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124B1 -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124B1
KR101285124B1 KR1020110106447A KR20110106447A KR101285124B1 KR 101285124 B1 KR101285124 B1 KR 101285124B1 KR 1020110106447 A KR1020110106447 A KR 1020110106447A KR 20110106447 A KR20110106447 A KR 20110106447A KR 101285124 B1 KR101285124 B1 KR 10128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desorbent
adsorption
sulfur oxide
hydrocarbon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262A (ko
Inventor
김종남
고창현
한상섭
박종호
범희태
정태성
김경록
유재욱
김용운
노명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1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265Adsorption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2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itioning of the sorbent material
    • B01D15/203Equilibration 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5Regenerating or reactivating using a particular desorbing compound or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여 저유황 경유를 생산하는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에 있어서, 황산화물의 동적 흡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한 황산화물 제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DESORBENT FOR CONTINUOUS ADSORPTIVE REMOVAL PROCESS OF SULFUR-OXIDATED COMPOUNDS, AND REMOVAL METHODS OF SULFUR-OXIDATED COMPOUNDS FROM HYDROCARBON STREA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여 저유황 경유를 생산하는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에 있어서, 황산화물의 동적 흡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한 황산화물 제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시의 대기오염은 자동차 배기가스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대기 환경 개선을 위하여 경유의 황 함량 규제가 강화되고 있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몇 개국에서는 경유의 황 함량을 10ppm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원유를 정제하는 정유공장에는 상압증류공정(CDU), 감압증류공정(VDU), 중질유접촉분해공정(RFCC), 중질유수첨분해공정 (HCR) 등 다양한 공정들에서 탄화수소의 성상에 따라 여러 종류의 스트림을 생산하며, 이들 스트림에는 100∼20,000 ppm의 황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 경유, 제트유 등은 상기 여러 종류의 스트림으로부터 황화합물을 제거한 후 이들을 용도에 맞게 혼합하여 생산된다.
지금까지 황화합물 제거 기술은 탄화수소 스트림에 수소를 첨가한 후, 고온, 고압에서 촉매를 이용하여 황화합물 중에 있는 황과 수소를 반응시켜 황화수소(H2S)로 전환함으로써 황을 제거하는 수첨탈황 공정(hydrodesulfurization)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기술은 4,6-DMDBT(4,6-dimethyldibenzothiophene)과 같이 황 주변에 메틸기 등이 있어 입체 장해가 있는 황화합물의 경우에는 고심도 탈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황화합물을 산화하여 술폰이나 술폭사이드와 같은 황산화물로 전환한 후, 상기 황산화물을 흡착 또는 추출로 제거하는 산화탈황공정(oxidative desulfurization)이 개발되었다.
미국 특허 제 7,186,328 B1(UOP LLC)와 미국 특허 제 7,452,459 B2(UOP LLC)에서는 황산화물이 들어 있는 탄화수소 스트림을 황산화물 선택적 흡착제가 충전된 흡착탑으로 도입하여 황산화물을 흡착시킴으로써 황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킨 탄화수소 스트림을 생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때 탈착제를 상기 황산화물을 흡착한 흡착제에 도입하여 흡착된 황산화물을 탈착시킴과 동시에 흡착제를 재생하게 된다.
상기 특허에서는 황산화물 흡착제로 활성탄(activated charcoal), 하이드로탈사이트, 이온교환수지, 제올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 겔이나 이들의 혼합물 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탈착제로는 펜탄, 헥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 또는 이들 혼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흡/탈착제를 이용한 황산화물 제거 공정은 흡, 탈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흡착제의 황산화물 흡착량을 계속하여 높게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사용되는 탈착제들과는 달리 흡착, 탈착이 반복되는 연속공정에서 흡착제의 황산화물 흡착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한 황산화물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연속적으로 흡/탈착하는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에 사용되는 탈착제로서, DME(dimethyl ether) 또는 DMC(dimethyl carbonat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착제를 사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ⅰ) 황산화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흡착하는 단계, ⅱ) 상기 흡착된 황산화물을 DME(dimethyl ether) 또는 DMC(dimethyl carbonat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탈착제로 탈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는 단계, 및 ⅲ) 상기 탈착된 황산화물과 탈착제의 혼합물로부터 탈착제를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을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탈착제는 헥산 또는 벤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탈착이 40∼90℃, 1∼20 barg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증류탑에서 분리 에너지가 작아질 수 있도록 증발잠열이 500 kJ/kg 이하이고, 비점이 황화합물 산화반응온도인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황산화물의 흡착과 탈착이 반복되는 연속공정에서도 흡착제의 황산화물 흡착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어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화합물을 효율적이고 제거할 수 있다.
도 1 - 일반적인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도
도 2 - 아세톤(acetone)을 탈착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파과 흡착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3 - 노말 부탄을 탈착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파과 흡착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 - 노말 펜탄을 탈착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파과 흡착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 - DCM(dichloromethane)를 탈착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파과 흡착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 - DME(dimethyl ether)를 탈착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파과 흡착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7 - DMC(dimethyl carbonate)를 탈착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파과 흡착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8 -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탈착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파과 흡착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한 황산화물 제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공정은 도 1과 같이 먼저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를 황산화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실리카 겔 등)가 충전된 흡착탑으로 도입하여 황산화물을 흡착하고 황산화물 함량이 감소한 저유황 탄화수소 스트림을 탑 출구로 배출하여 제품으로 생산한다.
이때, 황산화물 흡착을 완료한 흡착탑으로 탈착제를 도입하여 흡착된 황산화물을 탈착시키어 흡착제를 재생하며, 황산화물 탈착시 흡착탑에서 배출되는 탈착제와 황산화물의 혼합물은 증류탑으로 도입하여 황산화물과 탈착제를 분리하여 탈착제를 재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황산화물의 연속적인 흡,탈착 과정이 반복되면서 흡착제의 황산화물 흡착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연속적인 흡, 탈착 공정에서도 흡착제의 황산화물 흡착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DME(dimethyl ether) 또는 DMC(dimethyl carbonat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탈착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탈착제는 탈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헥산 또는 벤젠을 추가로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탈착제를 사용하여 흡, 탈착 공정을 연속적으로 시행할 경우, 하기 실시 예들에서 볼 수 있듯이 정상상태에서의 흡착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 반응은 사용되는 탈착제의 종류 및 혼합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0~90℃, 1~12 barg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탈착제는 증류탑에서 분리 에너지가 작아질 수 있도록 증발잠열이 500 kJ/k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비점이 황화합물 산화반응 온도인 120o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탈착제를 사용한 연속적 흡, 탈착과정에서의 파과 흡착량 비교 실험예들을 살펴본다. 여기서 파과 흡착량은 흡착탑 출구에서 배출되는 황산화물이 제거된 탄화수소 스트림의 황농도가 10 ppm을 넘어서기 전까지의 단위 흡착제당 저농도 탄화수소 스트림 생산량을 지칭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탈착제 선정
본 발명의 DME(dimethyl ether), DMC(dimethyl carbonate),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와 흡착량 유지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탈착제들을 선정하기 위하여, 표 1과 같이 증발잠열이 작으며 비점이 황화합물 산화반응온도인 120℃보다 낮은 물질들을 선정하였다.
 이 름 증발잠열(kJ/kg) 비점(℃)
DME (dimethyl ether) 466.9 -23.7
DMC (dimethyl carbonate) 369.0 80.1
MTBE (methyl tertiary butyl ether) 318.8 55.2
Acetone 501.4 56.0
butane 320.0 -0.5
pentane 357.2 36.3
DCM (dichloromethane) 363.8 39.6
[실시예 2] 파과 흡착량 변화 측정
1. 아세톤(acetone)
실리카겔(A 또는 B)이 10~11 그램(g) 충전된 흡착탑(내경 10.9 mm)으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 스트림 (황농도 160 ppm, 비점 범위 190~360℃)을 0.5 ml/min로 도입하면서 흡착탑 출구에서 배출되는 스트림의 황농도를 측정하는 파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황산화물을 흡착한 다음에 탈착제로 acetone을 사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다시 흡착하는 실험을 반복하였을 때에 파과 흡착량 6 g/g에서 정상상태에 도달하였다.
상기 황산화물 흡착은 25℃, 1 barg에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스트림을 0.5 ml/min로 공급하면서 수행하였고, 아세톤을 이용한 탈착은 25℃, 1 barg에서 0.5 ml/min로 5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2. 노말 부탄(n-butane)
실리카겔(A 또는 B)이 10~11 그램(g) 충전된 흡착탑(내경 10.9 mm)으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 스트림 (황농도 160 ppm, 비점 범위 190~360℃)을 0.5 ml/min로 도입하면서 흡착탑 출구에서 배출되는 스트림의 황농도를 측정하는 파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황산화물을 흡착한 다음에 탈착제로 노말부탄(n-butane)을 사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다시 황산화물을 흡착하는 실험을 반복하였을 때에 파과 흡착량 2 g/g에서 정상상태에 도달하였다.
상기 황산화물 흡착은 25℃, 1 barg에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스트림을 0.5 ml/min로 공급하면서 수행하였고, 노말부탄을 이용한 탈착은 160℃, 45 barg에서 1.0 ml/min로 2.5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3. 노말 펜탄(n-pentane)
실리카겔(A 또는 B)이 10~11 그램(g) 충전된 흡착탑(내경 10.9 mm)으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 스트림 (황농도 160 ppm, 비점 범위 190~360℃)을 0.5 ml/min로 도입하면서 흡착탑 출구에서 배출되는 스트림의 황농도를 측정하는 파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황산화물을 흡착한 다음에 탈착제로 노말 펜탄(n-pentane)을 사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다시 황산화물을 흡착하는 실험을 반복하였을 때에 3차 흡착에서 파과 흡착량이 4 g/g으로 감소하였다.
상기 황산화물 흡착은 25℃, 1 barg에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스트림을 0.5 ml/min로 공급하면서 수행하였고, 노말 펜탄을 이용한 탈착은 150℃, 19 barg에서 0.5 ml/min로 5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4. DCM (dichloromethane)
실리카겔(A 또는 B)이 10~11 그램(g) 충전된 흡착탑(내경 10.9 mm)으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 스트림 (황농도 160 ppm, 비점 범위 190~360℃)을 0.5 ml/min로 도입하면서 흡착탑 출구에서 배출되는 스트림의 황농도를 측정하는 파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황산화물을 흡착한 다음에 탈착제로 DCM을 사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다시 황산화물을 흡착하는 실험을 반복하였을 때에 4차 흡착에서 파과 흡착량이 7 g/g으로 감소하였다.
상기 황산화물 흡착은 25℃, 1 barg에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스트림을 0.5 ml/min로 공급하면서 수행하였고, DCM을 이용한 탈착은 100℃, 10 barg에서 1.0 ml/min로 2.5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5. DME(dimethyl ether)
실리카겔-B를 7.1 g 그램(g) 충전된 흡착탑(내경 10.9 mm)으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 스트림 (황농도 158ppm, 비점 범위 190~360℃)을 0.5 ml/min로 도입하면서 흡착탑 출구에서 배출되는 스트림의 황농도를 측정하는 파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황산화물을 흡착한 다음에 탈착제로 DME을 사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다시 황산화물을 흡착하는 실험을 반복하였을 때에 정상상태에서 파과 흡착량이 14 g/g 정도로 매우 높았다.
상기 황산화물 흡착은 40℃, 1 barg에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스트림을 0.5 ml/min로 공급하면서 수행하였고, DME을 이용한 탈착은 40℃, 12 barg에서 0.5 ml/min로 1.5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6. DMC(dimethyl carbonate)
실리카겔-B를 7.1 g 그램(g) 충전된 흡착탑(내경 10.9 mm)으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 스트림 (황농도 158ppm, 비점 범위 190~360℃)을 0.5 ml/min로 도입하면서 흡착탑 출구에서 배출되는 스트림의 황농도를 측정하는 파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황산화물을 흡착한 다음에 탈착제로 DMC을 사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다시 황산화물을 흡착하는 실험을 반복하였을 때에 정상상태에서 파과 흡착량이 14 g/g 정도로 매우 높았다.
상기 황산화물 흡착은 40℃, 1 barg에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스트림을 0.5 ml/min로 공급하면서 수행하였고, DMC를 이용한 탈착은 40℃, 1 barg에서 0.5 ml/min로 1.5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7.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
실리카겔-B를 7.1 g 그램(g) 충전된 흡착탑(내경 10.9 mm)으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 스트림 (황농도 158ppm, 비점 범위 190~360℃)을 0.5 ml/min로 도입하면서 흡착탑 출구에서 배출되는 스트림의 황농도를 측정하는 파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황산화물을 흡착한 다음에 탈착제로 MTBE을 사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다시 황산화물을 흡착하는 실험을 반복하였을 때에 정상상태에서 파과 흡착량이 14 g/g 정도로 매우 높았다.
상기 황산화물 흡착은 40℃, 1 barg에서 황산화물 함유 탄화수소스트림을 0.5 ml/min로 공급하면서 수행하였고, MTBE를 이용한 탈착은 40℃, 1 barg에서 0.5 ml/min로 1.5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DME(dimethyl ether), DMC(dimethyl carbonate),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황산화물의 흡착과 탈착이 반복되는 연속공정에서도 흡착제의 황산화물 흡착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연속적으로 흡, 탈착하는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에 사용되는 탈착제로서,
    DME(dimethyl ether) 또는 DMC(dimethyl carbonat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헥산 또는 벤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이 40~90℃, 1~20 barg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증발잠열이 500 kJ/kg 이하이고, 비점이 황화합물 산화반응온도인 120o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5. ⅰ) 황산화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흡착하는 단계,
    ⅱ) 상기 흡착된 황산화물을 DME(dimethyl ether) 또는 DMC(dimethyl carbonat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탈착제로 탈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는 단계, 및
    ⅲ) 상기 탈착된 황산화물과 탈착제의 혼합물로부터 탈착제를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가 헥산 또는 벤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단계가 40~90℃, 1~20 barg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의 증발잠열이 500 kJ/kg 이하이고, 비점이 황화합물 산화반응온도인 120o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KR1020110106447A 2011-10-18 2011-10-18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KR10128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447A KR101285124B1 (ko) 2011-10-18 2011-10-18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447A KR101285124B1 (ko) 2011-10-18 2011-10-18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262A KR20130042262A (ko) 2013-04-26
KR101285124B1 true KR101285124B1 (ko) 2013-07-18

Family

ID=4844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447A KR101285124B1 (ko) 2011-10-18 2011-10-18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11B1 (ko) * 2017-01-24 2018-06-19 (주)원익머트리얼즈 플루오르화붕소 정제방법
KR20210122590A (ko) 2020-04-01 2021-10-1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탄화수소 유분으로부터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2477A (ja) 1999-06-11 2003-01-21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超低硫黄炭化水素ストリームを生成させるための吸着方法
KR100651356B1 (ko) * 2002-03-29 2006-11-28 에스케이 주식회사 중질 탄화수소 및 탈아스팔트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방법
US7186328B1 (en) * 2004-09-29 2007-03-06 Uop Llc Process for the regeneration of an adsorbent bed containing sulfur oxidated compounds
KR20090020777A (ko) * 2007-08-24 2009-02-27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석유계 유분으로부터의 황 및 질소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2477A (ja) 1999-06-11 2003-01-21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超低硫黄炭化水素ストリームを生成させるための吸着方法
KR100651356B1 (ko) * 2002-03-29 2006-11-28 에스케이 주식회사 중질 탄화수소 및 탈아스팔트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방법
US7186328B1 (en) * 2004-09-29 2007-03-06 Uop Llc Process for the regeneration of an adsorbent bed containing sulfur oxidated compounds
KR20090020777A (ko) * 2007-08-24 2009-02-27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석유계 유분으로부터의 황 및 질소제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11B1 (ko) * 2017-01-24 2018-06-19 (주)원익머트리얼즈 플루오르화붕소 정제방법
KR20210122590A (ko) 2020-04-01 2021-10-1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탄화수소 유분으로부터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262A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3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chemical separations
EP2158020B1 (en) 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natural gas from natural gas comprising water and carbon dioxide
EP2190787B1 (en) Removal of residual sulfur compounds from a caustic stream
US7306651B2 (en) Method for treatment of a gaseous mixture comprising hydrogen and hydrogen sulphide
US5120515A (en) Simultaneous dehydration and removal of residual impurities from gaseous hydrocarbons
US20180272269A1 (en) Acid gas removal with an absorption liquid that separates in two liquid phases
US6521020B2 (en) Claus feed gas hydrocarbon removal
US20060131217A1 (en) Process for desulphurizing a hydrocarbon cut in a simulated moving bed
EA009588B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из газовых потоков серосодержащих соединений, в том числе сероводорода и меркаптанов
CA2374660A1 (en) Adsorption process for producing ultra low sulfur hydrocarbon streams
US4329160A (en) Suppression of COS formation in molecular sieve purification of hydrocarbon gas streams
KR101285124B1 (ko) 연속적 황산화물 흡착 제거 공정용 탈착제 및 이를 이용하여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
CA3102348A1 (en) Multi-stage psa process to remove contaminant gases from raw methane streams
US6508863B1 (en) Claus feed gas hydrocarbon removal
WO2018080667A1 (en) Process for removing oxygenates from naphtha
US9012712B1 (en) Adsorption of acid gases
EP3808431A1 (en) Process and plant for deacidifying a fluid stream comprising sulfur compounds, including organic sulfur compounds
KR100849987B1 (ko) 유동층접촉분해 배가스로부터 에틸렌 농축 기술
Fayzullaev et al. Cleaning of natural gas from sulphur preservative compounds
CA2165378A1 (en) Purification of natural gas
KR101362939B1 (ko) 메탄올을 극성용매로하는 2단계 흡착을 이용한 황산화물 분리공정
WO2016075033A1 (en) Process for removing a small-molecule contaminant from a chlorine compound stream
WO2022132602A1 (en) Hydrocarbon recovery unit with recycle loop for adsorbent bed regeneration
US8882887B2 (en) Process stream desulfurization
KR101331413B1 (ko) 황산화물 흡착을 위한 산 처리된 실리카 기반 흡착제 및 그 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