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627B1 -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627B1
KR101282627B1 KR1020110090573A KR20110090573A KR101282627B1 KR 101282627 B1 KR101282627 B1 KR 101282627B1 KR 1020110090573 A KR1020110090573 A KR 1020110090573A KR 20110090573 A KR20110090573 A KR 20110090573A KR 101282627 B1 KR101282627 B1 KR 10128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ameter portion
large diameter
insert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166A (ko
Inventor
김세훈
서정도
안병기
박진용
김지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원강업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원강업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627B1/ko
Priority to JP2011267013A priority patent/JP6097009B2/ja
Priority to US13/312,726 priority patent/US9263759B2/en
Priority to DE102011088103.4A priority patent/DE102011088103B4/de
Priority to CN201110427959.XA priority patent/CN102983294B/zh
Publication of KR2013002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3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in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샌드위치 구조의 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사출압에 의한 인서트의 휨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일체형 금속인서트와 달리, 특정 형상을 갖는 2장 이상의 플레이트를 적층시킨 샌드위치 인서트를 제작하는 동시에 샌드위치 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를 체결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사출 성형시의 수지압에 의하여 샌드위치 인서트가 휘어지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End plate for fuel cell having warpage preventing plate}
본 발명은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샌드위치 구조의 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사출압에 의한 인서트의 휨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차량에 탑재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단위 구성을 첨부한 도 10을 참조로 간략히 살펴보면, 가장 안쪽에 전극막 어셈블리(MEA: Membrane-Electrode Assembly)가 위치하는데, 이 전극막 어셈블리는 수소 양이온(Proton)을 이동시켜 줄 수 있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10)과, 이 전해질막 양면에 수소와 산소가 반응할 수 있도록 도포된 촉매전극층, 즉 캐소드(12: 공기극(cathode)) 및 애노드(14: 연료극(anode))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캐소드(12) 및 애노드(14)의 바깥 부분에는 가스확산층(GDL: Gas Diffusion Layer)(16) 및 개스킷(Gasket)(18)이 차례로 적층되고, 가스확산층(16)의 바깥 쪽에는 연료를 공급하고 반응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출하도록 유로(Flow Field)가 형성된 분리판(20)이 위치된다.
위와 같은 스택의 단위 셀들이 몇 백개 이상 적층된 후, 가장 바깥쪽에는 각 단위 셀들을 지지하며 고정시키기 위한 엔드플레이트(30, End plate)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엔드플레이트(30)의 내측에는 스택에서 발생된 전기를 모아서 외부로 보내는 집전판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스택의 애노드(14)에서는 수소의 산화반응이 진행되어 수소이온(Proton)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생성된 수소이온과 전자는 각각 전해질막(10)과 분리판(20)을 통하여 캐소드(12)극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캐소드(12)극에서는 애노드(14)극으로부터 이동한 수소이온과 전자, 공기중의 산소가 참여하는 전기화학반응을 통하여 물을 생성하며, 이러한 전자의 흐름으로부터 최종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엔드플레이트(30)의 집전판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요하는 부하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연료전지 스택의 구성중 엔드플레이트(30)는 상기와 같이 복수개로 적층된 분리판, 전극막 어셈블리(MEA), 가스확산층(GDL) 등을 체결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단위 셀들의 양쪽에 위치하여 각 단위셀에 일정한 면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첨부한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엔드플레이트(30)는 경량화 및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일체형 금속 인서트(31), 플라스틱 사출물(32), 집전판(3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금속 인서트(31)를 사출금형내에 배치한 다음, 사출금형내에 플라스틱 사출재료를 충진시킴으로써, 금속 인서트(31)가 플라스틱 사출물(32)로 둘러싸인 엔드플레이트(30)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 집전판(33)은 금속 인서트(31)와 함께 사출금형내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사출물(32)에 의하여 함께 사출되거나, 추후에 플라스틱 사출물(32)의 내면에 별도로 조립된다.
이러한 엔드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는 내부 면압에 견디기 위해 고강성 특성을 갖는 것으로 요구되고 있고, 이에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을 기계가공하여 제작하고 있으며, 또한 스택의 생산 전기를 집전하고 스택을 체결하기 위하여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엔드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는 일체형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금속인서트에 경량화를 위한 살빼기 구조 가공시, 사출성형이 어려움이 있다.
즉, 엔드플레이트의 사출 후 수지 표면은 누기 방지를 위한 가스켓과의 접촉을 위하여 홈이나 요철이 발생되어서는 안되는데, 금속인서트에 살빼기 구조 적용시, 플라스틱 사출물을 이루는 수지의 살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수지 수축에 의해 표면에 홈이나 요철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일체형 금속인서트의 경우 중량 감소를 위한 살빼기 구조로서 포켓가공을 할 경우, 사출물의 살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둘째, 일체형 금속인서트는 금속 혹은 비금속 소재의 플레이트를 기계가공으로 절삭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개당 제작시간이 길어지므로, 대량 생산 및 원가 절감에 어려움이 있다.
셋째, 일체형 금속인서트는 한가지 소재만을 사용해야 하므로 경량화 및 강성 개선을 위한 이종 소재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일체형 금속인서트와 달리, 특정 형상을 갖는 2장 이상의 플레이트를 적층시킨 샌드위치 인서트를 제작하여, 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 인서트를 구성하는 여러장의 플레이트중 중간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는 살빼기 공간을 갖는 것으로 적용됨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물로 샌드위치 인서트를 감싸는 사출 성형시 수지압에 의하여 샌드위치 인서트의 중앙부분이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일체형 금속인서트와 달리, 특정 형상을 갖는 2장 이상의 플레이트를 적층시킨 샌드위치 인서트를 제작하는 동시에 샌드위치 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를 체결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사출 성형시의 수지압에 의하여 샌드위치 인서트가 휘어지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부에 매니폴드부를 갖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접착수단으로 접착시킨 샌드위치 인서트를 구비하고, 사출시 수지압이 직접 작용하는 샌드위치 인서트의 일면에서 그 반대쪽 면에 사출금형의 표면과 밀착되는 휨 방지 플레이트를 결합시켜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사출 금형내에서 수지압을 받는 샌드위치 인서트를 휨 방지 플레이트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휨 방지 플레이트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동일 두께를 가지면서 일체로 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대직경부의 저면이 샌드위치 인서트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최외곽 플레이트의 외표면에 밀착되고,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간의 단차부가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하여 사출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휨 방지 플레이트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대직경부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구비되어, 대직경부의 하단부가 샌드위치 인서트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최외곽 플레이트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며,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간의 단차부가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하여 사출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휨 방지 플레이트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소직경부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구비되어, 대직경부는 샌드위치 인서트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최외곽 플레이트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고,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간의 단차부가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하여 사출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휨 방지 플레이트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소직경부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구비되고, 대직경부의 하단부가 샌드위치 인서트의 최외곽 플레이트의 다음에 위치하는 두번째 플레이트에 형성된 안착홈내에 안착되는 동시에 소직경부가 최외곽 플레이트에 형성된 삽입단자홀을 통하여 돌출되어,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간의 단차부가 최외곽 플레이트의 저면에 걸리며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드 플레이트의 인서트를 여러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샌드위치 인서트를 채택함과 함께, 샌드위치 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를 체결하여, 사출금형내에서 휨 방지 플레이트가 샌드위치 인서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출 공정시 샌드위치 인서트에 작용하는 수지 압력에 의하여 샌드위치 인서트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의 금속인서트에 휨 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엔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연료전지 스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양단부에 수소/공기/냉각수가 흐르게 되는 매니폴드부가 형성된 샌드위치 구조의 인서트(100)와, 이 샌드위치 인서트(100)를 플라스틱 사출재로 감싸면서 사출된 플라스틱 사출물(300)로 구성되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서, 샌드위치 인서트(100)를 플라스틱 사출물(300)로 감싸는 사출 공정시 샌드위치 인서트(100)가 사출 수지압에 의하여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샌드위치 인서트(100)에 휨 방지용 플레이트(200)를 결합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첨부한 도 1,3,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샌드위치 인서트(100)는 양단부에 매니폴드 형성자리면(102)을 갖는 최외곽 플레이트(110)인 제1플레이트와, 두번째 플레이트(120)인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130)와, 제4플레이트(140)가 접착수단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접합되는 구조로 제작되고, 경량화를 위하여 제2플레이트(120)에는 제1살빼기 공간(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구비된 샌드위치 인서트(100)를 사출금형(400)내에 떠 있는 상태로 배치한 다음, 사출금형의 내표면과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외표면 사이공간에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외표면이 플라스틱 사출물(200)로 감싸여지며 사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사출금형(400)내에 배치되는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핀홀내에 핀(미도시됨)을 삽입하는 동시에 핀의 양단부가 사출금형의 상면 및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게 함으로써, 사출금형(400)내의 중간부분에 샌드위치 인서트(100)가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플라스틱 수지가 사출금형(400)의 저부로부터 주입될 때, 수지압이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중앙 영역에 작용함에 따라,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중앙 영역이 미세하게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샌드위치 인서트(100)에 휨 방지 플레이트(200)를 결합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엔드플레이트의 샌드위치 인서트에 결합되는 휨 방지 플레이트의 각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가 동일 두께를 가지면서 일체로 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아래쪽의 대직경부(202)와 위쪽의 소직경부(204)는 모자(HAT)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구비된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샌드위치 인서트(100)에 밀착되면서 사출금형내에 함께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첨부한 도 2에서 보듯이 샌드위치 인서트(100)를 사출금형(400)내에 떠 있는 상태로 배치할 때,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대직경부(202) 저면을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최외곽 플레이트(110)의 외표면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소직경부(204)의 상면을 사출금형(400)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이어서, 사출금형(400)의 내표면과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외표면 사이공간에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외표면이 플라스틱 사출물(200)로 감싸여지며 사출 성형된다.
이때, 사출 성형시의 수지압이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저면에 직접 작용하더라도, 그 반대면인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최외곽 플레이트(110)가 휨 방지용 플레이트(200)에 의하여 받쳐지며 지지되는 상태가 되므로, 수지압에 의하여 샌드위치 인서트(100)가 휘어지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사출 성형이 완료된 엔드 플레이트를 사출금형(400)으로부터 탈형시키게 되면,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소직경부(204) 상면은 플라스틱 사출물(20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 간의 단차부(206)가 플라스틱 사출물(300)에 의하여 감싸여지며 사출됨에 따라, 사출 공정이 종료된 후에도 휨 방지 플레이트(200)가 빠지지 않는 잠금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내면쪽 즉, 휨 방지용 플레이트(200)의 반대면에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집접하는 집전판(500)이 부착된다.
제2실시예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가 일체로 형성되되 대직경부(202)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구비되고, 아래쪽의 대직경부(202)와 위쪽의 소직경부(204)는 모자(HAT)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구비된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샌드위치 인서트(100)에 밀착되면서 사출금형내에 함께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첨부한 도 4에서 보듯이 샌드위치 인서트(100)를 사출금형(400)내에 떠 있는 상태로 배치할 때,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대직경부(202)의 하단부를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최외곽 플레이트(110)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홈(105)에 삽입 결합시키고, 소직경부(204)의 상면을 사출금형(400)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이어서, 사출금형(400)의 내표면과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외표면 사이공간에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외표면이 플라스틱 사출물(200)로 감싸여지며 사출 성형된다.
이때, 사출 성형시의 수지압이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저면에 직접 작용하더라도, 그 반대면인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최외곽 플레이트(110)가 휨 방지용 플레이트(200)에 의하여 받쳐지며 지지되는 상태가 되므로, 수지압에 의하여 샌드위치 인서트(100)가 휘어지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사출 성형이 완료된 엔드 플레이트를 사출금형(400)으로부터 탈형시키게 되면,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소직경부(204) 상면은 플라스틱 사출물(20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 간의 단차부(206)가 플라스틱 사출물(300)에 의하여 감싸여지며 사출됨에 따라, 사출 공정이 종료된 후에도 휨 방지 플레이트(200)가 빠지지 않는 잠금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내면쪽 즉, 휨 방지용 플레이트(200)의 반대면에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집접하는 집전판(500)이 부착된다.
제3실시예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가 일체로 형성되되 소직경부(204)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구비되고, 아래쪽의 대직경부(202)와 위쪽의 소직경부(204)는 모자(HAT) 형상을 이루게 된다.
첨부한 도 6에서 보듯이, 샌드위치 인서트(100)를 사출금형(400)내에 떠 있는 상태로 배치할 때,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대직경부(202) 전체를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최외곽 플레이트(110)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홈(105)에 삽입 결합시키고, 소직경부(204)의 상면을 사출금형(400)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나머지 공정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가 일체로 형성되되 소직경부(204)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구비되고, 아래쪽의 대직경부(202)와 위쪽의 소직경부(204)는 모자(HAT) 형상을 이루게 된다.
첨부한 도 8에서 보듯이, 샌드위치 인서트(100)를 사출금형(400)내에 떠 있는 상태로 배치할 때, 대직경부(202)의 하단부를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최외곽 플레이트의 다음에 위치하는 두번째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안착홈(107)내에 안착시키고, 동시에 소직경부(204)가 최외곽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삽입단자홀(108)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 간의 단차부(206)가 최외곽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걸리며 잠금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출 성형시의 수지압이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저면에 직접 작용하더라도, 그 반대면인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최외곽 플레이트(110)가 휨 방지용 플레이트(200)의 소직경부(204)에 의하여 받쳐지며 지지되는 상태가 되므로, 수지압에 의하여 샌드위치 인서트(100)가 휘어지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사출 성형이 완료된 엔드 플레이트를 사출금형(400)으로부터 탈형시키게 되면,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소직경부(204) 상면은 플라스틱 사출물(20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휨 방지 플레이트(200)의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 간의 단차부(206)가 최외곽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걸리며 잠금되는 상태가 되므로, 사출 공정이 종료된 후에도 휨 방지 플레이트(200)가 빠지지 않는 잠금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내면쪽 즉, 휨 방지용 플레이트(200)의 반대면에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집접하는 집전판(500)이 부착된다.
100 : 샌드위치 인서트
102 : 매니폴드부
105 : 결합홈
110 : 최외곽 플레이트
120 : 두번째 플레이트
107 : 안착홈
108 : 삽입단자홀
200 : 휨 방지 플레이트
202 : 대직경부
204 : 소직경부
206 : 단차부
300 : 플라스틱 사출물
400 : 사출금형
500 : 집전판

Claims (5)

  1. 양단부에 매니폴드 형성자리면(102)을 갖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접착수단으로 접착시킨 샌드위치 인서트(100)를 구비하고, 사출시 수지압이 직접 작용하는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일면에서 그 반대쪽 면에 사출금형(400)의 표면과 밀착되는 휨 방지 플레이트(200)를 결합시켜 플라스틱 사출물(300)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사출금형(400)내에서 수지압을 받는 샌드위치 인서트(100)를 휨 방지 플레이트(200)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가 동일 두께를 가지면서 일체로 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대직경부(202)의 저면이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최외곽 플레이트(110)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사출됨으로써,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 간의 단차부(206)가 플라스틱 사출물(300)에 의하여 사출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가 일체로 형성되되 대직경부(202)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구비되어, 대직경부(202)의 하단부가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최외곽 플레이트(110)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홈(105)에 삽입 결합되며,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 간의 단차부(206)가 플라스틱 사출물(300)에 의하여 사출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가 일체로 형성되되 소직경부(204)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구비되어, 대직경부(202)가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최외곽 플레이트(110)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홈(105)에 삽입 결합되고,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 간의 단차부(206)가 플라스틱 사출물(300)에 의하여 사출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200)는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가 일체로 형성되되 소직경부(204)가 더 두꺼운 형상으로 구비되고, 대직경부(202)의 하단부가 샌드위치 인서트(100)의 최외곽 플레이트의 다음에 위치하는 두번째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안착홈(107)내에 안착되는 동시에 소직경부(204)가 최외곽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삽입단자홀(108)을 통하여 돌출되어, 대직경부(202)와 소직경부(204) 간의 단차부(206)가 최외곽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걸리며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KR1020110090573A 2011-09-07 2011-09-07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KR10128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573A KR101282627B1 (ko) 2011-09-07 2011-09-07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JP2011267013A JP6097009B2 (ja) 2011-09-07 2011-12-06 撓み防止プレートを有する燃料電池用エンドプレートの製造方法
US13/312,726 US9263759B2 (en) 2011-09-07 2011-12-06 End plate for fuel cell including anti-bending plate
DE102011088103.4A DE102011088103B4 (de) 2011-09-07 2011-12-09 End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 mit einer platte gegen verbiegung
CN201110427959.XA CN102983294B (zh) 2011-09-07 2011-12-19 包括抗弯板的燃料电池用端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573A KR101282627B1 (ko) 2011-09-07 2011-09-07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166A KR20130027166A (ko) 2013-03-15
KR101282627B1 true KR101282627B1 (ko) 2013-07-12

Family

ID=4771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573A KR101282627B1 (ko) 2011-09-07 2011-09-07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63759B2 (ko)
JP (1) JP6097009B2 (ko)
KR (1) KR101282627B1 (ko)
DE (1) DE10201108810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39B1 (ko) * 2011-09-08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샌드위치 인서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KR101628455B1 (ko) * 2014-04-16 2016-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JP6657974B2 (ja) * 2016-01-12 2020-03-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金属樹脂一体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46075B1 (ko) 2017-04-13 2020-08-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엔드 플레이트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7007512B1 (ja) * 2021-05-31 2022-02-10 株式会社アテックス 導電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6431A (ja) 2008-04-22 2009-11-1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のエンドプレート
KR100986349B1 (ko) 2007-11-05 2010-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용 엔드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11489A (ko) * 2009-04-07 2010-10-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20110059982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용 엔드플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066A (ja) 1997-03-26 1998-10-09 Sanyo Electric Co Ltd 燃料電池
JP3213578B2 (ja) * 1998-03-17 2001-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混成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US6855572B2 (en) * 2002-08-28 2005-02-15 Micron Technology, Inc. Castellation wafer level packaging of integrated circuit chips
TWI231578B (en) * 2003-12-01 2005-04-21 Advanced Semiconductor Eng Anti-warpage packag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824297B2 (ja) 2004-11-25 2011-1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US7597988B2 (en) * 2004-12-29 2009-10-06 Shen-Li High Tech Co., Ltd. Integrated end-bus plate for fuel cell
US20060204824A1 (en) * 2005-03-08 2006-09-14 Hydroge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current in an electrochemical cell stack
JP4815935B2 (ja) * 2005-08-02 2011-11-16 日立電線株式会社 モールド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757131B1 (ko) 2006-08-28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금속 및 고분자 복합형 엔드플레이트
KR100901563B1 (ko) 2007-09-17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금속 복합구조 엔드플레이트 및 이의제조방법
US20100009223A1 (en) * 2008-06-23 2010-01-14 Nuvera Fuel Cells, Inc. Fuel cell stack with integrated process endplates
TWI369806B (en) * 2009-03-05 2012-08-01 Ind Tech Res Inst A fuel-cell stack with metal separators
KR101470035B1 (ko) 2009-11-30 2014-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용 엔드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349B1 (ko) 2007-11-05 2010-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용 엔드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66431A (ja) 2008-04-22 2009-11-1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のエンドプレート
KR20100111489A (ko) * 2009-04-07 2010-10-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20110059982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용 엔드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97009B2 (ja) 2017-03-15
JP2013058465A (ja) 2013-03-28
US20130059227A1 (en) 2013-03-07
CN102983294A (zh) 2013-03-20
US9263759B2 (en) 2016-02-16
KR20130027166A (ko) 2013-03-15
DE102011088103A1 (de) 2013-03-07
DE102011088103B4 (de)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739B1 (ko) 샌드위치 인서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US7771885B2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membrane-frame assembly
US8338035B2 (en) Separator for fuel cell
JP4243648B2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および電極−膜−枠接合体の製造方法
JP4435270B2 (ja) 燃料電池
KR101282627B1 (ko)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KR101889201B1 (ko)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연료 전지
KR101470035B1 (ko) 연료전지 스택용 엔드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JP7001890B2 (ja) 膜電極接合体、それを備える燃料電池、および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KR101816055B1 (ko) 연료전지용 가스켓 일체형 금속분리판
JP2012226848A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の電極−膜−枠接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02922A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用の電極−膜−枠接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