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066B1 -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 Google Patents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066B1
KR101286066B1 KR1020130003236A KR20130003236A KR101286066B1 KR 101286066 B1 KR101286066 B1 KR 101286066B1 KR 1020130003236 A KR1020130003236 A KR 1020130003236A KR 20130003236 A KR20130003236 A KR 20130003236A KR 101286066 B1 KR101286066 B1 KR 101286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hole
terminal block
connector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주식회사 루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주식회사 루미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13000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biting into the conductor-insulation, e.g. teeth-like elements or gripp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7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with contacts having at least a slotted plate for penetration of cable insulation, e.g.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for round conductor flat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도로, 인도를 따라 등간격으로 시설되는 가로등주의 배선 연결시 각 가로등주마다 별도의 분기선(누전차단기용 배선)을 접지하거나, 전기선의 피복을 절개하지 않고 커넥터에 배선을 단순 끼움 방식으로 피어싱하도록 한 뒤 볼트 조임에 의해 압착에 따른 결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자대의 배선 연결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후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관리 및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THE ELECTRIC POWER LINE CONNECTOR}
본 발명은 도로, 인도를 따라 등간격으로 시설되는 가로등주의 배선 연결시 각 가로등주마다 별도의 분기선(누전차단기용 배선)을 접지하거나, 전기선의 피복을 절개하지 않고 커넥터에 배선을 단순 끼움 방식으로 피어싱하도록 한 뒤 볼트 조임에 의해 압착에 따른 결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자대의 배선 연결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후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관리 및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이나 보도블럭 및 노면의 일측에는 가로등(街路燈)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로등은 콘크리트 바닥 기초와 결합되는 받침구와, 상기 받침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지주 및 그 위에 결합되는 등기구 아암 및 등기구 즉, 램프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등은 지주 상에 등기구(램프)와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면서 누전 등에 따른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도록 점검구가 형성되는 바, 상기 등기구(램프)에는 안정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정기는 점검구의 누전차단기와 연결되며 상기 누전차단기는 단자대를 통한 배선들로 하여금 결선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단자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인도를 따라 등간격으로 시설되는 가로등주의 배선 연결시 각 가로등주마다 별도의 분기선(누전차단기용 배선)을 새로 연결하여 누전차단기와 접지시키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전기선의 피복을 필히 절개하여야 함으로써, 번거로운 작업성과 함께 안전사고의 위험에 계속 노출되며, 특히 전체 배선작업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도로, 인도를 따라 등간격으로 시설되는 가로등주의 배선 연결시 각 가로등주마다 별도의 분기선(누전차단기용 배선)을 접지하거나, 전기선의 피복을 절개하지 않고 커넥터에 배선을 단순 끼움 방식으로 피어싱하도록 한 뒤 볼트 조임에 의해 압착에 따른 결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자대의 배선 연결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후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관리 및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로등주(10)의 점검구(11) 내에 수납되어 램프(20)의 안정기(21)와 전기적으로 연결을 이루면서 누전차단기(30:ELB)와 접속되도록 하는 단자대(1)가 구성됨에 있어서, 절연재로 형성되는 판 상의 패널 본체(110) 면상 중앙에는 통공(111)이 형성되고, 패널 본체(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어느 일방향을 기준 삼아 4차로 배선라인(L)을 구획하면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상하 한 쌍씩의 금속재의 칼날 블레이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금속재의 칼날 블레이드(120)는 절연재의 패널 본체(110) 내부에서 대칭되는 각 일단이 매입되며, 칼날 블레이드(120)가 배치된 상하측 사이 공간에는 접지구(130)와 연결된 통전선(131)이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피어싱 본체(100)와; 상기 피어싱 본체(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절연재의 결합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210)은 면상 중앙에 상기 통공(111)과 대응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결합판(210)의 단부 일측에서 타측에는 패널 본체의 배선라인(L)과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천공된 4차로 배선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공(220)은 배선의 결선에 따른 진행방향 선상 일측에 외부로 노출된 관통홀(230)이 형성되어 칼날 블레이드(120)가 대응되어 내부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커넥터(200)와; 상기 피어싱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하 부착 결합되는 커넥터(200)의 외주면상에는 조립공(311)을 갖는 금속판(310)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금속판(310)의 조립공(311)은 패널 본체의 통공(111)과 결합판의 관통공(211)에 대응되어 체결볼트(320)로 하여금 나사 조임식 체결시 하나의 유닛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어싱 본체는 통공(111)의 외주면에 상하로 돌출된 다수개의 유동방지용 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관통공(211) 외주면에는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140)와 대응되도록 유동방지 홈(240)이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배선공(220) 종단부에는 끼움턱(250)이 형성되어 결선된 배선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안전용 마감캡(400)이 커넥터의 끼움턱(25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캡(400) 중 어느 일측의 마감캡에는 지지판(411)을 갖는 접지구 거치대(410)가 연장 결합되어 피어싱 본체의 접지구(130)가 지지판(411) 사이에 수납되면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단자대(1)는 외함(2)의 내부 일측에 수납되도록 하되, 상기 외함(2)은 가로등주의 점검구에 내장되도록 형성되며, 외함(2)의 일측에는 고정된 단자대(1)로 배선이 인입되도록 배선 인입관(2-11)이 형성되고, 외함의 타측에는 누전차단기(30:ELB)가 결합되도록 하는 베이스 프레임(2-1)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일측에는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향 회동하는 덮개 커버(2-2)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함(2)의 덮개 커버(2-2)는 내입된 누전차단기(30:ELB)의 스위치(31)가 간섭되지 않도록 반구형 비딩부(2-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 인도를 따라 등간격으로 시설되는 가로등주의 배선 연결시 각 가로등주마다 별도의 분기선(누전차단기용 배선)을 접지하거나, 전기선의 피복을 절개하지 않고 커넥터에 배선을 단순 끼움 방식으로 피어싱하도록 한 뒤 볼트 조임에 의해 압착에 따른 결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자대의 배선 연결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후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관리 및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가 시공된 가로등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본체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본체와 커넥터를 통해 배선이 결선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가 외함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종래 가로등주의 단자대에 배선이 결선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1)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주(10)의 점검구(11) 내에 수납되어 램프(20)의 안정기(21)와 전기적으로 연결을 이루면서 누전차단기(30:ELB)와 접속되도록 피어싱 본체(100)와 커넥터(200) 및 조인트(30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이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일 예시로 가로등주에 적용된 것을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가로등주는 신호등주와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 기타 인도, 도로 상에 시설되는 램프 점멸용 지주 내에 누전 차단기와의 배선시 사용되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에, 상기 피어싱 본체(100)는 절연재로 형성되는 판 상의 패널 본체(110) 면상 중앙에 통공(1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에는 후술되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널 본체(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어느 일방향을 기준 삼아 4차로 배선라인(L)을 구획하면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상하 한 쌍씩의 금속재의 칼날 블레이드(120)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칼날 블레이드는 금속재로서 후술되는 커넥터의 관통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면서 동시에 인입된 배선의 피복을 절개하지 않고도 커넥터와의 가압(체결볼트의 조임에 의한 상하 압착)에 의한 찢김식 관통이 이루어져 내입된 배선의 전기선과 통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칼날 블레이드는 내부에 요홈이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의 하우징에 수납되는 것으로, 외주연은 절연 처리되고 상하향 맞닿는 모서리 부분에만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대,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하우징의 개구된 단부에는 라운드 형상의 곡선이 형성되어 접촉되는 배선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금속재의 칼날 블레이드(120)는 절연재의 패널 본체(110) 내부에서 대칭되는 각 일단이 매입되며, 칼날 블레이드(120)가 배치된 상하측 사이 공간에는 접지구(130)와 연결된 통전선(131)이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피어싱 본체(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절연재의 결합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210)은 면상 중앙에 상기 통공(111)과 대응되는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결합판(210)은 일방향 단부 일측에서 타측에는 패널 본체의 배선라인(L)과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천공된 4차로 배선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공(220)은 배선의 결선에 따른 진행방향 선상 일측에 외부로 노출된 관통홀(230)이 형성되어 칼날 블레이드(120)가 대응되어 내부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300)는 상기 피어싱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하 부착 결합되는 커넥터(200)의 외주면상에는 조립공(311)을 갖는 금속판(310)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금속판(310)의 조립공(311)은 패널 본체의 통공(111)과 결합판의 관통공(211)에 대응되어 체결볼트(320)로 하여금 나사 조임식 체결시 하나의 유닛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320)는 기본적으로 숫나사 볼트가 형성되는 일측 단부에 육각머리볼트(322)를 갖는 지지링(321)이 형성되고, 상기 육각머리볼트(322)는 지지링(321)에 얇은 리브 살(333)에 의해 접합되어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브 살(333)은 지지링(3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육각머리볼트(322)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스패너 등을 이용한 조임시 일정한 회전토크에는 나사 체결이 계속되다가 설계적으로 설정된 가압 즉, 피어싱 본체와 커넥터와의 압착이 이루어지면 칼날 블레이드가 배선공을 통해 인입된 배선의 피복을 찢으면서 전기선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면서 맞닿은 최고 정점에 도달하도록 하고, 동시에 육각머리볼트가 지지링으로부터 떨어져 나감으로써, 작업자는 정상 체결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결국, 체결볼트의 과도한 조임에 의해 칼날 블레이드가 배선을 완전히 절개하거나 절삭하여 전기적 통전이 연결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는 육각머리볼트가 설정 토크 이후 제거되면 그 단부에 렌지너트홈(324)이 형성되어 사후 유지보수 및 교환 교체에 따른 분해시 렌지볼트와 대응되어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는 사후 유지보수 후 재 조립시 육각머리볼트가 부착된 정상용 체결볼트로 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어싱 본체는 통공(111)의 외주면에 상하로 돌출된 다수개의 유동방지용 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관통공(211) 외주면에는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140)와 대응되도록 유동방지 홈(240)이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대, 상기 커넥터의 배선공(220) 종단부에는 끼움턱(250)이 형성되어 결선된 배선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안전용 마감캡(400)이 커넥터의 끼움턱(25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캡은 절연재로서, 일측에 개구공이 형성되고 타측이 밀폐된 캡 형상으로 인입된 배선의 타측 노출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캡(400) 중 어느 일측의 마감캡에는 지지판(411)을 갖는 접지구 거치대(410)가 연장 결합되어 피어싱 본체의 접지구(130)가 지지판(411) 사이에 수납되면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단자대(1)는 외함(2)의 내부 일측에 수납되도록 하되, 상기 외함(2)은 가로등주의 점검구에 내장되도록 형성되며, 외함(2)의 일측에는 고정된 단자대(1)로 배선이 인입되도록 배선 인입관(2-11)이 형성되고, 외함의 타측에는 누전차단기(30:ELB)가 결합되도록 하는 베이스 프레임(2-1)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일측에는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향 회동하는 덮개 커버(2-2)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함(2)의 덮개 커버(2-2)는 내입된 누전차단기(30:ELB)의 스위치(31)가 간섭되지 않도록 반구형 비딩부(2-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단자대 2 ... 외함
10 ... 가로등주 11 ... 점검구
20 ... 램프 21 ... 안정기
30 ... 누전차단기
100 ... 피어싱 본체 110 ... 패널 본체
111 ... 통공 120 ... 칼날 블레이드
130 ... 접지구 131 ... 통전선
200 ... 커넥터 210 ... 결합판
211 ... 관통공 220 ... 배선공
230 ... 관통홀 240 ... 유동방지용 홈
250 ... 끼움턱 300 ... 조인트
310 ... 금속판 320 ... 체결볼트
400 ... 마감캡

Claims (5)

  1. 가로등주(10)의 점검구(11) 내에 수납되어 램프(20)의 안정기(21)와 전기적으로 연결을 이루면서 누전차단기(30:ELB)와 접속되도록 하는 단자대(1)가 구성됨에 있어서,
    절연재로 형성되는 판 상의 패널 본체(110) 면상 중앙에는 통공(111)이 형성되고, 패널 본체(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어느 일방향을 기준 삼아 4차로 배선라인(L)을 구획하면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상하 한 쌍씩의 금속재의 칼날 블레이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금속재의 칼날 블레이드(120)는 절연재의 패널 본체(110) 내부에서 대칭되는 각 일단이 매입되며, 칼날 블레이드(120)가 배치된 상하측 사이 공간에는 접지구(130)와 연결된 통전선(131)이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피어싱 본체(100)와;
    상기 피어싱 본체(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절연재의 결합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210)은 면상 중앙에 상기 통공(111)과 대응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결합판(210)의 단부 일측에서 타측에는 패널 본체의 배선라인(L)과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천공된 4차로 배선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공(220)은 배선의 결선에 따른 진행방향 선상 일측에 외부로 노출된 관통홀(230)이 형성되어 칼날 블레이드(120)가 대응되어 내부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커넥터(200)와;
    상기 피어싱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하 부착 결합되는 커넥터(200)의 외주면상에는 조립공(311)을 갖는 금속판(310)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금속판(310)의 조립공(311)은 패널 본체의 통공(111)과 결합판의 관통공(211)에 대응되어 체결볼트(320)로 하여금 나사 조임식 체결시 하나의 유닛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본체는 통공(111)의 외주면에 상하로 돌출된 다수개의 유동방지용 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관통공(211) 외주면에는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140)와 대응되도록 유동방지 홈(240)이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배선공(220) 종단부에는 끼움턱(250)이 형성되어 결선된 배선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안전용 마감캡(400)이 커넥터의 끼움턱(25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400) 중 어느 일측의 마감캡에는 지지판(411)을 갖는 접지구 거치대(410)가 연장 결합되어 피어싱 본체의 접지구(130)가 지지판(411) 사이에 수납되면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1)는 외함(2)의 내부 일측에 수납되도록 하되, 상기 외함(2)은 가로등주의 점검구에 내장되도록 형성되며, 외함(2)의 일측에는 고정된 단자대(1)로 배선이 인입되도록 배선 인입관(2-11)이 형성되고, 외함의 타측에는 누전차단기(30:ELB)가 결합되도록 하는 베이스 프레임(2-1)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일측에는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향 회동하는 덮개 커버(2-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2)의 덮개 커버(2-2)는 내입된 누전차단기(30:ELB)의 스위치(31)가 간섭되지 않도록 반구형 비딩부(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KR1020130003236A 2013-01-11 2013-01-11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KR10128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36A KR101286066B1 (ko) 2013-01-11 2013-01-11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36A KR101286066B1 (ko) 2013-01-11 2013-01-11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066B1 true KR101286066B1 (ko) 2013-07-22

Family

ID=4899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236A KR101286066B1 (ko) 2013-01-11 2013-01-11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0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1760A (en) * 2016-06-29 2018-01-03 Siemens Plc Electrical connector
CN114336189A (zh) * 2021-12-31 2022-04-12 广东欢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收纳的数据跳接线模组
KR102541679B1 (ko) * 2022-11-08 2023-06-13 안춘훈 가로등용 누전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0750A (ja) * 1996-06-11 1997-12-22 Toyo Kanetsu Kk 圧接端子
JPH1174006A (ja) * 1997-09-01 1999-03-1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コネクタ
JPH11346432A (ja) * 1998-06-01 1999-12-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力ケーブル分岐接続器
JP2012221812A (ja) 2011-04-11 2012-11-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0750A (ja) * 1996-06-11 1997-12-22 Toyo Kanetsu Kk 圧接端子
JPH1174006A (ja) * 1997-09-01 1999-03-1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コネクタ
JPH11346432A (ja) * 1998-06-01 1999-12-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力ケーブル分岐接続器
JP2012221812A (ja) 2011-04-11 2012-11-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コネク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1760A (en) * 2016-06-29 2018-01-03 Siemens Plc Electrical connector
GB2551760B (en) * 2016-06-29 2020-05-06 Siemens Mobility Ltd Electrical connector
CN114336189A (zh) * 2021-12-31 2022-04-12 广东欢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收纳的数据跳接线模组
CN114336189B (zh) * 2021-12-31 2024-05-14 广东欢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收纳的数据跳接线模组
KR102541679B1 (ko) * 2022-11-08 2023-06-13 안춘훈 가로등용 누전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603B2 (en) Coupling and method for use with a lamp fitting
KR101286066B1 (ko) 배선 피복 비절개 결선방식을 갖는 가로등주용 배선 단자대
HRP20211236T1 (hr) Uređaj za električno spajanje fotonaponskog sustava
CN103851559A (zh) 防水灯具及其电缆线接头结构
KR101034191B1 (ko) 맨홀 접지구조
KR100823052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798342B1 (ko) 개선된 설치구조를 갖는 측뢰 피뢰침
KR200422901Y1 (ko) 캡타입의 방수용 안전소켓
CN203377562U (zh) 一种防水接线盒
KR101119409B1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CN205296651U (zh) 装配式顶面集成设备带
CN204119679U (zh) 安防设备装配箱
CN106532452A (zh) 一种用于电力系统的绝缘罩
CN209913298U (zh) 一种用于配电柜的电缆密封装置及配电柜
CN203395841U (zh) 框架组件
JP5848377B2 (ja) 地中線機器用端末変換アダプタ
CN219082994U (zh) 一种矿场用高防水性能灯
KR200464098Y1 (ko) 가로등 단자함이 포함된 가로등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기구
US20160204541A1 (en) Breakaway connector and fuse receptacle
KR20090004195U (ko) 가로등의 안전장치
CN205122309U (zh) 改进的带透明绝缘安全罩和一体化接地环的防雷绝缘子
CN203084138U (zh) 一种带远程通讯的架空线故障指示器
CN113531407B (zh) 一种接电结构及其led照明装置
CN211606020U (zh) 一种铁路信号控制电缆分线盒
KR20090038950A (ko) 가로등의 등기구 탈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