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460B1 -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 Google Patents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460B1
KR101282460B1 KR1020107027565A KR20107027565A KR101282460B1 KR 101282460 B1 KR101282460 B1 KR 101282460B1 KR 1020107027565 A KR1020107027565 A KR 1020107027565A KR 20107027565 A KR20107027565 A KR 20107027565A KR 101282460 B1 KR101282460 B1 KR 101282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ressure
tester
flui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893A (ko
Inventor
스테펀 존 슬레이즈펜
조셉 다리온
얀 와츠주크
에릭 패트릭 오도넬
일리엄 그레인저
데비드 버나디
스테펀 리차드 오패럴
제이슨 마크 써랜더
Original Assignee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1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가 제공된다. 캐리어는 개별적인 유체경로를 통해 복수의 유체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입구를 가진다. 테스트기는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캐리어를 받아들일 수 있게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지지조립체와, 지지조립체 상에 배치되고 또 가압유체를 유체입구에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며, 유체입구를 밀봉방식으로 고정하게 구성된 밀봉기구를 포함하는 가압유체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테스트기는 유체입구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가압유체 공급장치에 관하여 작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압력측정장치, 압력측정장치와 가압유체 공급장치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설정압력이 도달될 때까지 캐리어를 가압유체로 충전하는 가압유체 공급장치를 제어하고 또 설정기간 동안 압력을 모니터하게 구성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LEAK TESTER FOR A CARRIER FOR PRINTHEAD INTEGRATED CIRCUITR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린터 부품 테스트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carrier)용 누설 테스트기(leak tester)와,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베이스(base) 또는 캐리어의 무결성(integrity)을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과,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캐리어용 압력강하 테스트기(pressure decay tester)의 안전시스템과, 압력강하 누설 테스트기용 크래들 조립체(cradle assembly)와, 플랫폼 조립체(platform assembly)의 무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압력기반형 테스트기(pressure-based tester)에 관한 것이다.
적당한 인쇄작업을 보장하기 위해,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대규모 제조에 앞서,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시제품을 테스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테스트는 어떤 형태의 지지조립체, 즉 테스트용으로 제조된 베이스 또는 캐리어 상에서 행해질 수 있다. 테스트를 정확히 하기 위해 또한 테스트가 프린트헤드 조립체의 상태를 정확히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지지조립체는 무결성의 최소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르면,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가 제공되며, 캐리어는 개별적인 유체경로(fluid path)를 통해서 복수의 유체출구(fluid outlet)와 유체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입구(fluid inlet)를 가지며, 상기 테스트기는,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캐리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는 지지조립체(support assembly)와;
지지조립체 상에 배치되고 또한 가압유체를 유체입구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유체입구를 밀봉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밀봉기구(sealing mechanism)를 통합하는 가압유체 공급장치(pressurized fluid supply)와;
유체입구에 적용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가압유체 공급장치에 대해 작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압력측정장치(pressure measurement arrangement); 및
압력측정장치와 가압유체 공급장치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설정압력에 도달될 때까지 캐리어를 가압유체로 충전하기 위해 가압유체 공급장치를 제어하고 또한 설정기간 동안 압력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트롤러;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은 프린트헤드 집적회로가 테스트받을 예정인 캐리어의 무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어떤 기간에 걸쳐 강하한다면, 캐리어의 부품 사이에서 누설이 있음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리셉터클은 밀봉기구와 유체입구의 결합에 앞서 리셉터클 내에 캐리어를 장착하기 위한 로케이터(locator)를 포함해도 좋다. 각각의 밀봉기구는 유체입구 주위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장치(clamp arrangement)를 포함해도 좋다.
컨트롤러는 조작자가 테스트기를 제어하게 하는 지지조립체 상에 설치되는 조작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해도 좋다. 인터페이스는 조작자에게 테스트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지시기(indicator)를 포함해도 좋다.
가압유체 공급장치는 하우징 조립체(housing assembly)에 장착되는 공압 시스템(pneumatic system)을 포함해도 좋으며, 공압 시스템은 각각의 리셉터클과 유체연통하는 공압 회로(pneumatic circuit)를 포함하고, 공압 회로 각각은 1차 조정용 1차 압력조정기(primary pressure regulator)와 최종 조정용 2차 압력조정기(secondary pressure regulator)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공압 회로 각각은 시스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양압센서(positive pressure sensor)와 밀봉기구에서의 압력을 감지하는 다수의 연성압력센서(compound pressure sensor)를 포함하는 압력측정장치를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르면,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베이스의 무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베이스는 개별적인 유체경로를 통해 복수의 유체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입구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유체입구 또는 각각의 유체입구를 유체공급장치에 밀봉방식으로 고정하는 단계와;
설정압력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베이스를 가압유체로 충전하는 단계; 및
설정기간 동안 상기 베이스에서의 압력을 모니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압력강하 속도는 상기 베이스의 무결성을 나타낸다.
상기 유체입구는 상기 베이스가 가압가스로 충전되도록 공압 시스템에 고정되어도 좋다. 밀봉단계는 클램프장치에 의해 상기 유체입구를 상기 유체공급장치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상기 가압가스는 공급압력 변동의 영향을 사실상 무력화하기 위해 1차 조정 및 2차 조정을 받아도 좋다. 모니터링단계는 공압 회로에서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압력과 관련된 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조작자에게 상기 값과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르면,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의 압력강하 테스트기용 공압 조립체(pneumatic assembly)가 제공되며, 상기 조립체는,
가압가스 공급장치와;
캐리어가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와 유체연통하도록 상기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압가스 공급장치와 유체연통하는 공압 클램프장치(pneumatic clamping arrangment)와;
설정압력을 상기 캐리어에 가하는 밸브장치와;
캐리어 내의 정압(static pressure)을 감지하는 감지장치; 및
상기 클램프장치, 밸브장치 및 감지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또한 상기 정압의 강하가 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정압을 나타내는 식별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프장치, 밸브장치 및 감지장치와 통신하는 제어시스템을 포함한다.
공압 클램프장치는 캐리어가 지지되는 지지체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클램프장치는, 작동되면, 캐리어가 지지체 쪽으로 밀리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지지체에는, 사용시, 캐리어의 가스입구 주입관(gas inlet spout)이 받아들여지는 가스공급구멍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정압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가압가스 공급장치로부터 가스공급구멍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어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가스공급 차단밸브(gas supply isolation valve)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감지장치는 차단밸브의 상류측의 압력값을 제어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어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력전달기(pressure transmitter)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클램프장치는 상기 주입관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에 배치되는 공압 주입관 클램프(pneumatic spout clamp)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주입관 클램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주입관 클램프 밸브를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르면, 압력강하 누설 테스트기용 크래들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조립체는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인쇄유체경로와, 각각의 유체경로와 유체연통하는 각각의 유체입구와, 테스트기 상에서 캐리어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위치결정구조물(locating formation)을 가지고 있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 캐리어를 작동가능하게 받아들이며, 상기 조립체는,
캐리어의 위치결정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보성 위치결정구조물(complementary locating formation)과;
캐리어의 각각의 유체입구를 통해 상기 캐리어를 유체로 충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출구;
압력강하 테스트를 통해 유체경로의 무결성이 관찰가능하도록, 캐리어를 유체출구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기구(clamping device); 및
클램프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기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제어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기구는 2개의 마주보는 공면 클램프 반쪽 부재(coplanar clamp half)를 포함해도 좋고, 또한, 상기 상보성 위치결정구조물은 클램프 반쪽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마개이기 때문에, 상기 반쪽 부재의 작동은 상기 마개(spigot) 상에 위치되는 캐리어를 둘러싸기 위해 상기 반쪽 부재를 서로 상대방 쪽으로 이동시킨다.
클램프기구는 지지플레이트(support plate)를 포함해도 좋고, 상기 마개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뻗는다. 클램프 반쪽 부재는 상기 반쪽 부재가 서로 상대방 쪽으로 이동될 때 상기 캐리어의 모서리와 맞물릴 수 있도록 또한 캐리어를 지지플레이트 쪽으로 밀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클램프기구는 공압 액츄에이터와 유압 액츄에이터 중 하나를 포함해도 좋다.
조립체로부터의 캐리어의 수동 삽입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클램프 반쪽 부재에는 손가락 홈(digit recess)을 각각 형성해도 좋다. 제어시스템은 테스트기로부터 특별한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신호의 수령시에 클램프기구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5관점에 따르면, 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조립식 플랫폼 부품과 양 부품 안으로 뻗는 유체경로를 가지며, 테스트될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플랫폼 조립체의 무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압력기반형 테스트기가 제공되며, 상기 테스트기는,
하우징 조립체와;
하우징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조정가스 공급장치(regulated gas supply)와;
플랫폼 조립체를 테스트하는 동안, 상기 가스공급장치와 유체연통하고 또한 상기 가스공급장치와 유체연통하는 플랫폼 조립체를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유기구(retaining mechanism)와;
상기 가스공급장치에 대해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보유기구에 가해지는 압력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측정장치; 및
상기 조정가스 공급장치와 보유기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압력측정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여 압력값의 강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시스템; 을 포함한다.
제어시스템은 조정가스 공급장치, 보유기구 및 압력측정장치에 대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터치패널 처리장치를 포함해도 좋다.
터치패널 처리장치는 카테시안 평면 그래프(Cartesian plane graph)처럼 각각의 축(axis)에 압력과 시간으로 압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보유기구는 크래들 조립체와, 크래들 조립체 내에 플랫폼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기구를 포함해도 좋다.
크래들 조립체는 하우징 조립체 상에 배치되며 또한 플랫폼 조립체의 각각의 유체경로를 고정할 수 있는 출구를 가진 한 쌍의 서로 떨어진 매니폴드(manifold)를 포함해도 좋다. 가스공급장치는 한 쌍의 가스공급관(gas supply conduit)과, 각각의 매니폴드를 가스공급관에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매니폴드 차단밸브를 포함해도 좋다.
가스공급장치는 시스템 차단밸브와, 상기 시스템 차단밸브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압력측정장치 및 매니폴드 차단밸브를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6관점에 따르면, 앞에서 설명된, 누설 테스트기의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제품이 제공되며, 상기 소프트웨어 제품은 누설 테스트기가,
베이스의 유체입구 또는 각각의 유체입구를 유체공급장치에 밀봉방식으로 고정하는 단계와;
설정압력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베이스를 가압유체로 충전하는 단계; 및
설정기간 동안 상기 베이스에서의 압력을 모니터하는 단계; 를 가진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7관점에 따르면, 앞에서 설명된, 소프트웨어 제품을 포함하는 메모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된다. 이하의 기재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이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기재는 상술한 설명 또는 청구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또는 압력강하 테스트기로 사용하기 위한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
도 1(b)은 도 1(a)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캐리어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강하 누설 테스트기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나타낸 누설 테스트기의 리셉터클 또는 크래들 조립체의 확대도.
도 5는 도 1의 캐리어가 도 4의 크래들에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누설 테스트기의 조작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내부 부품을 보여주기 위해 서비스 패널(service panel)이 제거된 상태로 나타낸 도 3의 누설 테스트기의 하우징의 후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누설 테스트기의 개방된 서비스 패널을 A-A'선을 따라 단면하여 본 평면도.
도 9는 도 3에 나타내는 누설 테스트기의 터치패널 제어기의 전면 확대도.
도 10은 도 3에 나타내는 누설 테스트기의 서비스 패널의 후면도.
도 11은 도 3의 누설 테스트기에 적합한 공압 회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도 9의 터치패널 제어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테스트기로 캐리어를 테스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14는 도 3의 누설 테스트기에 적합한 공압 회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상세도.
대체로,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캐리어(10) 상에서 압력강하 테스트를 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캐리어(10)는 조립체이다. 따라서 조립체 상에 위치된 집적 회로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기에 앞서 그 조립체의 무결성을 테스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캐리어(10)는 접합라인(bond line)(24)(도 2)을 따라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채널부재(channel member)(18)와 커버부재(cover member)(2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이 부재들(18, 20)은 다수의 잉크경로(ink path) 또는 채널을 형성한다. 이들 경로는 작동시 프린트헤드 집적회로(나타내지 않음)에 인쇄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한 유체출구(12)로 끝난다.
또한, 캐리어(10)는 박판(laminate)(14)을 포함하는데, 이 박판은 유체출구(12)와 정렬되는 레이저제거구멍(laser ablated hole)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14)은 접합라인(22)을 따라 채널부재(18)에 열로 접착된다. 유체입구 또는 주입관(spout)(11)은 커버부재(20)로부터 돌출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위치결정 또는 마개 구멍(25)(도 2)은 캐리어(10)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다.
캐리어(10)의 용도는 다수의 잉크통(reservoir)으로부터 구불구불한 잉크경로를 통해 프린트헤드 집적회로까지 인쇄유체를 분배하는 것이다. 주입관(11)을 통해 캐리어(10) 안으로, 압력에 의해, 인쇄유체가 공급된다.
프린트헤드 집적회로가 박판(14)에 부착되기 전, 인쇄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박판(14)뿐만 아니라 상기 부재(18, 20)도 정확히 접합되어 부착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접합라인(22, 24)의 무결성이 테스트되거나 검사되어야 한다. 하나의 테스트 방법은, 압력을 유지하고 압력강하를 테스트하기 위해, 주입관(11)을 통해, 캐리어(10)에 가압유체를 가하는 것이다.
도 3은 캐리어(10)를 테스트하기 위한 압력강하 누설 테스트기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압력강하 테스트가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적당한 방법론이라고 인식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테스트기(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 캐리어(10)를 받아들이기 위해, 좌측 리셉터클 또는 크래들 조립체(28.1)와 우측 리셉터클 또는 크래들 조립체(28.2)를 가지고 있는 지지조립체 또는 플랫폼(30)을 구비하는 하우징 조립체(42)를 포함한다. 각각의 크래들 조립체(28)는 캐리어(10)를 받아들여서 위치를 정하는 보유기구이다.
테스트기(26)가 얼마든지 많은 수의 리셉터클 또는 크래들 조립체(28)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크래들 조립체(28)는, 예를 들면, 2개의 캐리어(10)에 대한 동시테스트, 또는 테스트를 받기 위해 다른 하나가 비어 있는 크래들 조립체 안으로 삽입되어 준비되는 동안에 하나의 캐리어가 테스트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캐리어의 연속테스트를 허용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기(26)는 하우징(42)에 위치된 터치패널 처리장치(36)와 조작자 인터페이스(32)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또는 제어시스템을 포함한다. 터치패널 컨트롤러(36)와 인터페이스(32)는 조작자 또는 사용자가 테스트기(26)를 제어 및 조작하게 한다. 또한, 테스트기(26)는 테스트기(26)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다수의 지시기 또는 계기(gauge)(38)를 포함한다. 바코드 스캐너 또는 리더기(34)는 컨트롤러(36)에 연결된다. 스캐너 또는 리더기는 캐리어(10)로부터 식별자(identifier) 또는 바코드를 판독하여 관련 데이터를 컨트롤러(36)에 전달한다.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테스트기(26)는 컨트롤러(36)를 컴퓨터 또는 다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과 연결하게 하는, USB 인터페이스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4와 5는 크래들 조립체(28)를 더 상세히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크래들 조립체(28)는, 도시된 것처럼, 2개의 마주보는 공면 클램프 반쪽 부재(56.1, 56.2)를 가지고 있는 클램프장치 또는 클램프기구의 형태로 밀봉, 결합 또는 보유기구(54)를 형성한다. 크래들 조립체(28)는 클램프 반쪽 부재(56)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마개(50) 형태로 로케이터 또는 위치결정구조물을 포함한다. 캐리어(10)를 조립체(28)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각각의 마개(50)는 캐리어(10)의 각각의 마개구멍(25)을 통해 받아들여진다.
캐리어(10)의 유체입구 또는 주입관(11)이 크래들(28)의 각각의 유체공급출구(fluid supply outlet) 또는 주입관 구멍(spout hole)(52)과 정렬되고 안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위치결정구조물 또는 마개(50)는 캐리어(10)의 구멍(25)에 결합한다. 사용시에, 출구(52)는 캐리어(10)를 가압유체로 충전하기 위해 사용된다. 클램프기구(54)는 지지플레이트(58)로부터 돌출하는 마개(50)를 가진 지지플레이트(58)를 포함한다.
주입관(11)을 기밀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주입관 클램프(도 14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됨)는 지지플레이트(58)에 위치된다.
클램프 반쪽 부재(56)는 반쪽 부재(56)가 서로 상대방 쪽으로 이동될 때 캐리어(10)의 모서리와 맞물릴 수 있도록 또 상기 캐리어(10)를 지지플레이트(58) 쪽으로 밀 수 있도록 형성된 마주보는 지지모서리(bearing edge)(57)를 가진다. 클램프 반쪽 부재(56) 각각은 크래들(28)로부터 캐리어의 수동 삽입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손가락 홈(60)을 형성한다.
클램프 반쪽 부재(56)는 플레이트(58)의 각각의 측면에 있는 공압 액츄에이터(61)를 가진 플레이트(58)에 연결된다. 공압 액츄에이터(61)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공압 회로(도 14)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도 6은 조작자 인터페이스(32)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인터페이스(32)는 각각의 크래들(28) 중 하나에 대해 압력강하 테스트를 시작하는 시작버튼을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버튼은 도면부호 62, 64로 나타나 있다. 또한, 비상정지버튼(68)과, 테스트기(26)를 리셋하는 리셋버튼(70)과, 바코드 스캐너(34)를 작동시키는 스캔버튼(66)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적용에 적합한 것으로서 스프레처 & 슈(Sprecher & Schuh)에 의해 제조된 버튼을 발견하였다.
비상정지버튼(68)은 평상시에는 닫혀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40㎜의, 비틀어 뽑아 해제하는(twist and pull-to-release), 키가 없는(non-keyed), 튼튼한 조작버튼이다. 리셋버튼(70)은 평상시에는 열려 있는 스위치를 가지는, 같은 높이의, 잠깐 밝혀지는, 푸른색 렌즈를 가진 푸시버튼이다. 시작버튼(62, 64)은 평상시에는 열려 있는 스위치를 가지는, 같은 높이의, 잠깐 밝혀지는, 2개의 녹색 렌즈를 가진 푸시버튼이다. 스캔버튼(66)은 비슷하지만, 황갈색 렌즈를 가진다.
테스트기의 내부 부품을 나타내기 위해 서비스패널이 제거된 상태로, 테스트기(26)의 하우징 조립체(42)의 후부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컨트롤러(36)와 관련 가압유체 공급 부품이 더 상세히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기(26)는 테스트기(26)의 부품을 제어하고 조작하는데 필요한 명령들을 처리하는 통합 처리기(integrated processor)를 가지는 터치패널 컨트롤러(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인텔 펜티엄(IntelTM PentiumTM) Ⅲ 프로세서를 포함한 어드밴테크(AdvantechTM)PPC-123T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이러한 적용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컨트롤러(36)는 전용 브레이크아웃 보드(breakout board)(84)에 결합된 PCMCIA 데이터 수집 카드(data acquisition card)(72)를 사용하여 각각의 크래들(28)에 위치된 정밀 압력 센서와 카드(72)를 연결한다. 전형적으로, 보드(84)는 센서마다 정밀한 레지스터(resistor)를, 즉,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2개의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관련이 있는 전기 부품 및/또는 공압 부품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계부(trunking)(97)가 제공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중계부(97)는 전선 및 공압 라인용 채널 또는 도관을 형성한다. 전기 부품의 상호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레일(85)과 연결 블록(connector block)(87)이 더 나타나 있다.
테스트기(26)는 디지털 입출력 모듈(86)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어드밴테크(AdvantechTM)에 의해 제조되는 3개의 ADAM-4055TM모듈이 이러한 적용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들 모듈(86)은 컨트롤러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바꿀 필요 없이 컨트롤러(36)로부터의 RS-232 신호를 절연된 RS-422 또는 RS-485 신호로 변환하는 절연 변환기(isolated convert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어드밴테크(AdvantechTM) 모델 ADAM-4520이 적합한 유닛임을 확인했다.
도시된 테스트기(26)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부품에 동력을 공급하는 2개의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102는 단일 출력(single output) 및 원격 개방 감지 리드 보호(remote open sense lead protection) 특징을 가진 AC/DC스위칭 전원공급유닛인 DC전원공급유닛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콘도르 인터내셔널 플러스 시리즈(Condor International Plus Series) 24V DC전원공급장치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면부호 9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1차 스위치-모드 전원공급유닛(primary switched-mode power supply unit)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피닉스 콘택트(Phoenix Contact) 24V DC 2A(MINI-PS-100-240AC/24DC/2) 모델이 이러한 적용에 적합함을 알았다.
또한, 안전 릴레이(safety relay)(90)와, 2개는 테스트기의 공압 시스템을 고립시키기 위해 이용되고 세 번째 것은 컨트롤러(36)가 바코드 스캐너(34)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게 하는, 3개의 무접점 릴레이(solid state relay)(88)가 포함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는 오므론(OmronTM) G92002 릴레이가 안전 릴레이(90)용으로 적합하고, 웨일랜드 플레어(WeilandTM Flare) 24V DC 터미널 릴레이가 무접점 릴레이용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테스트기(26)는 안전기구로 잔류전류차단기(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96)를 포함한다. 차단기(96)는 과전류 보호(over current protection) 및 누전 보호(earth leakage protection)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차단기(96)는 트립 프리 기구(trip free mechanism)를 가진 접지 고장 표시창(earth fault indication window)을 구비함과 동시에 AC잔류전류를 검출하는 스위치 중립(switched neutral)을 가진 단극 유닛(single pole unit)이다. 본 발명자는 헤이거(HagerTM) AD 810T 잔류전류 차단기가 이 일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캐리어(10)를 크래들 조립체(28) 안에 삽입하기에 앞서, 조작자가 캐리어(10)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도록, 바코드 스캐너(34)가 테스트기(26)의 전면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핸드헬드 프로덕트 사(Hand Held Products Inc.)에 의해 제조되는 IT3900 바코드 스캐너가 이러한 적용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안전상의 이유로 퓨즈(92)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장치의 공압 테스트 회로의 개략도가 도 11에 나타나 있다. 테스트 회로는 주 압력입구(main pressure inlet)(128)를 가진다. 시스템 차단밸브 또는 주 공기차단스위치(도 14의 도면부호 206)(134)는 입구(128)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있다. 주 압력계 또는 시스템 압력 지시기(도 14의 도면부호 258)(74)는 밸브(134)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차단밸브(252, 254)는 시스템 차단밸브(134)의 하류측에 서로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주입관 장치(238, 240)는 차단밸브(252, 254)가 열릴 때 가압공기를 받아들이는 각각의 차단밸브(252, 254)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장치(238, 240)는 다수의 유체공급출구(52)를 가진다. 각 캐리어(10)의 주입관(11)은 각 장치(238, 240)의 출구(52) 안에 받아들여져서 고정된다.
압력전달기(248, 250)는 캐리어(10)에서의 압력강하가 결정될 수 있도록 압력값을 컨트롤러(36)에 전달하는 각 장치(238, 240)에 연결되어 있다.
공압 회로는 도 14에 더 상세히 나타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200으로 표시되어 있다. 공기는 수동 차단밸브(202)를 통해 회로에 공급된다. 204에서 미스트 분리(mist separation) 후에, 시스템 차단밸브(206)가 회로(200)에 대한 공기의 공급을 제어한다.
분기라인(take-off line)(210)은 2방향 연결구(two-way connector)(208)를 통해 차단밸브(206)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주입관 클램프장치(212)와 우측 고정조립체(clamp assembly)(214)는 라인(210)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좌측 주입관 클램프장치(216)와 좌측 고정조립체(218)도 라인(210)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주입관 클램프장치(212, 216)는 도 4에 관하여 앞에서 설명된 주입관(52)을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각각의 고정조립체(214, 218)는 각각의 쌍이 도 4에 61로 물리적으로 도시된, 2쌍의 슬리브(sleeve)와 피스톤 액츄에이터(piston actuator)(220)를 가진다. 액츄에이터(220)는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22)를 통해 라인(210)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222)는 캐리어(10)의 고정이 컨트롤러(36)에 의해 개시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36)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주입관 클램프장치(212, 216)는 도 4에 52로 물리적으로 표시된 각각의 주입관에, 5개의 공압 주입관 클램프(224)를 가진다. 직렬로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226)와 압력지시기/스위치(228)를 통해, 주입관 클램프(224)가 라인(210)에 대해 병렬로 연결된다. 각각의 압력조정기(pressure regulator)(230)는 라인(210)과 각각의 압력지시기(228)를 상호연결한다. 솔레노이드 밸브(226)와 지시기(228)는 주입관 클램프(224)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어되도록 컨트롤러(36)에 연결된다.
제2분기라인(232)은 2방향 연결구(234)와 압력조정기(236)를 통해서 상기 연결구(208)의 하류측에 연결된다. 제2분기라인(232)은 가압유체를 좌측 주입관 장치(238)와 우측 주입관 장치(240)에 공급한다. 각각의 주입관 장치(238, 240)는 매니폴드(242)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5개의 솔레노이드 밸브(244)를 구비한 매니폴드(242)를 가진다. 여과공기를 주입관(11)을 통해 캐리어(10)에 공급하기 위해 여과출구(filtered outlet)(246)가 각각의 밸브(244)에 연결된다.
압력전달기 또는 압력지시기/스위치(248, 250)는 각 주입관 장치(238, 240)의 각각의 밸브(244)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며, 직렬로 각각의 솔레노이드 차단밸브(252, 254)에 연결된다. 스위치(248, 250)는 주입관(11)에 가해지는 압력이 컨트롤러(36)에 의해 기록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36)에 연결된다. 밸브(252, 254)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차단밸브(252, 254)는 컨트롤러(36)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차단밸브(252, 254)는 테스트 압력지시기/스위치(256)에 대해 병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캐리어(10)가 압력지시기(256)로부터의 압력 피드백 값을 이용하여 밸브(244)를 통해 설정한계까지 가압되면, 밸브(244)가 공기공급장치(air supply)에 대해 닫힐 수 있다. 압력강하가 일어나고 있는지 아닌지 또 어느 정도까지 일어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압력값을 컨트롤러(36)에 돌려주기에 적합하게, 지시기(248, 250)는 컨트롤러(36)에 연결되고 또한 구성된다.
시스템 압력지시기/스위치(258)는 지시기(256)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며, 시스템 압력을 모니터하기 위해 컨트롤러(36)에 연결된다. 압력조정기(260)는 지시기(256, 258)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다. 또 다른 압력조정기(266)는 지시기(258)와 연결구(234) 사이에 삽입된다.
반송라인(return line)(262)은 지시기(256)의 상류측의 264에서 함께 연결되며, 각각의 솔레노이드 차단밸브(252, 254)를 통해 각 주입관 장치(238, 240)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테스트기(26)는 다수의 센서, 밸브, 필터 및 조정기를 포함하는 공압 시스템 및 압력측정장치를 가진다. 압력센서(74, 124)(도 7, 도 14에서는 시스템 압력지시기(258)와 테스트 압력지시기(256)로 나타냄)는 디지털 연성압력센서이다. 전형적으로, 센서(74, 124)는 양압(positive pressure)과 진공압을 둘 다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SMC ZSE40 디지털 압력센서가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압력조정기(76)(도 7에 물리적으로 도시되며 도 14에는 조정기(266)로 나타냄)는 1차 조정용 SMC IR 시리즈 압력조정기이다. 압력조정기(104)(도 7에 물리적으로 도시되며 도 14에는 조정기(260)로 나타냄)는 각각의 크래들(28)에 대한 공기공급장치의 최종 조정용 페어차일드(Fairchild) 1000시리즈 고정밀 압력조정기이다. 압력조정기(82, 98)(도 7에 물리적으로 도시되며 도 14에는 조정기(230)로 나타냄)는 시험 공기압력(pilot air pressure)용 압력조정기(80)(도 14에는 조정기(236)로 나타냄)와 함께, 각각의 크래들(28) 상에서 사용된다. 이들 조정기(80, 82, 98)는 캐리어(10)를 크래들(28)로부터 방출하기 위해 공기압력의 신속한 방출을 보장하는 역류기구(backflow mechanism)를 가진 SMC AR20K시리즈 조정기이다. 압력센서(78, 100)(도 7에 물리적으로 도시되며 도 14에는 지시기(228)로 나타냄)는 SMC ISE40 디지털 압력센서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패널의 저부(bottom portion)를 나타낸다. 압력전달기(120)(도 14에는 지시기(248, 250)로 나타냄)는 각각의 크래들(28)에 이용된 2개의 GE PTX 1400 전달기이다. 이들 전달기는 가해진 압력에 비례하는 4-20㎃ 출력을 전선에 공급하는 통합 전자기기 시스템(integral electronics system)을 이용한다.
도면부호 106, 108, 110은 3-포트(port) 솔레노이드 밸브(도 14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52, 254, 244)로 나타냄)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SMC SYJ500시리즈 3-포트, 시험용 솔레노이드 밸브(pilot operated solenoid valve)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들 밸브는 서지 전압 보호(surge voltage protection)기능을 가진 베이스 탑재식(base mounted) 24V DC 밸브이다.
도면부호 112는 주입관 클램프(224)를 제어하는 5-포트 솔레노이드 밸브(도 14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22, 226)로 나타냄)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SMC SY3160 밸브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들 밸브는 6㎜ 공기파이프용 부품(fitting)을 가진 24V DC 본체-포트식(body-ported), 카세트형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공기 필터(114, 122)는 캐리어(10)를 가압공기로 충전하기 전, 어떤 입자라도 공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자는 SMC SF시리즈 인라인(inline) 공기 필터가 이러한 용도에 적당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수분을 공압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미스트 분리기(mist separator)(118)와 미세-미스트 분리기(116)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SMC AFM시리즈 미스트 분리기가 미스트 분리기(118)용으로 적합하고, SMC AFD시리즈 미스트 분리기가 미세-미스트 분리기(116)용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도 9는 도 7의 부품들을 앞에서 본 것을 나타낸다.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10은 도 8의 부품들의 외관을 나타내며,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기(26)는 주 AC전원 차단스위치(main AC power isolation switch)(132)와 주 공기공급장치 차단스위치(main air supply isolation switch)(134)를 포함한다. 또한, 가압유체 공급장치를 테스트기(26)의 공압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6㎜ 주 공기공급장치 연결구와 함께, 주전원 IEC 연결구(130)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36)를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remote monitoring system)에 연결하기 위해, RJ45 접속구(127)가 존재한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컨트롤러(36)를 통해 테스트기(26)에 연결한다. 수행된 조작들을 기록하기 위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테스트기(26)를 모니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행된 압력 테스트의 결과와 함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테스트받은 각 캐리어의 바코드를 모니터할 수 있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면, 캐리어가 테스트되기 전, 각각의 캐리어는 바코드 스캐너(34)로 스캔된다. 테스트 결과와 함께, 바코드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보내진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캐리어는 캐리어의 후속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캐리어의 바코드에 의해 식별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은 조악한 캐리어가 프린트헤드 회로에 설치되는 것과 같은, 그 후의 공정을 계속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는 전형적으로 컨트롤러의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138)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GUI(138)는 각각의 크래들(28)에 대해 하나씩, 2개의 카테시안 그래프(139)를 포함한다. 그래프(139)는 Y-축을 따르는 압력 측정값과 X-축 상의 시간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그래프(139.1)는 압력강하 테스트를 통과한 캐리어(10)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4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캐리어(10)는 가압유체로 충전되며, 컨트롤러(36)는 지시기(248, 250)와의 연결을 통해 설정기간 동안 압력강하를 모니터한다. 그래프(139.1)의 수평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미미한 압력강하가 있다면, 결과적으로 캐리어(10)의 유체경로와 박판의 무결성은 확인된다.
그래프(139.2)는 캐리어에 대해 실패한 압력강하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내의 압력이 설정기간 동안 떨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유체경로 또는 박판의 무결성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테스트기(26)는 테스트기의 안전한 조작을 보장하기 위해 또 조작자에 대한 위해뿐만 아니라, 캐리어(10)와 테스트기(26)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시스템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안전시스템은 컨트롤러(36)를 통해 수행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36)는 앞에서 설명된 것처럼, 다수의 조정기와 연결되는데, 조정기는 일찌감치 설명된 것처럼, 공기 압력을 모니터하기 위한 센서 또는 지시기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부정확한 압력은 테스트기(26)의 바람직하지 않은 작동상태를 나타내며, 손상 및/또는 위해를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36)는 테스트기(26)와 그 부품들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크래들(28)은 클램프기구(54)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위치를 컨트롤러(36)에 전하는 센서를 포함해도 좋다. 만약 캐리어(10)가 크래들(28) 내에 정확히 위치되지 않으면, 컨트롤러(36)는 클램프기구(54)가 캐리어(1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테스트기(26)의 작동상태에 관한 특징을 모니터할 수 있게 컨트롤러(36)가 형성되어도 좋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것은 도 14에 관하여 설명된 지시기로부터 받아들인 피드백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달성된다.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6)는 클램프기구(54)의 상태, 테스트기(26)의 유체압력 적용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유체압력, 크래들(28) 내의 캐리어(10)의 존재, 등을 모니터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코드 스캐너(34)는 캐리어(10)의 진품 여부를 검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각의 캐리어를 모니터한다. 만약 캐리어가 스캐너(34)에 의해 스캔되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개개의 캐리어가 선행 제조공정을 모두 합격했는지 또는 통과했는지 아닌지를 검증할 수 있다. 만약 캐리어가 무효인 바코드를 갖고 있다면, 컨트롤러(36)는 조작자에게 알리고 또 캐리어를 테스트하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36)는 원치 않는 레벨 또는 그와 같은 것에 대해 테스트기(26)에의 전기 또는 공기 공급을 모니터할 수 있다. 또한, 전형적으로 컨트롤러(36)는 조작자가 신원확인 용도로 조작자 식별자(operator identifier)를 입력하는 것이 필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어느 조작자가 어떤 캐리어,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을 테스트했는지 기록이 남을 수 있다.
도 13은 캐리어(10)와 테스트기(26)의 무결성을 테스트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다이어그램에서 블록들은 조작자에 의해 또는 테스트기(26)의 컨트롤러(36)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낸다.
개개의 방법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에 대한 참조는 첨부도면에 이러한 도면부호로 나타낸 각각의 블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된 방법은 이러한 방식에 관계된 개개의 방법 단계로 제한되거나 억제되지 않는다. 숙련자라면 이들 단계 중 일부를 제외해도 또는 추가 단계들을 포함해도 되는 본 발명 하에서 또 다른 방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방법은 블록(1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기(26)의 스캐너(34)로 조작자가 캐리어(10)의 바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시작된다. 스캔이 성공하면, 블록(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에 의해 확인된, 캐리어의 특성(identity)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달된다. 아마도 손상된 바코드 때문에, 스캔이 실패하면, 블록(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0)는 나중에 검사하기 위해 격리된다.
그 후, 조작자는 블록(146)에 나타낸 것처럼, 캐리어(10)를 크래들(28) 내에 배치하게 된다. 블록(148)에서, 캐리어(10)가 정확하게 넣어지면, 조작자는 시작버튼을 누른다. 컨트롤러(36)는 캐리어(10)가 크래들(28)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었는지 아닌지를 감지한다. 캐리어(10)가 정확하게 위치되면, 블록(150)에 나타낸 것처럼, 컨트롤러(36)는 클램프기구(54)로 캐리어를 고정한다. 캐리어가 크래들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으면, 전형적으로, 컨트롤러(36)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조작자에게 알릴 것이다.
캐리어(10)가 크래들(28) 내에 고정되면, 크래들(28) 내의 유체공급출구(52)를 통해 캐리어를 가압공기로 충전함으로써 컨트롤러(36)는 152에서 압력강하 테스트를 수행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들 출구(52)와 연통하는 압력센서는 설정기간 동안, 컨트롤러(36)가 캐리어 내의 압력을 모니터하게 한다. 예를 들면, 설정압력이 도달될 때까지 컨트롤러(36)는 캐리어를 가압공기로 충전하며, 그 후 캐리어 내의 압력은, 말하자면, 5초 동안 압력센서에 의해 모니터된다. 감지할 수 있는 압력강하가 감지되지 않으면, 캐리어의 무결성은 건전하다.
테스트가 완결되면, 앞에서 설명되고 블록(154)에 도시된 것처럼, 컨트롤러(36)는 RJ45 연결구(126)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테스트 결과를 즉시 알릴 수 있다. 그 데이터는 162에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업로드 된다. 또한, 그 결과들은 컨트롤러(36)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조작자에게 표시된다. 테스트 후, 블록(1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캐리어를 크래들(28)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36)는 156에서 클램프기구(54)를 해제한다. 캐리어가 테스트를 통과하면, 조작자는 캐리어가 제조과정에서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게 하고, 그렇지 않다면, 캐리어는 나중에 검사하기 위해 격리된다. 이것이 블록(160)에 나타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누설 테스트기(26)의 컨트롤러(36)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제품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누설 테스트기가 기능과 위에서 설명된 관련 있는 방법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제품을 포함하는,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메모리를 포함한다.

Claims (7)

  1.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leak tester)로서, 캐리어는 개별적인 유체경로(fluid path)를 통해 복수의 유체출구(fluid outlet)와 유체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입구(fluid inlet)를 가지며, 상기 테스트기는,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캐리어를 받아들일 수 있게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는 지지조립체(support assembly)와;
    상기 지지조립체 상에 배치되고, 가압유체를 상기 유체입구에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유체입구를 밀봉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밀봉기구(sealing mechanism)를 포함하는 가압유체 공급장치(pressurized fluid supply)와;
    상기 유체입구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가압유체 공급장치에 관하여 작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압력측정장치(pressure measurement arrangement);
    상기 압력측정장치와 가압유체 공급장치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설정압력이 도달될 때까지 상기 캐리어를 가압유체로 충전하는 상기 공급장치를 제어하고, 또 설정기간 동안 상기 압력을 모니터하게 구성되어 있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receptacle)은 상기 밀봉기구와 상기 유체입구의 결합에 앞서 리셉터클 내에 캐리어를 장착하는 로케이터(locator)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밀봉기구는 유체입구 주위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장치(clamp arrangement)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조작자가 상기 테스트기를 제어하게 하는 상기 지지조립체 상에 설치되는 조작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조작자에게 상기 테스트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지시기(indicator)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기는 상기 지지조립체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유체 공급장치는 상기 하우징 조립체에 장착되는 공압 시스템(pneumatic system)을 포함하며, 상기 공압 시스템은 각각의 리셉터클과 유체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공압 회로(pneumatic circuit)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회로 각각은 1차 조정용 1차 압력조정기(primary pressure regulator)와 최종 조정용 2차 압력조정기(secondary pressure regulator)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공압 회로는 시스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양압센서(positive pressure sensor)와 상기 밀봉기구에서 압력을 감지하는 다수의 연성압력센서(compound pressure sensor)를 포함하는 압력측정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KR1020107027565A 2008-08-19 2008-08-19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KR101282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AU2008/001196 WO2010019982A1 (en) 2008-08-19 2008-08-19 Leak tester for a carrier for printhead integrated circuit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893A KR20110018893A (ko) 2011-02-24
KR101282460B1 true KR101282460B1 (ko) 2013-07-04

Family

ID=4170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565A KR101282460B1 (ko) 2008-08-19 2008-08-19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326507A4 (ko)
KR (1) KR101282460B1 (ko)
WO (1) WO2010019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2080B1 (en) 2015-02-27 2018-06-27 HP Scitex Ltd Printhead leak determin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214A (en) 1986-10-03 1987-12-29 S. Himmelstein And Company Leak tester
WO2007098527A1 (en) 2006-03-03 2007-09-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r with active fluidic architecture
US20080218566A1 (en) 2007-03-07 2008-09-11 Malik Craig L Metallized print head container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2634B2 (en) * 1994-06-15 2003-12-16 Martin Lehmann Method for testing containers, use of the method, and a testing device
US6826957B2 (en) * 2003-03-07 2004-12-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lf-contained portable air pressure decay test apparatus
US7174772B2 (en) * 2005-02-12 2007-02-13 Giuseppe Sacca System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214A (en) 1986-10-03 1987-12-29 S. Himmelstein And Company Leak tester
WO2007098527A1 (en) 2006-03-03 2007-09-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r with active fluidic architecture
US20080218566A1 (en) 2007-03-07 2008-09-11 Malik Craig L Metallized print head contain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6507A1 (en) 2011-06-01
EP2326507A4 (en) 2012-02-22
KR20110018893A (ko) 2011-02-24
WO2010019982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453A (en) Computerized dispenser tester
KR200468915Y1 (ko) 제동밸브시험기
US8006967B2 (en) Cradle assembly for a pressure decay leak tester
CN109470977B (zh) 为车辆能量存储器供给电能的充电插座的检验设备及方法
CN112840192A (zh) 用于检验线缆密封性的检验方法以及用于执行该方法的密封性检验装置
CA2201372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testing gas pressure reduction equipment
US8689612B2 (en) Pressure tester for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carrier
KR101282460B1 (ko) 프린트헤드 집적회로용 캐리어의 누설 테스트기
US20100043218A1 (en) Assembler for assembling a carrier for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US6694802B1 (en) Delta P testing system for tube and shell type catalytic reactors
US7971472B2 (en) Leak tester for a carrier for printhead integrated circuitry
US7789477B2 (en) Method for testing integrity of a base for printhead integrated circuitry
US7987699B2 (en) Pneumatic assembly for a pressure decay tester
US20100045330A1 (en) Apparatu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ry
CN109342938B (zh) 一种基于二次信号的sf6密度继电器校验装置
TWI430891B (zh) 用於列印頭積體電路承載器之洩漏測試器
CN210109270U (zh) 机车风压继电器检测设备
TW201008783A (en) Pneumatic assembly for a pressure decay tester
KR101418370B1 (ko) 발전소 솔레노이드밸브 테스트 블록장치 및 방법
KR101241606B1 (ko) 집적회로 테스트 장치
US20100049464A1 (en) System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CN219200821U (zh) 控制阀测试设备
KR102521532B1 (ko) 가스센싱모듈 검사장치
KR102394397B1 (ko) 케이블이 부속된 부품의 불량 검사 장치
TW201009362A (en) Apparatu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