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979B1 -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979B1
KR101287979B1 KR1020100035210A KR20100035210A KR101287979B1 KR 101287979 B1 KR101287979 B1 KR 101287979B1 KR 1020100035210 A KR1020100035210 A KR 1020100035210A KR 20100035210 A KR20100035210 A KR 20100035210A KR 101287979 B1 KR101287979 B1 KR 101287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wheelchair
game
movement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727A (ko
Inventor
김성필
허재혁
김창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3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97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은,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된 휠체어 장치,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로부터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휠체어를 이용해야 하는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오락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ntertainment system using moving wheelchair, host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휠체어를 이용하여 오락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장애인들은 기본적인 욕구 외에 삶을 풍부하게 하는 다양한 문화 예술, 및 오락 활동 등에서 소외되어 왔다. 최근 들어, 장애인 체육을 중심으로 조금씩 장애인의 활동을 위한 지원이 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다양한 예술 및 레포츠 분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중증 지체 장애인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 및 오락 거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중증 지체 장애인도 스스로의 신체 능력에 맞춰 쉽고 안전하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2008년 미국에서는 Digital Wheel Art 시스템이 안출된 바 있다. Digital Wheel Art 시스템은 휠체어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휠체어가 움직인 궤적을 그래픽 화면에 표시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Digital Wheel Art 시스템은 개념 검증에 가까운 것으로, 실제 시스템으로 구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휠체어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사용된 적외선 센서 시스템은 주변 광원을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인식 가능한 범위가 짧아 휠체어의 이동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동시에 추적 가능한 휠체어의 수가 최대 2대이기 때문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참여하는 시스템으로의 확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휠체어에 장착된 위치 추척 신호 수신기를 통해 휠체어의 이동 경로가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휠체어를 이용하여 오락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한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은,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된 휠체어 장치,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로부터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기는 호스트 장치와 통신 가능한 휴대폰, 환자 전용 마우스, 및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및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호스트 장치는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은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호스트 장치는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게임상에서 특정 이동체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는, 휠체어 장치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휠체어 장치에 장착된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로부터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및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표현된 그림을 표시하는 드로윙 영역, 및 드로윙 영역에 표시되는 그림의 편집을 위한 편집 도구가 표시되는 편집 도구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은 보드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게임상에서 특정 이동체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은 스포츠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수신된 휠체어의 위치 정보에 따른 휠체어의 이동 경로를 스포츠 게임 내의 선수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휠체어 장치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휠체어 장치에 장착된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로부터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제어하는 단계는,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은 표현된 그림을 표시하는 드로윙 영역, 및 드로윙 영역에 표시되는 그림의 편집을 위한 편집 도구가 표시되는 편집 도구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은 보드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제어하는 단계는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휠체어의 이동 경로를 게임상에서 특정 이동체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어플리케이션은 스포츠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제어하는 단계는, 수신된 휠체어의 위치 정보에 따른 휠체어의 이동 경로를 스포츠 게임 내의 선수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환자가 휠체어에 탄 상태에서 게임장에 입장하면, 호스트 장치를 직접 조작할 필요 없이 휠체어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가 가능하며, 휠체어의 움직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들도 오락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장애인들이 즐길 수 있는 오락 거리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장애인의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고, 휠체어의 이동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의 이동을 추적함에 있어 주변 광원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쾌적한 게임장 환경을 구성할 수 있고, 이동 거리의 제한이 없어 보다 다양한 오락 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을 위한 위치 기반의 게임장(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장(1000)에는 일 측에 호스트 장치(100)가 설치되고, 일 측 벽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설치된다. 오락을 즐기고자 하는 사용자는 휠체어 장치(200)를 타고 게임장(1000)에 입장한다.
호스트 장치(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된다.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통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휠체어 장치(200)를 사용하는 환자에 해당한다.
호스트 장치(100)는 게임장(1000)에 입장한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송신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호스트 장치(100)는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220)와의 통신을 위해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220)와 연결될 수 있다. 휠체어 장치(200)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서는 호스트 장치(100)와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220)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체어 장치(200)는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들이 이용하는 휠체어이나,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220)가 더 장착된 형태의 휠체어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휠체어 장치(200)에는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와 사용자 단말기(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Micom)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콤이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220)와 호스트 장치(100)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및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가 RFID 태그일 경우 게임장(1000)에는 RFID 리더가 설치되며,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가 초음파 센서일 경우 게임장(1000)에는 초음파 수신기가 설치될 수 있다.
GPS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인공위성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위성 항법 장치라고 한다. 특히, 국내의 GPS는 10 여년 간 활발한 연구 개발 활동이 전개되어 그 기술이 상당히 발전되어 있다. 이러한 GPS를 이용할 경우,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게임장(1000)에는 GPS 수신기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또한,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는 GPS 이외에 GPS와 유사한 방식의 측위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측위 시스템으로는 위성 측위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 있는데, 상기 위성 측위 시스템은 지상의 수신기에서 최소한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신호를 받아 100M이내의 위치정보와 나노-초 단위의 시각을 파악하고, 위성의 위치와 항법정보(위성시계, 전리층 모델, 위성궤도변수, 위성상태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계산 시스템으로서, 최근에는 GNSS의 위치준 거점으로 위성뿐만 아니라, CDMA 등 이동통신기지국 등을 보조 측위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추적에 GPS 혹은 GPS와 유사한 방식의 측위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주변 광원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밀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이동 거리의 제한이 작아 신뢰성 높은 측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2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의 휠체어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호스트 장치와 근거리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환자 전용 마우스 및 터치스크린과 같은 기기이거나, 또는 휠체어 장치와 분리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휴대폰과 같은 기기의 구성이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폰에 기기에 구비된 버튼이나 환자전용 마우스의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버튼을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고, 위와 같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 조작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요청신호를 상기 호스트 장치(100)에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고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소정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 게임장(1000)의 네 벽면 중 하나의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호스트 장치(100)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거나 혹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UI를 송신 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위치정보 수신부(120),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 송신부(140), 저장부(150), 및 메인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호스트 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휠체어 장치(200)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기(220)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2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요청 신호 및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조작함에 따른 요청 신호 혹은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120)는 휠체어 장치(200)에 장착된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로부터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호스트 장치(100)에 기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호스트 장치(100)에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위치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에 의해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5에 예시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다.
송신부(140)는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송신한다. 호스트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유선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송신부(140)는 호스트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연결된 방식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UI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송신한다.
저장부(150)는 호스트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장치(1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호스트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메인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위치정보 수신부(120),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 송신부(140), 저장부(15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와 통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120), 휠체어 장치(200)의 사용자 단말기(220)와 통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각각의 구성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220)는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 및 사용자 단말기(220)와 각각 연결되는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는다. 즉, 위치정보 수신부(1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가 통합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호스트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경우, 위치정보 수신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및 송신부(140)가 하나의 모듈로 통합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400)를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가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것일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정보에 따른 휠체어 장치(200)의 이동 경로를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도 3에 도시한 UI(400)는 그림을 표시하는 드로윙 영역(410), 및 드로윙 영역(410)에 표시되는 그림의 편집을 위한 편집 도구가 표시되는 편집 도구 영역(420)을 구비한다.
드로윙 영역(410)에 표시된 그림은 사용자가 휠체어 장치(200)에 탄 상태에서 게임장(1000) 내에서 자신이 그리고자 하는 그림의 형태에 따라 휠체어 장치(200)를 이동시킴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편집 도구 영역(420)에는 사용자가 드로윙 영역(410)에 그리고자 하는 그림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여러 편집 도구들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편집 도구 영역(420)을 통해 붓의 굵기, 및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원, 사각형과 같은 도형을 선택하여 원하는 크기로 해당 도형을 그릴 수 있다. 또한, 편집 도구 영역(420)에는 색상을 선택하는 메뉴도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편집 도구 영역(420)에 포함된 메뉴들은 일 예를 든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집 도구 영역(420)에는 도면에 표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보드 게임의 한 종류인 벽돌깨기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500)를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220)로부터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가 벽돌깨기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벽돌깨기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휠체어 장치(200)를 이동시킴에 의해 벽돌깨기 게임 내의 이동체가 이동된다. 이에 의해, 벽돌깨기 게임이 진행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스포츠 게임의 한 종류인 하키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600)를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220)로부터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가 하키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하기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휠체어 장치(200)를 이동시킴에 따른 휠체어 장치(200)의 이동 경로는 하키 게임 내의 선수의 이동으로 적용된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1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휠체어 장치(200)에 탄 상태에서 그림 그리기, 게임 하기와 같은 오락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오락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는 여가를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운동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호스트 장치(100)에서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디지털 페인팅, 벽돌깨기 게임, 및 하키 게임을 예시하였지만, 이외에도 보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100)에 탑재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즐길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휠체어 장치(200)의 이동이 그림이 그려지거나 혹은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캐릭터 혹은 이동체의 이동에 해당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휠체어 장치(200)의 이동이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을 위한 특정 명령에 해당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호스트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휠체어 장치(200)에 탄 상태에서 게임장(1000)으로 입장한 후, 상기 휠체어 장치(200)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기(220)를 조작하여 호스트 장치(100)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00).
즉, 사용자가 상기 휠체어 장치(200)에 구비되어 상기 호스트 장치(100)와 근거리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환자 전용 마우스 및 터치스크린의 버튼 또는 터치 버튼을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호스트 장치(100)가 이를 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호스트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 및 실행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호스트 장치의 송신부(1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UI(400 내지 600)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10).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 사용자가 휠체어 장치(200)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는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호스트 장치(100)로 송신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100)의 위치정보 수신부(120)는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210)로부터 송신되는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20).
상기 호스트 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위치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휠체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30).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수행 결과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며(S740),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오락의 진행 경과를 지켜보면서 해당 오락을 즐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호스트 장치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위치정보 수신부 130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140 : 송신부 150 : 저장부
160 : 메인 제어부 200 : 휠체어 장치
210 :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 22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5)

  1. 위치기반의 게임장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휠체어를 이용하여 오락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 및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된 휠체어 장치;
    상기 게임장에 입장한 상기 휠체어 장치의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로부터 상기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실행요청신호를 이용하여 기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는 초음파 센서이고,
    상기 게임장 내에 복수의 초음파 수신기가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센서가 부착된 휠체어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 장치와 통신 가능한 휴대폰, 환자 전용 마우스, 및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상기 게임상에서 특정 이동체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6. 휠체어 장치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복수의 초음파 수신기가 구비된 게임장 내의, 상기 휠체어 장치에 초음파 센서가 장착된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로부터 상기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디스플레이 장치 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표현된 그림을 표시하는 드로윙 영역, 및 상기 드로윙 영역에 표시되는 그림의 편집을 위한 편집 도구가 표시되는 편집 도구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보드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상기 게임상에서 특정 이동체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스포츠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휠체어의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휠체어의 이동 경로를 상기 스포츠 게임 내의 선수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11. 휠체어 장치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복수의 초음파 수신기가 구비된 게임장 내의 상기 휠체어 장치에 초음파 센서가 장착된 위치 추적 신호 수신기로부터 상기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휠체어 장치의 이동 경로를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표현된 그림을 표시하는 드로윙 영역, 및 상기 드로윙 영역에 표시되는 그림의 편집을 위한 편집 도구가 표시되는 편집 도구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보드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휠체어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휠체어의 이동 경로를 상기 게임상에서 특정 이동체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스포츠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휠체어의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휠체어의 이동 경로를 상기 스포츠 게임 내의 선수의 이동으로 적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00035210A 2010-04-16 2010-04-16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287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210A KR101287979B1 (ko) 2010-04-16 2010-04-16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210A KR101287979B1 (ko) 2010-04-16 2010-04-16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727A KR20110115727A (ko) 2011-10-24
KR101287979B1 true KR101287979B1 (ko) 2013-07-22

Family

ID=4503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210A KR101287979B1 (ko) 2010-04-16 2010-04-16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370A (ko) 2021-12-01 2023-06-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33B1 (ko) * 2013-01-02 2019-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7105A (ja) 2004-08-25 2006-03-09 Sanyo Electric Co Ltd 通信端末装置
KR20060129840A (ko)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팬택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휠체어 이송수단 제어 시스템및 방법
JP2009279050A (ja) 2008-05-20 2009-12-03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7105A (ja) 2004-08-25 2006-03-09 Sanyo Electric Co Ltd 通信端末装置
KR20060129840A (ko)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팬택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휠체어 이송수단 제어 시스템및 방법
JP2009279050A (ja) 2008-05-20 2009-12-03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370A (ko) 2021-12-01 2023-06-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727A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1726B2 (en) Marker point location display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547941B2 (en) Apparatus for adapting virtual gaming with real world information
US10001833B2 (en) User input system for immersive interaction
CN104520787B (zh) 头戴式计算机作为具有自动语音识别和头部追踪输入的辅助显示器
CN103180800B (zh) 使用动作及语音命令的主机应用程序的高级远程控制
CN112764536A (zh) 用于增强现实的系统和方法
US201200689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based control
CN110052027B (zh) 虚拟场景中的虚拟对象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83015A (ko) 휴대용 디바이스, 가상 현실 시스템 및 방법
CN103608741A (zh) 由移动机器人来追踪及跟随运动对象
KR101790592B1 (ko) 관광드론을 이용한 증강현실 관광 시스템 및 방법
EP27358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navigation
WO2020156252A1 (zh) 在虚拟环境中建造建筑物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329268A (zh) 一种利用ar眼镜实现景点共享的方法
US20170087455A1 (en) Filtering controller input mode
KR101287979B1 (ko)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299930A1 (en) Virtual reality interaction
KR20180010240A (ko) 유저 입력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게임 시스템, 전자 장치, 서버 및 게임 제어 방법
US20120281102A1 (en) Portable terminal, activity history depiction method, and activity history depiction system
CN117685968A (zh) 智能体导航的方法和智能体
US202302974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N112809709B (zh) 机器人及其操作系统、控制装置、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3041619A (zh) 虚拟车辆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17002713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7731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personal interaction game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