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549B1 -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549B1
KR101288549B1 KR1020110116649A KR20110116649A KR101288549B1 KR 101288549 B1 KR101288549 B1 KR 101288549B1 KR 1020110116649 A KR1020110116649 A KR 1020110116649A KR 20110116649 A KR20110116649 A KR 20110116649A KR 101288549 B1 KR101288549 B1 KR 10128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light receiving
security medium
light
rece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355A (ko
Inventor
이성현
최일훈
신우진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1011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5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매체 판독장치는 시간에 따라 발광 속성이 서로 상이한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보안요소에 UV 광을 조사하고 이에 대해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 변화를 통해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

Description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 {security module reading apparatus using phosphorescence and fluorescence, and method for reading security module}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보안매체 및 보안매체 판독 기술에 관한 것이다.
높은 정밀도의 스캐너, 프린터 및 컴퓨터 등의 장치가 보급됨에 따라, 지폐, 수표 등의 유가증권이 위조되어 악용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 위조권들을 확실하게 식별하는 방법이나 장치의 제공이 요구된다. 최근 복사에 의한 위조인 경우, 쉽게 가짜를 식별해 낼 수 있는 식별방법이나 식별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위조 방지를 목적으로 한 여러 가지 초지(抄紙, 종이뜨기) 방법이나 인쇄기술이 제공되어, 위조하기 어려운 지폐 등이 제공되고 있다.
선행기술 일본특허공개 평06-171071호 공보에는, 동일 파장의 수광소자를 각도를 바꾸어 복수 개 배치하고, 지폐에 조사한 광을 복수 개의 수광소자로 수광하여 각각을 비교함으로써 지폐의 굴곡을 판별하는, 오목판 인쇄물과 그 밖의 인쇄물의 식별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09-062894호 공보에는,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바뀌는 컬러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에 대하여 적색과 녹색의 1세트의 광을 컬러 잉크에 조사하고, 수광 각도가 서로 다른 2개의 수광 센서로 측정하여, 색과 반사각도의 차이로부터 컬러 잉크를 판별하는 인쇄물 판독방법과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06-203244호 공보에는, 단일 발광소자의 광에 대하여 반사와 투과의 양쪽 광을 수광하여 워터마크를 판별하는 지폐 등의 진위식별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 양상에 따라, 보안매체를 식별하거나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일 양상에 따라, 반송로 상에서 이동하는 보안매체를 자동 감지하여 보안매체를 판독하는 보안매체 판독장치는, 보안매체에 UV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의 UV 광 조사에 따라 보안매체의 인광물질이 함유된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하는 제1 수광부와, 제1 수광부와 이격 배치되어 제1 수광부를 통한 컬러 감지 이후 인광물질이 함유된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하는 제2 수광부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1 수광부와 제2 수광부를 통해 감지된 컬러 변화로부터 보안매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판독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라, 반송로 상에서 이동하는 보안매체를 자동 감지하여 보안매체를 판독하는 방법은, 보안매체에 UV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보안매체의 인광물질이 함유된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1차 감지하는 단계와, 1차 감지 이후 상기 보안요소의 인광물질이 함유된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2차 감지하는 단계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1차 감지된 컬러와 감지된 컬러의 변화를 이용하여 보안매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수광센서를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보안매체의 보안요소에 포함된 인광물질을 감지하는 방식을 통해 보안매체를 정확하게 식별하거나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나아가, 보안매체의 위변조를 어렵게 하여 보안매체가 위조되어 악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에 따라 발광 속성이 서로 상이한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의 조합이 함유된 보안요소를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식을 통해 보안매체를 정확하게 식별하거나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나아가, 보안매체의 위변조를 어렵게 하여 보안매체가 위조되어 악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매체 판독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매체 판독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매체 판독장치의 보안매체 판독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매체 판독장치의 보안매체 판독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매체 판독장치(10a)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안매체 판독장치(10a)는 광원(12), 제1 수광부(14), 제2 수광부(16) 및 판독부(18a)를 포함한다.
보안매체(2)는 은행권, 카드, 유가증권, 상품권, 여권용지, 신분증, 복사용지, 미술용지 등의 인쇄매체 등 보안요소가 적용될 수 있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나아가, 보안매체(2)는 장식용품, 의류, 위험 표시제, 완구, 패션제품, 스티커, 플라스틱 제품 및 보안성이 요구되는 특수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매체(2)는 제품의 위조 및 변조 방지를 위해 인광물질(20)이 함유된 보안요소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물질이 흡수한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현상을 발광(luminescence)이라 하며, 이는 크게 인광(phosphorescence)과 형광(fluorescence)으로 분류된다. 인광과 형광은 일반적으로 외부자극에 의해 발광하는 시간의 차이로 구분하는데, 형광은 발광에 있어서 여기(emission)를 정지한 후의 발광시간이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10-4 (sec) 이하인 경우이고, 인광은 그 이상의 발광시간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인광과 형광은 흡수한 광에 의해 여기됨으로써 보다 긴 장파장 쪽으로 발광하는 물질이며, 무기 형광과 주광(day light) 형광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무기 형광은 빛에 의해 자극을 받은 후에도 여기 상태가 잔존하는 인광의 성질을 가지며 이 특성을 갖는 안료는 야광도료에 이용되고, 인광안료는 방사성 원소의 반감에 의한 자발광 특성을 갖는 자발 광 안료와 여기 에너지를 서서히 방출시키는 축광 안료로 구분하는데, 본 발명에서의 인광은 자발 광과 축광 안료의 개념을 포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광물질(20)은 형광물질과 발광파장이 다른 금속 화합물 또는 금속 산화물 형태이다. 외관색은 형광물질과 마찬가지로 독특한 발광색상을 위해 비가시인 무색 또는 옅은 색, 흰색을 띠는 것이 효과적이며, 외부자극이 제거된 후에도 어두운 곳에서 잔광이 지속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광물질(20)은 황화물계일 수 있는데, 인광체 및 발광특성을 살펴보면, CaS:Bi는 자청 발광을, CaSrS:Bi는 청색 발광을, ZnS:Cu는 녹색 발광을, ZnSCdS:Cu는 황색 발광 등을 나타낸다. 또는 인광물질(20)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광성이 우수하며 잔광 시간이 길고 발광 휘도가 강한 MAl2O4 계(여기서, M은 Ca, Sr, Ba 및 Mg), YAlO3:Ce3 + (녹색발광) 등의 물질일 수 있다.
광원(12)은 보안매체(2)의 윗면(표면) 또는 아랫면(이면)에 위치하는 보안요소에 UV 광을 조사한다. 이때, 광원(12)의 발광량은 조절될 수 있다.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는 광원(12)의 조사광에 의해 보안매체(2)의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한다.
제1 수광부(14)는 보안매체(2)의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2 수광부(16)는 제1 수광부(14)와 이격 배치되어, 제1 수광부(14)를 통한 컬러 감지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12)의 발광소자나 제1 수광부(14) 및 제2 수광부(16)의 수광소자에는 조사 각도를 편광하는 프리즘이나 렌즈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에 포함되는 각 수광소자는 각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각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각 수광소자에 대응한 각각의 앰프에서 증폭되며, 각 앰프에 대응한 각각의 A/D 컨버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판독부(18a)의 보안매체(2) 위변조 여부 판별에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삽입방향(이표면)으로 보안매체 판독장치(10a)의 보안매체 삽입구에 보안매체(2)가 삽입되면, 삽입 검출센서가 보안매체(2)가 삽입된 것을 감지한다. 그리고, 보안매체 반송(搬送)기구의 반송모터가 가동되어 보안매체(2)를 반송하며,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 등의 각 센서가 가동한다. 이때, 제2 수광부(16)는 보안매체(2)의 반송속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보안요소의 인광물질(20)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한다.
판독부(18a)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를 통해 감지된 컬러 변화를 감지하여 보안매체(2)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부(18a)는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20)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예: 녹색)을 모두 감지하면 보안매체(2)를 진품으로 판별한다. 이에 비해,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20)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보안매체(2)를 위변조된 것으로 판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부(18a)는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을 모두 감지하면, 보안매체(2)에 인광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비해, 판독부(18a)는 제1 수광부(14)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예: 녹색)을 감지하였으나, 제2 수광부(16)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예: 녹색)을 감지하지 못하면, 보안매체(2)에 형광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판독부(18a)는 보안매체(2)를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매체 판독장치(10b)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안매체 판독장치(10b)는 광원(12), 수광부(13), 판독부(18b) 및 메모리(19)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매체(2)는 제품의 위조 및 변조 방지를 위해 인광물질(20)과 형광물질(22)의 조합이 함유된 보안요소를 포함한다. 즉, 형광물질(22)과 인광물질(20)을 조합하여 만든 형광 인광 적외선 잉크나 수지 또는 조성물이 보안요소에 함유된다.
인광물질(20)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형광물질(22)은 그 종류가 상당히 다양한데, 주로 유기계 형광염료나 안료가 사용되고, 이의 안료색소형은 루모겐 컬러(Lumogen Color)가 통상적으로 이용되며, 합성수지 고용체형은 디 및 트리페닐메탄계, 키산텐계, 티아졸계, 티아진계 등의 염료를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슬폰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분산시킨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형광안료는 형광염료를 특정수지에 분산시켜 미세 입자화한 것이 대부분인데, 이는 형광염료가 효율 좋은 형광을 발하기 위해서 개개의 분자가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희박한 상태로 분산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이를 위하여 수지 중에 혼합하여 불용화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형광강도가 증가하고 내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형광안료는 대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인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에 분산시키거나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에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다. 또는, 내화학성과 내광성이 우수하고 형광휘도가 강한 Sr(PO2)Cl:Eu (청색 발광), Zn 2GeO2:Mn (녹색 발광), Y2O2S:Eu (적색 발광)계 금속화합물일 수 있다.
광원(12)은 보안매체(2)의 윗면(표면) 또는 아랫면(이면)에 위치하는 보안요소에 UV 광을 조사한다. 이때, 광원(12)의 발광량은 조절될 수 있다. 수광부(13)는 광원(12)의 조사광에 의해 보안매체(2)의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12)의 발광소자나 수광부(13)의 수광소자에는 조사 각도를 편광하는 프리즘이나 렌즈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광부(13)에 포함되는 각 수광소자는 수광한 광의 각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각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각 수광소자에 대응한 각각의 앰프에서 증폭되며, 각 앰프에 대응한 각각의 A/D 컨버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판독부(18b)의 보안매체(2) 위변조 여부 판별에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삽입방향(이표면)으로 보안매체 판독장치(10b)의 보안매체 삽입구에 보안매체(2)가 삽입되면, 삽입 검출센서가 보안매체(2)가 삽입된 것을 감지한다. 그리고, 보안매체 반송(搬送)기구의 반송모터가 가동되어 보안매체(2)를 반송하며, 수광부(13)의 각 센서가 가동한다. 이때, 수광부(13)는 보안매체(2)의 반송속도에 따라 보안요소의 인광물질(20) 및 형광물질(22)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한다.
판독부(18b)는 수광부(13)가 T1(T1<t1) 시간에 형광물질(22)이 발광하는 컬러와 인광물질(20)이 발광하는 컬러의 조합색을 감지하는 제1 조건과, T2(t1<T2<t2) 시간에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컬러만을 감지하는 제2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보안매체(2)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형광물질이 발광하는 컬러와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컬러의 조합색을 검지하는 제1조건에 해당하는 T1(T1<t1) 시간에서 t1은 예를 들어 발광 후 10-4(sec)이하일 수 있고,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컬러만을 검지하는 제2조건에 해당하는 T2(t1<T2<t2) 시간에서 t2는 예를 들어 발광 후 10-4(sec) 이상일 수 있다. 메모리(19)는 미리 설정된 제1 조건 및 제2 조건에 따른 형광물질(22)과 인광물질(20)의 발광하는 컬러 색 정보를 저장해 두고, 이를 판독부(18b)의 보안매체(2) 판별에 비교 대조를 위해 사용한다.
판독부(18b)의 보안매체(2) 판별 예를 들면, 보안매체(2)의 보안요소에 함유된 형광물질(22)이 제1색(예:적색)을 발광하는 물질이고, 인광물질(20)이 제2색(예:황색)을 발광하는 물질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판독부(18b)는 제1 조건인 T1(T1<t1) 시간에 제1색(예:적색)과 제2색(예:황색)의 조합색을 수광부(13)를 통해 감지했는지 확인한다. 또한, 판독부(18b)는 제2 조건인 T2(t1<T2<t2) 시간에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제2색(예:황색)을 수광부(13)를 통해 감지했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한 경우에, 판독부(18b)는 최종적으로 보안매체(2)가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다. 그 외의 경우는 위변조된 것으로 판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매체 판독장치(10a)의 보안매체 판독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안매체 판독장치(10a)의 광원(12)은 보안매체(2)의 인광물질(20)이 함유된 보안요소에 UV 광을 조사한다(300). 이어서, 제1 수광부(14)를 통해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1차 감지한다(310). 그리고, 제2 수광부(16)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2차 감지한다(320). 이때, 미리 설정된 시간은 보안매체(2)의 반송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보안매체 판독장치(10a)는 1차 감지된 컬러와 2차 감지된 컬러를 이용하여 판독부(18a)를 통해 보안매체(2)의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3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부(18a)는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20)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을 모두 감지하면 보안매체(2)를 진품으로 판단한다. 이에 비해,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20)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보안매체(2)를 위조된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부(18a)는 제1 수광부(14)와 제2 수광부(16)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을 모두 감지하면, 보안매체(2)에 인광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비해, 판독부(18a)는 제1 수광부(14)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을 감지하였으나, 제2 수광부(16)를 통해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색을 감지하지 못하면, 보안매체(2)에 형광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매체 판독장치(10b)의 보안매체 판독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안매체 판독장치(10b)의 광원(12)은 보안요소에 UV 광을 조사한다(400). 그리고, 수광부(13)는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한다(410). 이어서, 보안매체 판독장치(10b)는 판독부(18b)를 통해, 수광부(13)가 T1(T1<t1) 시간에 형광물질(22)이 발광하는 컬러와 인광물질(20)이 발광하는 컬러의 조합색을 감지하는 제1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420). 그리고, T2(t1<T2<t2) 시간에 인광물질(20)이 발광하는 컬러만을 감지하는 제2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430). 판독부(18b)는 제1 조건과 제2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보안매체(2)를 진품으로 판별(440)하고, 그 외의 경우는 위변조된 것으로 판별한다(45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보안매체 10a,10b : 보안매체 판독장치
12 : 광원 13 : 수광부
14 : 제1 수광부 16 : 제2 수광부
18a,18b : 판독부 19 : 메모리
20 : 인광물질 22 : 형광물질

Claims (7)

  1. 반송로 상에서 이동하는 보안매체를 자동 감지하여 보안매체를 판독하는 보안매체 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안매체에 UV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UV 광 조사에 따라 상기 보안매체의 인광물질이 함유된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하는 제1 수광부;
    상기 제1 수광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수광부를 통한 컬러 감지 이후 상기 인광물질이 함유된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하는 제2 수광부;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제1 수광부와 상기 제2 수광부를 통해 감지된 컬러 변화로부터 상기 보안매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판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매체 판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제1 수광부와 상기 제2 수광부를 통해 상기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컬러를 모두 감지하면 상기 보안매체를 진품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매체 판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제1 수광부와 상기 제2 수광부를 통해 상기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컬러를 모두 감지하면, 상기 보안매체에 인광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수광부를 통해 상기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컬러를 감지하였으나, 상기 제2 수광부를 통해 상기 보안요소 내 인광물질이 발광하는 소정의 컬러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보안매체에 형광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매체 판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매체는 상기 보안매체 판독장치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보안매체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며,
    상기 제2 수광부는 상기 제1 수광부를 통해 상기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한 이후 상기 보안매체의 반송속도에 따라 상기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매체 판독장치.
  5. 반송로 상에서 이동하는 보안매체를 자동 감지하여 보안매체를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안매체에 UV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보안매체의 인광물질이 함유된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1차 감지하는 단계;
    상기 1차 감지 이후 상기 보안요소의 인광물질이 함유된 보안요소로부터 발광하는 컬러를 2차 감지하는 단계;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1차 감지된 컬러와 2차 감지된 컬러의 변화를 이용하여 보안매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매체 판독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10116649A 2011-11-09 2011-11-09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 KR10128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49A KR101288549B1 (ko) 2011-11-09 2011-11-09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49A KR101288549B1 (ko) 2011-11-09 2011-11-09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55A KR20130051355A (ko) 2013-05-20
KR101288549B1 true KR101288549B1 (ko) 2013-07-22

Family

ID=4866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649A KR101288549B1 (ko) 2011-11-09 2011-11-09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5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19A (ko) * 2000-12-29 2002-07-12 민태영 여러가지 색상의 파장을 나타내는 특수 기능성 잉크 및이의 사용방법
KR20020093925A (ko) * 2001-03-01 2002-12-16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개량된 발광 특성 검출기
JP2010072933A (ja) 2008-09-18 2010-04-02 Toshiba Corp 蛍光検知装置
JP2010243363A (ja) 2009-04-07 2010-10-28 Toshiba Corp 蛍光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19A (ko) * 2000-12-29 2002-07-12 민태영 여러가지 색상의 파장을 나타내는 특수 기능성 잉크 및이의 사용방법
KR20020093925A (ko) * 2001-03-01 2002-12-16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개량된 발광 특성 검출기
JP2010072933A (ja) 2008-09-18 2010-04-02 Toshiba Corp 蛍光検知装置
JP2010243363A (ja) 2009-04-07 2010-10-28 Toshiba Corp 蛍光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55A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5605A (en) Document of value
ES2627416T3 (es) Característica de seguridad luminiscente y procedimiento para fabricar la característica de seguridad luminiscente
US8245932B2 (en) Method of reading at least one bar code and system for reading a bar code
US8759794B2 (en) Articles, methods of validating the same, and validation systems employing decay constant modulation
CN102245381B (zh) 荧光凹陷编码和鉴定
KR101752758B1 (ko) 지폐 감별기
US10926574B2 (en) Security element formed from at least two inks applied in overlapping patterns, articles carrying the security element, and authentication methods
CA2860235C (en) Multi wavelength excitation/emission authentication and detection scheme
RU2345419C2 (ru) Ценный документ с допускающи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читывание признаком подлинности
CN109416851B (zh) 用于利用长余辉发射来认证安全标记的方法和包含一个或多个长余辉化合物的安全标记
EP2513248B1 (en) Controlling the detectability of an articl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the article
US20070095921A1 (en) Secure substrate
BRPI0920678B1 (pt) Marca de segurança à base de materiais emissores de luminescência, documento de valor ou de segurança e processo para verificação de uma marca de segurança
RU2365511C2 (ru) Ценный документ
US11887427B2 (en) Security print media
KR101288549B1 (ko) 인광물질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
JPH1086563A (ja) 認識用マーク、マーク記録体、及びマーク認識方法
JP7268472B2 (ja) 偽造防止媒体および真贋判定方法
US20230409844A1 (en) Method for Labelling Products with an Optical Security Feature with a Temporal Dimension
JP2006318252A (ja) 紙幣識別装置
BR112019000127B1 (pt) Método e sistema para autenticar uma marcação de segurança,marcação de segurança, e leitor com uma unidade de cpu e uma memó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