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174B1 - 디페닐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 Google Patents

디페닐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174B1
KR101284174B1 KR1020110000897A KR20110000897A KR101284174B1 KR 101284174 B1 KR101284174 B1 KR 101284174B1 KR 1020110000897 A KR1020110000897 A KR 1020110000897A KR 20110000897 A KR20110000897 A KR 20110000897A KR 101284174 B1 KR101284174 B1 KR 10128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phenol
composition
tuberculosis
nitrophen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616A (ko
Inventor
배애님
김은경
금교창
서선희
홍승곤
무다사 무하마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0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1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61K31/24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having an amino or nitr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35Isoindoles, e.g. phthal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4, e.g. isoniazid, iproniaz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박테리아의 지방산 생합성을 억제하고,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제 및 감염 치료제로 유용한 신규 디페닐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페닐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Antibacterial agents containing diphenyl derivatives}
본 발명은 박테리아의 지방산 생합성을 억제하고,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제 및 감염 치료제로 유용한 신규 디페닐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Mycobacterium tuberculosis) 균주에 의해 생겨나는 폐의 감염 증상인 결핵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질환으로서(Nature Medicine, 2005, 11, 578), WHO에 따르면 전세계인구의 삼분의 일 정도가 잠재적으로 감염이 되어 있고, 개발도상국에서는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결핵환자가 널리 퍼져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년간 이에 대응할 새로운 약제가 개발되고 있지 않았다. 현재까지 알려진 결핵 치료제로는 이소니아지드(INH), 피라진아미드, 에탐부톨, 리팜피신등이 있다 (Science, 1994, 263, 227; Mini-reviews in Med. Chem., 2007, 7, 1177). 최근 이와같은 약제들에 대한 내성이 많이 보고되면서(Int. J. Tuberculosis and Lung Disease, 2003, 7, 1104; Clin. Inf. Diseases, 2007, 44, 624; Biochemistry, 2006, 45, 4131) 새로운 항결핵균제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Lancet 2006, 367, 945).
따라서 최근 항결핵균제를 개발하기 위한 새로운 타겟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고(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2006, 6, 459), 그 중에서도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의 지방산 생합성 관련 효소의 하나인 InhA라고도 하는 NADH-의존성 에노일-ACP 리덕테이즈 (NADH-dependent enoyl-ACP reductase)는 아주 중요한 목표 단백질로서 연구되고 있다(Science, 1994, 263, 227). InhA는 마이코박테리운 튜버큘로시스 균의 타입 II 의 지방산 생합성 과정에서 trans-2- enoyl-ACP의 환원작용에 촉매로 작용한다(J. Biologic. Chem, 1999, 274, 15582). InhA 효소의 저해는 마이코박테리아의 세포막에 있는 주 성분인 마이콜릭산의 생합성을 저해한다.
InhA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InhA 효소 저해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박테리아의 생장에 필수과정인 지방산 생합성 관련 효소인 FabI의 X-선 구조 (PDB code: 2NSD)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 기반 신약 설계기술을 이용하여 가상검색을 수행하고, 선택된 화합물을 활성검색을 통하여, 결핵 균주에 대하여 우수한 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항균제의 기본 골격구조를 갖지 않는 신규의 스캐폴드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항결핵균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컴퓨터 기법을 사용해서 많은 상업용 화합물 데이터 베이스 (ChemDiv) 에서 신규 항결핵균제로 가능성이 있는 화합물을 찾아 내었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InhA 효소에 활성이 우수한 화합물과 구조적으로 비슷한 화합물을 유사도에 의한 검색 방법으로 찾고, 다시 얻어진 화합물을 FabI의 X-선 단백질 구조 (PDB 코드: 2NSD)에 결합시켜보는(docking) 방법으로 화합물을 찾아 내었다. 처음에 ChemDiv 데이터베이스는 693042개의 화합물이 있었고 그 중에서 80개의 화합물을 골라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 균주에 항균력을 검색하여 활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찾아 내어 이들 화합물의 항결핵제로 개발될 가능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a)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이코박테리아는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일 수 있다
[화학식 I]
Figure 112011000743336-pat00001
상기 식 중,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산소; 황; 질소; 산소, 황, 및 질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헤테로 알킬; 탄소수 1 내지 4의 알칸온; 에스테르; 탄소수 1 내지 4의 설폰아미드; 탄소수 1 내지 4의 이민; 탄소수 1 내지 4의 디카보닐(예컨대, 1,3-디카보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디아미드(예컨대, 1,4-디아미드)이고,
Y는 탄소 원자 또는 2번 위치, 3번 위치, 또는 4번 위치의 질소 원자이고,
R1', R1'', R1''', 및 R1''''는 'Y'가 위치하지 않는 탄소에 결합된 치환기이고, R2', R2'', 및 R2'''는 페닐기의 임의의 위치의 치환기이며,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 니트로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녹시, 카르복실, 아민, 이민, 아미드, 히드록시, 니트로, 할로겐 (예컨대, 브롬, 염소, 플루오르, 또는 요오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디메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및 산소, 질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10의 헤테로 고리 화합물 (예컨대, 퓨란, 티오펜, 프탈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X는 에스테르, 탄소수 2 내지 4의 디카르보닐, 산소,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2의 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R1', R1'', R1''', R1'''', R2', R2'',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니트로, 할로겐, C1 내지 C6 알킬, 히드록시, 아미드, 및 프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X는 탄소수 2 내지 4의 디카르보닐 또는 산소이고, R1', R1'', R1''', R1'''', R2', R2'',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메틸, 할로겐, 니트로, 및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표 2의 화합물 참조).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1) 4-요도페닐-4-헵틸벤조에이트,
(2) 4-니트로페닐-4-헵틸 벤조에이트,
(3) p-톨릴-4-클로로벤조에이트,
(4) 4-클로로페닐-4-헥실벤조에이트,
(5) 4-(4-아미노페녹시)벤조익에시드,
(6) (E)-2-((4-부틸페닐이미노)메틸)-4-니트로페놀,
(7) 비스-(4-(2-니트로페녹시)페닐)메탄온,
(8) 1-(4-클로로페닐)3-(2-히드록시-4-메틸페닐)프로판-1,3-디온,
(9) 피리딘-3-일-4-에틸 벤조에이트,
(10) 4-헵틸-N'-(4-니트로벤조일)벤조하이드라자이드,
(11) 4-펜틸페닐-4-클로로-벤조에이트,
(12) N-(2-히드록시페닐)-4-(4-니트로페녹시)벤즈아미드,
(13) (E)-4-(2-클로로벤질)-2-((2-히드록시-4-메틸페닐이미노)메틸)페놀,
(14) 2(2-히드록시페닐)-5-(3-니트로페녹시)이소인돌린-1,3-디온,
(15) 3-(퍼플로오로피리딘-4-일옥시)페놀,
(16) 2-(2-히드록시페닐)-5-(4-니트로페녹시)이소인돌린-1,3-디온,
(17) (E)-2-(2,4-디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5-메틸페놀,
(18) (E)-4-클로로-2-((2-히드록시-4-메틸페닐이미노)메틸)-3,5-디메틸페놀,
(19) (E)-2,4-디클로로-6-((5-에틸-2-히드록시페닐이미노)메틸)페놀,
(20) (E)-4-에틸-2-(2-히드록시-5-니트로벤질리덴아미노)페놀,
(21) 5-(3-니트로페녹시)-2-(4-니트로페닐)이페녹시)-2-니트로페놀,
(23) (4-(4-클로로페닐티오)페닐)(퓨란-2-yl)메탄온,
(24) N-(4-(4-벤질피페라진-1-카르보닐)벤질)-4-메틸벤젠설폰아미드, 및
(25) 4-(4-브로모페닐티오)-3-니트로-N-옥틸벤즈아미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양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상기 산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다이 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 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 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마이코박테리아, 특히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대하여, 시판되는 항균제제인 트리클로산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짐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의 표 2). 이러한 항균활성에 의하여,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 예컨대, 결핵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도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은 포유류 또는 조류에서 마이코박테리아의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컨대, 결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핵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또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함량은 결핵균 감염 정도, 증세, 적용 대상 환자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또는 조류에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 형태이거나, 피부 또는 모발 세정제, 식기 세척제, 의류 세탁용 세제, 이외의 각종 물건의 세척제, 통상의 항균제 (예컨대, 공기, 의류, 피부, 물건 등에 적용하는 항균제 등) 등의 통상적으로 알려진 모든 형태로의 적용 가능하다.
상기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부형제 및/또는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주사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결핵균 감염 정도, 증세, 환자의 체중,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유효성분 중량 기준으로 1일 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또는 조류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주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유효성분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마이코박테리아에서의 InhA 효소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InhA 효소 저해제,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제 및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대표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의 탐색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은 컴퓨터 기반 가상검색을 통하여 얻어졌다. 먼저 목표로 하는 단백질 InhA(Mycobacterium Tuberculosis Enoyl acyl carrier protein (ACP) reductase, FabI) 리간드의 복합체 구조를 이용한 활성 리간드들의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을 하였다.
알려진 4개의 InhA 리간드 복합체 구조 (2B36 (서열번호 1), 2H7L (서열번호 2), 3FNG (서열번호 3), 2NSD(서열번호 4))를 분석하여 결합모드 분석한 결과 모든 리간드들이 Tyr-158과 NAD+의 hydroxyl (-OH)기와 수소결합을 보여주는 것을 알게 되었고, 4개의 단백질 -리간드 복합체 구조에서 결합되어 있는 4개의 리간드를 4개의 단백질 (InhA)에 상호 바꾸어 결합시켜보는 방법(cross docking)을 하여 가장 원래의 복합체와 결합모드가 유사하게 나오고 가장 낮은 결합에너지 값을 주는 (-8.60 kcal/mol, -10.18 kcal/mol) 단백질 구조 2NSD를 선택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가상 검색하는 단백질 구조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4개의 알려진 단백질-리간드 복합체 구조에 있는 리간드의 구조와 유사한 화합물을 파이프라인 파일롯 (pipeline pilot) 프로그램(Accelrys 사의 인포메틱스 툴, http://accelrys.com)에 있는 휭거프린트(Fingerprint) 방법이라고 하는 2차원 구조적 유사도 검색방법을 통해 가상검색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FCFP_4 휭거프린트 방법, 즉 분자를 6개의 타입으로 분류하여, 휭거 프린트화 시키는 방법 (Hbond donor and acceptor, positive and negative ionizable center, aromatic atoms and halogen), 'Mol. Divers. 2006, 10, 283 ' 참조). 가상검색을 ChemDiv라고 하는 상업용 데이터베이스(www.chemdiv.com 웹상에서 다운로드 받음)에서 67만개의 화합물을 컴퓨터 상에서 계산하여 구조적 유사도를 계산하고 유사도 (tanimoto coefficient index)가 5.0 이상인 화합물을 531개 골라서 2NSD InhA 단백질 구조에 결합시켜본 후 결합에너지가 낮고 수소결합을 잘 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 25개의 화합물을 선별하였다.
상기 유사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NA 를 A 화합물에 존재하는 특징의 개수라 하고, NB를 B 화합물에 존재하는 특징의 개수라 하며, NAB를 화합물 A 와 B 모두에 존재하는 특징이라고 한다면, 유사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Tanimoto = NAB / NA + NB - NAB
이와 같이 선별된 25개 화합물을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No Structure X R1 R2
1
Figure 112011000743336-pat00002
에스테르 C7 알킬 할로겐
2
Figure 112011000743336-pat00003
에스테르 니트로 C6 알킬
3
Figure 112011000743336-pat00004
에스테르 할로겐 C1 알킬
4
Figure 112011000743336-pat00005
에스테르 할로겐 C6 알킬
5
Figure 112011000743336-pat00006
산소 카르복실 아민
6
Figure 112011000743336-pat00007
이미노 니트로
히드록시
C4 알킬
7
Figure 112011000743336-pat00008
C1 알칸온
(메탄온)
니트로페녹시 니트로페녹시
8
Figure 112011000743336-pat00009
C3디카르보닐 히드록시,
메틸
할로겐
9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0
에스테르 수소
(Y=N)
C2 알킬
10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1
헤테로알킬
(질소 포함)
니트로 C7 알킬
11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2
에스테르 할로겐 C5 알킬
12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3
산소 니트로 아미드
13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4
C1 알킬 할로겐 이민
14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5
산소 니트로 프탈이미드
15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6
산소 할로겐
할로겐
할로겐
할로겐
Y=N
히드록시
16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7
산소 니트로 프탈이미드
17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8
이미노 할로겐
할로겐
C1 알킬
히드록시
18
Figure 112011000743336-pat00019
이미노 히드록시
C1 알킬
C1 알킬
할로겐
히드록시
C1 알킬
19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0
이미노 히드록시
C2 알킬
할로겐
할로겐
히드록시
20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1
이미노 히드록시
C2 알킬
니트로
히드록시
21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2
산소 니트로 프탈이미드
22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3
산소 트리플루오로메틸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23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4
퓨란 할로겐
24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5
설폰아미드 C1 알킬 헤테로고리
25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6
아미드 브롬
(수소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음)
실시예 2: M. tuberculosis H37Rv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25개 화합물에 대하여 M. tuberculosis H37Rv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시험하였다. 항균 활성 시험은 생체외(in vitro) 마이크로다일루션 알라마 블루 시험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라마 블루 시험(Alamar Blue Assay)을 사용한 마이크로다일루션(Microdilution) 방법을 이용하여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클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대한 항균활성 검색을 수행하였다.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클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 에 대한 항균활성(MIC) 검색방법은 다음과 같다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hy, 1997, 41, 1004).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클로시스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 균주(서울여대 유전자 은행)를 10.2% 글리세롤과 1.0g/L 카시톤, 10% OADC (oleicacid, albumin,dextrose, catalase; Difco), 및 0.05% Tween 80 (Sigma)이 포함된 Middle-brook 7H9 broth (Difco, Sparks. MD) 100mL에서 광학밀도(optical dentisity)가 600nm에서 0.4기 될 때까지 37℃에서 배양을 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은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에서 2배씩 7H9 broth로 희석시켜서 준비하였다. 배양된 균주는 7H9에서 50배로 희석시키고 화합물을 넣고, 각 플레이트에 2 X 105 CFU/ml 이 되도록 하여 배양하였다. 화합물이 포함된 MtB 균주(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 균주)를 37℃에서 7일간 배양을 한 후, 20 ul의 10 X Alamarbluesolution (Serotec, Raleigh, NC)을 각 웰에 넣었다. 24시간 배양 후, 블루에서 핑크색으로의 색깔변화를 관찰하고 색깔변화를 저해하는 화합물의 최저 농도(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를 결정하였다.
상기 25개 화합물의 구조 및 M. tuberculosis H37Rv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MIC)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기존에 결핵균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트리클로산 (trichlosan, Aldrich)을 사용하였다.
화합물 번호 Structure MIC(μg/ml)
2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7
64
3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8
64
4
Figure 112011000743336-pat00029
64
8
Figure 112011000743336-pat00030
4
11
Figure 112011000743336-pat00031
32
12
Figure 112011000743336-pat00032
2
13
Figure 112011000743336-pat00033
64
14
Figure 112011000743336-pat00034
32
15
Figure 112011000743336-pat00035
64
19
Figure 112011000743336-pat00036
64
trichlosan   32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시험된 모든 화합물이 시판되는 결핵균 치료제인 트리클로산과 동등 이상의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8번 화합물과 12번 화합물 이 MIC값이 각각 4 와 2 μg/ml로서 매우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 주었고 이 값은 알려진 화합물인 트리클로산보다 활성이 우수하여 다음과 같은 유도체가 항 결핵균제로서 사용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제제화
본 발명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결핵균 억제 활성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제예 1> 정제(직접 가압)
화학식 I의 유도체(화합물 12)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Aldrich 구매)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정제(습식 조립)
화학식 I의 유도체 (화합물 12)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Aldrich 구매)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분말과 캡슐제
화학식 I의 유도체(화합물 12)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Aldrich 구매)에 채웠다.
< 제제예 4>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0)

  1. N-(2-히드록시페닐)-4-(4-니트로페녹시)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a)의 InhA 효소를 저해하는,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마이코박테리아는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인
    항균 조성물.
  5. N-(2-히드록시페닐)-4-(4-니트로페녹시)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마이코박테리아의 InhA 효소를 저해하는,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은 결핵인,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4-니트로페닐-4-헵틸 벤조에이트, p-톨릴-4-클로로벤조에이트, 4-클로로페닐-4-헥실벤조에이트, 1-(4-클로로페닐)3-(2-히드록시-4-메틸페닐)프로판-1,3-디온, 4-펜틸페닐-4-클로로-벤조에이트, (E)-4-(2-클로로벤질)-2-((2-히드록시-4-메틸페닐이미노)메틸)페놀, 2(2-히드록시페닐)-5-(3-니트로페녹시)이소인돌린-1,3-디온, 3-(퍼플로오로피리딘-4-일옥시)페놀 및 (E)-2,4-디클로로-6-((5-에틸-2-히드록시페닐이미노)메틸)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조성물.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4-니트로페닐-4-헵틸 벤조에이트, p-톨릴-4-클로로벤조에이트, 4-클로로페닐-4-헥실벤조에이트, 1-(4-클로로페닐)3-(2-히드록시-4-메틸페닐)프로판-1,3-디온, 4-펜틸페닐-4-클로로-벤조에이트, (E)-4-(2-클로로벤질)-2-((2-히드록시-4-메틸페닐이미노)메틸)페놀, 2(2-히드록시페닐)-5-(3-니트로페녹시)이소인돌린-1,3-디온, 3-(퍼플로오로피리딘-4-일옥시)페놀 및 (E)-2,4-디클로로-6-((5-에틸-2-히드록시페닐이미노)메틸)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10000897A 2011-01-05 2011-01-05 디페닐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KR101284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897A KR101284174B1 (ko) 2011-01-05 2011-01-05 디페닐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897A KR101284174B1 (ko) 2011-01-05 2011-01-05 디페닐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616A KR20120079616A (ko) 2012-07-13
KR101284174B1 true KR101284174B1 (ko) 2013-07-09

Family

ID=4671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897A KR101284174B1 (ko) 2011-01-05 2011-01-05 디페닐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789B1 (ko) * 2017-03-21 2018-10-31 한국화학연구원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환 치료용 화합물
EP3737664B1 (en) * 2018-01-09 2024-04-10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Antimicrobial 2-[[(phenyl)imino]methyl]-4-nitro-phenol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inhibitors of the nusb-nuse interaction of microorganisms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CN110526863B (zh) * 2019-08-29 2022-05-03 贵州大学 一种含三氟甲基吡啶的酰基硫脲或酰基脲类衍生物及其应用
TW202317546A (zh) 2021-07-09 2023-05-01 美商普萊克斯姆公司 調節ikzf2之芳基化合物及醫藥組合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crobiology. 2011. Vol. 157 (Pt 1), pp. 290-299 (온라인 공개일: 2010.11.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616A (ko) 201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174B1 (ko) 디페닐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Skerlj et al. Optimization of potent inhibitors of P. falciparum dihydroorotate dehydrogenase for the treatment of malaria
US6906090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ycobacterial diseases
CA2694270A1 (en) Substituted aryloxazoles and the use thereof
JP2001519756A (ja) ヒドロキシム酸誘導体を含む薬剤組成物
Okombo et al. Antischistosomal activity of pyrido [1, 2-a] benzimidazole derivatives and correlation with inhibition of β-hematin formation
Kamal et al. Efforts towards the development of new antitubercular agents: potential for thiolactomycin based compounds
Mayoka et 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and in vitro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excretion, and toxicity (ADMET) studies of N-aryl 3-trifluoromethyl pyrido [1, 2-a] benzimidazoles that are efficacious in a mouse model of schistosomiasis
Wenzler et al.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of 28DAP010, a novel diamidine for treatment of second-stage African sleeping sickness
Sharma et al. Novel antiplasmodial compounds leveraged with multistage potency against the parasite plasmodium falciparum: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s and pharmacokinetic studies
Kumar et al. Multistage antiplasmodium activity of astemizole analogues and inhibition of hemozoin formation as a contributor to their mode of action
Liu et al. Successful trifluoromethoxy-containing pharmaceuticals and agrochemicals
Pacheco et al. Monocyclic nitro-heteroaryl nitrones with dual mechanism of activation: synthesis and antileishmanial activity
Wani et al. Targeting the cytochrome bc 1 complex for drug development in M. tuberculosis
Gupta et al. Inhalable particles for “pincer therapeutics” targeting nitazoxanide as bactericidal and host-directed agent to macrophages in a mouse model of tuberculosis
Battaglia et al. Some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ligands reduce kynurenate synthesis in rats by intracellular inhibition of kynurenine aminotransferase II
Zin et al. In silico analysis of the phenylephrine from the sand crab (emerita asiatica) for its antimicrobial activities
Pardeshi et al. A breakthrough in the treatment of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A novel and effective approach
Papageorgiou et al. Aromatic quinolinecarboxamides as selective, orally active antibody production inhibitors for prevention of acute xenograft rejection
Bheemanaboina et al. Discovery of Imidazole-Based Inhibitors of Plasmodium falciparum cGMP-Dependent Protein Kinase
US11446279B2 (en) Aromatic 2-nitrosulfonyl fluoride antibiotic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im et al. Optimization of Orally Bioavailable Antileishmanial 2, 4, 5-Trisubstituted Benzamides
JP6152387B2 (ja) I型およびii型糖尿病の処置
US10137116B2 (en) Benzimidazole sulf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tuberculosis
WO2017143964A1 (zh) Quisinostat,一种新型的高效抗疟药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