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654B1 -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654B1
KR101286654B1 KR1020100034427A KR20100034427A KR101286654B1 KR 101286654 B1 KR101286654 B1 KR 101286654B1 KR 1020100034427 A KR1020100034427 A KR 1020100034427A KR 20100034427 A KR20100034427 A KR 20100034427A KR 101286654 B1 KR101286654 B1 KR 101286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mulation
server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388A (ko
Inventor
조맹섭
김진서
김기홍
유주연
권순영
이송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04,759 priority Critical patent/US8612185B2/en
Publication of KR20110041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현장 또는 사전제작단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관리하고, 이와 같은 정보를 촬영에 참여하는 모든 인원들이 공유함으로써, 정확한 정보 기록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정보를 후반작업에 이용함으로써, 편집, CG 및 색보정등의 작업시 촬영현장에서 원하는 장면과 동일하게 수정할 수 있어, 재촬영 및 보충 촬영 없이,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교육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후반작업 및 교육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실제 촬영 전 미리 그 결과를 예측하여 촬영하여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도 감독 등이 원하는 화면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d saving information of metadata regarding film production}
본 발명은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현장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관리하고, 그 정보를 촬영 현장의 스텝들이 공유하며, 후반작업에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등을 할 수 있고, 촬영시 상기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시행한 2009년도 문화콘텐츠 산업기술지원 사업(지정공모)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9-1205-001-10985-02-002, 과제명: 디지털 시네마 고품질 영상 구현을 위한 End-to-End 컬러 일치 기술 개발].
기존에는 특정 전문가(스크립터)가 촬영시 촬영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수기를 통해 작성하고 있어, 정확한 기록 작성에 어려움이 있다. 즉, 실제 촬영시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촬영에 참여하는 많은 인원이 공유해야 하지만, 수기로 작성함으로써 정확한 기록 작성과 기록된 내용이 공유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편집, CG 및 색보정 등을 포함하는 후반작업(Post-production) 단계에서 촬영 당시의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고, 후반작업과 촬영(Production)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수기 기록 방식은 그 효율성이 매우 떨어진다.
한편, 촬영에 사용되는 필터로는, 조명 필터 및 카메라 필터 등 수천 가지 이상의 필터가 있고, 필터의 선택에 따라 최종 결과가 많이 달라진다. 그러나, 현재는 오로지 촬영 감독과 조명 감독 등 사람의 경험에만 의지하여 필터를 선택함으로써, 원래 의도한 화면과 실제 촬영 화면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촬영현장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그 정보를 촬영현장의 스텝들이 공유하고, 후반작업에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등을 할 수 있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촬영시 상기 정보를 기초로 촬영전에 미리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최종 결과를 예측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은, 단말기가,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씬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존 프로그램에 plug-in 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사전제작(Pre-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와 촬영정보 동기화를 위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a) 상기 서버가,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씬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d)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에서 해당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e) 상기 서버가, 상기 독출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f) 상기 단말기가, 상기 (e)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말기가, 상기 (e)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f) 단계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에서 가장 최근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가, 후반작업(Post-production) 장치로부터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후반작업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에서 해당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독출된 정보를 상기 후반작업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서버가, 사전제작(Pre-production) 정보를 더 수신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존 프로그램에 plug-in 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는,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씬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모의실험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존 프로그램에 plug-in 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사전제작(Pre-production) 정보를 더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와 촬영정보 동기화를 위한 서버를 포함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는,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씬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모의실험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스토리지부로부터 가장 최근의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독출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력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의 입력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검색요청을 더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부로부터 해당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의 입력부는, 후반작업(Post-production) 장치로부터 검색요청을 더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후반작업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부로부터 해당 정보를 독출하며, 상기 서버의 출력부는, 상기 독출된 정보를 상기 후반작업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의 입력부는, 사전제작(Pre-production)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의 스토리지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존 프로그램에 plug-in 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현장 또는 사전제작단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관리하고, 이와 같은 정보를 촬영에 참여하는 모든 인원들이 공유함으로써, 정확한 정보 기록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정보를 후반작업에 이용함으로써, 편집, CG 및 색보정 등의 작업시 촬영현장에서 원하는 장면과 동일하게 수정할 수 있어, 재촬영 및 보충 촬영 없이,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교육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후반작업 및 교육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실제 촬영 전 미리 그 결과를 예측하여 촬영하여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도 감독 등이 원하는 화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와 촬영정보 동기화를 위한 서버를 포함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블럭도, 도 2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와 촬영정보 동기화를 위한 서버를 포함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블럭도, 도 3은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에 관한 구성도, 도 4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은, 먼저 단말기(100)가,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를 수신한다(S120). 또한, 촬영현장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사전제작단계(Pre-production)에서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S110). 촬영현장 정보에는,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신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전제작 정보에는, 촬영장소, 섭외, 일출/일몰 시간, 이동 동선, 카메라 뷰 등 영화 촬영 전 필요한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가, 상기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130). 실제 촬영 현장에서 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기초로 조명의 위치 등에 따른 결과, ND 필터, UV 필터, 산광 필터, Fog 필터 및 Star 필터 등 카메라 필터에 따른 결과, 확산 필터, 색온도 변환필터 및 색 필터 등 여러 가지 조명 필터에 따른 결과,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를 달리하였을 때, 그에 따른 결과 및 상기 각각의 결과를 적용한 경우 최종 결과를 미리 파악하여, 촬영 감독, 조명 감독, 연출자 등에 제공한다. 따라서 연출자 등은 촬영 전에 실제 촬영 현장에서 연출하고자 하는 장면에 맞는 조명, 필터, 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가, 수신한 정보 및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한다(S140). 저장시에는 기존 상용 프로그램의 입력 형식으로 변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포토샵이나 후반작업(Post-production)에서 사용되는 기존 상용 프로그램에서 Plug-in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가, 수신한 정보 및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S150). 실제 촬영의 참가자들은 정보 또는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하고 촬영 결과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가, 수신한 정보 및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신한다(S160). 단말기(100)는, 촬영정보 동기화를 위한 서버(200)나 다른 단말기(100)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100)와 촬영정보 동기화를 위한 서버(200)를 포함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은, 먼저, 서버(200)가, 촬영현장 정보를 수신한다(S210). 또한, 서버(200)는 사전제작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여러 개의 단말기(100) 혹은 사용자가 서버(200)에 직접 입력한 정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촬영현장 정보 및 사전제작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200)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S215). 저장시에는 포토샵이나 후반작업(Post-production)에서 사용되는 기존 상용 프로그램에서 Plug-in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는 단말기(100) 또는 후반작업 장치(300)로부터 요청에 따라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200)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기(100)로부터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받는다(S230).
다음으로, 서버(200)가, 상기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에서 해당 정보를 독출하여(S240) 해당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45). 이와 같이 서버(200)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독출하여 전송함으로써, 복수 개의 단말기(100)들은, 촬영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또한 여러 단말기(100) 사이의 촬영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255).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단말기(100)가, 수신한 정보 및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S260). 이와 같이, 단말기(100)가 스텝, 제작자, 연출자 및 촬영 감독 등에게 촬영정보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촬영현장 작업자의 의사 소통 및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가,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가장 최근의 정보를 독출한다(S220). 예를 들면, 처음 시작 시각이 오전 9시이고, 사용자가 10분을 일정 시간으로 정의하고, 9시 2분에 (가)단말기(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였고, 9시 7분에 (나)단말기(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서버(200)는 일정 시간, 즉, 처음 시작 시각으로부터 10분 경과 후 9시 10분에 가장 최근의 정보인 9시 7분에 (나)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200)가, 독출한 정보를 복수 개의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225). 이와 같이 가장 최근의 정보를 독출하여 그 정보를 여러 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100)들은 최신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단말기(100) 사이의 촬영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가, 후반작업(Post-production) 장치(300)로부터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받는다(S235).
그러면, 서버(200)가, 후반작업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에서 해당 정보를 독출한다(S240).
다음으로, 서버(200)가, 상기 독출된 정보를 상기 후반작업 장치(300)에 송신함으로써, 촬영현장 정보 및 사전제작 정보를 후반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S250). 즉, 편집, CG 및 색보정 등을 포함하는 후반작업에 촬영정보를 제공하여, 의사 소통의 편리함과 자료의 정확성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씬(Scene)이 여러 번의 촬영으로 인하여 시간, 조명, 컬러 톤 등이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촬영현장 정보 및 사전제작 정보 등을 이용하여 촬영현장에서 원하는 장면과 동일하게 수정할 수 있어, 재촬영 및 보충 촬영 없이,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후반작업을 여러 업체에 외주를 준 경우, 여러 업체에서 촬영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업체간의 불일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 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100)는, 수신부(110), 저장부(120), 모의실험부(130), 표시부(150) 및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촬영(Production)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정보에는,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신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등이 있을 수 있다.
모의실험부(130)는 상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등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실제 촬영 현장에서 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기초로 조명의 위치 등에 따른 결과, ND 필터, UV 필터, 산광 필터, Fog 필터 및 Star 필터 등 카메라 필터에 따른 결과, 확산 필터, 색온도 변환필터 및 색 필터 등 여러 가지 조명 필터에 따른 결과,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를 달리하였을 때, 그에 따른 결과 및 상기 각각의 결과를 적용한 경우 최종 결과를 미리 파악하여, 촬영 감독, 조명 감독, 연출자 등에 제공한다. 따라서 연출자 등은 촬영 전에 실제 촬영 현장에서 연출하고자 하는 장면에 맞는 조명, 필터, 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촬영장 정보와 모의실험부(130)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어 촬영 감독, 조명 감독, 연출자 등에게 보여준다.
저장부(120)는 상기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시 기존 상용 프로그램의 입력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포토샵이나 후반작업에서 사용되는 기존 상용 프로그램에서 Plug-in이 가능하도록 입력 데이터 형식으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송신부(140)는 상기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정보를 다른 단말기(100) 등에 전달하기 위하여 송신한다.
수신부(110)는 사전(Pre-production)정보를 더 수신하고, 저장부(120)는 상기 사전정보를 더 저장한다. 즉, 영화 촬영 사전 제작 단계(Pre-production)에서의 사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사전정보에는 촬영장소, 섭외, 일출/일몰 시간, 이동 동선, 카메라 뷰 등 영화 촬영 전 필요한 모든 헌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전정보를 단말기(100)를 통하여 스텝, 제작자, 연출자 및 촬영 감독 등에게 제공함으로써, 의사 소통 및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촬영정보를 저장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말기(100) 및 여러 단말기(100) 사이의 촬영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서버(200)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수신부(110), 저장부(120), 모의실험부(130), 송신부(140),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씬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 및 사전제작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촬영정보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통해 직접 입력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시에는 포토샵이나 후반작업(Post-production)에서 사용되는 기존 상용 프로그램에서 Plug-in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모의실험부(130)는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표시부(150)는 상기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송신부(140)는 상기 수신한 정보 및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버(200)나 다른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서버(200)는 입력부(210), 스토리지부(230), 제어부(22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촬영현장 정보 및 사전제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정보는 여러 개의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가 서버(200)를 통해 직접 입력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토리지부(230)는 입력부(210)에서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시에는 포토샵이나 후반작업(Post-production)에서 사용되는 기존 상용 프로그램에서 Plug-in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정보는 여러 단말기(100) 사이의 촬영정보 동기화를 위해 사용된다.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가장 최근의 정보를 스토리지부(230)에서 독출한다.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출력부(240)는 독출된 정보를 복수 개의 단말기(100)에 전송함으로써, 여러 개의 단말기(100)의 정보가 자동으로 최신 정보로 갱신된다. 또한 복수 개의 단말기(100) 사이의 정보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입력부(210)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단말기(100)로부터 촬영정보에 대한 검색 요청을 더 수신한다.
제어부(220)는 각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스토리지부(230)로부터 해당 정보를 독출한다.
출력부(240)는 독출된 정보를 해당 단말기(100)에 송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00)의 정보를 최신의 정보로 갱신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단말기(100) 사이의 정보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입력부(210)는 후반작업 장치(300)로부터 촬영정보에 대한 검색 요청을 더 수신한다.
제어부(220)는 후반작업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스토리지부(230)로부터 해당 정보를 독출한다.
출력부(240)는 독출된 정보를 후반작업 장치(300)에 송신함으로써, 촬영현장 정보 및 사전제작 정보를 후반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즉, 편집, CG 및 색보정 등을 포함하는 후반작업에 촬영정보를 제공하여, 의사 소통의 편리함과 자료의 정확성을 이룰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전제작 정보를 더 수신한다.
스토리지부(230)는, 상기 사전제작 정보를 더 저장한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입력부(210)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기(100)에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 검색 요청을 한 경우, 상기 서버(200)의 시뮬레이션부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해당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에서 수행하기 힘든, 복잡한 시뮬레이션에 대해서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수신부
120 : 저장부 130 : 모의실험부
140: 송신부 150: 표시부
200 : 서버 210 : 입력부
220 : 제어부 230 : 스토리지부
240 : 출력부
300 : 후반작업 장치

Claims (20)

  1. 단말기가,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씬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존 프로그램에 plug-in 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사전제작(Pre-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6.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와 촬영정보 동기화를 위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가,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씬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d)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에서 해당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e) 상기 서버가, 상기 독출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f) 상기 단말기가, 상기 (e)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말기가, 상기 (e)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f) 단계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에서 가장 최근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후반작업(Post-production) 장치로부터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후반작업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에서 해당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독출된 정보를 상기 후반작업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서버가, 사전제작(Pre-production) 정보를 더 수신하는 하는 것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존 프로그램에 plug-in 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방법.
  11.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씬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모의실험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존 프로그램에 plug-in 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사전제작(Pre-production)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16.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와 촬영정보 동기화를 위한 서버를 포함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날짜, 시간, 장소, 필름롤 숫자, 씬 번호, 컷 번호, 필름, 렌즈, 필터, 콘티, 조명 위치, 카메라 위치, 음향 효과, 의상, 메이컵, 소품, NG 정보, 소요 시간, 액션 및 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촬영현장(Production)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과, 조명 영향, 카메라 필터, 조명 필터 및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모의실험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 및 상기 모의실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스토리지부로부터 가장 최근의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독출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입력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검색요청을 더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부로부터 해당 정보를 독출하는 것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입력부는, 후반작업(Post-production) 장치로부터 검색요청을 더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후반작업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부로부터 해당 정보를 독출하며,
    상기 서버의 출력부는, 상기 독출된 정보를 상기 후반작업 장치에 송신하는 것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입력부는, 사전제작(Pre-production)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스토리지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존 프로그램에 plug-in 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인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100034427A 2009-10-15 2010-04-14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6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04,759 US8612185B2 (en) 2009-10-15 2010-10-14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d saving information of metadata regarding film pro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8321 2009-10-15
KR1020090098321 2009-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388A KR20110041388A (ko) 2011-04-21
KR101286654B1 true KR101286654B1 (ko) 2013-07-22

Family

ID=4404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427A KR101286654B1 (ko) 2009-10-15 2010-04-14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6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516A (ja) 2006-06-02 2007-12-13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KR20080016571A (ko) * 2005-04-20 2008-02-21 미디어팟 엘엘씨 필름 또는 다른 촬상 매체를 시뮬레이션하는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571A (ko) * 2005-04-20 2008-02-21 미디어팟 엘엘씨 필름 또는 다른 촬상 매체를 시뮬레이션하는 시스템 및방법
JP2007323516A (ja) 2006-06-02 2007-12-13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388A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8413B2 (en) Photographer's guidance systems
US87746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50302067A1 (en) An asset handling tool for film pre-production
CN103839562A (zh) 一种视频创作系统
CN104113691B (zh) 拍摄方法及装置
US20150058709A1 (en) Method of creating a media com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e
CN102685207A (zh) 基于云服务的智能摄影方法和云服务设备
Poulsen Becoming a semiotic technology–a historical study of Instagram's tools for making and sharing photos and videos
CN101910936A (zh) 基于图像捕捉设备呈现的用户推荐的引导摄影
CN105760408A (zh) 图片分享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4486558A (zh) 一种模拟拍摄场景的视频处理方法和装置
US20160037134A1 (en) Methods and systems of simulating time of day and environment of remote locations
CN105809618A (zh) 一种图片处理方法及装置
CN109729345B (zh) 相机仿真调试测试方法及设备
US8612185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d saving information of metadata regarding film production
KR101286654B1 (ko) 촬영정보 저장 및 시뮬레이션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141776A (ja) 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733607B1 (ko) 드라마 제작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386701B1 (en) Mobile device enabling collaboration with flashes of other devices and method thereof
CN117336564A (zh) 线上演唱会的灯效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0166768B (zh) 一种拍摄方法及装置
CN110446020A (zh) 沉浸式堪景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KR101348248B1 (ko) 줄거리에 따라 배치되는 영상을 구성하기 위한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Svanberg The EDCF guide to digital cinema production
KR101700421B1 (ko) 발사체 발사 영상 녹화 및 전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