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918B1 -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 Google Patents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918B1
KR101282918B1 KR1020120105177A KR20120105177A KR101282918B1 KR 101282918 B1 KR101282918 B1 KR 101282918B1 KR 1020120105177 A KR1020120105177 A KR 1020120105177A KR 20120105177 A KR20120105177 A KR 20120105177A KR 101282918 B1 KR101282918 B1 KR 10128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mbustion gas
water
cooling wate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상인
윤진한
홍정희
권기남
Original Assignee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918B1/ko
Priority to PCT/KR2013/007871 priority patent/WO20140463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9/00Treatment devices
    • F23J2219/70Condensing contaminants with 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제공된다. 발전 시스템의 연소가스 재순환을 위해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는, 발전 시스템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주입되면, 응축용 냉각수를 이용하여 연소가스를 응축시키면서 연소가스의 온도를 정해진 범위 내의 온도로 낮추는 응축기와, 응축기로부터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를 전달받아 연소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세정수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세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Flue Gas Condenser for Sulfur Oxide Removing}
본 발명은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산소 석탄연소 설비에서 연소가스를 응축시키면서 온도를 낮춘 후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소에서는 석탄을 미세한 입자로 분쇄한 후, 분쇄된 석탄 가루를 보일러에서 연소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미분기(Pulverizer 또는 Mill)는 석탄을 연소에 적합한 크기의 미분탄으로 분쇄하는 장비로서, 미분기에 의해 분쇄된 석탄은 보일러로 주입된다. 보일러는 공기 또는 순산소와 분쇄된 석탄을 주입받아 석탄을 연소시키고, 연소가스(또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보일러로 순산소가 주입되는 경우 연소가스는 주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로 이루어지며 황산화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연소 시스템에서는 연소가스를 재순환하여 산소와 더불어 보일러 또는 버너에 공급하게 되며 황산화물이 재순환하며 농축되는 현상이 수반되어 연소가스에 남아있는 황산화물에 의해 연소 시스템의 기계 설비 손상이 쉽게 발생한다.
- 선행문헌1: 배기 가스 탈황을 위한 흡착 입자의 조성물, 제조 및 용도(공개번호(일자): 1020100043261 (20100428)) - 선행문헌2: 연도가스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공개번호(일자): 1019990072635 (19990927))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순산소 석탄연소 발전설비에서 연소가스로부터 황산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재순환되어 사용되는 연소가스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순산소 석탄연소 발전시스템의 연소가스 재순환을 위해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는, 상기 발전 시스템의 보일러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주입되면, 응축용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소가스를 응축시키면서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정해진 범위 내의 온도로 낮추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연소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세정수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세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연소가스가 주입되어 하강하는 응축기 본체; 상기 응축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응축용 냉각수를 저장하는 응축용 냉각수 저장조; 및 일단은 상기 응축용 냉각수 저장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응축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용 냉각수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용 냉각수를 상기 응축기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응축용 냉각수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연소가스가 주입되어 하강하는 응축기 본체; 및 해수를 상기 응축용 냉각수로서 상기 응축기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응축용 냉각수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응축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 본체의 하부로 분무하는 응축기 분무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기는, 상기 응축기 본체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가 상승하는 세정기 본체; 상기 유입된 연소가스가 상기 세정기 본체에서 상승하는 동안, 상기 세정수를 상기 세정기 본체의 하부로 분무하여 상기 유입된 연소가스의 황산화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세정기 분무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기는, 상기 세정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세정용 냉각수를 저장하는 세정용 냉각수 저장조; 및 일단은 상기 세정용 냉각수 저장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정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용 냉각수 저장조에 저장된 세정용 냉각수를 상기 세정기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세정용 냉각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용 냉각수 공급관은 상기 세정기 분무관보다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기는, 해수를 상기 세정용 냉각수로서 상기 세정기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세정용 냉각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용 냉각수 공급관은 상기 세정기 분무관보다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및 상기 세정수를 저장하는 일체형 저장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기는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세정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중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기는 상기 중화된 응축수를 상기 세정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중화기는,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소 이온 농도(pH, 페하)를 센싱하는 pH 센서; 상기 센싱된 pH에 따라 가변적으로 중화제를 공급하는 중화제 공급부;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의 일부와 상기 공급되는 중화제를 혼합하여 상기 응축수를 중화 및 저장하는 혼합조; 및 상기 중화된 응축수를 펌핑하여 상기 세정기로 전달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 또는 세정수를 전달받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조; 상기 임시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 또는 세정수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센싱된 수위가 사전에 정해진 최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임시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 또는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순산소 석탄 연소가스의 온도를 응축수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낮춘 후, 세정수를 이용하여 연소가스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가스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세정수를 중화한 후, 중화된 세정수를 이용함으로써 황산화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황산화물이 제거된 연소가스의 온도를 2차적으로 냉각수 또는 해수를 이용하여 낮춤으로써 연소가스가 미분기로 재순환되어 사용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가스 재순환이 수반되는 순산소 석탄 연소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응축장치(담수를 이용한 응축 및 세정)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응축장치(해수를 이용한 냉각 및 응축)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3응축장치(응축수를 이용한 세정과 응축수 중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4응축장치(응축수 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5응축장치(담수를 이용한 순산소 석탄 연소가스 응축/세정 및 응축수 중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가스 재순환이 수반되는 순산소 석탄 연소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산소 석탄 연소 시스템은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의 황산화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재순환 연소가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순산소 석탄 연소 시스템 내의 기기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재순환 연소가스, 즉, 불활성 가스는 석탄 연소 시스템에서 석탄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로서, 이산화탄소(CO2)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석탄 연소 시스템은 공기분리기(ASU: Air Separation Unit)(10), 미분기(20), 버너(30), 보일러(40), 집진기(50), 열교환기(60), 응축장치(70), 연돌 또는 이산화탄소 회수장치(CPU)(80) 및 제어기(9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분리기(10), 미분기(20), 버너(30), 보일러(40), 집진기(50), 열교환기 (60), 응축장치(70), 연돌 또는 이산화탄소 회수장치(80)는 가스를 전달하는 관들을 통해 연결되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분리기(10)는 주입되는 공기 중 순산소를 분리하여 버너(30)로 공급한다.
미분기(20)는 석탄 저장소(미도시)에 저장된 석탄을 전달받아 석탄을 분쇄하여 석탄 가루(즉, 미분탄)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미분탄을 버너(30)로 전달한다. 석탄이 분쇄되는 동안, 미분기(20)는 이산화탄소가 주성분인 재순환 연소가스와 공기분리기(10)에서 공급된 산소가 혼합된 기체에 의해 공기와 동일한 미분탄 유동 분위기가 만들어져 석탄이 건조되고 버너까지 이송, 공급된다.
버너(30)는 미분기(20)로부터 미분탄과 순산소를 공급받아 연소시키고 보일러(40)에 열을 공급한다. 배출되는 연소가스 이산화탄소, 수증기 그리고 황산화물을 포함한 유해물질을 포함한다.
로내탈황장치(45)는 연소실에서 발생한 황산화물을 로내에서 1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설비로써 황산화물을 흡착하는 석회석 등의 약품을 분말 형태 또는 습식 슬러리 형태로 분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집진기(50)는 보일러(40)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 중 분진과 같은 이물질을 집진하고 분진이 제거된 연소가스를 열교환기(60)로 전달한다.
열교환기(60)에서는 집진기(50)에서 배출된 연소가스의 온도를 재순환되는 저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응축장치(70) 유입에 적절한 온도까지 낮춘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소가스의 열을 그대로 버리지 않고 연소실에 공급되는 유체에 전달하기 위함이며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응축장치(70)는 열교환기(60)로부터 전달받은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뺏어 응축시킴으로써 연소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세정작업을 통해 연소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연소가스는 순산소 석탄 연소 시스템에서 재순환되어 공기중의 질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 재순환 연소가스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미분기(20)에서 석탄 분말의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석탄 분말과 수분이 슬러리를 만들어 관에 부착하는 현상이 나타나서 석탄의 이송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수분농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또한, 연소가스에 황산화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배관은 물론 미분기 또는 연소 시스템의 설비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연소 효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응축장치(70)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는 이산화탄소, 황산화물 및 수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응축장치(70)는 수분과 2차적으로 황산화물이 제거된 연소가스를 연돌 또는 이산화탄소 회수장치(80)와 미분기(20)로 분배하여 전달한다. 응축장치(7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연돌 또는 이산화탄소 회수장치(80)는 이물질이 필터링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돌 또는 압축과정을 거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설비를 의미한다.
제어기(90)는 석탄 연소 시스템의 각 설비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응축장치(7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만을 도시하였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미분기(20)는 응축장치(70)로부터 전달받은 재순환 연소가스, 즉, 수분과 황산화물이 제거되어 황산화물의 농도가 최대한으로 감소된 이산화탄소 주성분의 가스를 받아 석탄을 버너까지 이송한다.
가스/가스 열교환기(95)는 공기를 보일러(40)의 연소실에 공급하기 전에 예열하고 또한 미분기(20)의 석탄 분쇄기(미도시)에서 석탄의 건조 및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공기를 예열하여 미분기(20)로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내지 제5응축장치들(100, 200, 300, 400, 500)에 대해 설명하며, 제1 내지 제6응축장치들(100, 200, 300, 400, 5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응축장치(70)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응축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응축장치(100)는 담수를 이용한 응축 및 세정이 가능한 장치로서, 제1응축기(110), 제1일체형 저장조(120) 및 제1세정기(130)를 포함한다. 제1응축기(110), 제1일체형 저장조(120) 및 제1세정기(1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역할 별로 영역을 분리하여 설명한다.
제1응축기(110)는 발전 시스템 내의 석탄 연소 시스템 중 보일러(4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주입되면, 응축용 냉각수를 이용하여 연소가스를 응축시키면서 연소가스의 온도를 정해진 범위 내의 온도로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응축기(110)는 제1응축기 본체(111), 제1응축용 냉각수 저장조(112), 제1응축용 냉각수 공급관(113), 제1펌프(114) 및 제1응축수 분무관(115)을 포함한다.
제1응축기 본체(111)는 열교환기(60)로부터 연소가스를 주입받으며, 주입된 연소가스 온도가 낮아지면서 제1응축기 본체(111)의 하부로 하강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응축기 본체(111)의 내부에는 제1응축용 냉각수 공급관(113) 및 제1응축수 분무관(115)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응축용 냉각수 저장조(112)는 제1응축기 본체(111)의 외부에 설치되며, 순환되는 냉각수의 열을 방출시키고 저장된 냉각수를 제1응축기 본체(111)로 공급하는 냉각탑(Cooling Tower)일 수 있다. 제1응축용 냉각수 저장조(112)는 응축용 냉각수 냉각장치 및 저장조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응축용 냉각수 공급관(113)은 일단은 제1응축용 냉각수 저장조(1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응축기 본체(111)에 연결되어, 제1응축용 냉각수 저장조(112)에 저장된 응축용 냉각수를 제1응축기 본체(111)의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1응축용 냉각수 공급관(113)은 제1응축기 본체(111)의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냉각수는 제1응축용 냉각수 공급관(113)을 따라 제1응축기 본체(111)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하강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열교환 작용을 할 수 있다. 냉각수에 의해 연소가스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배출하게 되며, 배출되는 수분(이하, ‘응축수’라 한다)은 제1일체형 저장조(120)로 입수한다.
제1응축기 분무관(115)은 제1응축기 본체(111)의 상부 또는 제1응축용 냉각수 공급관(1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응축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재이용하여 제1응축기 본체(111)의 하부로 분무한다. 즉, 제1응축기 분무관(115)의 일단은 제1일체형 저장조(120)에 연결되어, 제1일체형 저장조(120)에 저장되는 응축수를 제1펌프(114)를 이용해 펌핑한 후, 제1응축기 본체(111)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노즐(125a)들을 통해 분무한다. 분무된 응축수는 냉각수 공급관(113)과 연결된 열교환기 표면에 액막을 형성하여 냉각수와 연소가스와의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분무되는 응축수에 의해 연소가스의 방열 효과는 상승하게 된다. 예를 들어, 주입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90℃~100℃인 경우, 연소가스는 순환되는 냉각수 및 분무되는 응축수에 의해 약 40℃ 정도로 온도가 낮춰질 수 있다.
제1일체형 저장조(120)는 제1응축기 본체(111)에서 열교환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한다. 또한, 제1일체형 저장조(120)는 제1세정기 본체(131)에 사용되는 세정수를 저장한다. 따라서, 제1일체형 저장조(120)에 저장되는 응축수 또는 세정수는 동일한 물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경우에 따라 응축수와 세정수를 혼용한다. 제1일체형 저장조(120)에 저장된 응축수 또는 세정수는 재순환되어 반복적으로 제1응축기(110) 또는 제1세정기(13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1세정기(130)는 제1응축기(110)로부터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를 전달받아 연소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세정수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제1세정기(130)는 제1일체형 저장조(120)에 저장된 응축수를 세정수로서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제1세정기(130)는 제1세정기 본체(131), 제1세정기 분무관(132), 제1온도제어용 냉각수 저장조(133) 및 제1온도제어용 냉각수 공급관(134)을 포함한다.
제1세정기 본체(131)는 제1응축기 본체(111)로부터 응축에 의해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를 유입받는다. 제1세정기 본체(131)와 제1응축기 본체(111)는 하부에 서로 연결되는 통로를 갖는다. 제1세정기 본체(131)는 이 통로를 통해 하부로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제1세정기 본체(131)의 상부로 상승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세정기 분무관(132)은 유입된 연소가스가 제1세정기 본체(131)에서 상승하는 동안, 세정수를 제1세정기 본체(131)의 하부로 분무하여 연소가스의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1세정기 분무관(132)은 제1일체형 저장조(120)에 저장된 응축수를 세정수로서 이용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세정기 분무관(132)에서 분무되는 세정수는 제1일체형 저장조(120)로 입수하여 세정수로서 재이용될 수도 있다.
제1온도제어용 냉각수 저장조(133)는 제1세정기 본체(131)의 외부에 설치되며, 최종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각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냉각수를 제1세정기 본체(131)로 공급하는 냉각탑일 수 있다. 제1응축기(110)에서 연소가스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못하면 제1온도제어용 냉각수 저장조(113)와 연결된 열교환기(도 1의 식별번호 60 또는 95 또는 기타 미도시된 열교환기)에서 낮추게 된다.
제1세정용 냉각수 공급관(134)은 일단은 제1세정용 냉각수 저장조(133)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세정기 본체(131)에 연결되어, 제1세정용 냉각수 저장조(133)에 저장된 세정용 냉각수를 제1세정기 본체(131)의 내부에서 순환시킨다. 이를 위해, 제1세정용 냉각수 공급관(134)은 제1세정기 본체(131)의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제1세정용 냉각수 공급관(134)은 제1세정기 분무관(132)보다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응축기(110)로부터 유입되는 연소가스 중 황산화물은 제1세정기 분무관(132)에서 분무되는 세정수에 의해 제거되고, 황산화물이 제거된 연소가스는 제1세정용 냉각수 공급관(134)의 냉각수에 의해 온도가 낮춰진 후 재순환 연소가스로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응축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제2응축장치(200)는 해수를 이용한 냉각 및 응축이 가능한 장치로서, 제2응축기(210), 제2일체형 저장조(220) 및 제2세정기(230)를 포함한다. 제2응축기(210), 제2일체형 저장조(220) 및 제2세정기(2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응축기(210)는 제2응축기 본체(211), 제2응축용 냉각수 공급관(212), 제2펌프(213) 및 제2응축기 분무관(214)을 포함한다.
제2세정기(230)는 제2세정기 본체(231), 제2세정기 분무관(232) 및 제2세정용 냉각수 공급관(233)을 포함한다
제2응축기(210), 제2일체형 저장조(220) 및 제2세정기(230)는 도 1의 제1응축기(110), 제1일체형 저장조(120) 및 제1세정기(130)와 구조 및 동작이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응축장치(200)와 제1응축장치(100의 차이는 제1응축장치(100)는 냉각탑에 저장된 담수를 이용하여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응축수를 생성하며, 제1세정기(130)에서 다시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춰 배출한다.
반면, 제2응축장치(200)는 해수를 이용하여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춰 응축수를 생성하며, 제2세정기(230)에서 다시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춘다. 즉, 제2응축용 냉각수 공급관(213)은 해수를 응축용 냉각수로서 제2응축기 본체(221)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킨다. 또한, 제2온도제어용 냉각수 공급관(212)은 해수를 제어용 냉각수로서 제2세정기 본체(211)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3응축장치(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제3응축장치(300)는 응축수를 이용한 세정과 응축수 중화가 가능한 장치로서, 제3응축기(310), 제3일체형 저장조(320), 제1중화기(330) 및 제3세정기(340)를 포함한다. 제3응축기(310), 제3일체형 저장조(320) 및 제3세정기(3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응축기(310), 제3일체형 저장조(320) 및 제3세정기(34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응축기(110), 제1일체형 저장조(120) 및 제1세정기(14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중화기(330)는 제3일체형 저장조(320)에 저장된 응축수를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세정기(340)는 중화된 응축수를 세정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중화기(330)는 응축수를 약 6.5pH 정도의 농도를 가지도록 중화시킬 수 있다. 이는, 세정수가 산성인 경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제1중화기(330)는 제1혼합조(331), 제1수위 센서(332), 제4펌프(333), 제2수위 센서(334), 제1pH(페하, 수소 이온 농도) 센서(335), 제5펌프(336) 및 제1중화제 공급부(337)를 포함한다.
제1혼합조(331)는 제3일체형 저장조(320)에 저장된 세정수를 저장한다.
제1수위 센서(332)는 제1혼합조(331)에 저장된 세정수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제1혼합조(331)의 수위가 A 레벨로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면, 제3일체형 저장조(320)에 저장된 세정수를 공급받도록 제4펌프(33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4펌프(333)는 제3일체형 저장조(320)에 저장된 세정수를 펌핑하고, 이에 의해 제1혼합조(331)로 펌핑된 세정수는 전달된다.
제2수위 센서(334)는 제1혼합조(331)에 저장된 세정수가 B 레벨에 도달하였는지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제1혼합조(331)의 수위가 B 레벨로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면, 펌핑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4펌프(33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pH 센서(335)는 제3일체형 저장조(320)에 저장된 세정수의 pH를 주기적으로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세정수의 수소 이온 농도(즉, 황산화물의 농도)가 황산화물의 증가로 인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보다 낮으면,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제1중화제 공급부(337)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중화제 공급부(337)는 제어기(90)의 제어에 기초하여 센싱된 pH에 따라 가변적으로 중화제를 제1혼합조(331)로 공급할 수 있다. 제1중화제 공급부(337)는 세정수의 수소 이온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농도로 중화될 수 있을 정도의 중화제를 제1혼합조(331)로 공급한다. 이때, 제5펌프(336)가 제1중화제 공급부(337)에 저장된 중화제를 펌핑하여 제1혼합조(331)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혼합조(331)는 응축수(또는 세정수)와 중화제를 혼합하여 응축수를 중화한 후 저장한다.
제1혼합조(331)의 수위가 B 레벨에 도달하고, 제1혼합조(331)에 저장된 세정수가 중화완료되면, 제어기(90)는 제1혼합조(331)에 저장된 중화된 세정수가 제3세정기(340)에게 공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3세정기(340)는 제1혼합조(331)에 저장된 중화된 세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3세정기(340)로 공급되는 중화된 세정수는 연소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3세정기(340)는 제1중화기(330)로부터 중화된 세정수를 공급받아 분무하며, 이로써 제3응축기(310)로부터 유입되는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3세정기(340)는 제3세정기 본체(341), 제6펌프(342), 제3세정기 분무관(343) 및 제3세정용 냉각수 공급관(344)을 포함한다.
제3세정기 본체(341)는 제3응축기 본체(311)로부터 응축에 의해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를 유입받는다. 연소가스는 제3세정기 본체(341)와 제3응축기 본체(311)는 하부에 마련된 서로 연결되는 통로를 통해 유입된 후, 제3세정기 본체(341)의 상부로 상승하여 배출된다.
제3세정기 분무관(343)은 유입된 연소가스가 제3세정기 본체(341)에서 상승하는 동안, 중화된 세정수를 제3세정기 본체(341)의 하부로 분무하여 연소가스의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3세정기 분무관(343)에서 분무되는 세정수는 제3일체형 저장조(320)로 입수하여 중화된 후 세정수로서 재이용될 수도 있다.
제3세정용 냉각수 공급관(344)은 냉각탑(미도시)에 저장된 냉각수 또는 해수를 유입받아 제3세정기 본체(341)의 내부로 공급하며, 이로써, 제3세정기 본체(341)의 상부로 상승하는 연소가스(즉, 황산화물이 제거된 연소가스)의 온도는 낮아진다. 적정 온도 상태를 유지한 연소가스는 제3세정기 본체(341)의 상단에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미분기(20) 또는 연돌 또는 이산화탄소 회수장치(80)로 유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4응축장치(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제4응축장치(400)는 응축수 배출장치로서, 제4응축기(410), 제4일체형 저장조(420), 제4세정기(430) 및 제1배출기(440)를 포함한다. 제4응축기(410), 제4일체형 저장조(420) 및 제4세정기(4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응축기(410), 제4일체형 저장조(420) 및 제4세정기(43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3응축기(310), 제3일체형 저장조(320) 및 제3세정기(34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배출기(440)는 제4일체형 저장조(420)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C 레벨을 유지하면서 응축수 배출구를 통한 연소가스의 배출은 막고, 제4일체형 저장조(420)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1배출기(440)는 제1배출관(441), 제1임시 저장조(442), 제3수위 센서(443), 제4수위 센서(444), 제8펌프(445), 제2배출관(446), 제1배출수 저장조(447) 및 제1밸브(448)를 포함한다.
제4일체형 저장조(420)에 저장된 응축수가 사전에 정의된 C 레벨에 도달하면, 제4일체형 저장조(420)에 저장된 응축수는 제1배출구(420a)를 통해 배출된다. 제1배출관(441)은 제1배출구(420a)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제1임시 저장조(442)로 전달한다. 제1배출구(420a)는 제4일체형 저장조(420)의 측벽에 마련되며, 응축수가 C 레벨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응축수 배출구에 ‘ㄱ'자 형태의 가스 차단막이 부착되어 응축수만 배출되도록 한다.
제1임시 저장조(442)는 제4일체형 저장조(420)에 저장된 응축수를 전달받아 임시 저장한다.
제3수위 센서(443)는 제1임시 저장조(442)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제1임시 저장조(442)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D 레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임시 저장조(442)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 또는 제1배출수 저장조(447)로 배출하도록 제8펌프(445)를 제어한다.
제4수위 센서(444)는 제1임시 저장조(442)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주기적으로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제1임시 저장조(442)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D 레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펌핑 작업을 정지하도록 제8펌프(445)를 제어한다. 이로써, 제1임시 저장조(442)에는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는 최소 E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제8펌프(445)는 제어기(90)의 제어에 의해 제1임시 저장조(442)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에 의해 유출한다. 따라서, 제3수위 센서(443)에 의해 센싱된 수위가 사전에 정해진 최대 수위(즉, D 레벨)에 도달하면, 제8펌프(445)에 의해 유출되는 응축수는 제2배출관(446)을 통해 제1배출수 저장조(447)로 전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5응축장치(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제5응축장치(500)는 담수를 이용한 순산소 석탄 연소가스 응축/세정 및 응축수 중화가 가능한 장치로서, 제5응축기(510), 제5일체형 저장조(520), 제2중화기(530), 제5세정기(540) 및 제2배출기(550)를 포함한다. 제5응축기(510), 제5일체형 저장조(520) 및 제5세정기(5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응축기(510)는 보일러(4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주입되면, 응축용 냉각수를 이용하여 연소가스를 응축시키면서 연소가스의 온도를 정해진 범위 내의 온도로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5응축기(510)는 제5응축기 본체(511), 제5응축용 냉각수 저장조(512), 제5응축용 냉각수 공급관(513), 제9펌프(514) 및 제5응축기 분무관(515)을 포함한다. 제5응축기(510)의 구조 및 동작은 제1응축기(110) 또는 제2응축기(2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제5응축기 본체(511)는 열교환기(60)로부터 1차 냉각된 연소가스를 주입받으며, 주입된 연소가스가 제5응축기 본체(511)의 하부로 하강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5응축기 본체(511)의 내부에는 제5응축용 냉각수 공급관(513) 및 제5응축기 분무관(515)이 설치될 수 있다.
제5응축용 냉각수 저장조(512)는 제5응축용 냉각수 공급관(513)으로 전달할 냉각수를 저장한다.
제5응축용 냉각수 공급관(513)은 제5응축용 냉각수 저장조(512)에 저장된 냉각수 또는 해수를 유입받아 제5응축기 본체(511)의 내부로 공급한다. 제5응축용 냉각수 공급관(513)은 제5응축기 본체(511)의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냉각수는 제5응축용 냉각수 공급관(513)을 따라 제5응축기 본체(511)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하강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춘다. 냉각수에 의해 연소가스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로 낙하하여 저장된다.
제5응축기 분무관(515)은 제5응축기 본체(5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제5일체형 저장조(520)로부터 유입하여 제5응축기 본체(511)의 하부로 분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5응축기 분무관(515)과 연결된 제9펌프(514)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여 제5응축기 분무관(5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분무되는 응축수에 의해 연소가스와 제5응축용 냉각수 공급관(513)과 연결된 열교환 튜브 사이의 열전달이 촉진되어 연소가스의 냉각 효과는 상승하게 된다.
제5일체형 저장조(520)는 제5응축기 본체(511)에서 열교환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한다. 또한, 제5일체형 저장조(520)는 제5세정기(540)에서 사용되는 세정수를 저장한다.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응축수 또는 세정수는 재순환되어 반복적으로 제5응축기(510) 또는 제5세정기(54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2중화기(530)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응축수를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5세정기(540)는 중화된 응축수를 세정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2중화기(530)는 제2혼합조(531), 제5수위 센서(532), 제10펌프(533), 제6수위 센서(534), 제2pH 센서(535), 제11펌프(536) 및 제2중화제 공급부(537)를 포함한다.
제2혼합조(531)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세정수를 저장한다.
제5수위 센서(532)는 제2혼합조(531)에 저장된 세정수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제2혼합조(531)의 수위가 A 레벨로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면,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세정수를 공급받도록 제10펌프(53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0펌프(533)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세정수를 펌핑하고, 이에 의해 제2혼합조(531)로 펌핑된 세정수는 전달된다.
제6수위 센서(534)는 제2혼합조(531)에 저장된 세정수가 B 레벨에 도달하였는지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제2혼합조(531)의 수위가 B 레벨로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면, 펌핑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10펌프(53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pH 센서(535)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세정수의 pH를 주기적으로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세정수의 수소 이온 농도(즉, 황산화물의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보다 높으면,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제2중화제 공급부(537)를 제어할 수 있다.
제2중화제 공급부(537)는 제어기(90)의 제어에 기초하여 센싱된 pH에 따라 가변적으로 중화제를 제2혼합조(531)로 공급할 수 있다. 제2중화제 공급부(537)는 세정수의 수소 이온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농도로 중화될 수 있을 정도의 중화제를 제2혼합조(531)로 공급한다. 이때, 제11펌프(536)가 제2중화제 공급부(537)에 저장된 중화제를 펌핑하여 제2혼합조(531)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2혼합조(531)는 응축수(또는 세정수)와 중화제를 혼합하여 응축수를 중화한 후 저장한다.
제2혼합조(531)의 수위가 B 레벨에 도달하고, 제2혼합조(531)에 저장된 세정수가 중화완료되면, 제어기(90)는 제2혼합조(531)에 저장된 중화된 세정수가 제5세정기(540)에게 공급되도록 제12펌프(54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5세정기(540)는 제2혼합조(531)에 저장된 중화된 세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5세정기(540)로 공급되는 중화된 세정수는 연소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5세정기(540)는 제2중화기(530)로부터 중화된 세정수를 공급받아 분무하며, 이로써 제5응축기(510)로부터 유입되는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5세정기(540)는 제5온도제어용 냉각수 저장조(541), 제12펌프(542), 제5세정기 분무관(543) 및 제5온도제어용 냉각수 공급관(544)을 포함한다.
제5세정기(540)는 제5응축기 본체(511)로부터 응축에 의해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를 유입받는다. 연소가스는 제5응축기 본체(511)와 제5세정기 본체(540) 하부에 마련된 서로 연결되는 통로를 통해 유입된 후, 제5세정기(540)의 상부로 상승하여 배출된다.
제12펌프(542)는 제2혼합조(531)에 저장된 중화된 세정수를 제5세정기 분무관(543)으로 공급하기 위해 펌핑 작업을 하며, 제2혼합조(531)에 저장된 세정수의 수위가 A레벨이 될 때까지 제어기(90)의 제어에 의해 펌핑할 수 있다.
제5세정기 분무관(543)은 유입된 연소가스가 제5세정기 본체(541)에서 상승하는 동안, 중화된 세정수를 제5세정기 본체(541)의 하부로 분무하여 연소가스의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5세정기 분무관(543)에서 분무되는 세정수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로 입수하여 세정수로서 재이용된다.
제5온도제어용 냉각수 공급관(544)은 제5온도제어용 냉각수 저장조(541) 즉, 냉각탑에 저장된 냉각수 또는 해수를 유입받아 제5세정기(540)의 상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제5세정기 본체(541)의 상부를 순환하면서, 연소가스(즉, 황산화물이 제거된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춘다.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는 제5세정기 본체(540)의 상단에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미분기(20) 또는 연돌 또는 이산화탄소 회수장치(80)로 유입된다.
제2배출기(550)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C 레벨에 도달하면,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2배출기(550)는 제3배출관(551), 제2임시 저장조(552), 제7수위 센서(553), 제8수위 센서(554), 제13펌프(555), 제4배출관(556), 제1배출수 저장조(557) 및 제1밸브(558)를 포함한다.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응축수가 사전에 정의된 C 레벨에 도달하면,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응축수는 제2배출구(520a)를 통해 배출된다. 제3배출관(551)은 제2배출구(520a)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제2임시 저장조(552)로 전달한다. 제2배출구(520a)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의 측벽에 마련되며, 응축수가 C 레벨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2임시 저장조(552)는 제5일체형 저장조(520)에 저장된 응축수를 전달받아 임시 저장한다.
제7수위 센서(553)는 제2임시 저장조(552)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제2임시 저장조(552)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D 레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임시 저장조(552)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제2배출수 저장조(557)로 배출하도록 제13펌프(555)를 제어한다.
제8수위 센서(554)는 제2임시 저장조(552)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주기적으로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기(90)에게 전달한다. 제어기(90)는 센싱 결과를 분석하여 제2임시 저장조(552)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E 레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펌핑 작업을 정지하도록 제13펌프(555)를 제어한다. 이로써, 제2임시 저장조(552)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는 최소 E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제13펌프(555)는 제어기(90)의 제어에 의해 제2임시 저장조(552)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에 의해 유출한다. 따라서, 제7수위 센서(553)에 의해 센싱된 수위가 사전에 정해진 최대 수위(즉, D 레벨)에 도달하면, 제13펌프(555)에 의해 유출되는 응축수는 제4배출관(556)을 통해 제2배출수 저장조(557) 또는 해저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0: 제5응축장치 510: 제5응축기
511: 제5응축기 본체 512: 제5응축용 냉각수 저장조
513: 제5응축용 냉각수 공급관 514: 제9펌프
515: 제5응축기 분무관 520: 제5일체형 저장조
530: 제2중화기 531: 제2혼합조
532: 제5수위 센서 533: 제10펌프
534: 제6수위 센서 535: 제2pH 센서
536: 제11펌프 537: 제2중화제 공급부
540: 제5세정기 541: 제5온도제어용 냉각수 저장조
542: 제12펌프 543: 제5세정기 분무관
544: 제5온도제어용 냉각수 공급관 550: 제2배출기
551: 제3배출관 552: 제2임시 저장조
553: 제7수위 센서 554: 제8수위 센서
555: 제13펌프 556: 제4배출관
557: 제1배출수 저장조 558: 제1밸브

Claims (11)

  1. 순산소 석탄화력 발전시스템의 연소가스 재순환을 위해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 시스템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주입 받고, 주입받은 상기 연소가스를 응축용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면서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정해진 범위 내의 온도로 낮추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연소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세정수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세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기는,
    상기 응축기 본체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온도가 낮춰진 연소가스가 상승하는 세정기 본체;
    상기 유입된 연소가스가 상기 세정기 본체에서 상승하는 동안, 상기 세정수를 상기 세정기 본체의 내부의 하부로 분무하여 상기 유입된 연소가스의 황산화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세정기 분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연소가스를 주입받는 통 형상의 응축기 본체;
    상기 응축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응축용 냉각수를 저장하는 응축용 냉각수 저장조; 및
    일단은 상기 응축용 냉각수 저장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응축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용 냉각수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용 냉각수를 상기 응축기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응축용 냉각수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연소가스를 주입받는 통형상의 응축기 본체; 및
    해수를 상기 응축용 냉각수로서 상기 응축기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응축용 냉각수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기 본체의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응축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 본체의 내부의 하부로 분무하는 응축기 분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기는,
    상기 세정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세정용 냉각수를 저장하는 세정용 냉각수 저장조; 및
    일단은 상기 세정용 냉각수 저장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정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용 냉각수 저장조에 저장된 세정용 냉각수를 상기 세정기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세정용 냉각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용 냉각수 공급관은 상기 세정기 분무관보다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기는,
    해수를 세정용 냉각수로서 상기 세정기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세정용 냉각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용 냉각수 공급관은 상기 세정기 분무관보다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및 상기 세정수를 저장하는 일체형 저장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기는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세정수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중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기는 상기 중화된 응축수를 상기 세정수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기는,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소 이온 농도(pH, 페하)를 센싱하는 pH 센서;
    상기 센싱된 pH에 따라 가변적으로 중화제를 공급하는 중화제 공급부;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의 일부와 상기 공급되는 중화제를 혼합하여 상기 응축수를 중화 및 저장하는 혼합조; 및
    상기 중화된 응축수를 펌핑하여 상기 세정기로 전달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 또는 세정수를 전달받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조;
    상기 임시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 또는 세정수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센싱된 수위가 사전에 정해진 최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임시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 또는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KR1020120105177A 2012-09-21 2012-09-21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KR10128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77A KR101282918B1 (ko) 2012-09-21 2012-09-21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PCT/KR2013/007871 WO2014046393A1 (ko) 2012-09-21 2013-08-31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77A KR101282918B1 (ko) 2012-09-21 2012-09-21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918B1 true KR101282918B1 (ko) 2013-07-08

Family

ID=4899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177A KR101282918B1 (ko) 2012-09-21 2012-09-21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2918B1 (ko)
WO (1) WO2014046393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656B1 (ko) 2015-06-11 2015-08-3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폐열 회수 및 오염물질 제거 장치
KR101548637B1 (ko) * 2015-03-26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101548659B1 (ko) 2015-06-11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열에너지 회수 및 백연 저감 장치
KR101548635B1 (ko) * 2015-04-13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폐열 회수 및 백연 저감 장치
KR101548655B1 (ko) * 2015-06-11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폐열 회수 및 정화 장치
KR101548658B1 (ko) * 2015-06-11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잠열 회수 및 백연 저감 장치
KR101740614B1 (ko) * 2016-05-20 2017-05-26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온실가스 제거 효율이 향상된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101740618B1 (ko) * 2016-03-22 2017-05-30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101794994B1 (ko) 2016-12-28 2017-11-24 주식회사 시원기업 냉각수 절감형 건조배가스 세정장치
KR101937423B1 (ko) 2017-12-11 2019-0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압 순산소 연소기 내의 온도 조절 및 부식 방지가 가능한 가압 순산소 연소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803A (ja) 2000-12-19 2002-07-05 Fuji Electric Co Ltd 廃棄物処理システム用の洗浄器
JP2002364830A (ja) 2001-06-07 2002-12-18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煙のso3分除去装置
JP3803514B2 (ja) 1999-07-26 2006-08-02 株式会社タクマ 被処理ガス脱臭システムと被処理ガス脱臭方法
KR20080011494A (ko) * 2006-07-31 2008-02-0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합성가스 냉각 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3514B2 (ja) 1999-07-26 2006-08-02 株式会社タクマ 被処理ガス脱臭システムと被処理ガス脱臭方法
JP2002188803A (ja) 2000-12-19 2002-07-05 Fuji Electric Co Ltd 廃棄物処理システム用の洗浄器
JP2002364830A (ja) 2001-06-07 2002-12-18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煙のso3分除去装置
KR20080011494A (ko) * 2006-07-31 2008-02-0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합성가스 냉각 세정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637B1 (ko) * 2015-03-26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101548635B1 (ko) * 2015-04-13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폐열 회수 및 백연 저감 장치
WO2016167425A1 (ko) * 2015-04-13 2016-10-20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폐열 회수 및 백연 저감 장치
KR101548656B1 (ko) 2015-06-11 2015-08-3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폐열 회수 및 오염물질 제거 장치
KR101548659B1 (ko) 2015-06-11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열에너지 회수 및 백연 저감 장치
KR101548655B1 (ko) * 2015-06-11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폐열 회수 및 정화 장치
KR101548658B1 (ko) * 2015-06-11 2015-09-01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잠열 회수 및 백연 저감 장치
KR101740618B1 (ko) * 2016-03-22 2017-05-30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101740614B1 (ko) * 2016-05-20 2017-05-26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온실가스 제거 효율이 향상된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101794994B1 (ko) 2016-12-28 2017-11-24 주식회사 시원기업 냉각수 절감형 건조배가스 세정장치
KR101937423B1 (ko) 2017-12-11 2019-0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압 순산소 연소기 내의 온도 조절 및 부식 방지가 가능한 가압 순산소 연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6393A1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918B1 (ko) 황산화물 제거 기능이 장착된 연소가스 응축장치
KR101503251B1 (ko) 이산화탄소 농후 연도 가스의 세정 방법 및 보일러 시스템
US10704835B2 (en) Method of spray drying and wash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pollution
CN104761010B (zh) 用于使废水蒸发和减少酸性气体排放的设备和方法
CN107032428B (zh) 一种欠饱和烟气浓缩结晶脱硫废水零排放处理系统和方法
US109551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boiler effectiveness
US96502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gas emissions from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waste water
EP32388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porating waste water and reducing acid gas emissions
KR100287634B1 (ko) 배연처리설비
JP2012143699A (ja) 排ガス処理システム
US20130175004A1 (en) Gas treatment system with a heat exchanger for reduction of chiller energy consumption
CN105944527A (zh) 一种直接接触式烟气余热深度回收降污装置及方法
CN102345873B (zh) 集成烟气除湿和湿式冷却塔系统
EP2878889B1 (en) Dry scrubber system with air preheater protection
CN109432969A (zh) 一种三循环脱硫消白一体化装置
US97246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porating waste water and reducing acid gas emissions
KR100721116B1 (ko)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성가스 및 백연의 처리 방법과장치
CN105289265A (zh) 一种循环流化床锅炉高效湿法脱硫工艺
CN210796075U (zh) 一种脱硫废水处理系统
KR20220022133A (ko)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10898641A (zh) 一种烟气脱酸除尘系统
CN108911331A (zh) 一种脱硫废水烟道旁路余热湿法脱盐零排放系统
Bricl CLEANING OF FLUE GASES IN THERMAL POWER PLANTS/CISCENJE DIMNIH PLINOV V TERMOENERGETSKIH POSTROJENJIH
KR20190069189A (ko) 배가스 처리 및 잠열 회수가 가능한 가압 순산소 연소 시스템
KR20230056097A (ko) 백연 저감 폐기물 소각로용 간접 냉각 응축기 및 직접 냉각 응축기 혼합형 fgc 열교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