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867B1 - High Stiffness Mega Girder - Google Patents
High Stiffness Mega Gir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4867B1 KR101834867B1 KR1020160052002A KR20160052002A KR101834867B1 KR 101834867 B1 KR101834867 B1 KR 101834867B1 KR 1020160052002 A KR1020160052002 A KR 1020160052002A KR 20160052002 A KR20160052002 A KR 20160052002A KR 101834867 B1 KR101834867 B1 KR 1018348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cross
- slab
- present
- concre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기둥(10);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거더(100); 이웃하는 상기 제1 거더(1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거더(200); 및 상기 제1 거더(100) 및 상기 제2 거더(200)가 지지하는 슬래브(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거더(100)는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슬래브(300) 사이에 형성된 단면 확장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재비용을 절감하여 공사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llars (10); A plurality of first girders (100) connecting the adjacent columns (10); A plurality of second girders (200) connecting adjacent first girders (100); And a slab (300) supported by the first girder (100) and the second girder (200), wherein the first girder (100) comprises a frame (110); And a cross-sectional enlargement 120 formed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slab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st of the member can be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lowe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하중이나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메거 거더를 시공함에 있어, 부재 및 공사비용의 절감의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동일 강성을 갖는 거더의 시공기간과 같게 또는 더 짧은 시공기간을 달성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높은 하중을 갖는 장비 또는 큰 진동을 유발하는 장비가 설치되는 건물의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사용성 수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높은 강성을 갖는 바닥 구조의 시공이 요구된다.
In the case of a building having a high load or a building having a large vibration, a floor structure having a high rigidity is required in order to satisfy the usability level that the user does not feel inconvenience.
종래에는 발주처의 공기단축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철골조로 설계되어 시공되어 왔으며 이 경우 높은 바닥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복부(depth)가 큰 대형 철골빔이 사용되어 왔다. Conventionally, a steel frame has been designed and constructed to meet the requirement of shortening the air space of a client. In this case, a large steel beam having a large depth has been used to secure a high floor rigidity.
도 1에는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복부가 큰 대형 철골빔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 shows a shape of a large steel beam having a large abdomen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이러한 철골빔을 이용한 철골구조물의 시공은 시공성이 높아 공기 단축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높은 부재비로 인하여 공사비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The construction of the steel structure using the steel beam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shortened due to the high workability, but there is a drawback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high member ratio.
이에 따라, 철골조가 갖는 짧은 공사기간의 장점을 갖으면서도, 부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대체 가능한 메가 거더와 관련된 공법의 개발이 요청된다.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method related to a megger girder which can reduce the cost of the member while having advantages of a short construction period of the steel frame.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거더 공법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재비용을 절감하여 공사비를 낮출 수 있는 고강성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 rigidity hybrid megger girder which can reduce the cost of a member and reduce a construction cost,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짧은 공사기간으로도 시공이 가능한 고강성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rigidity hybrid megger girder which can be installed even in a short construction perio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기둥(10);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거더(100); 이웃하는 상기 제1 거더(1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거더(200); 및 상기 제1 거더(100) 및 상기 제2 거더(200)가 지지하는 슬래브(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거더(100)는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슬래브(300) 사이에 형성된 단면 확장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pillars (10); A plurality of first girders (100) connecting the adjacent columns (10); A plurality of second girders (200) connecting adjacent first girders (100); And a slab (300) supported by the first girder (100) and the second girder (200), wherein the first girder (100) comprises a frame (110); And a
이 경우 상기 슬래브(300) 및 상기 단면 확장부(120)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0)은 금속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단면 확장부(120)를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단면 확장부(12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ㄷ"형 채널(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일 수 있다.
And a "C" type channel (400) extending along the cross sectional enlargement (120) and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al enlargement (120) have.
또한, 상기 제2 거더(200)는, 상기 슬래브(300)와 접촉되는 상부 거더(210); 및 상기 상부 거더(220) 하부에 결합된 하부 거더(22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거더(210)는 상기 "ㄷ"형 채널(40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단면 확장부(120)의 높이(a)와 상기 상부 거더(210)의 높이(b)가 같은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a of the
또한, 상기 상부 거더(210) 및 상기 하부 거더(220)는 금속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상부 거더(210) 및 상기 하부 거더(220)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하부 거더(220)는 상기 프레임(110)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8항의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면 확장부(120)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과 상기 "ㄷ"형 채널(40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ㄷ"형 채널(400)의 상부 프렌지(410)는 상기 슬래브(300)와 상기 단면 확장부(120) 사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hybrid megger gird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mold for forming the
이 경우 상기 "ㄷ"형 채널(400)의 하부 프렌지(420)는 상기 단면 확장부(120)와 상기 하부 거더(220) 사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재비용을 절감하여 공사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member,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공사기간으로도 진동저감 성능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hybrid mega girder having a vibration reduction performance even in a short construction period.
도 1은 종래의 진동저감 성능을 구비한 거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거더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거더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거더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제2 거더의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의 종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irder having a conventional vibration reduction performance;
2 is a plan view of a hybrid megger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ybrid meg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gir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a second gi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ybrid meg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Embodiments of a high rigidity hybrid megger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기둥(10), 복수의 기둥(10) 중 이웃하는 기둥(10)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거더(100), 이웃하는 제1 거더(1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거더(200) 및 제1 거더(100) 및 제2 거더(200)가 지지하는 슬래브(300)를 포함한다(도 2).
The hybrid megg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plurality of
제1 거더(100)는 프레임(110) 및 프레임(110)과 슬래브(300) 사이에 형성된 단면 확장부(120)를 포함한다(도 4). The
이 경우 슬래브(300) 및 단면 확장부(120)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프레임(110)은 금속재로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종래의 진동저감 성능을 구비한 거더의 경우에는 진동저감 효과를 위해 복부가 긴 I형강을 사용하였다. 다만, I형강은 가격이 높아 전체 공사비용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girder with vibration reduction performance, an I-shaped steel having a long abdomen was used for vibration reduction effect. However, the I-beam steel has a high price, which causes a rise in the total construction cost.
이와 비교하여, 본원발명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형성한 단면 확장부(120)를 이용하여 I형강의 긴 복부를 치환하였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진동저감 성능을 구비한 메가 거더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comparison with this, since the long abdomen of the I-shaped steel is replaced by using the
또한, 본원발명의 단면 확장부(120)는 슬래브(30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므로 단면 확장부(120)와 슬래브(300)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동시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Since the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는 단면 확장부(120)를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단면 확장부(12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ㄷ"형 채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The hybrid megger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 C "
"ㄷ"형 채널(400)을 설치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하와 같다.
The effect obtained by installing the "C "
첫째, 단면 확장부(120)와 슬래브(300)를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동시에 형성함에 있어, 단면 확장부(120)의 측부는 "ㄷ"형 채널(400)에 의해 폐쇄되므로 별도의 거푸집의 설치 없이 단면 확장부(120)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First, in forming the
둘째, 후술되는 제2 거더(200)의 상부 거더(210)를 단면 확장부(120)에 결합함에 있어 금속재로 형성된 "ㄷ"형 채널(400)을 제2 거더(200)와의 접촉지점에 먼저 형성함으로써 용접이나 볼트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의 결합을 가능토록 한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Second, when connecting the
셋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Thir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tructur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거더(200)는 슬래브(300)와 접촉되는 상부 거더(210) 및 상부 거더(220) 하부에 결합된 하부 거더(220)를 포함한다(도 5).
The
상부 거더(210) 및 하부 거더(22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이 경우 단면 확장부(120)의 높이(a)와 상부 거더(210)의 높이(b)가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height a of the end
이에 따라 상부 거더(210)는 "ㄷ"형 채널(400)과 결합되는데,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거더(210)와 "ㄷ"형 채널(400)은 모두 금속재로 형성되므로 결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이 경우 "ㄷ"형 채널(400)의 상부 프렌지(410)는 슬래브(300)와 단면 확장부(120) 사이에 매설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ㄷ"형 채널(400)의 하부 프렌지(420)는 단면 확장부(120)와 하부 거더(220) 사이에 매설된다. In this case, the
하부 거더(220)는 프레임(110)과 결합된다(도 3).
Th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거더(210) 및 하부 거더(220)는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도 7, 도 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경우 상부 거더(210)와 슬래브(300)의 결합을 위한 전단키가 구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슬래브(300)에 가로 방향으로 매설된 주근(310)과 상부 거더(210)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슬래브(300)에 매설되는 상부근(230)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전단키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도 7).
In this case, a shear key for joining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는 이웃하는 기둥(10)을 연결하는 제3 거더(5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도 6). The hybrid meg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이 경우 복수의 기둥(10)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일방향은 제1 거더(100)에 의해 연결되고, 타방향은 제3 거더(500)를 이용하여 연결된 형태를 취한다.
In this case, one direction is connected by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hybrid meg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메거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은 단면 확장부(120)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과 "ㄷ"형 채널(40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constructing a hybrid megger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stalling a form and a "C"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복수의 기둥
100 : 제1 거더
200 : 제2 거더
300 : 슬래브
400 : "ㄷ"형 채널
500 : 제3 거더10: Multiple pillars
100: 1st girder
200: 2nd girder
300: Slab
400: "c" type channel
500: Third girder
Claims (10)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거더(100);
이웃하는 상기 제1 거더(1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거더(200); 및
상기 제1 거더(100) 및 상기 제2 거더(200)가 지지하는 슬래브(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거더(100)는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슬래브(300) 사이에 형성된 단면 확장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300) 및 상기 단면 확장부(120)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0)은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단면 확장부(120)를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단면 확장부(12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ㄷ"형 채널(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ㄷ"형 채널(400)의 상부 프렌지(410)는 상기 슬래브(300)와 상기 단면 확장부(120) 사이에 매설되며,
상기 "ㄷ"형 채널(400)의 하부 프렌지(420)는 상기 단면 확장부(120)와 하부 거더(220) 사이에 매설되고,
상기 제2 거더(200)는,
상기 슬래브(300)와 접촉되는 상부 거더(210); 및
상기 상부 거더(210) 하부에 결합된 하부 거더(22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거더(210)는 상기 "ㄷ"형 채널(400)과 결합되며,
상기 단면 확장부(120)의 높이(a)와 상기 상부 거더(210)의 높이(b)가 같은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A plurality of pillars (10);
A plurality of first girders (100) connecting the adjacent columns (10);
A plurality of second girders (200)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first girders (100); And
And a slab 300 supported by the first girder 100 and the second girder 200,
The first girder (100)
A frame 110; And
And a cross-sectional enlargement part (120) formed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slab (300)
The slab 300 and the cross-sectional enlarged portion 120 are formed of concrete, the frame 1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Extends along the cross-sectional extending portion 120,
And a "C" type channel (400) install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ross sectional enlargement part (120)
The upper flange 410 of the "c" -type channel 400 is embedded between the slab 300 and the section enlargement 120,
The lower flange 420 of the "D" shaped channel 400 is embedded between the cross-sectional enlargement 120 and the lower girder 220,
The second girder (200)
An upper girder 210 contacting the slab 300; And
And a lower girder 2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girder 210,
The upper girder 210 is coupled with the " D "shaped channel 400,
Wherein a height (a) of the cross-sectional enlargement portion (120) is equal to a height (b) of the upper girder (210).
상기 상부 거더(210) 및 상기 하부 거더(220)는 금속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girder (210) and the lower girder (220)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상기 상부 거더(210) 및 상기 하부 거더(220)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girder (210) and the lower girder (220) are formed of concrete.
상기 하부 거더(220)는 상기 프레임(110)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lower girder (220) is coupled to the frame (110).
상기 단면 확장부(120)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과 상기 "ㄷ"형 채널(40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hybrid mega girder according to claim 1,
And installing the concrete and the concrete to form the cross-sectional enlargement part (120) and pouring the concret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2002A KR101834867B1 (en) | 2016-04-28 | 2016-04-28 | High Stiffness Mega Girder |
PCT/KR2016/007614 WO2017188510A1 (en) | 2016-04-28 | 2016-07-13 | High rigidity hybrid mega gird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CN201680084914.8A CN109072573B (en) | 2016-04-28 | 2016-07-13 | High-rigidity hybrid giant bea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2002A KR101834867B1 (en) | 2016-04-28 | 2016-04-28 | High Stiffness Mega Gir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2971A KR20170122971A (en) | 2017-11-07 |
KR101834867B1 true KR101834867B1 (en) | 2018-04-19 |
Family
ID=6016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2002A Active KR101834867B1 (en) | 2016-04-28 | 2016-04-28 | High Stiffness Mega Gird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4867B1 (en) |
CN (1) | CN109072573B (en) |
WO (1) | WO201718851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30205A (en) * | 2019-04-22 | 2019-08-16 | 上海大学 | Prefabricated steel-concrete composite cover bea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247Y1 (en) * | 2004-05-27 | 2004-08-05 | 박무용 | Downwar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bracket support type |
KR101577327B1 (en) * | 2014-07-03 | 2015-12-15 | 삼성물산(주) | Hybrid composite girde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06879B2 (en) * | 2004-10-18 | 2010-02-03 |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 Bridge girder construction method |
KR100948358B1 (en) * | 2009-07-16 | 2010-03-22 | 노윤근 | Construction technique of steel box girder bridge and this |
KR100999021B1 (en) * | 2010-03-17 | 2010-12-09 | 김선기 | Side section composite plate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227715B1 (en) * | 2010-10-28 | 2013-01-29 | 한봉길 | Structure for SRC structured high rise building |
CN102535672B (en) * | 2012-02-15 | 2014-05-28 | 姚攀峰 | Novel hybrid huge anti-seismic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615853B1 (en) * | 2015-06-02 | 2016-04-26 | 신영관 | The compositeness girder |
-
2016
- 2016-04-28 KR KR1020160052002A patent/KR101834867B1/en active Active
- 2016-07-13 WO PCT/KR2016/007614 patent/WO201718851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7-13 CN CN201680084914.8A patent/CN109072573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247Y1 (en) * | 2004-05-27 | 2004-08-05 | 박무용 | Downwar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bracket support type |
KR101577327B1 (en) * | 2014-07-03 | 2015-12-15 | 삼성물산(주) | Hybrid composite gir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188510A1 (en) | 2017-11-02 |
CN109072573B (en) | 2020-06-30 |
KR20170122971A (en) | 2017-11-07 |
CN109072573A (en) | 2018-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3265B1 (en) |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Steel Pipe Girder Bridge | |
JP5951375B2 (en) | Steel tower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1834867B1 (en) | High Stiffness Mega Girder | |
KR101750177B1 (en) | Punching shear stiffening member of cutting bridge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ooting using of the same | |
KR20100069847A (en) |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3132640B (en) | Detachable steel-concrete composite floor | |
JP2002266317A (en) | Continuous girder for bridge | |
JP5869717B1 (en) |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 |
JP5574779B2 (en) | building | |
KR101562603B1 (en) | Precast pedestrian crossov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JP2012219555A (en) | Method for reinforcing manhole | |
KR102320411B1 (en) |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lat plate slab-column connection using shear reinforcement band | |
KR20190124561A (en)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wide beam and floor structure | |
JP6816941B2 (en) | Foundation structure of seismic isolated building | |
KR101457796B1 (en) | Hybrid Structures Using Steel Framework and Precast Concrete Slab | |
KR102183688B1 (en) | Seismic reinforcing core of building using steel plate | |
KR101693748B1 (en) | Rha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7228337B2 (en) | beam floor structure | |
JP5738111B2 (en) | Bridge girder | |
KR101165443B1 (en) | Floor construction for lowering story-height | |
KR20110006225U (en) | Cross-section loss prevention strength structure | |
KR101288957B1 (en) | Slab unit and stress distribution matching type slab using the same | |
JP4378241B2 (en) | Vertical loading test method for existing piles | |
JP5248784B2 (en) | Column and beam joint structure | |
KR101571407B1 (en) | Building floo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fl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