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877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877B1
KR101282877B1 KR1020060075763A KR20060075763A KR101282877B1 KR 101282877 B1 KR101282877 B1 KR 101282877B1 KR 1020060075763 A KR1020060075763 A KR 1020060075763A KR 20060075763 A KR20060075763 A KR 20060075763A KR 101282877 B1 KR101282877 B1 KR 10128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ircuit board
fixing member
flexible circuit
posi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282A (ko
Inventor
김기풍
양수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8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하우징을 통과할 수 있게 설치되는 연성(flexible) 회로기판과, 단말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경성(rigid) 회로기판 및, 연성 회로기판과 경성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연성 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커넥터; 제1커넥터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고, 제1커넥터가 경성 회로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커넥터; 및 단말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삽입되는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단말기의 조립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정확한 삽입위치를 보장하게 되어 조립불량 문제를 현저히 줄여줄 뿐만 아니라, 하우징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므로 조립공수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연성회로기판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에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 단말기 101: 제1바디
102: 제2바디 110: 제1하우징
120: 제2하우징 130: 경성 회로기판
131: 제2커넥터 140: 연성 회로기판
141: 제1커넥터 142: 관통홀
150: 위치고정부재 152: 나사홀
153: 금속 보스(boss) 160: 나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성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의 연결상태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폰이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이동중에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경량화·슬림화되어 가는 반면, 작고 제한된 장치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충분한 기구적인 뒷받침을 요한다.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하나의 기판에 모두 실장되기는 어렵다. 경우에 따라 특정 부품은 기판과는 떨어져 장착될 수 있으며, 부품과 부품 사이에도 서로 떨어져 장착되기도 한다. 이들을 연결하는 통로로 점차 사용이 늘고 있는 것이 연성 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다. 연성 회로기판은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반복적인 변형에 대하여도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슬림화에도 도움을 준다. 연성 회로기판은 다른 부품이나 기판과 연결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한 연결장치를 필요로 할 경우가 많다. 도 1에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례를 보였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휴대 단말기는 다수의 키(14)를 갖는 제1바디(10)와, 디스플레이(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바디(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20)로 구성된다.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성 회로기판(30)이 사용되고 있다.
연성회로기판(30)이 제1바디(10)의 경성 회로기판(13)에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일면에는 제1커넥터(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경성 회로기판(13)에는 제1커넥터(31)가 경성 회로기판(13)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커넥터(30)가 장착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연성 회로기판(30)을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연성회로기판(30)을 통과시켜서 그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커넥터(31)를 경성회로기판(13)에 장착되어 있는 제2커넥터(15)에 삽입시킨 후, 경성회로기판(13)을 제1하우징(11)에 맞추고 제2하우징(12)을 조립위치에 배치시켜 스크루(미도시) 등에 의하여 제1하우징(11)과 경성 회로기판(13)을 함께 체결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제1커넥터(31)와 제2커넥터(12)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신뢰성 측면에서는 제1커넥터(31)와 제2커넥터(12)를 연결하기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어 연성회로기판(30)이 단선(斷線)될 위험이 있으며, 경성 회로기판(13)에 이물질이 들어가 기기가 오작동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 커넥터가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작업이 종료된 경우가 생길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단말기가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어느 한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로부터 이탈되어 접속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성회로기판을 경성회로기판에 연결시 조립 과정을 간소하게 하고 제품불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성회로기판과 경성회로기판 사이의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하우징을 통과할 수 있게 설치되는 연성(flexible) 회로기판과,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경성(rigid) 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경성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경성 회로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커넥터; 및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삽입되는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은 제1커넥터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됨으로써 연성회 로기판이 흔들리지 않고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끝단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성 회로기판이 상기 경성 회로기판과 함께 나사에 의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끝단부에는 메탈로 된 보스가 더 구비되어, 상기 나사가 보스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연성(flexible) 회로기판과, 경성(rigid) 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경성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경성 회로기판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커넥터; 및 상기 경성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삽입되는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부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1)와, 제1바디(10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102)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폴더 타입 단말기 또는 스윙 타입의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바디(101)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및 경성 회로기판(130)을 구비하고 있으며, 경성 회로기판(130)은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조립시 함께 체결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1하우징(110)에는 제2바디(102)와 신호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성 회로기판(140)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연성 회로기판(140)은 제2바디(102)가 슬라이드 이동시 자체 변형되면서 제1바디(101)와 제2바디(102) 사이를 연결해준다.
연성회로기판(140)을 경성회로기판(13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장치는, 연성회로기판(14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커넥터(141)와, 제1커넥터(141)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고 제1커넥터(141)가 경성 회로기판(130)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커넥터(131) 및, 제1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제1커넥터(141)가 제2커넥터(131)에 삽입되는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위치고정부재(150)는 경성회로기판(130)의 제2커넥터(131)에 해당되는 위치에 제1커넥터(141)가 자동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제1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연성 회로기판(140)에는 위치고정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홀(142)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성 회로기판(140)이 놓여진 상태에서 회전되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관통홀(142)과 위치고정부재(150)는 제1커넥터(141)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고정부재(150)의 끝단부에는 경성회록기판(130)과 함께 나사(160)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홀(1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140)을 경성회로기판(130)에 연결하고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연성회로기판(140)의 제1커넥터(141)의 양측 관통홀(142)을 제1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고정부재(150)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경성회로기판(130)을 제1하우징(110)에 대한 체결위치에 맞추고 제2하우징(120)을 덮고 나사(160)를 각각 체결한다.
이 과정에서, 연성회로기판(140)은 위치고정부재(150)에 구속되어 움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나사(16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제1커넥터(141)는 제2커넥터(131)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고정부재(150)의 끝단부에는 메탈로 된 보스(1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나사(160)가 쉽게 풀리거나 나사산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그 길이가 충분하지 않은 연성회로기판(130)을 잡고 제1커넥터(141)을 경성회로기판(130)의 제2커넥터(131)에 일일이 맞추어 조립할 필요 없이 하우징(110)(120)을 체결하는 하나의 공정으로 커넥터(141)(131)를 정위치에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넥터(141)의 주변을 나사로 체결하는 것이므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의 충격을 받는 경우라도 제1커넥터(141)가 제2커넥터(131)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연성 회로기판(240)의 끝단부에는 제1커넥터(241)이 구비되어 있다.
경성회로기판(230)에는 제1커넥터(241)가 경성회로기판(23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배치되는 제2커넥터(2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커넥터(231)의 전방에는 경성회로기판(23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커넥터(241)가 제2커넥터(231)에 삽입되는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250)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고정부재(250)에 대응하여 연성 회로기판(240)의 양측단에는 관통홀(242)이 한 쌍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242)은 제1커넥터(241)가 제2커넥터(231)에 완전히 삽입된 후 위치고정부재(2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커넥터(241)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커넥터(241)를 제2커넥터(231)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연성회로기판(240)의 후단부를 약간 들어 위치고정부재(250)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위치고정부재(250)와 관통홀(242)은 제1커넥터(241)가 제2커넥터(231)에 완전히 삽입되어 정확히 접속된 상태라야 맞추어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에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커넥터(241)를 제2커넥터(231)에 완전히 삽입시킨 후에는 연성회로기판(240)을 놓아서 관통홀(242)가 위치고정부재(250)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위치고정부재(25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의 충격을 받게 되어 제1커넥터(241)가 제2커넥터(13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연성회로기판(240)이 후퇴되지 않도록 잡게 되므로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삽입되는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를 두었으므로, 단말기의 조립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정확한 삽입위치를 보장하게 되어 조립불량 문제를 현저히 줄여줄 뿐만 아니라, 하우징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므로 조립공수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경성회로기판과 연성회로기판이 나사에 의하여 체결되므로 단말기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연성회로기판이 경성회로기판에 대하여 수평으로 진입하여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위치고정부재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임의로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9)

  1.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제2 커넥터가 장착되는 경성(rigid) 회로기판;
    통과홀을 구비하며 상기 경성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기 경성 회로기판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2 커넥터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단말기 하우징; 및
    상기 단말기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일면에 상기 제2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넥터의 양측에 인접하여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연성(flexible)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끝단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성 회로기판이 상기 경성 회로기판과 함께 나사에 의해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끝단부에는 메탈로 된 보스가 더 구비되어, 상기 나사가 보스에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서로 결합하는 제1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제2 커넥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경성(rigid) 회로기판;
    통과홀을 구비하며 상기 경성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단말기 하우징; 및
    상기 단말기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2 커넥터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연성(flexible)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완전히 삽입된 후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연성회로기판의 양 측단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075763A 2006-08-10 2006-08-10 휴대 단말기 KR10128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763A KR101282877B1 (ko) 2006-08-10 2006-08-10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763A KR101282877B1 (ko) 2006-08-10 2006-08-10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282A KR20080014282A (ko) 2008-02-14
KR101282877B1 true KR101282877B1 (ko) 2013-07-05

Family

ID=3934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763A KR101282877B1 (ko) 2006-08-10 2006-08-10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6740B (zh) * 2016-11-17 2020-02-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48B1 (ko) *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200369496Y1 (ko) * 2004-08-26 200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48B1 (ko) *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200369496Y1 (ko) * 2004-08-26 200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282A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381B1 (en) SIM card connector
US8913394B2 (en) Electrical components coupled to circuit boards
US7180750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stacking connectors on boards from coming apart and electronic device
US20080051159A1 (en) Portable Radio
US8537560B2 (en) Electronic device
CN111526689B (zh) 电子装置
KR101282877B1 (ko) 휴대 단말기
WO2013105170A1 (ja) 携帯端末
JP3925097B2 (ja) プリント基板取り付け構造
US7769195B2 (en) Microphone connector module
KR100598121B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KR20170029684A (ko) Pcb 기판의 안착홀에 삽입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pcb 조립체
US82814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less receiver
JP5280108B2 (ja) 端子部品及び携帯電子機器
JP4923807B2 (ja) プリント基板の実装構造
JP4883952B2 (ja) 接続端子
JP5347375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配線ケーブル保持構造
JP2001266977A (ja) サブ基板固定具及びサブ基板固定構造
JP4385341B2 (ja) コネクタ用部品、コネクタ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US738427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7227229A (ja) 基板接続構造及び電子機器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US862833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KR1006537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고정구조 및 그 방법
US20110021086A1 (en)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or and plu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