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996B1 -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996B1
KR101287996B1 KR1020110144527A KR20110144527A KR101287996B1 KR 101287996 B1 KR101287996 B1 KR 101287996B1 KR 1020110144527 A KR1020110144527 A KR 1020110144527A KR 20110144527 A KR20110144527 A KR 20110144527A KR 101287996 B1 KR101287996 B1 KR 10128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stone
reinforcing agent
dehumidifying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100A (ko
Inventor
강용수
최용석
이정현
이명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14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9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5/00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5/10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풍화 등에 의해 손상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부위에 강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강화제 저장탱크(11), 강화제 유입구(12), 제습공기 유입부(13) 및 강화제 유출구(14)를 갖는 강화제 저장수단(10); 제습제가 내부에 충전되는 제습제 충전부(21)와, 상기 제습제 충전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부(22)와, 제습제 충전부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의 제습공기유입부를 통해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에 공급하는 제습공기 배출부(23)를 구비하는 제습공기 공급수단(20); 및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10)의 강화제 유출구(14)로부터 배출되는 강화제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계(31)와, 상기 유량계를 통해 유량이 제어된 강화제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32)와, 상기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강화제를 석조문화재의 피처리부로 공급하는 강화제 배출부(34)를 구비하는 강화제 배출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가 제공되며,
본 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과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용 강화제 간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석조문화재의 피처리면에 제어된 유량으로 강화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어 석조문화재에 도포를 통한 강화제 침투보다 더욱 효과적인 침지를 통한 강화제 침투효과와 대등한 침투효과로 석조문화재를 보존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 방법{Consolidant-delivering regulator for preserving stone or stone building and method for preserving stone or stone building using it}
본 발명은 풍화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을 위한 강화제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중의 수분과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 보존처리용 강화제 간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피처리면에 제어된 유량으로 강화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강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석조 문화재는 대부분 화강암(56%)이며 그 외 편마암, 사암, 응회암, 화강섬록암, 섬록암, 안산암, 각섬암, 유문암, 석회암, 대리암 등으로 만들어져 있어 우리나라의 암석 분포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옥외에 노출되어 있어 물-암석 반응에 의한 자연적 훼손이 불가피하며 인간의 활동에 의한 대기 오염 등으로 인하여 훼손이 가속화된다. 석조문화재에 대한 역사학적, 고고학적 및 미술사학적으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암석학적, 광물학적, 지질학적으로 풍화, 구조안정성 등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체 문화재 중 약 17%에 해당하는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옥외에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생물학적인 풍화에 의한 손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표면의 색 변화, 균열, 부스러짐, 박락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풍화에 의한 손상을 저지할 목적으로 석조문화재에 침투시켜 풍화된 부위의 강도를 증진시키고 발수성을 향상시키는 보존처리제에는 여러 종류의 유기 및 무기 물질들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유기물인 고분자물질(polymer) 혹은 전구체(precursor)인 단량체(monomer)나 올리고머(oligomer) 물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처리제를 경화제(consolidants)라 칭하기도 하고, 대부분이 물에 대한 발수성과 저항성이 좋아 발수경화제라 칭하기도 한다.
현재 사용되는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용 강화제는 램머스사(Remmers), 쿨바사(Kulba), 배커사(Wacker)의 제품들이 있으며 대부분이 실리케이트류이다. 이러한 강화제는 함량과 종류의 변화를 주어 기후 조건과 함침 되는 석재의 종류와 풍화 정도에 맞추어 혼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상품화되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석조문화재용 실리케이트계 강화제는 주로 알킬 실리케이트 {alkyl silicate: Si(OR)4} 계통이며, 그 중 에틸 실리케이트{Si(OC2H5)4}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독일 배커사(Wacker)의 Wacker OH100 이 있다.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용 강화제는 보강하고자 하는 석조문화재의 부위에 붓이나 스프레이로 도포한 후 모세관 현상과 같이 작은 기공으로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함침시키고 있다.
이러한 모세관 침투 함침방법은 암석의 기공이 작을 경우 함침이 표면 부분에 국한되며 특히 처리제의 점도가 클 경우 거의 함침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함침이 표면에 국한될 경우 강화된 표면과 강화되지 못한 내부의 암석간에 조직적인 상이성으로 인해 박락이 촉진되는 경우도 실제 발견되어 보존처리가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런 단점은 보존처리 강화제의 실용성에 결정적인 장애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보다 내부 깊숙이 보존처리용 강화제가 침투하는 좀 더 적극적인 보존처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풍화된 석조문화재에 적용하는 일반적인 강화 처리 방법은 붓을 이용해 표면에 실리케이트계 강화제를 직접 처리하는 붓질법, 분사 장비를 이용하여 표면에 도포해주는 분사법, 강화제에 석재 표면을 함침 시켜 주는 함침법이 있다.
석재 표면 강화를 위한 처리 방법 중 붓질법은 표면에 일정한 양의 도포가 어려우며 분사법은 처리가 용이하나 국소 부위만을 처리하기 어렵고 미세한 입자 분사로 인하여 강화제 자체의 반응 속도가 높아져 침투 이전에 표면에서 강화제가 경화될 위험이 있다. 또한 함침법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나 옥외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쉽게 해체할 수 없는 석조문화재의 특성상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이 소형 유물에만 국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옥외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쉽게 해체할 수 없는 석조문화재에 대해서도 함침법과 대등한 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강화제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를 보존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 강화하기 위한 석조문화재 및 석재의 피처리면을 부분적으로 밀폐한 상태에서 공기 중의 수분과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용 강화제 간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석조문화재의 피처리면에 제어된 유량으로 강화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강화제 공급장치를 연결하면 공기 중의 수분과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용 강화제 간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석조문화재의 피처리면에 유량 조절을 통하여 일정량의 강화제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줌으로서 강화제의 간접적인 함침 효과를 주는 강화제 처리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풍화 등에 의해 손상된 부위에 강화제를 손상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습공기 유입부, 강화제 유입구 및 강화제 유출구를 갖는 강화제 저장수단;
제습제가 내부에 충전되는 제습제 충전부와, 상기 제습제 충전부를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부와, 제습제 충전부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의 제습공기유입부를 통해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에 공급하는 제습공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제습공기 공급수단; 및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의 강화제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강화제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를 통해 유량이 제어된 강화제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와, 상기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강화제를 석조문화재의 피처리부로 공급하는 강화제 배출부를 구비하는 강화제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은 저장된 강화제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강화제 배출수단의 강화제 배출부와 밸브 사이에 배출되는 강화제의 유속을 확인하기 위한 유속확인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습공기 공급수단의 제습제 충전부에 제습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유량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유량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장치를 이용하여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를 보존처리하는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피처리면에 거즈를 붙이고 거즈의 상부에 강화제 공급호스를 연결하고 거즈의 하부에 강화제 배출 호스를 연결한 상태에서 피처리면을 밀폐시킨 후에 상기 강화제 공급호스를 상기 강화제 공급장치의 강화제 배출부와 연결하여 강화제를 상기 피처리면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강화제 공급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과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용 강화제 간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석조문화재의 피처리면에 제어된 유량으로 강화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어 석조문화재에 도포를 통한 강화제 침투보다 더욱 효과적인 침지를 통한 강화제 침투효과와 대등한 침투효과로 석조문화재를 보존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규모, 위치 등을 고려할 때 침지조에 넣어 강화제를 침투시키는 통상의 침지방법을 이용할 수 없는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에 통상의 침지방법과 대등한 정도로 강화제를 석조문화재에 침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강화제 공급장치의 주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장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강화제 공급장치의 앞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장치의 뒷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강화제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석재에 강화제를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구현을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풍화 등에 의해 손상된 부위를 강화하기 위하여 강화제를 손상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하, '강화제 공급장치'라 약칭합니다.)는 강화제 저장수단(10), 제습공기 공급수단(20) 및 강화제 배출수단(30)이 하우징 내에 내장된 구조를 갖는다.
본 장치에서 강화제 저장수단(10)은 강화제 저장탱크(11), 강화제 유입구(12), 제습공기 유입부(13) 및 강화제 유출구(14)를 구비한다. 여기서 강화제는 강화제 유입구(12)를 통해 강화제 저장탱크(11)에 충전되며, 본 장치의 작동시에는 밸브 등의 개폐수단(도시 생략)으로 제습공기 유입부(13)를 열어 저장탱크(11) 내의 진공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저장탱크(11) 내의 압력은 본 장치가 설치된 분위기 압력과 같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10)에는 저장탱크(11)내에 충전된 강화제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11a)이 마련된다.
제습공기 공급수단(20)은 제습제가 내부에 충전되는 제습제 충전부(21)와, 상기 제습제 충전부(21)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부(22)와, 제습제 충전부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10)의 제습공기유입부(13)를 통해 저장탱크(11)로 공급하는 제습공기 배출부(23)를 구비한다. 강화제 저장수단(10)에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는 이유는 저장탱크 내의 압력을 분위기 압력과 같게 해주기 위한 것과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강화제와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습공기 공급수단(20)의 제습제 충전부(21)에는 제습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21a)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습제가 포화상태가 되어 더 이상 수분을 제거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 제거되지 않은 수분이 강화제와 반응하여 강화제를 손상하기 때문에 점검창(21a)를 통해 수분역류를 확인하고 제습제의 기능을 다했을 때 강화제저장수단으로의 공기유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습제를 교체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강화제 배출수단(30)은 강화제 저장수단(10)의 강화제 유출구(14)로부터 배출되는 강화제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계(31)와, 상기 유량계를 통해 유량이 제어된 강화제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32)와, 상기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강화제를 석조문화재의 피처리부로 공급하는 강화제 배출부(34)를 구비한다. 본 장치의 작동시에 밸브(32)를 열면 강화제 저장수단(10)의 강화제 유출구(14)로부터 강화제가 빠져나와 유량계(31)를 통과하면서 제어된 유량으로 강화제 배출부(34)를 통해 석조 문화재 또는 석재의 피처리면에 공급된다. 상기 밸브(32)로는 미세조절이 가능한 밸브가 바람직하다. 상기 강화제 배출부(34)와 상기 밸브(32) 사이에는 여기서 유동하는 강화제의 유속을 확인하기 위한 유속확인챔버(33)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계(31)는 유량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유량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피처리면으로 강화제의 공급을 적정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유량계(31) 각각에 밸브(32)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강화제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를 보존처리하는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구현의 방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피처리면에 거즈를 붙이고 거즈의 상부에 강화제 공급호스를 연결하고 거즈의 하부에 강화제 배출 호스를 연결한 상태에서 피처리면을 밀폐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강화제 공급호스를 본 발명 강화제 공급장치의 강화제 배출부와 연결한다.
이와 같이 세팅한 후에 강화제 저장탱크(11)에 강화제를 충전하고 나서 제습공기유입구를 열어 탱크내의 진공을 해제한다.
다음, 강화제배출수단(30)의 밸브(32)를 열어 상기 거즈의 상부로 강화제를 공급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피처리면에 제어된 유량으로 강화제를 공급하면 상기 피처리면에 일정한 유량을 유지해 주면서 간접 함침 효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방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강화제 공급장치를 제작하여 석재의 강화에 적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장치는 크게 전면부와 후면부, 상부로 설명할 수 있다. 전면부에는 강화제 저장탱크에 충전된 강화제 양을 확인하는 점검창, 제습제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점검창, 유량계, 미세밸브, 유량 확인 챔버, 강화제 배출구가 있다. 상부에는 제습공기 연결 밸브와 강화제 투입구가 있으며 후면부에는 남아있는 강화제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후면 배출구가 있다. 여기서 유량계는 미세 조절과 일반 조절을 위해 50cc/min, 100cc/min(Water용) 제품 2개를 설치하여 플로우메터 1(flowmeter 1), 플로우메터 2(flowmeter 2)라 명명하였으며 각각의 유량계를 조절하기 위한 미세밸브 또한 2개를 설치하였다.
이 강화제 공급장치로 유량 조절의 특징과 성능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시험 장비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 실리케이트계 강화제 점도 측정
정확한 유량 조절 데이터값을 얻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물, Wacker OH100, 1T1G(75, wt%) 45ml를 측정하였으며 상온 조건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점도는 점도계에 액체를 도입한 후 1분 간격으로 20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측정 결과 물의 경우 17,1℃에 0.86cP를 보이는 반면 Wacker OH100 및 1T1G는 각각 23.1℃에 1.54cP, 22.8℃에 1.56cP의 값을 나타내었다. 두 강화제 제품은 물에 비해 약 1.8배 높은 점도 값을 보인다. 시험장비에 사용된 유량계가 water용임을 감안하면 1.8배의 점도는 실험 장비의 유량계에 큰 오차값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에 강화제를 직접 적용하여 설치된 유량계의 용량을 강화제를 이용하기 위한 값으로 수정하였다. 표 1은 상온(24℃)에서 강화제와 물의 점도를 나타낸 것이다.
Material Temperature , Viscosity , cP
Water 17.1 0.86
Wacker OH100 23.1 1.54
1 T1G (75, wt %) 22.8 1.56
* 강화제 유량 조절 데이터
현재 대표적인 상용화 제품인 Wacker OH100 제품을 이용하여 유량계 측정값을 측정하였다. OH100 제품군은 1T1G (75, wt%)와 점도의 오차가 0.02cP로써 두 제품이 거의 같은 점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OH100제품군 단독으로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이때 측정은 각 유량계의 용량 단위 별 강화제 제품군의 유량 환산값 (cc/min) 과 미세 조절 밸브와 유량계 밸브를 최대 개방한 상태에서 유량계 밸브를 고정시키고 미세 조절 밸브의 main scale의 단위에 대한 1분 당 유량 값(cc/min)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측정을 위해 강화제 탱크에 주입된 강화제의 양은 1L이다. 하기 표 2는 50cc/min 유량계의 강화제 환산값(Consolidant conversion value of flowmeter at 50cc/min system)을, 표 3은 50cc/min 유량계의 밸브에 대한 강화제 유량 값(Consolidant flow value by valve at 50cc/min flowmeter system)을, 표 4는 100cc/min 유량계의 강화제 환산값(Consolidant conversion value of flowmeter at 100cc/min system)을, 표 5는 50cc/min 유량계의 밸브에 대한 강화제 유량 값(Consolidant flow value by valve at 50cc/min flowmeter system)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Flowmeter value Valve scale cc/min min/1000cc
(estimation data)
cc/1h
(estimation data)
50 12, 0 27 37.037 1620
40 10, 12 21 47.619 1260
30 5, 3 12 83.333 720
20 3, 4 7 142.857 420
10 1, 22 2.8 357.142 168
Valve scale
( main scale )
cc / min min /1000 cc
( estimation data )
cc /1h
( estimation data )
12 27 37.037 1620
11 22 45.454 1320
10 21 47.619 1260
9 19 52.631 1140
8 16 62.5 960
7 13 76.923 780
6 12 83.333 720
5 12 83.333 720
4 9 111.111 540
3 3.1 322.580 186
2 2.8 357.142 168
1 0.8 1250 8
Flowmeter value Valve scale cc/min min/1000cc
(estimation data)
cc/1h
(estimation data)
100 12, 0 72 13.888 4320
90 10, 12 58 17.241 3480
80 9, 14 49 20.408 2940
70 8, 10 41 24.390 2460
60 7, 14 33 30.303 1980
50 6, 10 26 38.461 1560
40 5, 11 19 52.631 1140
30 3, 12 12 83.333 720
20 2, 14 8 125 480
Valve scale
(main scale)
cc/min min/1000cc
(estimation data)
cc/1h
(estimation data)
12 72 13.888 4320
11 67 14.925 4020
10 56 17.857 3360
9 48 20.833 2880
8 38 26.315 2280
7 33 30.303 1980
6 23 43.478 1380
5 19 52.631 1140
4 16 62.5 960
3 8 125 480
2 3.8 263.157 228
1 0.6 1666.66 36
* 현장 적용
처리될 표면부(피처리면)에 간접적인 함침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간접적인 표면 처리부의 밀폐 시스템이 최적화되어야 한다. 본 장치를 이용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밀폐 방안을 구상하였으며 이에 대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처리할 표면부의 건식세척을 진행한 후 처리할 표면 주위에 고무 찰흙을 붙인다. 그 후 표면 처리부에 거즈를 밀착시켜준다. 이 과정이 마무리 된 후 처리부 상부에는 강화제 처리 장비를 연결할 PVC 호스를 연결해 주고 하부에는 강화제가 과잉으로 공급되었을 때 과잉량의 배출을 유도해 줄 보형물을 연결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보형물로 PVC 호스를 사용되었다. 이러한 작업이 마무리되면 밀폐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밀페 작업은 2단계로 진행하였는데 1단계는 표면 처리부를 비닐로 밀폐해 준 다음 처리 사이트를 전체적으로 밀폐 시켜주었으며 2단계로 적용 대상 전체를 비닐로 감싸서 밀폐한다. (도 4 내지 도7의 사진 참조).
다음, 거즈의 상부에 연결된 PVC 호스를 강화제 공급장치와 연결하여 밀폐 강화 처리 준비 완료하고, 밸브가 잠겨 있는지 확인 후 강화제 탱크를 열어 강화제를 주입하고, 공기 순환 밸브를 열어 진공을 해제한 다음 초기 설정을 위해 미세밸브를 최대값으로 맞춰준다. 초기 설정을 위해 미세밸브를 최대용량으로 맞춰주고 밀폐된 처리부와 연결하기 전 강화제를 조금 내보내서 남아있는 기포를 제거 후 처리부와 연결하여 강화제 처리를 개시한다. (도 8 내지 11의 사진 참조)
실험결과, 풍화된 석재의 표면에 유량 조절을 통하여 일정량의 강화제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었고 함침과 대등한 정도로 강화제를 석재 표면에 침투시킬 수 있었다.
10: 강화제 저장수단 11: 강화제 저장탱크
12: 강화제 유입부 13: 제습공기 유입부
20: 제습공기 공급수단 21: 제습제 충전부
22: 공기유입부 23: 제습공기 배출부
30: 강화제 배출수단 31: 유량계
32: 밸브 33: 유속확인챔버
34: 강화제 배출부

Claims (7)

  1. 풍화 등에 의해 손상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부위에 강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강화제 저장탱크(11), 강화제 유입구(12), 제습공기 유입부(13) 및 강화제 유출구(14)를 갖는 강화제 저장수단(10);
    제습제가 내부에 충전되는 제습제 충전부(21)와, 상기 제습제 충전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부(22)와, 제습제 충전부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의 제습공기유입부를 통해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에 공급하는 제습공기 배출부(23)를 구비하는 제습공기 공급수단(20); 및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10)의 강화제 유출구(14)로부터 배출되는 강화제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계(31)와, 상기 유량계를 통해 유량이 제어된 강화제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32)와, 상기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강화제를 석조문화재의 피처리부로 공급하는 강화제 배출부(34)를 구비하는 강화제 배출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제 저장수단(10)은 저장된 강화제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1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제 배출수단의 강화제 배출부(34)와 상기 밸브(32) 사이에 배출되는 강화제의 유속을 확인하기 위한 유속확인챔버(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공기 공급수단(20)의 제습제 충전부(21)에 제습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2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유량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유량계(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6. 상기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강화제 공급장치를 이용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피처리면에 거즈를 붙이고 거즈의 상부에 강화제 공급호스를 연결하고 거즈의 하부에 강화제 배출 호스를 연결한 상태에서 피처리면을 밀폐시킨 후에 상기 강화제 공급호스를 상기 강화제 공급장치의 강화제 배출부와 연결하여 강화제를 상기 피처리면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방법.
KR1020110144527A 2011-12-28 2011-12-28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 방법 KR10128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27A KR101287996B1 (ko) 2011-12-28 2011-12-28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27A KR101287996B1 (ko) 2011-12-28 2011-12-28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100A KR20130076100A (ko) 2013-07-08
KR101287996B1 true KR101287996B1 (ko) 2013-07-22

Family

ID=4898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527A KR101287996B1 (ko) 2011-12-28 2011-12-28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9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130B1 (ko) 2006-06-09 2007-01-11 지산특수토건주식회사 지반강화제 주입 장치
KR20100095128A (ko) * 2009-02-20 2010-08-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조 문화재용 실리케이트계 강화제의 처리방법
KR101062960B1 (ko) 2008-10-23 2011-09-06 주식회사 세스코 케미컬 발산 모듈 및 케미컬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130B1 (ko) 2006-06-09 2007-01-11 지산특수토건주식회사 지반강화제 주입 장치
KR101062960B1 (ko) 2008-10-23 2011-09-06 주식회사 세스코 케미컬 발산 모듈 및 케미컬 디스펜서
KR20100095128A (ko) * 2009-02-20 2010-08-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조 문화재용 실리케이트계 강화제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100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6299A1 (en) Method for treating and impregnating porous structures
CN106168550B (zh) 采用微生物固化粉细砂形成人工硬壳层的室内试验方法
Song et al. A method to repair concrete leakage through cracks by synthesizing super-absorbent resin in situ
US5413808A (en) Method for long range preservation treatment by liquid-air injection of infrastructure monuments and other porous and embedded steel structures
US20160122950A1 (en) Method of reducing alkali-silica reaction for embedding aggregate in concrete and mitigating detrimental effects of freeze-thaw in concrete
Monczynski et al.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secondary horizontal insulation against rising damp performed by chemical injection
KR101287996B1 (ko)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용 강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또는 석재의 보존처리 방법
JP2012001895A (ja) 浸透剤浸透装置
KR101502569B1 (ko) 목재의 옻 함침장치 및 함침방법과, 이를 이용한 옻 함침 위생도마 제조방법
CN105308006A (zh) 石板材浸渍工艺以及实现该工艺的装置
CN108385733B (zh) 一种历史建筑地基和底层墙体的渗透式防潮系统及防潮方法
KR102089066B1 (ko) 바이오 혼합토 고압 분사장치
Kotlik Impregnation under low pressure
CA2434701A1 (en) Cellulose preservative method and apparatus
CN105952173B (zh) 一种混凝土楼面裂缝的补漏方法
RU2562636C2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тонкослойного гидр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основе полимерной серы на порист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материалы
EP05647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tective treatment of concrete works
US1456323A (en) Process for treating woods and other porous substances
EP0708682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treating materials
KR20230152250A (ko) 석재 강화방법
KR101280617B1 (ko) 황토복합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2578054B2 (ja) 舗装材用こて
RU2713115C1 (ru) Способ локальной модификации древесины в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ях
JP3415395B2 (ja) 石質強化方法
CN110373120A (zh) 一种新型的凝胶膨胀堵水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