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553B1 -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산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산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553B1
KR101288553B1 KR1020120085738A KR20120085738A KR101288553B1 KR 101288553 B1 KR101288553 B1 KR 101288553B1 KR 1020120085738 A KR1020120085738 A KR 1020120085738A KR 20120085738 A KR20120085738 A KR 20120085738A KR 101288553 B1 KR101288553 B1 KR 101288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technical
information
ground
input
surv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502A (ko
Inventor
장용구
이준우
전흥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7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으로 조사된 지반조사성과의 DB 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 현장에서 지반의 성질을 알기 위한 지반조사 수행 후, 생성된 지반조사성과가 현장 실무자의 비효율적 입력 작업을 통해 전산화되고 있는 것을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을 통하여 입력효율성 증대 및 현장자료의 자동 DB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반조사 DB입력 과정이 축소되어 입력자의 편의성 증대되고, 지반조사성과 내용의 입력과정이 간소화되어 DB 구축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현재 표준서식에 맞추어 생성되지 못하는 지반조사성과들이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활용을 통하여 지반조사 표준서식의 사용이 보편화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산화시스템{DEVELOPMENT OF GEOTECHNICAL INFORMATION COMPUTERIZATION METHOD BASED ON GEOTECHNICAL SURVEY STANDARD FORMAT TO CREATE BORING SURVEY DB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으로 조사된 지반조사성과의 DB 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정보 전산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반조사성과 전산화는 국토해양부의 “국토지반정보 DB구축사업”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07년 3월 「지반조사성과 전산화 및 활용에 관한 지침」이 제정시행된 후 지반정보 유통체계가 구축운영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지반정도 입력시스템의 난해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에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는 지반조사 현장에서 사용하는 지반조사 표준서식과 동일한 형태의 입력시스템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입력프로그램을 개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건설현장에서는 국토해양부에서 제공되고 있는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을 활용하여 지반조사성과 전산화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이 유일하게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반조사성과 전산화시스템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기존의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은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으로 작성되지 않아 문서자료를 DB화하기 위해서 입력자가 지반조사성과에 대한 단순 입력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은 지반조사를 통한 속성정보의 입력 외에도 자료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생성을 위한 입력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기존의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은 단계별 입력과정을 완료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의 입력과정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더구나, 기존의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은 지반조사 입력항목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 매뉴얼을 보지 않고 입력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기존의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은 각 입력항목을 개별적으로 입력해야 하며 보고서 문서자료의 Copy&Paste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시트별 입력시 필수항목과 선택항목이 존재하여도 사용자가 모든 시트의 정보를 마음대로 옮겨가면서 입력이 가능하고, 메타데이터 생성 및 지반정보 입력DB로의 변환이 원클릭(One Click)으로 가능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설현장에서 지반조사성과를 지반조사 표준서식으로 작성하였을 경우 전산화작업을 거치지 않고 바로 지반정보 입력DB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지반정보 입력시스템의 한계성인 입력 효율성, 입력시간 절감 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은 지반조사성과를 지반조사 표준서식으로 작성하여 자동으로 지반정보 입력데이터 베이스로 변환하기 위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있어서, 지반조사 대상에 대한 지반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지반정보 입력단계; 상기 지반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지반정보를 검수하기 위한 오류 검사 단계; 상기 오류 검사 단계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지반정보를 메타데이터로 변환하는 메타데이터 변환단계;및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단계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입력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은 오류 검사 단계에 의해 데이터 입력 오류가 발생할 때, 입력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재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반정보 입력단계는 지반조사 표준서식 파일에 의해 작성된 지반정보를 자동으로 입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반정보 입력단계는 표준서식 파일에 입력된 일부 데이터를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반정보 입력단계는 프로젝트정보, 지형지질정보, 시추공정보, 또는 입력결과보고서를 포함하는 지반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타데이터 변환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터 내에 식별정보마스터 및 공간정보연락처의 내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입력완성자료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시스템은 상기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의하면, 지반조사성과와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입력과정의 간소화를 통하여 지반조사 DB입력 과정이 축소되어 입력자의 편의성 증대되고, 생성된 지반조사성과 문서자료가 DB화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입력자의 입력오기를 방지하여 원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산화되어 유통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존 지반정보 입력방법의 입력과정의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건설현장에서 지반조사성과가 생성되고도 DB화 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지반조사성과 내용의 입력과정이 간소화되어 DB 구축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현재 표준서식에 맞추어 생성되지 못하는 지반조사성과들이 본 발명으로 개발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활용을 통하여 지반조사 표준서식의 사용이 보편화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국토해양부가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는 기존의 지반조사 표준서식 및 지반조사 표준서식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종래의 입력프로그램 화면.
도 2는 지반조사 표준서식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나타낸 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입력데이터를 검수하는 과정을 보인 관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대한 처리 순서를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초기 프로그램 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지형지질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시추공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입력 결과 보고서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지반조사성과를 지반조사 표준서식으로 작성하면, 전산화 작업을 거치지 않고 바로 지반정보 입력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정보를 본 발명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의해 처리하면 별도의 전산화 작업을 거치지 않고 바로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된다.
본 발명의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화면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부분은 데이터 베이스와 관련된 메뉴(10)로 구성된다. 그리고, 화면의 좌측 부분은 현재 작업 중인 데이터베이스명과 관련된 속성정보(20)가 표시된다. 화면의 우측 부분은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지도(30)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은 지반정보 입력 단계; 오류 검사 단계; 메타 데이터 생성 단계;및 입력데이터 저장단계에 의해 지반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반정보 입력단계는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된 지반정보 항목을 각각 입력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지반정보 입력단계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는 프로젝트정보, 지형지질정보, 시추공정보, 및 입력결과보고서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트정보는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로서, 프로젝트 코드(사업코드), 프로젝트명(사업명), 프로젝트 분야별 코드, 공사상황, 발주처, 시공업체, 설계업체, 감리업체, 지반조사업체, 공사 시작일, 공사 종료일, 시작위치 행정구역, 종점위치 행정구역, 구간, 구간면적, 시추공 수(절토부(CB), 성토부(SB), 교량(BB), 터널(TB), 기타(BH), 테스트 피트, 핸드오거보링, 합계), 보고서 문서 출처, 비고, 프로젝트 목적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형지질정보는 해당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사이트의 지형 및 지질의 특성에 대한 정보로서, 프로젝트 코드, 프로젝트 지형, 프로젝트 지질, 지질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추공정보는 조사지역에서 수행되어진 시추조사 결과를 입력하는 항목으로서 시추주상도를 보고 입력하는 것으로서, 시추공일반정보, 시험항목정보, 지층정보, 시료채취정보, 기본현장시험정보, 기본물성시험정보, 토사시험정보, 암석시험정보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결과 보고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류 검사시 필요한 개략적인 내용을 기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반정보를 입력할 때, 국토지반정보 통합 DB센터에서 제공하는 지반조사 표준서식 파일로 조사된 파일의 지반정보를 재입력없이 자동으로 입력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은 지반조사 표준서식 파일에 입력된 데이터 정보를 그대로 읽어들여 입력데이터로 인식하기 때문에, 지반조사 표준서식 파일에 입력된 정보를 본 발명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시스템에서 다시 입력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은 표준서식 파일에 입력된 일부 데이터를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의해 지반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지반정보의 필수 항목 등이 누락되거나 입력 형식에 맞는지 등을 검사하는 오류 검사 단계가 실시된다. 상기 오류 검사 단계에 의해, 누락된 지반정보를 검사하고, 입력된 지반정보의 입력형식이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지반정보 입력방법에서는 필수항목을 미입력할 경우 타 시트로의 이동 및 입력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은 오류 검사에 의해 오류가 발생하였을때, 오류데이터에 대한 재입력 모드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료 검수가 가능하다.
지반정보에 대한 오류 검사가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지반정보를 메타데이터로 변환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단계가 실시된다. 메타데이터는 대량의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부여되는 데이터로서 입력된 지반정보를 일률적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차후 데이터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단계는 종래에서 메타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와 압축하는 단계를 별도로 실시하던 것을 일원화하여 한번의 클릭으로 변환 및 압축을 동시에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단계에 의해 메타데이터 내에 식별정보마스터 및 공간정보연락처의 내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입력완성자료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입력된 지반정보를 메타데이터로 변환시킴으로써 일괄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검색 및 출력할 수 있으며, 기타 데이터와의 호환에 의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뉴 20 : 속성정보
30 : 지도

Claims (7)

  1. 지반조사성과를 지반조사 표준서식으로 작성하여 자동으로 지반정보 입력데이터 베이스로 변환하기 위한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있어서,
    지반조사 대상에 대한 지반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지반정보 입력단계;
    상기 지반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지반정보를 검수하기 위한 오류 검사 단계;
    상기 오류 검사 단계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지반정보를 메타데이터로 변환하는 메타데이터 변환단계;및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단계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입력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사 단계에 의해 데이터 입력 오류가 발생할 때, 입력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재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정보 입력단계는
    지반조사 표준서식 파일에 의해 작성된 지반정보를 자동으로 입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정보 입력단계는
    표준서식 파일에 입력된 일부 데이터를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정보 입력단계는
    프로젝트정보, 지형지질정보, 시추공정보, 또는 입력결과보고서를 포함하는 지반정보를 입력하는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터 내에 식별정보마스터 및 공간정보연락처의 내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입력완성자료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내지 어느 한 항에 의한 지반정보 전산화방법에 의해 구동되는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시스템.
KR1020120085738A 2011-12-19 2012-08-06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산화시스템 KR101288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7709 2011-12-19
KR1020110137709 2011-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502A KR20130070502A (ko) 2013-06-27
KR101288553B1 true KR101288553B1 (ko) 2013-07-22

Family

ID=4886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738A KR101288553B1 (ko) 2011-12-19 2012-08-06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산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8688B (zh) * 2019-09-28 2023-04-18 滁州学院 一种测绘竣工图批量转换为勘测定界图的方法
KR102306210B1 (ko) * 2021-01-19 2021-09-29 주식회사 무브먼츠 Pbd 데이터 시각화 및 시공 관리 방법
KR102397428B1 (ko) * 2021-11-26 2022-05-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시추주상도 정보 자동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N115062029B (zh) * 2022-08-12 2022-11-04 北京安捷瑞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油气藏勘探开发特性数据成果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426A (ko) * 2000-06-24 2002-01-12 이종석 인터넷상의 지질주상도 공유방법
KR20020019667A (ko) * 2000-09-06 2002-03-13 남궁석 프로그램 산출물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426A (ko) * 2000-06-24 2002-01-12 이종석 인터넷상의 지질주상도 공유방법
KR20020019667A (ko) * 2000-09-06 2002-03-13 남궁석 프로그램 산출물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502A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der Meulen et al. 3D geology in a 2D country: perspectives for geological surveying in the Netherlands
Hadjigeorgiou Where do the data come from?
KR101288553B1 (ko) 지반조사성과의 db생성 자동화가 가능한 지반조사 표준서식 기반의 지반정보 전산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산화시스템
Petrovic et al. Dealing with archaeology's data avalanche
Reed et al. Digital data collection in paleoanthropology
Zhang et al. The work flow and operational model for geotechnical investigation based on BIM
CN113190910B (zh) 基于bim三维地质隧道模型切片分析系统及方法
Mitelman et al. Implementing BIM for conventional tunnels-a proposed methodology and case study.
Antoljak Geotechnical BIM in 2020
KR101282215B1 (ko) 건설 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056284A (zh) 水运工程钻孔成果的管理系统
Keller et al. A community effort to construct a gravity database for the United States and an associated Web portal
Carrell Tools and techniques for 3D geologic mapping in Arc Scene: Boreholes, cross sections, and block diagrams
CN114325828A (zh) 一种砂岩型铀矿数字地质图编制方法
Brown et al. High-resolution (centimetre-scale) GPS/GIS-based 3D mapping and spatial analysis of in situ fossils in two horned-dinosaur bonebeds in the Dinosaur Park Formation (Upper Cretaceous) at Dinosaur Provincial Park, Alberta, Canada
Deaton What are the benefits of geotechnical data interchange
Williams Geoprocessing techniques for the visualization of subsurface geologic data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arter On increasing reliance on numerical modelling and synthetic data in rock engineering
Krupansky et al. The value of data—The Qatar Geologic Mapping Project
Tayeb et al. Genuine Software Utility to Accelerate Dynamic Models Update
Campbell et al. A structural geology matrix for geotechnical design in hard rock
CN112860836B (zh) 一种不动产权籍调查表自动化生产方法
Dasenbrock Geotechnical data sharing and electronic data exchange at Minnesota DOT
Jones Using Open-Source Python Scripting to Update Fire Perimeter Datasets for the USGS
Svensson et al. Efficient communication of geologically related data and 3D models in tunneling pro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