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456B1 - 와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와인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456B1
KR101285456B1 KR1020120100859A KR20120100859A KR101285456B1 KR 101285456 B1 KR101285456 B1 KR 101285456B1 KR 1020120100859 A KR1020120100859 A KR 1020120100859A KR 20120100859 A KR20120100859 A KR 20120100859A KR 101285456 B1 KR101285456 B1 KR 10128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wine supply
housing
supply device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102012010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와인 공급장치 방열유닛은 내부에 냉각유닛과 와인 공급통이 설치되는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유닛과 유로 연결되어 와인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코크를 구비하는 오크통; 및 상기 오크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인 공급장치 {Wine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방열유닛을 가지는 와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와인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뷔페 식당 등에서 대량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와인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그 일 예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81742호와 같이, 서로 다른 온도로 복수 개의 음료를 공급할 수 있는 액체 냉각장치를 출원하여 등록 받은 바 있다.
이와 같은 와인 공급장치는 와인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온도로 와인을 공급하기 위해 냉각장치를 구비하는데, 상기 냉각장치는 작동하는 과정 중에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장치의 열이 와인 냉각장치 바깥으로 적절하게 방출되지 못할 경우, 냉각장치가 과열되는 등의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공급 준비중인 와인의 품질이나 맛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료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냉각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와인 공급장치 방열유닛을 구비한 와인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인 공급장치는 내부에 냉각유닛과 와인 공급통이 설치되는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유닛과 유로 연결되어 와인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코크를 구비하는 오크통; 및 상기 오크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오크통 내부에 상기 오크통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방열유로; 및 상기 방열유로의 일측 끝단으로 상기 오크통 상단에 설치되는 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 부재 상단의 노출면에 설치되는 매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로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로는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끝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과 오크통의 연결부에는 지지부재가 개재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는 대리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은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방열유닛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 공기의 온도가 상온과 대응될 경우 상기 방열유닛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 공기의 온도가 섭씨 25~30도 사이일 경우에는 상기 팬 부재를 제 1 속도로 작동하고,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 공기의 온도가 섭씨 40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팬 부재를 제 2 속도로 작동할 수 있다.
와인 냉각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사용자가 직접 느끼지 못하는 와인 냉각장치의 상부측으로 팬 부재를 이용하여 강제 배기하므로, 와인 냉각장치 내부 온도는 일정 수준 이하로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어 와인 냉각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와인 냉각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팬 부재에 의해 강제배기되는 뜨거운 바람의 토출구를 와인 냉각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느낄 수 없는 오크통 형상의 공급부의 상단에 배치하므로, 와인 냉각장치의 방열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출되는 열에 따른 고객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와인 냉각장치의 내부 온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인 냉각장치에 보관 중인 와인이 장기간 고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급 대기중인 공급 파이프 속의 와인이 와인 냉각장치의 온도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와인 공급장치에 마련된 방열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인 냉각장치의 방열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와인 공급장치에 마련된 방열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인 냉각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 오크통(20) 및 방열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은 내부 공간부에 와인 쿨링을 위한 냉각유닛(11)과 서로 다른 종류의 와인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와인 공급통(1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유닛(11)와 와인 공급통(12)들은 배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닛(11)은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냉매를 사용하는 열 교환 장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압축기, 증발기 및 냉각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닛(11)은 사용자에게 와인이 일정 수준 공급되어 추가적인 와인의 온도조절이 필요할 경우 작동되고, 공급 준비 중인 와인이 적정온도를 유지할 경우에는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와인 공급통(12)들은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 내부의 상기 냉각유닛(11)과 가급적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냉각유닛(11)에서 배출되는 열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와인 공급통(12)은 내부에 와인 주머니를 가지는 진공 플라스크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가스 주입 타입의 와인 공급 캔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둘레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슬릿(15)이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방열유닛(100)의 작동 중에는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방열유닛(100)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냉각유닛(11)에서 발생된 열을 도 1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배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15)의 형성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바닥면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만일, 상기 슬릿(15)이 높은 곳에 형성될 경우, 상기 슬릿(15)에서 배출되는 더운 공기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크통(20)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와인 공급을 위한 코크(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크(21)의 설치 개수는 공급하는 와인의 종류 및 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데, 상기 코크(21)는 공급하는 와인의 가짓수에 대응되는 숫자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과 오크통(20)의 연결부에는 지지부재(3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대리석 또는 합성수지와 같이 와인이 스며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코크에서 공급받은 와인 등이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에 떨어졌을 때, 떨어진 와인이 오크통(20)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와인이 오크통(20)에 스며들 경우, 오크통(20)이 썩거나 벌레가 생겨 와인 공급장치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과 일정 거리(g) 이격 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30)와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31)가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30)와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을 이격 시키면, 사용자가 와인을 공급 받는 중에 상기 화인 공급장치 하우징(10)에 와인을 흘리더라도, 흘린 와인이 고여 지지부재(30)에 스미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지지부재(30)를 형성하면, 후술할 방열유닛(1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내부 공기가 강제 배기될 때, 상기 오크통(10)과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연결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강제 배기되는 공기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방열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크통(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열유로(110), 팬 부재(120) 및 매쉬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유로(110)는 상기 오크통(20)의 내부 공간부에, 상기 오크통(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로(110)의 일단은 상기 오크통(20)의 상측 끝단과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유로(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깊이(h)로 삽입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 내부 공간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로(110)는 밋밋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방열유로(110)의 끝단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름관 형상의 방열유로(110)에 따르면, 오크통(20)의 크기나 냉각장치(11)의 용량의 차이가 나더라도 적절한 수준으로 방열유로(110)의 상기한 삽입 깊이(h)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방열유로(110)는 원통형상의 주름관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 이외에 필요에 따라 각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방열유로(110)는 가급적 단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상기 방열유로(110)를 통과하는 뜨거운 공기가 상기 오크통(20)으로 전달되어 공급되는 와인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팬 부재(120)는 상기 방열유로(110)를 통해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내부 공간부의 공기를 강제 배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유로(110)의 가장 끝단에 설치되어,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 내부 공간부의 공기를 강제 배기할 수 있다.
상기 팬 부재(120)는 필요에 따라 미도시된 제어부와 연결되어,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회전수를 가변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내부 온도가 섭씨 25~30도 사이의 온도일 경우에는 제 1 속도인 기본 회전수로 작동하며, 섭씨 30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상기 팬 부재(120)의 회전수를 증가 시키고, 섭씨 25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팬 부재(12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온도 경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내부 온도는 상온인 20~23도 사이가 될 수 있도록 상기 팬 부재(120)를 가동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방열유로(110)로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팬 부재(120)를 가변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경우, 냉각유닛(11)이 정지되어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10)의 내부 공간부가 뜨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팬 부재(120)가 작동하면서 소음 및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닛(11)의 경우, 와인이 공급되어 추가 냉각이 필요할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대기 중인 경우에는 열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매쉬부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 부재(1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팬 부재(120)로 외부 오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매쉬부재(130)는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 및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팬 부재(120)와 별도로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고온 상태의 와인 냉각장치(10) 내부 공간부의 뜨거운 공기를 강제 배기하여 최대한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여 냉각유닛(11)이 과열되어 고장 나거나, 와인 공급통(12)에 수용된 와인 및 공급 준비 중인 관로 상의 와인이 열에 의해 변질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11; 냉각유닛
12; 와인 공급통 15; 슬릿
20; 오크통 21; 코크
30; 지지부재 100; 방열유닛
110; 방열유로 120; 팬 부재
130; 매쉬부재

Claims (9)

  1. 내부에 냉각유닛과 와인 공급통이 설치되는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유닛과 유로 연결되어 와인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코크를 구비하는 오크통; 및
    상기 오크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오크통 내부에 상기 오크통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방열유로; 및
    상기 방열유로의 일측 끝단으로 상기 오크통 상단에 설치되는 팬 부재;를 포함하는 와인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부재 상단의 노출면에 설치되는 매쉬부재를 포함하는 와인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로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와인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로는,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끝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와인 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과 오크통의 연결부에는 지지부재가 개재되는 와인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대리석으로 마련되는 와인 공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은,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을 포함하는 와인 공급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방열유닛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 공기의 온도가 상온과 대응될 경우 상기 방열유닛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 공기의 온도가 섭씨 25~30도 사이일 경우에는 상기 팬 부재를 제 1 속도로 작동하고,
    상기 와인 공급장치 하우징 내부 공기의 온도가 섭씨 30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팬 부재를 제 2 속도로 작동하는 와인 공급장치.
KR1020120100859A 2012-09-12 2012-09-12 와인 공급장치 KR10128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859A KR101285456B1 (ko) 2012-09-12 2012-09-12 와인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859A KR101285456B1 (ko) 2012-09-12 2012-09-12 와인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456B1 true KR101285456B1 (ko) 2013-07-12

Family

ID=4899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859A KR101285456B1 (ko) 2012-09-12 2012-09-12 와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4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8094A (ja) * 2000-06-02 2001-12-18 Nas Toa Co Ltd 飲料注出装置
KR20110012034A (ko) * 2009-07-29 2011-02-09 최형선 와인 디스펜싱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8094A (ja) * 2000-06-02 2001-12-18 Nas Toa Co Ltd 飲料注出装置
KR20110012034A (ko) * 2009-07-29 2011-02-09 최형선 와인 디스펜싱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28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 cooling a beverage
CN106765761B (zh) 一种冰箱空调一体机
US9933190B2 (en) Vertically arranged heat pu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ertically arranged heat pump
JP6405523B2 (ja) 冷蔵庫
CN104137715A (zh) 一种负压式粮仓冷却系统
JP2016533470A (ja) 冷凍庫
KR20150043103A (ko) 과냉각 냉각고
CN102818417B (zh) 冰箱
EP2543947A1 (en) Cryogen heat pipe heat exchanger
KR20190109103A (ko) 음료 냉각 장치
US20170102163A1 (en) Air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process for controlling air temperature and producing purified water
KR101285456B1 (ko) 와인 공급장치
CN202006077U (zh) 气调实验环境除湿器
CN106662376A (zh) 冷却和/或冷冻设备
US20090266101A1 (en) Domesti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n adsorbent cooling device
US8978408B2 (en) Liquefier for a heat pump and heat pump
JP2009008372A (ja) 冷却装置
CN106052261A (zh) 风冷冰箱的水冷式外置冷凝系统
KR20140147315A (ko) 과냉각 냉각고
CN205784165U (zh) 风冷冰箱的水冷式外置冷凝系统
CN101975426B (zh) 井水空调制冷系统
KR102100717B1 (ko) 냉장 공간과 온장 공간 사이에 열전달이 차단된 고효율 냉온장고
CN203951884U (zh) 一种粮仓谷物冷却设备
CN103836870B (zh) 制冷设备和冷柜
CN107509482B (zh) 储粮空间可变的粮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