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139B1 -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139B1
KR101285139B1 KR1020130055079A KR20130055079A KR101285139B1 KR 101285139 B1 KR101285139 B1 KR 101285139B1 KR 1020130055079 A KR1020130055079 A KR 1020130055079A KR 20130055079 A KR20130055079 A KR 20130055079A KR 101285139 B1 KR101285139 B1 KR 10128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receptor
air inlet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림
박종수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투스
Priority to KR1020130055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7Details about the mounting of the sensor to support or cover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해수의 감지시 측정된 기압데이터 값은 버리고 해수의 감지가 없는 경우의 기압데이터 값만을 수득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해당 수역의 보다 더 정확한 기압데이터 값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여 태풍의 발생 위치나 위력 및 태풍의 예상 진행경로 등의 판단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형 나사산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공기유입공과 하단 중심에 형성되는 튜브결합노즐이 구비되어 해양 관측용 부이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모듈수용체, 모듈수용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한편 상향으로 안내된 외부공기를 튜브결합노즐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모듈, 공기안내모듈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해수 중에서 공기만을 통과시키는 멤브레인, 멤브레인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해수의 유입시 멤브레인이 들뜨지 않도록 하중을 가하는 무게추, 모듈수용체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해수의 감지가 없는 경우의 기압데이터 값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감지센서 및 모듈수용체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외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모듈수용체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모듈커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Barometer module assembly for marine observation buoy}
본 발명은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관측용 부이(Buoy : "부표"라고도 함)의 부력체인 구형의 부체(浮體) 상부의 해치커버에 수직하게 설치 고정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해양 관측용 부이가 투하된 해당 위치 수역의 기압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관측장치라 함은 해수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물론, 해류나 파랑(波浪) 등의 해양 물리학적 현상·해저지질·해양기상 및 해양생물의 관측을 수행하는 시설을 말하는 것으로, 시료채집이나 수감부(受感部)에 의한 현장측정 등의 다양한 관측방식과 관측탑이나 계류형 및 표류형 파고 부이(Buoy) 등의 다양한 설치 형태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해양관측장치는 해양이라는 설치 위치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유인화(有人化)가 어려울 뿐 아니라, 설치는 물론 관측자료의 수집이나 관측기기의 제어에도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자체 기록장치에 자동으로 관측자료를 수록하고 정기적으로 이를 회수하거나 무선통신에 의하여 관측장치를 제어하고 관측자료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해양관측장치로서의 파고 부이 중에서도 표류형 부이(Buoy)는 해면 위에 투하된 후 해류나 조류 및 바람 등에 의해 표류하면서 측정하는 방식의 해양관측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해양관측장치로서의 표류형 부이(Buoy)는 해양이라는 설치 위치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유인화(有人化)가 어려운 수역에 투하되어 해수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물론, 해류나 파랑(波浪) 등의 해양 물리학적 현상·해저지질·해양기상 및 해양생물의 관측을 수행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해양관측장치로서의 계류형 부이(Buoy)나 표류형 부이(Buoy)는 태풍 발생지역과 같이 인간이 들어갈 수 없는 위험성이 다분한 수역 즉, 유인화(有人化)가 어려운 수역에 설치 및 투하되어 해당 지역의 기압이나 해수 온도 및 파고 등을 측정함으로써 태풍의 예상 위력이나 예상 진행 방향 등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여 태풍의 피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파고 부이(Buoy)는 비용적인 면에서 다량의 관측장비와 인원이 투입되는 해양 탐사선과 같이 한 번 움직일 때마다 수십억 이상의 비용이 드는 것에 비해 비교적 저비용으로 설치 및 투하된 해당 지역의 기압이나 해수 온도 및 파고 등을 관측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해양관측장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유인화(有人化)가 어려운 수역에 설치 및 투하되어 해당 수역의 기압을 관측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파고 부이(Buoy)의 기압계는 해수면에 발생하는 파도의 높이에 따라 침수됨으로써 기압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고 부이(Buoy)의 기압계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오류로 인하여 정확한 기압의 측정에 어려움이 있어 태풍의 발생 위치나 위력 및 태풍의 예상 진행경로 등을 판단하는데 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수의 감지시 측정된 기압데이터 값은 버리고 해수의 감지가 없는 경우의 기압데이터 값만을 수득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해당 수역의 보다 더 정확한 기압데이터 값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여 태풍의 발생 위치나 위력 및 태풍의 예상 진행경로 등의 판단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해양 관측용 부이(Buoy)의 부력체인 구형의 부체(浮體) 상부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 고정되어 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는 해수가 직접적으로 기압계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구조를 통해 해당 지역의 보다 정확한 기압데이터 값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는 상부측 외주면에 외형 나사산이 돌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형 나사산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공기유입공과 하단 중심에 형성되어 기압센서용 튜브가 결합되는 튜브결합노즐이 구비되어 해양 관측용 부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모듈수용체; 모듈수용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한편 상향으로 안내된 외부공기를 튜브결합노즐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모듈; 공기안내모듈의 상단면 상에 안착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해수 중에서 공기만을 통과시키는 멤브레인; 멤브레인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해수의 유입시 멤브레인이 들뜨지 않도록 하중을 가하되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상향 유입공과 상향으로 안내된 공기를 공기안내모듈의 중심을 통해 튜브결합노즐로 유출되도록 하는 하향 유출공이 형성된 무게추; 모듈수용체의 공기유입공 하부측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해수의 유무를 감지하되 해수의 감지신호를 해양 관측용 부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해수의 감지시 측정된 기압데이터 값은 버리고 해수의 감지가 없는 경우의 기압데이터 값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감지센서; 및 모듈수용체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외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외형 나사산에 대응하는 내형 나사산이 내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외형 나사산과 내형 나사산의 상호 나사 결합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일정길이의 모듈커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공기안내모듈은 모듈수용체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샤프트 로드; 모듈수용체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샤프트 로드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원주면 상에는 오링홈이 형성되어 모듈수용체의 내측인 튜브결합노즐 상부로 안착되는 피스톤 형태의 하부 고정체; 모듈커버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샤프트 로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는 멤브레인이 안착되어지되 샤프트 로드에 인접한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모듈수용체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공과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오링홈이 구성되어 모듈수용체의 상단에 지지되는 피스톤 형태의 상부 고정체; 상부 고정체의 상단 중심으로부터 샤프트 로드와 하부 고정체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부 고정체의 공기 안내공과 멤브레인을 통해 모듈커버의 내부로 안내된 공기를 튜브결합노즐의 노즐공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공기 유출공; 및 상·하부 고정체 각각의 오링홈 상에 결합되어 모듈커버의 내주면과 상부 고정체의 외주면 사이 그리고 모듈수용체의 내주면과 하부 고정체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부 고정체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공기 안내공과 무게추의 상향 유입공은 동일 위치에 형성되고, 공기안내모듈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 유출공은 무게추의 하향 유출공과 동일 위치 상에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는 모듈수용체의 공기유입공 위치에 비해 높은 위치의 샤프트 로드 외주면 상에 모듈수용체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각각의 동일 수평선상 양측에 절개 형성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안내하는 한편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가 상부 고정체의 공기 안내공으로 시차를 두고 도달되도록 하는 안내홈이 구비된 원반 형태의 물막이 원반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나 해수의 흐름이 하부측 물막이 원반의 안내홈을 통해 상부측으로 유입되어 샤프트 로드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된 다음 상부측 물막이 원반의 안내홈을 통해 상부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 각각의 물막이 원반 양측에 형성되는 안내홈은 상하가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부 고정체 상단면의 공기 유출공에 인접한 전방 또는 후방측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정위치 고정돌기; 및 정위치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멤브레인과 무게추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정위치 고정돌기의 삽입에 의해 멤브레인과 무게추를 정위치시키는 정위치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정위치 고정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공기유입공은 모듈수용체 내부에 공기안내모듈의 설치 상태에서 공기유입공의 하단이 하부 고정체 상부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모듈수용체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모듈수용체의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공은 모듈수용체의 상부로 나사 결합되는 모듈커버의 하단부에 의해 은닉되어지되 모듈수용체의 외주면과 모듈커버 하단부측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모듈커버는 반구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하단면 중심에 하부가 개방되어 내형 나사산이 형성된 커버공간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듈커버의 하단면 중심에 개방된 커버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의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외부공기나 해수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유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는 해수가 직접적으로 기압계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구조의 기압계를 제공함으로써 해양 관측용 부이가 투하된 해당 수역의 보다 정확한 기압데이터 값을 수득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해수의 감지시 측정된 기압데이터 값은 버리고 해수의 감지가 없는 경우의 기압데이터 값만을 수득할 수 있는 구조의 기압계를 제공함으로써 해양 관측 부이가 투하되 해당 수역의 보다 더 정확한 기압데이터 값을 수득하여 태풍의 발생 위치나 위력 및 태풍의 예상 진행경로 등의 판단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구성에서 모듈커버를 보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가 설치된 해양 관측용 부이의 구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모듈 캡을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공기 유입 경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공기 유출 경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공기 유입과정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공기 유출과정을 보인 단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구성에서 모듈커버를 보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가 설치된 해양 관측용 부이의 구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모듈 캡을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공기 유입 경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공기 유출 경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공기 유입과정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의 공기 유출과정을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형 나사산(112)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공기유입공(114)과 하단 중심에 형성되는 튜브결합노즐(116)이 구비되어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모듈수용체(110), 모듈수용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한편 상향으로 안내된 외부공기를 튜브결합노즐(116)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모듈(120), 공기안내모듈(120)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해수 중에서 공기만을 통과시키는 멤브레인(130), 멤브레인(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해수의 유입시 멤브레인(130)이 들뜨지 않도록 하중을 가하는 무게추(140), 모듈수용체(110)의 공기유입공(114) 하부측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해수의 감지시 측정된 기압데이터 값은 버리고 해수의 감지가 없는 경우의 기압데이터 값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감지센서(150) 및 모듈수용체(110)의 공기유입공(114)이 형성된 외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내형 나사산(164)이 형성된 상호 나사 결합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모듈커버(16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는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상부를 커버하는 해치커버(12)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어 모듈수용체(110) 하단에 형성된 튜브결합노즐(116)에 결합되는 기압센서용 튜브(32)를 통해 해양 관측용 부이(10) 내측에 설치된 기압센서(30)와 연결되어진다. 이때, 기압센서(30)는 해양 관측용 부이(1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는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한편 상향으로 안내된 외부공기를 튜브결합노즐(116)로 안내하여 튜브결합노즐(116)에 결합된 기압센서용 튜브(32)를 통해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내부에 구성된 기압센서(30)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해양 관측용 부이(10)가 투하된 해당 수역의 기압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모듈수용체(110)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해수감지센서(150)가 설치되어 있어 높은 파도에 의해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가 침수되는 경우 해수를 감지하게 된다. 즉, 해수감지센서(150)는 해수의 유무를 감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해수감지센서(150)는 해수감지센서(150)가 침수될 정도의 높은 파도에 의해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가 침수되는 경우 해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해양 관측용 부이(10) 내부에 구성된 제어부(20)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20)로 하여금 해수의 감지 시간 동안 기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된 기압데이터는 버리고, 해수의 감지 신호가 없는 시간 동안 기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된 기압데이터만을 취하여 해양 관측용 부이가(10) 투하된 해당 수역의 기압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기압센서(30)와 해수감지센서(150)는 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기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된 기압데이터에 대한 신호와 해수감지센서(150)에 의해 감지되는 해수의 유무에 대한 감지신호가 제어부(20)에 전송된다. 이처럼 제어부(20)에 전송된 기압데이터와 해수의 유무에 대한 감지신호를 통해 제어부(20)는 이를 비교하여 해수의 감지가 없는 시간 동안의 기압데이터만을 취하여 보다 정확한 기압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는 해수의 감지가 없는 시간 동안의 기압데이터만을 취하여 해양 관측용 부이(10)가 투하된 해당 수역의 보다 정확한 기압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측정된 기압데이터는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내부에 구성된 통신모듈을 통해 메인서버에 수집 저장되어 해양 관측용 부이(10)가 투하된 해당 수역의 기상을 예측 및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모듈수용체(110)는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를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해치커버(12) 상부 일측에 설치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듈수용체(110)는 도 1, 도 2 그리고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외주면에 외형 나사산(112)이 돌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형 나사산(112)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공기유입공(114)과 하단 중심에 형성되어 기압센서용 튜브(32)가 결합되는 튜브결합노즐(116)이 구비되어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듈수용체(110)의 구성에서 외형 나사산(112)은 모듈수용체(110)의 외주면에 비해 돌출 형성되어지되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공기유입공(114)에 비해 상부측에 형성되어진다. 이처럼 외형 나사산(112)을 모듈수용체(110)의 외주면에 비해 돌출 형성하는 것은 외형 나사산(112)에 대응하여 내주면 상에 내형 나사산(164)이 돌출 형성된 모듈커버(160)를 모듈수용체(110)의 상부측으로 나사 결합시 공기유입공(114)이 형성된 모듈수용체(110)의 외주면과 모듈커버(160)의 내형 나사산(164) 하부측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되어 이 간극을 통해 외부공기가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듈수용체(110)의 구성에서 공기유입공(114)은 외형 나사산(112)의 하부측 모듈수용체(110)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동일 원주 상에 동일 간격으로 2∼5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유입공(114)으로는 외부공기 뿐만아니라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가 파도에 침수될시 해수의 유입도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듈수용체(110)를 구성하는 튜브결합노즐(116)은 모듈수용체(110)의 하단 중심에 형성되어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내부측에 구성된 기압센서(30)에 연결된 기압센서용 튜브(32)의 일단이 결합되어진다. 즉, 튜브결합노즐(116)은 튜브결합노즐(116)을 통해 기압센서(30)와 연결되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후술하는 공기안내모듈(120)을 통해 튜브결합노즐(116)로 유출되는 공기를 기압센서용 튜브(32)를 경유하여 기압센서(30)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해양 관측용 부이(10)가 투하된 해당 수역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안내모듈(120)은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튜브결합노즐(116)로 안내하여 튜브결합노즐(116)에 결합된 기압센서용 튜브(32)를 통해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내부에 구성된 기압센서(30)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기안내모듈(120)은 도 1, 도 5,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수용체(110)의 상부를 통해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한편 상향으로 안내된 외부공기를 튜브결합노즐(116)로 안내하여 기압센서용 튜브(32)를 통해 기압센서(30)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해양 관측용 부이(10)가 투하된 해당 수연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안내모듈(1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공기안내모듈(120)은 모듈수용체(110)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샤프트 로드(121), 모듈수용체(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샤프트 로드(12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원주면 상에는 오링홈(122a)이 형성되어 모듈수용체(110)의 내측인 튜브결합노즐(116) 상부로 안착되는 피스톤 형태의 하부 고정체(122), 모듈커버(16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샤프트 로드(1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는 멤브레인(130)이 안착되어지되 샤프트 로드(121)에 인접한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모듈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공(123a)과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오링홈(123b)이 구성되어 모듈수용체(110)의 상단에 지지되는 피스톤 형태의 상부 고정체(123), 상부 고정체(123)의 상단 중심으로부터 샤프트 로드(121)와 하부 고정체(122)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부 고정체(123)의 공기 안내공(123a)과 멤브레인(130)을 통해 모듈커버(160)의 내부로 안내된 공기를 튜브결합노즐(116)의 노즐공(116a)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공기 유출공(124) 및 상·하부 고정체(122, 123) 각각의 오링홈(122a, 123b) 상에 결합되어 모듈커버(160)의 내주면과 상부 고정체(123)의 외주면 사이 그리고 모듈수용체(110)의 내주면과 하부 고정체(122)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링(125)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기안내모듈(120)의 구성에서 상부 고정체(123)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공기 안내공(123a)과 무게추(140)의 상향 유입공(142)은 수직의 동일 중심선 상에 형성되고, 공기안내모듈(110)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 유출공(124)은 무게추(140)의 하향 유출공(144) 및 튜브결합노즐(116)과 수직의 동일 중심선 상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기안내모듈(120)은 하부 고정체(122)가 모듈수용체(11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결합노즐(116) 상부측의 모듈수용체(110) 내부의 바닥면 상에 안착된다. 이때, 상부 고정체(123)의 외경은 모듈수용체(110)의 내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부 고정체(123) 하단면은 모듈수용체(110)의 상단면 상에 지지되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오링(125)이 체결된 상태로 모듈수용체(110) 내부의 바닥면 상에 안착되는 하부 고정체(122)의 외주면과 모듈수용체(110)의 내주면 사이에는 기밀이 이루어져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나 해수가 하부 고정체(122)의 외주면과 모듈수용체(110)의 내주면 사이를 통해 튜브결합노즐(116)로 누수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물론, 앞서 기술한 모듈수용체(110)의 상부측으로 모듈커버(160)를 나사 결합시 오링(125)이 체결된 상태로 모듈커버(160)의 내주면으로 수용되는 상부 고정체(123)의 외주면과 모듈커버(160) 내주면 사이에도 기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나 해수가 상부 고정체(123)의 외주면과 모듈커버(160) 내주면 사이로 누수되는 경우 역시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듈수용체(110)와 모듈커버(160) 사이는 모듈수용체(110)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외형 나사산(112)과 모듈커버(160)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내형 나사산(112)의 나사 결합에 의해 기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나 해수가 모듈수용체(110)와 모듈커버(160) 사이로 누수되는 경우 역시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기안내모듈(120)에 의한 공기의 흐름과정을 살펴보면 도 6a 및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하부 고정체(122)와 상부 고정체(123) 사이의 모듈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계속적인 유입에 의해 하부 고정체(122)와 상부 고정체(123) 사이의 모듈수용체(110) 내부에 공기압이 발생됨으로써 상부 고정체(123)의 양측에 형성되는 공기 안내공(123a)을 통해 상향으로 안내되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고정체(123)의 양측에 형성되는 공기 안내공(123a)을 통해 상향으로 안내되어진 외부공기는 도 6a 및 도 7a 에서와 같이 상부 고정체(123)의 상면에 안착된 멤브레인(130)을 경유하여 멤브레인(130) 상부측에 장착되는 무게추(140)의 상향 유입공(142)을 통해 무게추(140) 상부면과 모듈커버(160) 내측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면과 모듈커버(160) 내측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외부공기의 계속적인 유입에 따라 상부면과 모듈커버(160) 내측 상부면 사이의 공간에도 공기압이 발생되면서 상부면과 모듈커버(160) 내측 상부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도 6b 및 도 7b 에서와 같이 무게추(140)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하향 유출공(144)을 통해 멤브레인(130)을 통과하여 공기안내모듈(120)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 유출공(124)으로 하향 유출된다. 이처럼 공기 유출공(124)을 통해 하향으로 유출되는 공기는 모듈수용체(110) 하단의 튜브결합노즐(116)의 노즐공(116a)을 통해 기압센서용 튜브(32)로 유출되어 해양 관측용 부이(10) 내부에 구성된 기압센서(3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해양 관측용 부이(10)가 투하된 해당 수역의 기압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공기안내모듈(120)을 통해 튜브결합노즐(116)의 노즐공(116a)과 기압센서용 튜브(32)로 유출되어 최종적으로 해양 관측용 부이(10) 내부에 구성된 기압센서(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큰 파도에 의해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가 파도에 침수되는 경우 해수가 공기유입공(114)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하부 고정체(122)와 상부 고정체(123) 사이의 모듈수용체(110) 내부에 이미 유입되어 있던 외부공기는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큰 압력을 받기 때문에 매우 빠른 유속으로 기압센서(30)의 내부로 유입되어진다. 이에 따라, 기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되는 기압데이터는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기압데이터라 볼 수 없어 이때의 기압데이터는 노이즈로 간주하여 버린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안내모듈(120)의 구성에 더하여 도 1, 도, 5,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수용체(110)의 공기유입공(114) 위치에 비해 높은 위치의 샤프트 로드(121) 외주면 상에 모듈수용체(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각각의 동일 수평선상 양측에 절개 형성되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안내하는 한편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가 상부 고정체(123)의 공기 안내공(123a)으로 시차를 두고 도달되도록 하는 안내홈(126a)이 구비된 원반 형태의 물막이 원반(126)이 더 구성되어진다.
다시 말해서, 도 6a 및 도 7a 에서와 같이 모듈수용체(110)의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나 해수의 흐름이 하부측 물막이 원반(126)의 안내홈(126)을 통해 상부측으로 유입되어 샤프트 로드(121)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된 다음 상부측 물막이 원반(126)의 안내홈(126a)을 통해 상부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입되는 외부공기나 해수의 흐름이 긴 경로를 돌아 흐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안내모듈(120)의 구성에서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나 해수의 흐름이 하부측 물막이 원반(126)의 안내홈(126)을 통해 상부측으로 유입되어 샤프트 로드(121)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된 다음 상부측 물막이 원반(126)의 안내홈(126a)을 통해 상부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 각각의 물막이 원반(126) 양측에 형성되는 안내홈(126a)은 상하가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하부측 물막이 원반(126)의 안내홈(126a)이 좌우측 또는 전후측으로 형성되면 상부측 물막이 원반(126)의 안내홈(126a)은 전후측 또는 좌우측으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공기유입공(114)은 모듈수용체(110) 내부에 공기안내모듈(120)의 설치 상태에서 공기유입공(114) 하단이 하부 고정체(122)의 상부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모듈수용체(110)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진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하부측 물막이 원반(126)과 하부 고정체(122) 사이의 모듈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114)은 모듈수용체(110) 내부에 공기안내모듈(120)의 설치 상태에서 하부측 물막이 원반(126)과 하부 고정체(122) 사이의 모듈수용체(110) 외주면 동일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공(114)을 모듈수용체(110) 내부에 공기안내모듈(120)의 설치 상태에서 공기유입공(114) 하단이 하부 고정체(122)의 상부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은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가 파도에 침수되는 경우 공기유입공(114)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빠짐이 양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멤브레인(130)은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가 파도에 침수되어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멤브레인(130)의 상부측으로 해수는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만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멤브레인(130)은 도 1,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안내모듈(120)의 상부 고정체(123) 상단면 상에 안착되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해수 중에서 공기만을 통과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안내모듈(120)의 상부 고정체(123) 상단면 상에 안착되는 멤브레인(130)은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해수 중에서 공기만을 멤브레인(130)의 상부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해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기압센서(30)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해수 중에서 공기만을 멤브레인(130)의 상부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공기압에 의한 기압데이터를 측정하여 해수의 감지가 없는 시간 동안의 기압데이터만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안내모듈(120)의 상부 고정체(123) 상단면 상에 안착되는 멤브레인(130)은 공기안내모듈(120)의 상부 고정체(123)의 상단면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무게추(140)는 멤브레인(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해수의 유입시 멤브레인(130)이 들뜨지 않도록 하중을 가하는 것으로, 이러한 무게추(140)는 도 1, 도 5 ,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해수의 유입시 멤브레인(130)이 들뜨지 않도록 하중을 가하되 모듈수용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상향 유입공(142)과 상향으로 안내된 공기를 공기안내모듈(12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된 공기 유출공(124)을 통해 튜브결합노즐(116)로 유출되도록 하는 하향 유출공(14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무게추(140)는 멤브레인(130)의 상부면과 동일한 형태의 원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무게추(140)의 상향 유입공(142)은 공기안내모듈(120)의 상부 고정체(123) 상에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공(123a)과 동일 중심선 상에 형성되고, 무게추(140)의 하향 유출공(144)은 공기안내모듈(120)의 중심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공기 유출공(124) 및 모듈수용체(110)의 튜브결합노즐(116)과 동일 중심선 상에 형성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가하는 무게추(140)는 공기유입공(1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나 해수가 상부 고정체(123)의 공기 안내공(123a)을 통해 유입시 유입되는 공기나 해수에 의해 멤브레인(130)의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만이 멤브레인(13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멤브레인(130)을 통과한 외부공기는 무게추(140)의 상향 유입공(142)을 통해 무게추(140)의 상부면과 모듈커버(160)의 내측 상부면 사이에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유입되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무게추(140)의 상향 유입공(142)을 통해 무게추(140)의 상부면과 모듈커버(160)의 내측 상부면 사이에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유입되어진 외부공기는 무게추(140) 중심에 형성된 하향 유출공(144)을 통해 멤브레인(130)을 통과하여 공기안내모듈(120)의 공기 유출공(124)과 모듈수용체(110)의 듀브결합노즐(116)을 경유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기압센서용 튜브(32)를 통해 기압센서(30)로 유입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해수감지센서(150)는 해수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도 2 그리고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수용체(110)의 공기유입공(114) 하부측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해수의 유무를 감지하되 해수의 감지신호를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제어부(20)에 전송하여 해수의 감지시 측정된 기압데이터 값은 버리고 해수의 감지가 없는 경우의 기압데이터 값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해수감지센서(15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해수감지센서(150)가 침수될 정도의 높은 파도에 의해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가 침수되는 경우 해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해양 관측용 부이(10) 내부에 구성된 제어부(20)에 전송함으로써 해수의 감지 시간 동안 기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된 기압데이터는 버리고, 해수의 감지 신호가 없는 시간 동안 기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된 기압데이터만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압센서(30)에 의해 측정된 기압데이터에 대한 신호와 해수감지센서(150)에 의해 감지되는 해수의 유무에 대한 감지신호가 제어부(20)에 전송되어 기압데이터와 해수의 유무에 대한 감지신호를 통해 제어부(20)는 이를 비교하여 해수의 감지가 없는 시간 동안의 기압데이터만을 취하여 보다 해당 수역의 정확한 기압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모듈커버(160)는 모듈수용체(110)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모듈커버(160)는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수용체(110)의 공기유입공(114)이 형성된 외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외형 나사산(112)에 대응하는 내형 나사산(164)이 내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외형 나사산(112)과 내형 나사산(164)의 상호 나사 결합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상부를 커버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설명하면 모듈커버(160)는 반구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하단면 중심에 하부가 개방되어 내형 나사산(164)이 형성된 커버공간(162)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모듈커버(160)의 하단면 중심에 개방된 커버공간(162)을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의 방사상으로 외부공기나 해수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유로(166)가 더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커버(160)를 반구형의 형태로 형성한 것은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이나 기타의 모듈커버(160)에 부딪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Damp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모듈수용체(110)의 상부로 모듈커버(160)을 나사 결합하게 되면 도 3 내지 도 7 에서와 같이 버섯 모양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수용체(110)의 상부로 모듈커버(160)을 나사 결합하여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관측용 부이(10)의 해치커버(12)에 설치 고정시키게 되면 모듈커버(160)의 하단면과 해치커버(12) 상부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공기나 해수는 모듈커버(160)의 하단면과 해치커버(12) 상부면 사이를 통해 공기유입공(114)으로 유입됨은 물론, 해치커버(12) 상부면과 모듈커버(160)의 하단면 상에 형성된 유로(166) 사이를 통해서도 유입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모듈커버(160)는 도 3, 도 5,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형 나사산(164) 하부측의 커버공간(162)을 통해 모듈수용체(110)의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공(114)을 은닉되게 하여 모듈수용체(110)의 외주면과 커버공간(162) 하부측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모듈수용체(110)의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공(114)은 모듈수용체(110)의 상부로 나사 결합되는 모듈커버(160)의 커버공간(162)에 의해 은닉되어지되 모듈수용체(110)의 외주면과 커버공간(162) 하부측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모듈커버(160)는 커버공간(162) 내주면과 상부 고정체(123)의 외주면에 체결된 오링(125)과의 밀착을 통해 기밀되어 모듈커버(160)의 커버공간(162) 내주면과 상부 고정체(123) 외주면 사이로 유입된 공기의 누수가 방지된다. 그리고, 모듈수용체(110) 외주면 상의 외형 나사산(112)과 모듈커버(160) 내주면 상의 내형 나사산(164) 상호의 나사 결합에 의해 기밀이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는 멤브레인(130)과 무게추(140)를 정위치시키는 정위치 고정수단이 더 구성된다. 이러한 정위치 고정수단은 도 1, 도 5,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체(123) 상단면의 공기 유출공(124) 입구에 인접한 전방 또는 후방측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정위치 고정돌기(170) 및 정위치 고정돌기(170)에 대응하여 멤브레인(130)과 무게추(140)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정위치 고정돌기(170)의 삽입에 의해 멤브레인(130)과 무게추(140)를 정위치시키는 정위치 고정홈(172, 17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위치 고정수단은 상부 고정체(123) 상단면의 정위치 고정돌기(170)에 정위치 고정홈(172, 174)을 통해 차례로 끼워지는 멤브레인(130)과 무게추(140)를 유동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양호한 기압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해수의 감지시 측정된 기압데이터 값은 버리고 해수의 감지가 없는 경우의 기압데이터 값만을 수득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해당 수역의 보다 더 정확한 기압데이터 값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풍의 발생 위치나 위력 및 태풍의 예상 진행경로 등의 판단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해양 관측용 부이 12. 해치커버
20. 제어부 30. 기압센서
32. 기압센서용 튜브
100.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110. 모듈수용체
112. 외형 나사산 114. 공기유입공
116. 튜브결합노즐 120. 공기안내모듈
121. 샤프트 로드 122. 하부 고정체
122a. 오링홈 123. 상부 고정체
123a. 공기 안내공 124. 공기 유출공
125. 오링 126. 물막이 원반
126a. 안내홈 130. 멤브레인
140. 무게추 142. 상향 유입공
144. 하향 유출공 150. 해수감지센서
160. 모듈커버 164. 내향 나사산
170. 정위치 고정돌기 172, 174. 정위치 고정홈

Claims (10)

  1. 상부측 외주면에 외형 나사산이 돌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형 나사산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공기유입공과 하단 중심에 형성되어 기압센서용 튜브가 결합되는 튜브결합노즐이 구비되어 해양 관측용 부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모듈수용체;
    상기 모듈수용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한편 상향으로 안내된 외부공기를 튜브결합노즐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모듈;
    상기 공기안내모듈의 상단면 상에 안착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해수 중에서 공기만을 통과시키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해수의 유입시 멤브레인이 들뜨지 않도록 하중을 가하되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상향 유입공과 상향으로 안내된 공기를 공기안내모듈의 중심을 통해 튜브결합노즐로 유출되도록 하는 하향 유출공이 형성된 무게추;
    상기 모듈수용체의 공기유입공 하부측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해수의 유무를 감지하되 해수의 감지신호를 해양 관측용 부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해수의 감지시 측정된 기압데이터 값은 버리고 해수의 감지가 없는 경우의 기압데이터 값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감지센서; 및
    상기 모듈수용체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외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외형 나사산에 대응하는 내형 나사산이 내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외형 나사산과 내형 나사산의 상호 나사 결합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일정길이의 모듈커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모듈은 모듈수용체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샤프트 로드;
    상기 모듈수용체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샤프트 로드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원주면 상에는 오링홈이 형성되어 모듈수용체의 내측인 튜브결합노즐 상부로 안착되는 피스톤 형태의 하부 고정체;
    상기 모듈커버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샤프트 로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는 멤브레인이 안착되어지되 샤프트 로드에 인접한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모듈수용체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공과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오링홈이 구성되어 모듈수용체의 상단에 지지되는 피스톤 형태의 상부 고정체;
    상기 상부 고정체의 상단 중심으로부터 샤프트 로드와 하부 고정체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부 고정체의 공기 안내공과 멤브레인을 통해 모듈커버의 내부로 안내된 공기를 튜브결합노즐의 노즐공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공기 유출공; 및
    상기 상·하부 고정체 각각의 오링홈 상에 결합되어 모듈커버의 내주면과 상부 고정체의 외주면 사이 그리고 모듈수용체의 내주면과 하부 고정체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체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공기 안내공과 무게추의 상향 유입공은 동일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안내모듈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 유출공은 무게추의 하향 유출공과 동일 위치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수용체의 공기유입공 위치에 비해 높은 위치의 샤프트 로드 외주면 상에 모듈수용체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각각의 동일 수평선상 양측에 절개 형성되어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안내하는 한편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가 상부 고정체의 공기 안내공으로 시차를 두고 도달되도록 하는 안내홈이 구비된 원반 형태의 물막이 원반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공을 통해 모듈수용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나 해수의 흐름이 하부측 물막이 원반의 안내홈을 통해 상부측으로 유입되어 샤프트 로드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된 다음 상부측 물막이 원반의 안내홈을 통해 상부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 각각의 물막이 원반 양측에 형성되는 안내홈은 상하가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체 상단면의 공기 유출공에 인접한 전방 또는 후방측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정위치 고정돌기; 및
    상기 정위치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멤브레인과 무게추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정위치 고정돌기의 삽입에 의해 멤브레인과 무게추를 정위치시키는 정위치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정위치 고정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공은 모듈수용체 내부에 공기안내모듈의 설치 상태에서 공기유입공의 하단이 하부 고정체 상부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모듈수용체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수용체의 외주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공은 모듈수용체의 상부로 나사 결합되는 모듈커버의 하단부에 의해 은닉되어지되 모듈수용체의 외주면과 모듈커버 하단부측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반구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하단면 중심에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내형 나사산이 형성된 커버공간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의 하단면 중심에 개방된 커버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의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외부공기나 해수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유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KR1020130055079A 2013-05-15 2013-05-15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KR10128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79A KR101285139B1 (ko) 2013-05-15 2013-05-15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79A KR101285139B1 (ko) 2013-05-15 2013-05-15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139B1 true KR101285139B1 (ko) 2013-07-11

Family

ID=4899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079A KR101285139B1 (ko) 2013-05-15 2013-05-15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1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931B1 (ko) 2010-11-04 2011-03-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
KR101121568B1 (ko) 2011-09-30 2012-03-06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관측장비 내장형 중공구체 해양관측용 부이
JP4992406B2 (ja) 2006-12-14 2012-08-0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水上設置装置
JP5115387B2 (ja) 2008-07-31 2013-01-0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観測用漂流ブイの自沈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2406B2 (ja) 2006-12-14 2012-08-0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水上設置装置
JP5115387B2 (ja) 2008-07-31 2013-01-0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観測用漂流ブイの自沈没装置
KR101025931B1 (ko) 2010-11-04 2011-03-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
KR101121568B1 (ko) 2011-09-30 2012-03-06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관측장비 내장형 중공구체 해양관측용 부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547B1 (ko) Iot 기반 스마트 부표
KR101025931B1 (ko)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
US7690247B1 (en) Autonomous biobuoy for detecting a characteristic of a marine biospher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biobuoy
CN108387713B (zh) 一种海底沉积物测试装置、贯入系统与贯入方法
KR101841594B1 (ko)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KR20150146036A (ko) 지하수 관측용 모니터링 프로브
KR101121568B1 (ko) 관측장비 내장형 중공구체 해양관측용 부이
CN111505060B (zh) 一种海洋皮肤层盐度测量浮标
CN115453604B (zh) 一种全海深氡浓度原位测量装置及测量方法
RU83481U1 (ru)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сигнализатор уровня поступающей забортной морской воды
KR101418737B1 (ko) 해상구조물 시공용 조류 및 조위 측정장치
KR101982927B1 (ko) 수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권 모니터링 장치
WO2009114722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cepting submarine groundwater for desalination
KR102052014B1 (ko) 다기능 위치추적체
KR101285139B1 (ko) 해양 관측 부이용 기압계 모듈 어셈블리
CN114088066B (zh) 一种用海动态监测方法及其使用的设备
CN109733539B (zh) 一种海洋环境监测用辅助机构及其使用方法
KR102635188B1 (ko) 부유식 수위 계측장치를 이용한 저수지 수위 모니터링 시스템
US9772288B1 (en) Autonomous biobuoy systems and methods
EP4202179A1 (en) A method of detecting and locating a co2 leak from a seabed
KR20100024701A (ko) 해수 연직구조 관측장치
JP6212941B2 (ja) 計測センサ、計測システムおよび計測方法
RU2344962C1 (ru) Автономная буйковая придонная станция
Annunziatellis et al. CO2Net: A marine monitoring system for CO 2 leakage detection
Schwithal et al. Development of a new Lagrangian float for studying coastal marine eco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