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530B1 -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530B1
KR101284530B1 KR1020120128250A KR20120128250A KR101284530B1 KR 101284530 B1 KR101284530 B1 KR 101284530B1 KR 1020120128250 A KR1020120128250 A KR 1020120128250A KR 20120128250 A KR20120128250 A KR 20120128250A KR 101284530 B1 KR101284530 B1 KR 10128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logical
sample
peroxid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석
박보미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3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zo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합성수지 경화법에서 사용하는 합성수지보다 적은 분자량의 실리콘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작된 생물학적 영구표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실리콘 중합체를 가교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치환과정의 시간을 놀랍게 단축한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 및 이의 용도{Exchange reagent for biological permanent specimen and use of thereof}
본 발명은 생물학적 영구표본을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표본의 형태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 조직 및 세포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대체할 물질로 사용되는 치환제 및 상기 치환제를 이용하여 치환과정의 시간을 놀랍게 단축한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초, 중, 고등학교 생물학수업, 수의학 및 동물 관련학과에서 동물구조 및 기능관련 강의는 동물을 직접 해부하는 것이 가장 좋은 수업방법이나 교육여건으로 인해 해부실습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생물표본이 제작 활용되고 있는데 특히, 발암물질인 포르말린액에 침지된 유리 표본병 내 표본은 파손 위험성이 높고 탈색되며 액체와 표본병의 굴곡으로 시인성이 나빠 수업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생물표본은 식물, 동물, 곤충 등의 생물을 건조하는 방법, 박제하는 방법, 액침하는 방법, 합성수지로 경화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하며, 이를 학습자료용, 전시용, 장식용, 기념품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생물표본의 제조방법은 표본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생물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생물표본은 생물의 종류에 따라 크게 식물, 곤충, 동물로 구분하며 현미경 관찰을 위한 미생물이나 생물조직도 포함된다.
먼저, 건조하는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생물표본 제조방법의 하나로서 주로 해조류, 초본, 목본 등의 식물과 곤충류의 표본제작에 이용된다. 식물의 표본 제작은 식물체를 채취하여 신문지 등의 종이 사이에 식물체를 넣고 고정한 다음, 일주일 내외의 기간 동안 새로운 종이로 교환하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분을 제거한 다음에는 이를 적정한 크기의 고정판에 고정하고 식물체의 이름, 채집 장소, 채집자 등의 사항을 기재하여 표본을 완성한다. 곤충의 표본제작은 주로 채집한 곤충에 핀을 꽂은 다음, 외형을 고정시킬 수 있는 틀에서 날개, 다리 등의 모양을 만들고 이를 공기 중에서 자연 건조시켜 제조한다. 건조표본은 특별한 장비 없이도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건조표본은 제작 과정과 보관과정에서 탈색, 부패, 수축으로 인한 원형의 형태변성 등의 문제점이 있고, 식물표본의 경우는 원형을 보존하기 어려우며 제작기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건조표본은 수분을 제거한 상태이기는 하나 보존 과정 중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한 부패, 개미 등의 미세곤충에 의한 손실 등이 빈번하여 장기간 보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박제하는 방법은 주로 조류나 포유류 등 수분함량이 많은 대형 동물의 표본제작 방법이다. 박제의 제작 과정은 동물의 내장과 근육 등 수분함량이 높은 부위를 제거하고 방부 처리를 한 다음 그 공간을 부패성이 없는 물질로 충진하고 이를 건조하여 외형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박제의 제작에는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며 제작비용 또한 매우 높다.
다음으로, 액침하는 방법은 식물의 과실, 동물의 장기, 연체동물 등 수분함량이 높고 건조 등의 처리에 의해서 형태보존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되는 표본제조 기법이다. 제조방법은 해당 시료를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병에 넣고 보존액을 부은 다음 밀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존액은 생물의 종류와 표본제작 목적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40 ~ 80%의 에탄올이나 20 ~ 40%의 포르말린 등이 흔히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 아세트산과 같은 산을 가한 액이 사용되기도 한다. 액침표본은 건조표본과는 달리 생물체의 원형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수용액 상의 유리 표본병이나 플라스틱병에 시료를 담가 놓은 형태이므로 유동성이 크며, 보존액으로 사용되는 포르말린 방부용액은 발암물질로 인체에 매우 유해하며, 보존액은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또한 탈색이 진행되어 색의 보존이 불량하여 생물 본래 색상의 보존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보존방법들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경화에 의한 생물표본의 제조방법이 고안되었다. 상기 합성 수지 경화에 의한 생물표본의 제조방법은 생물표본을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용액에 고정하고, 이를 가열하여 수지의 경화를 유도함으로써 생물표본을 투명수지에 고정시키는 제조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생물표본의 보존성과 사용편이성을 개선한 측면이 있으나 여전히 제작방법이 복잡하고, 열에 의한 경화방법으로 표본의 색상 및 위축으로 인해 원형보존이 어려우며, 제작시간도 일주일 정도의 장기간이 소요되며, 다량의 화학물질이 요구되고, 큰 생물표본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생물표본은 교육 목적의 표본제작뿐만 아니라 각종 기념품, 장식 등의 목적으로 수요가 늘고 있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그러나 건조법, 박제, 액침법, 합성수지 경화법 등 종래의 표본 제작방법 및 이로부터 제작된 표본은 각 생물 특성에 따라 제작 방법이 제한되고, 생물 본래의 외형보존이 어려우며, 장기보존이 어렵고, 장기간의 제작기간 및 높은 제조 비용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물표본 고유의 품질특성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고, 생물의 종류나 크기 특성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제작 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생물표본을 직접 만지고 관찰할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하고 반영구적으로 장기 보존이 가능한 새로운 생물표본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은 분자량의 실리콘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며, 생물표본의 고유한 원형과 탄력성을 유지시키고, 손으로 직접 만지고 관찰할 수 있으며, 치환과정의 시간을 단축한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방법 및 상기 제작방법에서 사용한 치환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 중합체 100 중량부, 가교제 1 ~ 10 중량부 및 경화제 0.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를 제공한다.
상기 실리콘 중합체는 분자량이 1,000 ~ 25,0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학적 표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본을 탈수하는 단계; 및
상기 탈수된 표본을 실리콘 중합체 100 중량부, 가교제 1 ~ 10 중량부 및 경화제 0.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시켜 치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치환단계는 상기 표본의 조직과 세포의 형태보존을 위해 상기 용액에 침지하고 진공탱크 내에서 진공 처리하여 12시간 이내로 치환과정이 마무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는 기존의 합성수지 경화법에서 사용하는 합성수지보다 적은 분자량, 상기 치환제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합성수지 경화법의 치환과정에서 나타나는 열에 의한 색변성과 형태변형이 없으며 치환과정의 시간이 기존 방법보다 단축된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방법 및 상기 제작방법에서 사용한 치환제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로 얻어진 개 뒷다리의 생물학적 영구표본이다.
도 2는 실시예 1로 얻어진 개 뒷다리의 생물학적 영구표본인 도 1의 확대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로 얻어진 돼지 심장의 생물학적 영구표본이다.
도 4는 실시예 1로 얻어진 돼지 심장의 생물학적 영구표본으로 우심실과 좌심실 및 방실판막의 관찰을 위한 절개부위 영구표본 및 일부분을 확대한 사진으로 치환제가 완벽하게 침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비교예 1로 얻어진 생물학적 표본으로, 고분자 실리콘으로 한 달간 강제침투 후 일주일간의 가스경화(훈증처리)로 얻어진 돼지 심장의 단면 및 일부분의 확대 사진으로 치환제 침투가 불완전한 상태를 나타냈다.
본 발명은 실리콘 중합체 100 중량부, 가교제 1 ~ 10 중량부 및 경화제 0.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를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중합체 100 중량부, 가교제 1 ~ 5 중량부 및 경화제 0.1 ~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물학적 영구표본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초, 중, 고등학교 및 대학의 교육용으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생물학 수업의 높은 교육성과를 위해 시인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수업시간 중에 직접 손으로 만지고 관찰할 수 있어야 하며, 표본의 이동성과 관리가 쉽고, 영구적 보존이 가능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중합체는 분자량이 1,000 ~ 25,000일 수 있다. 실리콘 중합체의 분자량은 제작하고자 하는 표본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분자량의 실리콘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력성이 요구되는 소장이나 대장 등의 말랑거리는 연부조직 장기는 탄력성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가교제의 혼합비율은 낮추고 높은 분자량의 실리콘 중합체로 강제치환함으로써 장기표본을 실물과 근접하게 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뼈조직은 탈수 후에도 원형이 잘 보존되고 탄력성을 요구하는 표본이 아니기 때문에 실리콘 중합체의 강제치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가교제의 혼합 비율을 높이고, 분자량이 높은 실리콘 중합체를 사용할 필요없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의 실리콘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은 규소와 산도의 결합(-Si-O-Si-O-)을 주축으로 하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금속 형태의 실리콘에 염화메탄(CH3Cl)을 반응시켜 디메틸디클로로실란(dichlorodimethylsilane)을 합성한 후 가수분해시키면 실록산 결합(-Si-O-Si-O-)이 형성된다. 중합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의 중합체가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선형의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과 올리고실록산(oligosiloxane) 분자들로 이루어진 실리콘 수지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는 2,5-디메틸-2,5-디(t-부틸펄옥시)-핵산(2,5-Dimetyl-2,5-di(t-butylperoxy)-hexane), 디-(2,4-디클로로벤조닐)-펄옥사이드(Di-(2,4-dichlorobenzoyl)-peroxide), 디벤조닐 펄옥사이드(Dibenzoyl peroxide), 디큐밀 펄옥사이드(Dicumyl peroxide), 디-t-부틸펄옥사이드(Di-t-butylperoxide) 및 t-부틸큐밀펄옥사이드(t-Butylcumylper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환제는 제작하고자 하는 동물이나 인체장기의 조직 구성성분이나 크기, 형태, 장기의 탄력성 여부에 따라서 가교제와 경화제의 혼합비를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시예로는 탄력성이 있는 두꺼운 근육조직으로 구성된 심장의 경우, 가교제의 혼합비율을 낮춤으로써 부드러움과 탄력성을 높이며, 치환제가 내부 조직과 세포 내까지 완전하게 치환시키고 경화시간을 길게함으로써 수축에 의한 찌그러짐 현상의 최소화와 혈관 등의 형태 보정을 위해 경화제와 가교제의 비율을 낮게하여 경화시간을 충분히 갖게함으로써 원형을 보존할 수 있다. 단단한 뼈조직인 경우 고정과 탈수, 치환제 강제침투과정에서 형태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경화제와 가교제 비율을 높여 장기를 단단하게 하고 경화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부드러운 장기나 조직 즉, 내장의 소장이나 대장인 경우는 탄력성과 부드러움이 장기의 특성임으로 높은 분자량의 치환제를 사용하고 가교제와 경화제의 비율을 낮추어 경화 시간을 길게함으로써 형태를 보존하고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실란(silane, SinH2n +2, 1≤n≤20) 및 3염화 실란(trichlorosilane; SiHCl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를 사용하여 생성된 생물학적 영구표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학적 표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본을 탈수하는 단계; 및
상기 탈수된 표본을 실리콘 중합체 100 중량부, 가교제 1 ~ 10 중량부 및 경화제 0.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하여 강제 치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표본은 동물 또는 인체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생물체의 종류 또는 특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표본을 탈수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아세톤을 사용하여 2 내지 4회, 2 내지 4주 동안 실행할 수 있으며, 반응 온도는 - 30 ~ -2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중합체, 가교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용액은 100 중량부, 가교제 1 ~ 5 중량부 및 경화제 0.1 ~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단계를 탈수단계 전에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중합체는 분자량이 1,000 ~ 25,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는 2,5-디메틸-2,5-디(t-부틸펄옥시)-핵산(2,5-Dimetyl-2,5-di(t-butylperoxy)-hexane), 디-(2,4-디클로로벤조닐)-펄옥사이드(Di-(2,4-dichlorobenzoyl)-peroxide), 디벤조닐 펄옥사이드(Dibenzoyl peroxide), 디큐밀 펄옥사이드(Dicumyl peroxide), 디-t-부틸펄옥사이드(Di-t-butylperoxide) 및 t-부틸큐밀펄옥사이드(t-Butylcumylper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장기의 조직과 세포 내에 강체 침투된 실리콘 중합체의 경화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경화시간을 늘리는 것은 장기의 조직 내 실리콘 중합체가 경화되면서 형태적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경화시간이 늘어남으로써 혈관, 신경, 근육 등의 형태가 보정됨으로써 최적상태의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실란(silane, SinH2n +2, 1≤n≤20) 및 3염화 실란(trichlorosilane; SiHCl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각각의 실리콘 분자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가교제의 혼합비율은 표본을 만들고자 하는 장기의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는 탄력성이 있는 두꺼운 근육조직으로 구성된 심장의 경우 근육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 가교제의 혼합비율을 낮춤으로써 표본제작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환단계는 상기 표본을 상기 용액에 침지하고 진공탱크 내에서 진공 처리하여 12시간 이내로 치환과정이 마무리될 수 있다. 또한, 반응 압력은 650 내지 550 ㎜Hg로 시작하여 15 내지 3 ㎜Hg까지 서서히 진공도를 상승시켜 12시간 동안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
실시예 1-1: 생물학적 표본인 개 뒷다리의 고정
생물학적 표본인 개의 뒷다리를 고정하기 전에 혈액을 제거한 후 상기 장기의 동맥으로 10% 포르말린액을 강제주입하고 2 ~ 3시간 동안 방치한다. 완전한 부패방지를 위한 고정을 위해 10% 포르말린액에 침지하고 장기의 두께에 따라 2차 고정하였다.
이후 1일 동안 증류수로 세척하여 유해성분인 포르말린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1-2: 생물학적 표본인 돼지 심장의 고정
생물학적 표본인 돼지의 심장(이하 심장이라 함)을 트리밍하고 혈액을 제거한 후 좌, 우관상동맥으로 10% 포르말린액을 강제주입하고 2 ~ 3시간 동안 방치한다. 완전한 부패방지를 위한 고정을 위해 10% 포르말린액에 침지하고 장기의 두께에 따라 2 차 고정하였다.
이후 1일 동안 증류수로 세척하여 유해성분인 포르말린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1-2: 생물학적 표본의 탈수 및 치환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고정된 개 뒷다리 및 실시예 1-2에서 돼지 심장 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아세톤을 이용하여 냉동치환법(-25℃)으로 4주 동안 4회 아세톤을 교체하면서, 조직내 수분함량이 약 3 ~ 5%까지 탈수하였다.
최종적인 탈수가 완료된 장기는 치환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세톤 용액으로 침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여 장기의 온도를 실온으로 상승시켰다.
상기 탈수과정을 거친 장기는 가교제(상품명: Closslinker, 시영테크, 한국) 3 중량부, 경화제(상품명: Catalist, 시영테크, 한국) 1 중량부 및 실리콘 중합체(PDMS, 분자량 3,000, 시영테크, 한국) 100 중량부로 혼합한 치환 용액에 넣고 실온에 설치된 진공탱크 내에서 진공도 650 ㎜Hg에서 5 ㎜Hg까지 서서히 진공도를 상승시켜 1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진공을 해지한 후 장기의 내외에 묻어있는 실리콘을 제거하고 환풍이 좋은 그늘에서 약 2일간 방치함으로써 자연경화하였다. 이후 혈관의 형태보존 등을 위해 다듬었다. 상기 실리콘 중합체의 치환과정은 12시간 동안 처리만으로도 아세톤이 실리콘 중합체로 충분히 치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실시예 1로 얻어진 생물학적 영구표본은 하기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의 개 뒷다리 표본은 손으로 직접 만져도 손에 묻지 않으며, 탄력성 등의 촉감과 일부분의 움직임의 구조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와 같이 혈관, 신경 및 근육을 손으로 움직이면서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돼지 심장 표본 전체이며, 도 4는 돼지심장 표본을 절개한 단면 사진 및 일부분의 확대 사진으로 조직 내에 실리콘 중합체가 완벽하게 치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실리콘 중합체 분자량 30,000으로 치환
상기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고정된 돼지 심장을 아세톤으로 -25℃에서 4회, 4주 동안 탈수하였다.
상기 탈수과정을 거친 장기는 분자량 30,000의 실리콘 중합체(S10 polymer, BIODUR사, 독일) 속에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진공탱크 내에서 진공도 500 ㎜Hg에서 5 ㎜Hg까지 서서히 진공도를 낮추어 1개월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진공을 해지한 후 비닐로 밀폐시킨 공간에서 경화촉진제(S6 accelerator, BIODUR사, 독일)로 훈증처리(gas curing)를 7일 동안 처리하여 실리콘을 경화시켰다. 상기 경화과정에서 실리콘의 일부가 누출되어 경화과정 동안에 닦아내어야 했다. 이후 혈관의 형태보존 등을 다듬었다. 상기 경화과정은 탄력성을 갖추어야 할 일부 장기는 단단하게 경화시켜 표본으로써의 가치를 상실하였다.
상기 치환과정은 두꺼운 장기의 경우는 1개월 미만으로 처리한 경우 아세톤이 실리콘 중합체로 충분히 치환되지 않았다(도면 5). 따라서 심장처럼 크고 두꺼운 장기(장경 140mm X 폭 90mm X 두께 80mm)는 1개월 이상의 시간으로 처리하여야 아세톤이 실리콘 중합체로 충분히 치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일간의 훈증처리 경화과정에서도 경화될 때까지 과도한 실리콘을 제거해야 했으며, 경화되는 시간도 1주일 이상 걸렸다.
상기 처리된 돼지 심장의 절단면 영구표본은 도면 5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생물학적 영구표본은 제작 시간이 놀랍게 단축되고, 아세톤을 실리콘 중합체로 치환하는 과정 이후의 실리콘을 응고시키는 훈증 처리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훈증용 경화상자와 훈증기간 동안의 과도한 실리콘 제거작업이 필요 없으며, 특히 훈증 경화기간이 필요없는 큰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분자량이 1,000 ~ 25,000인 실리콘 중합체 100 중량부;
    실란(silane, SinH2n+2, 1≤n≤20) 및 3염화 실란(trichlorosilane; SiHCl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제 1 ~ 10 중량부; 및
    2,5-디메틸-2,5-디(t-부틸펄옥시)-핵산(2,5-Dimetyl-2,5-di(t-butylperoxy)-hexane), 디-(2,4-디클로로벤조닐)-펄옥사이드(Di-(2,4-dichlorobenzoyl)-peroxide), 디벤조닐 펄옥사이드(Dibenzoyl peroxide), 디큐밀 펄옥사이드(Dicumyl peroxide), 디-t-부틸펄옥사이드(Di-t-butylperoxide) 및 t-부틸큐밀펄옥사이드(t-Butylcumylper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제 0.1 ~ 5 중량부;
    를 포함하는, 후-경화공정이 필요없는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를 사용하여 생성된 생물학적 영구표본.
  8. 생물학적 표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본을 탈수하는 단계; 및
    상기 탈수된 표본을 실리콘 중합체 100 중량부, 가교제 1 ~ 10 중량부 및 경화제 0.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시켜 치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2,5-디메틸-2,5-디(t-부틸펄옥시)-핵산(2,5-Dimetyl-2,5-di(t-butylperoxy)-hexane), 디-(2,4-디클로로벤조닐)-펄옥사이드(Di-(2,4-dichlorobenzoyl)-peroxide), 디벤조닐 펄옥사이드(Dibenzoyl peroxide), 디큐밀 펄옥사이드(Dicumyl peroxide), 디-t-부틸펄옥사이드(Di-t-butylperoxide) 및 t-부틸큐밀펄옥사이드(t-Butylcumylper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리콘 중합체는 분자량이 1,000 ~ 25,000인 것이고,
    상기 가교제는 실란(silane, SinH2n+2, 1≤n≤20) 및 3염화실란(trichlorosilane; SiHCl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후-경화공정이 필요없는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단계는 상기 표본을 상기 용액에 침지하고 진공탱크 내에서 진공 반응압력 550 ~ 650 ㎜Hg로 시작하여 3 ~ 15 ㎜Hg까지 서서히 진공도를 상승시켜 12시간 이내로 치환과정이 마무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 또는 제9항의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생물학적 영구표본.
KR1020120128250A 2012-11-13 2012-11-13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 및 이의 용도 KR10128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50A KR101284530B1 (ko) 2012-11-13 2012-11-13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50A KR101284530B1 (ko) 2012-11-13 2012-11-13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530B1 true KR101284530B1 (ko) 2013-07-16

Family

ID=4899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250A KR101284530B1 (ko) 2012-11-13 2012-11-13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0242A (zh) * 2018-10-23 2019-03-08 中南大学 采用真空浸渍技术实现骨标本的保护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701A (ja) * 1997-01-08 1998-08-18 Dow Corning Corp 有機および無機材料の保存法
KR20080064998A (ko) * 2005-11-23 2008-07-10 노바리크 게엠베하 생체 기관 및 사지 보존용 화합물의 이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701A (ja) * 1997-01-08 1998-08-18 Dow Corning Corp 有機および無機材料の保存法
KR20080064998A (ko) * 2005-11-23 2008-07-10 노바리크 게엠베하 생체 기관 및 사지 보존용 화합물의 이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0242A (zh) * 2018-10-23 2019-03-08 中南大学 采用真空浸渍技术实现骨标本的保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5059A (en) Animal and vegetal tissues permanently preserved by synthetic resin impregnation
CN104041482B (zh) 鳞翅目昆虫塑化标本制作方法
US20230014960A1 (en) Scaffold for cell cul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450319B (zh) 一种仿生的预脉管化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84530B1 (ko) 생물학적 영구표본 제작용 치환제 및 이의 용도
CN111183152A (zh) 胶原玻璃化凝胶及其精制物的制造方法以及通过该方法而得到的胶原玻璃化凝胶及其精制物
CN104663439B (zh) 一种伊乐藻组织培养与快速繁殖方法
RU232016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натомических препаратов полых и трубчатых структур
CN110934130A (zh) 一种观赏用的鱼包埋标本的制作方法
KR20190121548A (ko) 육류의 숙성방법
EP1385559B9 (de) Poröse und nichtporöse matrices auf basis von chitosan und hydroxycarbonsäuren
Ameko et al. Plastination of some cow and ram organs in Ghana for use as teaching aids
CN109377846B (zh) 人体解剖学内脏标本的制作方法
CN105268022A (zh) 一种异种无细胞真皮基质的制备方法
Mohamed et al. Production and use of plastinated anatomical specimens as teaching and learning tools in veterinary gross anatomy in the Caribbean.
CN107151347A (zh) 一种用于组织填充的惰性多孔水凝胶的制备方法
CN106256380B (zh) 功能生物材料在制备促进动物脊髓全横断损伤修复的材料中的应用
KR100752420B1 (ko) 생물표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생물표본
JP5224533B2 (ja) 柔軟・半乾性動物標本の作製方法
JPS6236301A (ja) 魚類標本の製法
CN105861417A (zh) 一种福寿螺卵巢细胞系的构建方法
Satte et al. The use of Vacuum Forced Impregnation of Gum Arabic Solution in Biological Tissues for Longterm Preservation
DE2710147C3 (de) Konservierte biologische verwesliche Objek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N104611288A (zh) 一种福寿螺心组织细胞的原代培养方法
KR960010567B1 (ko) 어류 박제 성형방법 및 그 박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