stress distribution-
먼저, 도 2에 도시된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2)(24)는 지지부(10)에서 분리되어 결합하고, 중심부(M)로 가면서 합쳐진 후 다시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one embodiment of the stress distribution-
구체적으로, 도 2a 및 2b는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를 하측에서 나타낸 것으로서, 두 개의 연결부재(22)(24)가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Specifically, FIGS. 2A and 2B show the stress distribution-responsive connecting
그리고, 두 개의 연결부재(22)(24)는 각 지지부(10)의 양측에 분리되어 접합되며, 중심부(M)로 가면서 합쳐진 후 다시 두 개로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 connecting
이때, 각 연결부재(22)(24)는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므로, 두 개의 연결부재(22)(24)의 횡단면적 합도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갈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each of the connecting
또한, 도면상에는 두 개의 연결부재(22)(24)가 합쳐져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연결부재(22)(24)가 분리되어 접촉하는 형태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wo connecting
다시 말해,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의 일 실시예를 길이방향으로 A, B 및 C 영역으로 나누어 보면, A 및 C 영역은 대략 X자 형태로 형성되고, B 영역은 A 및 C 사이의 영역으로서 X자 끝단을 연결하도록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dividing an embodiment of the stress distribution-
상세하게는, A 및 C 영역의 X자 형태의 부재는 일단부가 지지부(10)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B 영역의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the X-shaped member of the A and C regions may have one end joined to the
이때, A 및 C 영역의 X자 형태의 부재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가면서, 그리고 상기 타단부에서 B 영역의 중심부(M)로 가면서 투입된 재료량이 감소토록 즉 횡단면적의 합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X-shaped members of the A and C regions are formed so as to decrease the amount of material introduced while going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from the other end to the central portion M of the B region, that is, the sum of the cross sectional areas becomes small. Can be.
즉,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를 길이방향으로 많은 영역으로 나누어 생각하면, 양측의 지지부(10)로부터 중심부(M)로 가면서 각 영역들에 투입된 재료량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tress distribution-
또한,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는 응력분포에 대응하여 재료량을 변화시키는 것이므로, 응력분포가 일차원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22)(24)의 횡단면적의 합 역시 일차원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ess distribution-
그리고, 응력분포가 이차원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22)(24)의 횡단면적의 합 역시 이차원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분포가 이차원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A 및 C 영역보다 B 영역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stress distribution is formed two-dimensionally,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connecting
한편, 도 3에 도시된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의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2')(24')는 지지부(10)에서 합쳐져 결합하고, 중심부(M)로 가면서 분리된 후 다시 합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ess distribution-compliant connector 20 'shown in FIG. 3, the
구체적으로, 두 개의 연결부재(22')(24')는 각 지지부(10)의 중심에 합쳐져 접합되며, 중심부(M)로 가면서 두 개로 분리된 후 다시 합쳐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wo connecting
그리고, 도면상 연결부재(22')(24')는 구간별로 각지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s 22 'and 24' in the drawings are angularly illustrated for each sec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이때, 각 연결부재(22')(24')는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므로, 두 개의 연결부재(22')(24')의 횡단면적 합도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갈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s 22 'and 24' is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다시 말해,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의 다른 실시예를 길이방향으로 A', B' 및 C' 영역으로 나누어 보면, A' 및 C' 영역은 대략 타원형 또는 허니콤 형태로 형성되고, B' 영역은 A' 및 C' 영역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divid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ess distribution-compliant connector 20 'into the A', B 'and C' reg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 'and C' regions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elliptical or honeycomb shape, The B 'region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A' and C 'regions.
여기서, C' 영역에서는 두 개의 연결부재(22')(24')가 일체로 합쳐져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분리된 두 개의 연결부재(22')(24')가 접촉하여 접촉하는 형태도 가능하다.Here, in the C 'region, two connecting members 22' and 24 'may be integrally formed together, 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wo separate connecting members 22' and 2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상세하게는, A' 및 C' 영역의 타원형 또는 허니콤 형태의 부재는 일단부가 지지부(10)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B' 영역의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the elliptical or honeycomb-shaped members of the A 'and C' regions may be joined at one end to the
이때, A' 및 C' 영역의 타원형 또는 허니콤 형태의 부재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가면서, 그리고 상기 타단부에서 B' 영역의 중심부(M)로 가면서 투입된 재료량이 감소토록 즉 횡단면적의 합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val or honeycomb-shaped members of the A 'and C' regions go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from the other end to the central portion M of the B 'region, so that the amount of material introduced is reduced, that is,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s. Can be formed to be small.
그리고, 이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내용은 상기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it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content of other embodiments is omitted.
다음, 연결부재(22)(24)(22')(24')는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높이(H)는 일정하되 두께는 얇아지게 형성할 수 있다.Next, the connect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부재(22)(24)(22')(24')가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감소되도록 구성하는데, 그러한 방법의 하나로써 연결부재의 높이(H)는 일정하면서 두께를 얇아지게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as the connecting
도 4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2)(24)(22')(24')의 높이(H)는 일정하다. 그리고, 도 3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의 두께는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얇아진다.As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4, the height H of the connecting
슬래브 단위체(1)(1')가 수직하중을 받게 되면, 중심부(M)에서 굽힘응력이 작용하므로, 중심부(M)에서 상기 굽힘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의 높이(H)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lab unit (1) (1 ') is subjected to the vertical load, the bending stress acts in the central portion (M), so that the stress distribution-adaptive connection (20, 20) to resist the bending stress in the central portion (M) The height H of ') is preferably secur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즉, 슬래브 단위체(1)(1')의 전체적인 높이가 충분한 경우에는 연결부재(22)(24)(22')(24')의 높이(H)도 변화시켜 횡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부재의 높이(H)는 슬래브 단위체(1)(1')의 높이와 같도록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overall height of the slab unit (1) (1 ') is sufficient, the cross-sectional area can be reduced by changing the height (H) of the connecting
또한,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는 중심부(M)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ess distribution-
일반적으로, 슬래브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등분포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때, 응력분포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대칭된다.In general, slabs are fabricated to withstand evenly distributed vertical and horizontal loads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At this time, the stress distribution is symmetrical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art.
따라서, 본 발명에서 슬래브 단위체(1)(1')는 상기 응력분포에 대응하여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20')가 중심부(M)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등분포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견딜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b unit (1) (1 ') can b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stress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stress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2)는 상기 기재된 슬래브 단위체(1)가 복수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결합체(100) 및 슬래브 단위체(1) 각각의 일면 또는 결합체(100)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30)(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stress distribution-
도 4a를 참조하면, 각각의 슬래브 단위체(1)는 일면에 지지판(30)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슬래브 단위체(1)가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2)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each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각각의 슬래브 단위체(1)가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결합체(100)를 형성하고, 이러한 결합체(100)의 일면에 지지판(200)이 접합되어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2)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B, each
즉, 지지판(30)(200)은 슬래브 단위체(1)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슬래브 단위체(1)가 결합된 결합체(100)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That is, the
이러한 지지판(30)(200)은 슬래브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결합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30)(200)은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작업하기 용이토록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결합체(100)는 연결부재(22)(24)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되,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재료량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를 참조하면, 결합체(100)는 복수의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가 결합함으로써 격자구조 또는 허니콤 구조 등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이때, 각각의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가 응력분포에 대응하여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작아지므로, 결합체(100) 역시 응력분포에 대응하여 지지부(10)에서 중심부(M)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stress distribu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2)는 응력분포에 대응하여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키면서 응력에 최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stress distribu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위체(1)(1') 및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2)는 콘크리트 또는 강재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와 강재가 혼합되는 합성구조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lab unit (1) (1 ') and the stress distribution-adaptive slab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ructure in which concrete or steel alone or a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concrete and steel are mixed.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1, 1' ... 슬래브 단위체 2 ...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
10 ... 지지부 20, 20' ...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
22, 22', 24, 24' ... 연결부재 30, 200 ... 지지판
100 ... 결합체 H ...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 높이
M ... 슬래브 단위체 중심부1, 1 '...
10 ...
22, 22 ', 24, 24' ... Connecting
100 ... union H ... stress distribution-sensitive connection height
M ... center of slab unit
Claims (9)
상기 지지부(10)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재(22)(24)로 구성되되, 하중에 따른 응력분포에 대응토록,
상기 연결부재(22)(24)는, 상기 지지부(10)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는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슬래브 단위체.
Support portion 10 provided on both sides; And
Consists of at least two connecting members 22, 24 for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10, to correspond to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ad,
The connecting member (22) (24), the slab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ress distribution corresponding connection portion 20 is reduced in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support portion (10) to the center.
상기 연결부재(22)(24)는, 상기 지지부(10)에 분리되어 결합하고, 중심부로 가면서 합쳐진 후 다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단위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ng member (22) (24), the slab unit,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0), after being joined to the center and separated again.
상기 연결부재(22)(24)는, 상기 지지부(10)에 합쳐져 결합하고, 중심부로 가면서 분리된 후 다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슬래브 단위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ng member (22) (24), the slab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0, and separated after going to the center of the combined.
상기 연결부재(22)(24)는, 상기 지지부(10)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높이는 일정하되 두께는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단위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ng member (22) (24), the slab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constant, but the thickness becomes thin while going from the support portion (10) to the center.
상기 응력분포대응형 연결부(20)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단위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stress distribution-adaptive connection portion 20, the slab unit,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상기 단위체 각각의 일면 또는 상기 결합체(10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판(30)(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
Claims (6)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lab unit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And
Support plates 30 and 200 coupled to one surface of each unit or one surface of the assembly 100;
Slabs configured for stress distribution.
상기 결합체(100)는, 상기 연결부재(22)(24)에 의해 소정 패턴의 격자구조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10)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재료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분포대응형 슬래브.9. The method of claim 8,
The assembly 100, the lattice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by the connecting member 22, 24, the stress distribution response slab,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material is reduced while going from the support portion (10) to the cen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323A KR101288957B1 (en) | 2011-07-05 | 2011-07-05 | Slab unit and stress distribution matching type slab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323A KR101288957B1 (en) | 2011-07-05 | 2011-07-05 | Slab unit and stress distribution matching type slab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021A KR20130005021A (en) | 2013-01-15 |
KR101288957B1 true KR101288957B1 (en) | 2013-07-22 |
Family
ID=4783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6323A KR101288957B1 (en) | 2011-07-05 | 2011-07-05 | Slab unit and stress distribution matching type slab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8957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80131A (en) * | 1992-03-27 | 1993-10-26 | Kondo:Kk | Floor material and floor unit for building in steel structure |
JPH084198A (en) * | 1994-03-25 | 1996-01-09 | Lg Mouchel & Partners Ltd | Reinforced structure member and connecting member used together with said reinforced structure member |
KR200363068Y1 (en) | 2004-07-06 | 2004-09-23 | 김연호 | Girder Structure of Preflex Composite Beam with Regard to Section Force |
-
2011
- 2011-07-05 KR KR1020110066323A patent/KR10128895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80131A (en) * | 1992-03-27 | 1993-10-26 | Kondo:Kk | Floor material and floor unit for building in steel structure |
JPH084198A (en) * | 1994-03-25 | 1996-01-09 | Lg Mouchel & Partners Ltd | Reinforced structure member and connecting member used together with said reinforced structure member |
KR200363068Y1 (en) | 2004-07-06 | 2004-09-23 | 김연호 | Girder Structure of Preflex Composite Beam with Regard to Section For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021A (en) | 2013-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4018B1 (en) | Composite corrugated deck unified inverted triangle truss and distributing bar | |
KR100993800B1 (en) | Deck plate | |
KR102027813B1 (en) | Built-Up Beam | |
KR20130078928A (en) | Composite beam with slit-typed web | |
JP2012533696A (en) | Top slab for floor construction | |
KR101288957B1 (en) | Slab unit and stress distribution matching type slab using the same | |
KR101299700B1 (en) | Steel frame structure of rahmen-type | |
AU2016200075B2 (en) | Composite deck plate integrated with a bar tru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2142304B1 (en)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wide beam and floor structure | |
JP6265735B2 (en) | Consolidated building | |
KR101407816B1 (en) | structure system using bar truss integrated asymmetry H-beam | |
KR102320411B1 (en) |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lat plate slab-column connection using shear reinforcement band | |
JP2015110860A (en) | Floor material and floor structure of road surface in combination with floor material | |
KR101834867B1 (en) | High Stiffness Mega Girder | |
CN204530474U (en) | Be applied to the combined bridge deck in Large Span Bridges and Urban Bridge | |
KR101192038B1 (en) | Composite deck having steel plate with two dirctional corrugational members | |
KR101932435B1 (en) | Composite girder with enhanced stress distribution at connection between steel part and concrete part | |
KR101027751B1 (en) | Steel pipe girder | |
KR101247322B1 (en) | Shearing force supplement structure of building construction using rebar | |
CN105155406A (en) | Hollow thin-wall pier frame bearing platform and bridge | |
KR101795725B1 (en) | Integral deck for continuous support type slab | |
KR101685290B1 (en) | Wall deck panel for construction | |
KR20150117347A (en) | Jig assembly for supporting blocks of ship | |
KR101170920B1 (en) | Flange for connecting deck plate | |
KR102228002B1 (en) | Wall type piloti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s without load transf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