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173B1 - Warm-mix dry type asphalt modifier comprising polyetylene non-woven fabrics dispersed therein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arm-mix dry type asphalt modifier comprising polyetylene non-woven fabrics dispersed therein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173B1
KR101282173B1 KR1020120143815A KR20120143815A KR101282173B1 KR 101282173 B1 KR101282173 B1 KR 101282173B1 KR 1020120143815 A KR1020120143815 A KR 1020120143815A KR 20120143815 A KR20120143815 A KR 20120143815A KR 101282173 B1 KR101282173 B1 KR 10128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odifier
polyethylene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도
조동우
권수안
정규동
백철민
김용주
김영민
이문섭
양성린
이진욱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1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08Anti-oxid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PURPOSE: A medium temperature type dry asphalt modifier is provided to improve dissolution velocity of a modifier about asphalt by containing polyethylene felts dispersed in a state not dissolved in the modifier. CONSTITUTION: A medium temperature type dry asphalt modifier comprises i)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100.0; ii) 5-60 parts by weight of resin which gives an adhesion property; iii) 20-80 parts by weight of process oil; iv)10-40 parts by weight of medium temperature additives; and v) 5-35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felts. The adhesion property assigning resin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a group composed of aromatic hydrocarbon system petroleum resin, aliphatic hydrocarbon system petroleum resin, dycylopentadien system group petroleum resin, polybutene, coumarone-indene resin, polyterpene resin, terpene phenol resin, rosin, rosin ester and their hydrogen additives. The medium temperature additive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a group of polyethylene wax, vegetable wax, ranimal wax, surfactant and fatty acid. The polyethylene felt is dispersed in a non-melted state within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the adhesion property assigning resin, and the process oil. [Reference numerals] (AA) Comparative example 5; (BB) Example 1

Description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분산되어 있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및 그 제조방법{WARM-MIX DRY TYPE ASPHALT MODIFIER COMPRISING POLYETYLENE NON-WOVEN FABRICS DISPERSED THEREIN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Medium-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in which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dispers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식 방법으로 중온형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할 때, 개질제의 용해 속도를 향상시켜 높은 공용성 등급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종래 포장 기술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미용융된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nd more particularly, when preparing a mesophilic modified asphalt mixture by a dry metho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so that asphalt concrete having a high common grade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avement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in which a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hich can be produced at a temperature is dispersed in an unmelted st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아스팔트는 상온에서 흑색을 띄며, 반고체 상태의 점성이 매우 높은 재료로, 그 단단한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여러 등급으로 구분되며, ASTM D946의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결과와 ASTM D6373의 PG 등급을 이용하여 아스팔트를 분류할 수 있다.Asphalt is black at room temperature and has a very solid semi-solid viscosity. It is classified into several grades based on its rigidity. Asphalt is tested using the asphalt penetration test result of ASTM D946 and PG grade of ASTM D6373. Can be classified.

아스팔트는 온도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는데, 고온에서는 점성이 높게 되어 유연하게 되는 반면 저온에서는 단단해져서 잘 깨지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아스팔트로 아스콘을 제조하여 도로에 시공을 하는 경우, 여름철과 같이 대기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아스콘의 고온 소성이 발생하게 되고, 겨울철과 같이 대기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아스콘의 저온 균열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Asphal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at high temperatures, it becomes highly viscous and soft, while it is hard at low temperatures, and thus has good cracking properties. Therefore, when manufacturing ascon with asphalt having such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ng it on the road, high temperature firing of ascon occurs when the air temperature rises as in summer, and low temperature of ascon when the air temperature decreases as in winter.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cracking.

이러한 아스팔트의 온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에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물성을 향상시킨 개질 아스팔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개질 아스팔트에 이용되는 개질제의 예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 중,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such asphalt, modified asphalt which has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by mixing various additives with asphalt is widely used. Examples of the modifier used in the modified asphalt include additives such as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s, polyolefin resins or styrene-butadiene rubbers. Of thes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s are most widely used.

개질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PG: Performance Grade) 규격에 따라 구분되며, 구체적으로는 DSR과 BBR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노화, 소성변형, 피로균열 및 저온균열 등의 5가지 성능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은 PG ○○-○○으로 표시되며, 예를 들어, PG 76-22는 적어도 76℃까지는 아스팔트로서의 내구성과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물리적 성상을 갖고, -22℃까지는 도로 포장시 결합재로서 저온에 대한 내구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개질 아스팔트는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이 높을수록 고성능 개질 아스팔트로 분류된다.Modified asphalt is classified according to asphalt performance grade (PG) specification, and specifically, it is classified by five performances such as aging, plastic deformation, fatigue cracking and low temperature cracking using equipment such as DSR and BBR. Can be. Asphalt compatibility grade is expressed as PG ○○-○○, for example, PG 76-22 has a physical property that can maintain the durability and bearing capacity as asphalt up to at least 76 ℃, up to -22 ℃ as a binder for road pavement It indicates the durability against low temperature. Therefore, modified asphalt is classified as high performance modified asphalt as the asphalt's common grade is higher.

일반적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이 높을수록 동일 함량을 아스팔트에 용해시켰을 때, 연화점, 점도 및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아스팔트에 용해시키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the higher the molecular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the higher the molecular weight, the higher the softening point, the viscosity and the common grade of asphalt when dissolved in asphalt, but the more time required to dissolve in asphalt there is a problem.

도로용 개질 아스팔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대형 용융설비에서 아스팔트에 펠렛이나 크럼 형태의 개질제를 투입하여 고온에서 용융시킨 후, 아스콘 공장 등으로 이송하여 골재와 아스팔트를 혼합하는 습식 타입, 및 아스콘 공장에서 골재와 아스팔트를 혼합할 때 개질제를 투입하여 아스콘을 제조하는 건식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modified asphalt for road is a wet type in which a pellet or crumb-type modifier is melted at high temperature in a large melting facility and melted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n transferred to an asphalt concrete plant and mixed with aggregate and asphalt, and aggregate in an asphalt concrete plant. When mixing asphalt with a modifier may be divided into a dry type for producing ascone.

습식 타입의 경우 대량 생산에 적합하므로 도로 포장에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송 거리가 먼 경우, 아스팔트가 노화되어 성능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고, 포장 구간이 짧아 아스팔트를 소량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정 운영상 적합하지 않고, 저장이나 이송 중에 개질제와 아스팔트가 분리되는 상분리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The wet type is generally used for pavement as it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However, if the transport distance is far, the asphalt may age and cause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the case of using a small amount of asphalt due to the short paving interval, it is not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 and phase separation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modifier and the asphalt are separated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Can be.

건식 타입의 경우, 저장 공정이 없으므로 상분리 현상 및 제조과정에서 고온에 의한 물성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습식 타입의 적용이 어려운 짧은 구간의 포장,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은 도로 포장, 도로 유지 보수 및 배수성과 같은 특수 아스팔트 포장에 많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건식 타입의 경우에는 공정상 개질제가 아스팔트에 단시간에 용해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용융 시간이 늦으면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시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개질제가 충분히 용융되지 않아 개질 아스팔트로서의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In the dry type, there is no storage process,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due to high temperature in the phase separation phenomenon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short section pavement, road pavement, road maintenance and drainage that are difficult to apply wet type It can be widely used for special asphalt pavement. In particular, in the dry type, it is important to allow the modifier to dissolve in asphalt in a short time. If the melting time is lat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working time is delayed in the production of the asphalt mixture, or the modifier is not sufficiently melted, so that it cannot exhibit sufficient performance as the modified asphal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 점착성 부여 수지와 가공 보조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건식용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건식용 개질제들도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점도의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할 경우 용융속도에 한계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dry asphalt modifier composition using a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mixed with a tackifying resin and a processing aid is known, but these dry modifiers are also used to improve the common grade of asphalt When using a high viscosity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there is a limit to the melt rate.

한편,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160~200℃의 고온 가열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도로에의 포설 및 다짐 공정에서 상온으로 냉각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 시에는 고온 가열 공정을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며,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 및 시공 중에도 이산화탄소(CO2) 등 유해가스 배출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로 포장 시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상온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키는데 필요한 시간만큼 교통개방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와 함께 작업자들이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asphalt concrete is manufactured through a high temperature heating process of 160 ~ 200 ℃, the process of cooling to room temperature in the installation and compaction process on the road. Therefore, when the asphalt mixture is manufactured, a lot of energy is consumed for the high temperature heating proces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harmful gas emissions such as carbon dioxide (CO 2 ) are increased even during the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of the asphalt mixture. In addition, when paving the road, there is a problem that workers are exposed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long with the problem that the traffic opening time is delayed by the time required to cool the asphalt mixture to a temperature close to room temperature.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저하 없이 아스팔트와 골재의 혼합 및 다짐 온도를 낮추어서 아스팔트 혼합물 포장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을 절감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 포장기술에 따르면, 종래 도로 포장기술에 대비하여 20~40℃ 낮은 온도에서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도로 포장 기술을 중온 포장 기술이라 부르는데, 시공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아스팔트 도로 분야에서 개질제 개발에서 중온 포장 기술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to solve these problems, research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due to the asphalt mixture pavement by lowering the mixing and compaction temperature of the asphalt and aggregate without deterior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sphalt mixture. According to this road pav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asphalt mixture at a temperature of 20 ~ 40 ℃ low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ad paving technology. This road pavement technology is called a medium temperature pavement technology. Due to the advantages of lowering the construction temperature, introduction of a medium temperature pavement technology is required in the development of a modifier in the asphalt road field.

따라서, 아스팔트 개질제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건식 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아스팔트 개질제의 용해 속도를 향상시켜 단시간 내에 충분히 고르게 용해될 수 있고, 동일한 함량의 건식 개질제를 사용할 때 더욱 높은 공용성 등급을 받을 수 있으며, 나아가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종래 포장 기술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제조하여 유해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온 포장 기술이 적용된 건식용 아스팔트 개질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refore, when the modified asphalt mixture using the asphalt modifier is manufactured by the dry metho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solution rate of the asphalt modifier and to dissolve it evenly in a short time, and to obtain a higher common grade when using the same amount of the dry modifier.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dry asphalt modifiers with mesophilic pavement technology to minimize the release of harmful gases by producing asphalt concrete at lower temperatures than conventional pavement techniques.

본 발명은 건식 방법으로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할 때, 아스팔트 개질제 내에 분산되어 있던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용융되어 아스팔트 개질제의 용해 속도를 향상시키고, 높은 공용성 등급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종래 포장 기술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제조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미용융된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When the modified asphalt mixture is prepared by the dry method,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dispersed in the asphalt modifier is melted to improve the dissolution rate of the asphalt modifier, and the asphalt concrete having a high common grade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conventional pavement technology is u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in which a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capable of reducing emissions of harmful gases such as carbon dioxide is dispersed in an unmelted st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는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ⅱ)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지방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폴리부텐, 쿠마론-인덴 수지, 폴리터펜 수지, 터펜 페놀 수지, 로진, 로진 에스터,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부여 수지 5 내지 60 중량부, ⅲ) 프로세스 오일 20 내지 80 중량부, ⅳ) 폴리에틸렌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온화 첨가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ⅴ) 폴리에틸렌 부직포 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ⅴ)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상기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상기 ⅱ) 점착성 부여 수지, 상기 ⅲ) 프로세스 오일, 및 상기 ⅳ) 중온화 첨가제의 용융 혼합물 내에 미용융된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based on: i) 100 parts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i) arom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aliph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dicyclopentadiene system. 5 to 6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tackifying res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troleum resins, polybutenes, coumarone-indene resins, polyterpene resins, terpene phenol resins, rosin, rosin esters, and hydrogenated products thereof, i) 20 to 80 parts by weight of process oil, i) 10 to 4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neutralizing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wax, vegetable wax, animal wax, surfactant and fatty acid; And iii) 5 to 35 parts by weight of a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herein iii)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comprises iii)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i) tackifying resin, iii) process oil, and iii) neutralization And dispersed in a molten state in the molten mixture of the additive.

또한, 본 발명의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은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지방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폴리부텐, 쿠마론-인덴 수지, 폴리터펜 수지, 터펜 페놀 수지, 로진, 로진 에스터,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부여 수지 5 내지 6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20 내지 8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온화 첨가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용융 혼합하는 단계; 및 ⅱ) 상기 ⅰ)의 용융 혼합물에,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부의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미용융된 상태로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ducing a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 arom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aliph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dicyclopentadiene petroleum res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5 to 6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tackifying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butene, coumarone-indene resin, polyterpene resin, terpene phenol resin, rosin, rosin ester, and hydrogenated products thereof, process oil 20 to 80 Melt blending parts by weight and 10 to 4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neutralizing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waxes, vegetable waxes, animal waxes, surfactants and fatty acids; And ii) dispersing 5 to 35 parts by weight of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n the molten stat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n the molten mixture of iii).

본 발명에 따른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는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개질제 내에 용융되지 않고 분산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플랜트에서 건식 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개질제 내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고 있던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용융되면서 개질제의 용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n a dispersed form without melting in the modifier, and when the asphalt concrete is manufactured by the dry method in the plant,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hich is present in the dispersed form in the modifier is present. While melt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또한, 본 발명의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 따르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단계에서 용융된 폴리에틸렌 부직포에 의해 높은 공용성 등급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sphalt concrete having a high common grade by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melted in the asphalt concrete manufacturing step.

또한, 본 발명의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 따르면, 종래 포장 기술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어,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sphalt concrete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conventional pavement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mission of harmful gases such as carbon dioxide.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5의 개질제를 각각 110℃ 조건에서 압착하여 형성한 두께 0.2 ㎜의 시편 사진.1 is a specimen photograph of 0.2 mm thick formed by pressing the modifier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5 at 110 ° C.,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ⅱ)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지방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폴리부텐, 쿠마론-인덴 수지, 폴리터펜 수지, 터펜 페놀 수지, 로진, 로진 에스터,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부여 수지 5 내지 60 중량부, ⅲ) 프로세스 오일 20 내지 80 중량부, ⅳ) 폴리에틸렌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온화 첨가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ⅴ) 폴리에틸렌 부직포 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ⅴ)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상기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상기 ⅱ) 점착성 부여 수지, 상기 ⅲ) 프로세스 오일, 및 상기 ⅳ) 중온화 첨가제의 용융 혼합물 내에 미용융된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ii) 100 parts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i) arom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aliph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dicyclopentadiene petroleum resin, polybutene, coumarone 5 to 6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tackifying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dene resins, polyterpene resins, terpene phenol resins, rosin, rosin esters, and hydrogenated products thereof, i) 20 to 80 parts by weight of process oil, Iii) 10 to 4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neutralizing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waxes, vegetable waxes, animal waxes, surfactants and fatty acids; And iii) 5 to 35 parts by weight of a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herein iii)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comprises iii)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i) tackifying resin, iii) process oil, and iii) neutralization A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ersed in a molten state in a molten mixture of additi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 포함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온도에 따른 아스팔트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스팔트 개질제로서 이용된다.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ncluded in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asphalt modifier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sphalt according to temperature.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스티렌 함량이 25~40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150,000 g/mol 범위인 선형 또는 가지형의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generally used in the art, but specifically, the styrene content is 25 to 40% by weight,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in the range of 80,000 to 150,000 g / mol. Phosphorus linear or branched copolymers can be used.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량이 25 중량% 미만이면 탄성이 부족하여 아스팔트 개질 시 연화점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성질이 강하게 되어 아스팔트 개질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가 있다.If the styrene conten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s less than 25% by weight, the elasticity is insufficient, so tha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oftening point may be lowered when the asphalt is modified.In the case of more than 40% by weight, the plastic properties become stronger due to the asphalt modification effect. There is not a big problem.

또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g/mol 미만이면 아스팔트 개질 효과가 크지 않게 될 수 있으며, 150,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와 상전이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개질제를 아스팔트에 용융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개질제 제조 시 펠렛 가공 온도가 너무 높아져 가공 도중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용융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시 개질제가 분산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s less than 80,000 g / mol, the asphalt modification effect may not be large. If 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exceeds 150,000 g / mol, the viscosity and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too high, thereby modifying the asphalt as a modifier. There is a difficulty in melting, the pellet processing temperature is too high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modifier to melt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during the process is difficult to disperse the modifier during asphalt concrete manufactu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 포함되는 점착성 부여 수지는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 시에 아스팔트와 골재 간의 접착력을 높여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ackifying resin included in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sphalt mixture by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sphalt and the aggregate when the asphalt mixture is prepared.

점착성 부여 수지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부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부여 수지의 양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 시에 아스팔트와 골재 간의 접착력이 약해지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응집 현상이 발생하여 가공이 어려워지고, 추가적인 가공비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The tackifying resin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5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When the amount of the tackifying resin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the adhesion between the asphalt and the aggregate is weak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asphalt mixture, and when the amount is greater than 60 parts by weight, the aggregation phenomenon occurs. Machining becomes difficult and leads to additional processing cost increase.

점착성 부여 수지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지방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폴리부텐, 쿠마론-인덴 수지, 폴리터펜 수지, 터펜 페놀 수지, 로진, 로진 에스터,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ackifying resins include arom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s, aliph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s, dicyclopentadiene petroleum resins, polybutenes, coumarone-indene resins, polyterpene resins, terpene phenol resins, rosin, rosin esters, and hydrogens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t least 1 type selected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an additive.

특히, 아스팔트와 골재 간의 접착력을 높여 물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연화점이 70 ~ 170℃인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an aromatic hydrocarbon-based petroleum resin having a softening point of 70 to 170 ° C in terms of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by increasing adhesion between asphalt and aggreg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 포함되는 프로세스 오일은 가공 보조제로서 이용되며, 방향족 프로세스 오일, 파라핀 프로세스 오일 또는 그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Process oil included in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rocessing aid, aromatic process oil, paraffin process oil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아스팔트의 점도 향상을 위해서는 방향족 성분의 함량이 0~30 중량%, 나프텐 함량이 20~50 중량부, 파라핀 함량이 40~80 중량%인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을 사용하는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improve the viscosity of asphalt, it is preferable to use paraffin-based process oil having an aromatic content of 0 to 30% by weight, naphthenic content of 20 to 50 parts by weight, and paraffin content of 40 to 80% by weight. no.

프로세스 오일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스 오일의 양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 시에 흐름성이 낮아 아스팔트에의 용해성이 떨어지며, 개질제 제조 시 펠렛 가공 온도가 너무 높아져 가공 도중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용융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시 개질제가 용융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프로세스 오일의 양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질된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에는 큰 영향은 없으나 개질제 제조 후 개질제 내의 프로세스 오일이 개질제 표면으로 용출되어 취급의 어려움을 가져오게 된다.Process oil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20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When the amount of the process oil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the flowability during processing is low and the solubility in asphalt is reduced. Since the nonwoven fabric is mel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elt the modifier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the process oil exceeds 8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odified asphalt composition have no significant effect, but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modifier, the process oil in the modifier elutes to the surface of the modifier. This will cause difficulties in hand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 포함되는 중온화 첨가제는 용융 온도 이상에서 아스팔트의 점도를 급격하게 떨어뜨리고, 용융 온도 이하에서는 고화되는 특성이 있어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된다.The mesophilic additive included in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pidly drops the viscosity of the asphalt above the melting temperature and solidifies below the melting temperature,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mesophilic asphalt mixture. It is used as an additive for.

중온화 첨가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온화 첨가제의 양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한 중온화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저온 물성이 저하된다.The neutralizing additive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1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f the amount of the neutralizing additive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the neutralizing effect on the asphalt mixture is hardly exerted, and when it exceeds 40 parts by weight, the low temperature properties of the asphalt mixture Degrades.

중온화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eutralizing additive is preferably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wax, vegetable wax, animal wax, surfactant and fatty acid.

또한, 중온화 첨가제는 융점이 120℃ 이하이며, 140℃에서의 용융 점도가 200 cP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온화 첨가제의 융점이 120℃보다 높은 경우, 개질제 제조 공정에서 용융되지 않게 되어, 개질제의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중온화 첨가제의 140℃에서의 용융 점도가 200 cPs를 초과하는 경우, 아스팔트보다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중온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될 우려가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melting | fusing point of the neutralizing additive is 120 degrees C or less, and melt viscosity in 140 degreeC is 200 cPs or less. If the melting point of the neutralizing additive is higher than 120 ° C., it will not be melted in the modifier manufacturing process,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viscosity of the modifier rises. In addition, when the melt viscosity of the neutralizing additive at 140 ° C. exceeds 200 cPs, the viscosity becomes higher than that of asphalt, which may affect the neutralizing eff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제조된 개질제 내에서는 용융되지 않고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나,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단계에서 용융되어 개질제의 용해 속도를 향상시키고, 폴리에틸렌에 의해 높은 공용성 등급의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ncluded in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in a dispersed form without melting in the prepared modifier, but melted in the asphalt concrete manufacturing step to improve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polyethylene It is possible to produce asphalt concrete of high compatibility grade.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부직포의 양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아스팔트에 개질제를 용융시킬 때 개질제의 용해 속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흐름성이 좋지 않아 개질제를 펠렛 형태로 성형하는 공정에서 설비에 과도한 부하를 줄 수 있고, 개질제의 저온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5 to 3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When the amount of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the melt rate of the modifier may be lowered when the modifier is melted on the asphalt. Due to poor properties, in the process of molding the modifier into pellets, an excessive load may be applied to the equipment and the low temperature properties of the modifier may be affected.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Polyethylene nonwovens can be made using polyethylene fibers.

폴리에틸렌 부직포 제조에 이용되는 폴리에틸렌 섬유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하여 만든 섬유로 그 종류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섬유의 두께는 약 7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ethylene fiber used for producing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a fiber made using a polyethylene resin, but its ki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thickness of the fiber is preferably about 7 to 200 μm.

섬유의 두께가 7 ㎛ 미만인 경우에는 강성이 약하여 분산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2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질제 제조시 용융 혼합 설비에 과도한 부하를 줄 수 있어, 개질제 제조에 어려움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f the thickness of the fiber is less than 7 ㎛ may cause a problem in dispersion due to the weak rigidity, if it exceeds 200 ㎛ may give an excessive load to the melt mixing equipment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modifier, there is a fear that the difficulty in producing the modifier. .

폴리에틸렌 섬유의 용융 온도는 126~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섬유의 용융 온도가 126℃ 미만인 경우에는 개질제 제조 시에 폴리에틸렌 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가 용융되어 개질제 내에서 분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없으므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의 용해 속도가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용융 온도가 1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를 아스팔트에 용융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melt temperature of polyethylene fiber is 126-140 degreeC. If the melt temperature of the polyethylene fiber is less than 126 ° C, since the nonwoven fabric made of polyethylene fiber cannot be melted and present in the form of dispersion in the modifier at the time of preparation of the modifier,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is affected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lting temperature exceeds 140 ℃ it is difficult to melt the modifier on the asphalt when manufacturing asphalt concrete.

또한, 폴리에틸렌 섬유의 용융 흐름 지수는 10g/10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섬유의 용융 흐름 지수가 10g/10min보다 낮으면 아스팔트의 점도가 상승되어 아스팔트 포장시 중온화 효과를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lt flow index of polyethylene fiber is 10 g / 10min or more. If the melt flow index of the polyethylene fiber is lower than 10g / 10min, the viscosity of the asphalt is raised, there is a difficulty in showing the neutralizing effect when asphalt paving.

폴리에틸렌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섬유를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적 처리를 통해 섬유 집합체를 결속시켜 포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Processes for preparing nonwoven fabrics from polyethylene fiber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for example, polyethylene fibers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fabrics by binding fiber aggregates through mechanical, chemical or thermal treatmen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이와 같이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섬유 자체에 비하여 개질제 제조 시에 개질제 내에 더 균일하고 쉽게 분산시킬 수 있다.As such, the use of polyethylene nonwovens allows for more uniform and easily dispersing in the modifier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modifiers compared to the fibers themselves.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개질제 제조 설비에 따라 크기나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는 크기가 일정 범위, 예를 들어 약 3 ㎝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Polyethylene nonwovens may not be particularly limited in size or shape depending on the modifier manufacturing equipment, or the size may be limited to a range, for example about 3 cm or les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에 따른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ccording to the aspect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and lubricant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에 따른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는 펠렛 형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ccording to the aspect may be in the form of pellet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지방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폴리부텐, 쿠마론-인덴 수지, 폴리터펜 수지, 터펜 페놀 수지, 로진, 로진 에스터,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부여 수지 5 내지 6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20 내지 8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온화 첨가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용융 혼합하는 단계; 및 ⅱ) 상기 ⅰ)의 용융 혼합물에,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부의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미용융된 상태로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aromatic hydrocarbon-based petroleum resin, aliphatic hydrocarbon-based petroleum resin, dicyclopentadiene-based petroleum resin, polybutene, and coumaron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5 to 6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tackifying res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dene resins, polyterpene resins, terpene phenol resins, rosin, rosin esters, and hydrogenated additives thereof, 20 to 80 parts by weight of process oil, and polyethylene wax Melt mixing 10 to 4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neutralizing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egetable waxes, animal waxes, surfactants and fatty acids; And ii) dispersing 5 to 35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nonwoven in an unmelted state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n the molten mixture of iii).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ⅰ)의 용융 혼합에 이용되는 용융 혼련 기기 및 조건은 본 발명의 목적에 어긋나지 않는 한, 공지된 폴리머 용융 혼합 설비 및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The melt-kneading apparatus and conditions used for melt mixing of i) can use well-known polymer melt mixing equipment and conditions, as long as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그러한 예는 단축 또는 이축 압출기, 니더 또는 밤바리 믹서 등을 포함한다. 단축 또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할 때에는 투입의 용이성을 위해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적절한 크기, 예를 들어 약 3 ㎝ 이하로 절단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니더 또는 밤바리 믹서를 사용할 때에는 폴리에틸렌 부직포의 크기 및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Such examples include single screw or twin screw extruders, kneader or balm mixers, and the like. When using a single screw or twin screw extruder,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should be cut to an appropriate size, for example, about 3 cm or less for ease of feeding,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are not limited when using a kneader or balm mixer. .

ⅰ)의 용융 혼합 및 ⅱ)의 분산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점착성 부여 수지, 프로세스 오일 및 중온화 첨가제는 용융되면서,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용융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는 온도 범위인 측면에서, 110~125℃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lt mixing of iii) and the dispersion of ii) are in terms of the temperature range in which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s, tackifying resins, process oils and neutralizing additives are melted while the polyethylene nonwoven is not melted and dispersed. It is preferable to make it at the temperature of 110-125 degreeC.

ⅰ)의 용융 혼합 및 ⅱ)의 분산이 이루어지는 온도가 110℃ 미만인 경우에는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 용융혼합이 어려워지며, 개질제의 점도가 높아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온도가 1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질제 제조 시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용융되어 개질제 내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없어,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시 개질제의 용융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If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elt mixing of i) and the dispersion of ii) is less than 110 ° C. is too low, the melt mixing becomes difficult, and the viscosity of the modifier is high, making processing difficult. If the temperature exceeds 125 ° C.,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may not be melted and dispersed in the modifier during manufacture of the modifier, thereby affecting the melting rate of the modifier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ⅱ) 단계 후에,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냉각된 혼합물을 펠렛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fter step ii),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ooling the mixture, and molding the cooled mixture in the form of pellets.

일 실시예에서, 상기 ⅰ) 단계에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iii), it may further comprise mixing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and lubricants.

상기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점착성 부여 수지, 프로세스 오일, 및 중온화 첨가제를 용융 혼합하고, 이 용융 혼합물에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분산시킨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a tackifying resin, a process oil, and a neutralizing additive are melt mixed and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dispersed in the melt mixture.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점착성 부여 수지, 프로세스 오일, 중온화 첨가제 및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점착성 부여 수지, 프로세스 오일 및 중온화 첨가제는 용융되는 반면,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용융되지 않는 온도에서 함께 혼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조건에서 혼합함으로써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점착성 부여 수지, 프로세스 오일 및 중온화 첨가제의 용융 혼합물 내에 분산되어 있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를 제조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tackifying resin, process oil, neutralizing additive and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styrene-butadiene The styrene block copolymers, tackifying resins, process oils and neutralizing additives are melted, while the polyethylene nonwovens may be mixed together at temperatures that do not melt. Mixing at such temperature conditions can produce a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in which a polyethylene nonwoven is dispersed in a molten mixture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s, tackifying resins, process oils and neutralizing additive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 실시예Example ]]

1. 실험 재료1. Experimental material

AP 5: 침입도 등급 60~80인 아스팔트로 침입도 70인 아스팔트(PG 64-22)AP 5: Asphalt Grade 60 to 80 with Asphalt Grade 70 (PG 64-22)

SBS 1: 중량평균분자량이 100,OOO g/mol이고 스티렌 함량이 33 중량%인 선형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SBS 1: Linear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 OO g / mol and a styrene content of 33% by weight

SBS 2: 중량평균분자량이 180,OOO g/mol이고 스티렌 함량이 33 중량%인 선형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SBS 2: Linear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80, OOO g / mol and a styrene content of 33% by weight

점착성 부여 수지: 연화점이 110℃인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Tackifying Resin: Arom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with Softening Point of 110 ℃

프로세스 오일: 40℃ 동점도가 100 cSt인 파라핀계 오일Process oil: paraffinic oil with 40 ° C kinematic viscosity of 100 cSt

중온화 첨가제: 140℃ 용융 점도가 150 cps이며, 융점이 110℃인 "LEADCAP 64"((주)리드캡 제품)Medium temperature additive: "LEADCAP 64" (Leadcap Co., Ltd.) with melting temperature of 140 ° C, 150 cps and melting point of 110 ° C

PE 부직포 1: 용융 온도가 130℃이고 용융 흐름 지수가 15g/10min인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조된 두께 100 ㎛의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진 두께 0.5 ㎜인 폴리에틸렌 부직포PE nonwoven fabric 1: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having a thickness of 0.5 mm made of polyethylene fiber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made of polyethylene resin having a melting temperature of 130 ° C. and a melt flow index of 15 g / 10 min.

PE 부직포 2: 용융 온도가 130℃이고 용융 흐름 지수가 5g/10min인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조된 두께 100 ㎛의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진 두께 0.5 ㎜인 폴리에틸렌 부직포PE nonwoven fabric 2: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having a thickness of 0.5 mm made of polyethylene fiber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made of polyethylene resin having a melting temperature of 130 ° C. and a melt flow index of 5 g / 10 min.

PE 펠렛: 용융 온도가 130℃이며, 용융 흐름 지수가 15g/10min인 폴리에틸렌 수지로 만들어진 지름 0.5~1.0 ㎜인 펠렛 형상의 폴리에틸렌
PE pellets: pellet-shaped polyethylene with a diameter of 0.5 to 1.0 mm made of polyethylene resin having a melting temperature of 130 ° C. and a melt flow index of 15 g / 10 min.

2. 실험 방법2. Experimental Method

(1)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인 아스팔트내 용해도 평가를 위하여, 일본도로협회에서 제정한 포장시험법 편람에 기재되어 있는 "개질 아스팔트의 시료제작법"을 참고하여 아스팔트내 개질제 용해 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 및 4에 나타낸다. 사용된 아스팔트는 AP 5이었으며, 150℃의 아스팔트에 개질제 8 중량%를 투입하고, 3,000rpm으로 혼합하여 개질제가 완전히 용해되는 시간을 평가하였다.(1) For the evaluation of solubility in asphal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tem in dry asphalt modifier, the dissolution time of the modifier in asphalt was measured by referring to the "Sampling Method of Modified Asphalt" described in the Pavement Test Manual established by the Japan Road Associ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3 and 4. Asphalt used was AP 5, and 8 wt% of the modifier was added to the asphalt at 150 ° C., and the mixture was mixed at 3,000 rpm to evaluate the time when the modifier was completely dissolved.

(2) 개질제를 포함한 각 아스팔트(AP 5)의 물성 평가는 PG 시험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PG 등급을 정하기 위해서는 저온 물성과 고온 물성을 측정한다. 먼저, 저온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를 PAV(Pressure Aging Vessel) 후, BBR(Bending Beam Rheometer)로 mvalue 값을 측정하였다. -12℃에서의 BBR 테스트에서 m-value 값이 0.3 이상이 나오는 온도로 PG의 저온 등급을 판정하였다. 고온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스콘의 생산 과정 중 초기 플랜트에서 고온으로 골재와 혼합된 후, 현장으로 이동 및 포설되는 과정의 노화를 모사한 RTFO(Rolling Thin Film Oven Test)를 거친 아스팔트를 DSR(Dynamic Shear Rheometer)로 64℃, 70℃, 76℃, 82℃에서 G*/sinδ을 측정하고, G*/sinδ 값이 2.2 ㎪ 이상이 나오는 온도를 PG의 고온 등급으로 판정하였다. 이때 같은 온도에서 G*/sinδ 값이 높을수록 고온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2) Evalu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each asphalt (AP 5) including the modifier was based on the PG test. To determine the PG grade, the low and high temperature properties are measured. First, in order to evaluate the low temperature properties, the asphalt was measured by PAV (Pressure Aging Vessel), and then mvalue value by BBR (Bending Beam Rheometer). The low temperature grade of PG was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value value was greater than 0.3 in the BBR test at -12 ° C. In order to evaluate the high temperature properties, asphalt mixed with aggregate at high temperatures in the initial plant during the production of ascon, and then subjected to the Rolling Thin Film Oven Test (RTFO), which simulates the aging of the process of moving and laying the site, is subjected to DSR (Dynamic). Shear Rheometer) was used to measure G * / sinδ at 64 ° C., 70 ° C., 76 ° C. and 82 ° C., and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G * / sin δ value was 2.2 kPa or more was determined as the high temperature grade of PG. At this time, the higher the G * / sin δ at the same temperature has a higher temperature stability.

(3)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 성능 평가를 위해 150℃로 가열된 아스팔트(AP)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에 및 비교예의 조성비로 제조된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6 중량%를 투입한 후, 혼합하여 개질 아스팔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개질아스팔트 6 중량%를 아스팔트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가열된 골재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3) To 100 parts by weight of asphalt (AP) heated to 150 ℃ to evaluate the compaction performance of the asphalt mixture, 6% by weight of the medium-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prepared in the composition ratio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added, followed by mixing Modified asphalt was prepared. 6% by weight of the modified asphalt prepared was added to the aggregate heated to the same temperature as the asphalt temperature, and mixed to prepare asphalt concrete.

3. 3. 개질제Modifier 및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 Of asphalt and modified asphalt

(1) 실시예 1(1) Example 1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이고, 스티렌 함량이 33 중량%인 선형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점착성 부여 수지 3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40 중량부, 중온화첨가제 2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부직포 10 중량부를 밤바리 믹서에 넣고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제외한 성분이 용융되는 최적 온도인 115℃ 온도에서 20분간 혼합하였다. 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이고, 스티렌 함량이 33 중량%인 선형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점착성 부여 수지 3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40 중량부 및 중온화 첨가제 20 중량부를 밤바리 믹서에 넣고 115℃ 온도에서 20분간 혼합한 후, 폴리에틸렌 부직포 10 중량부를 넣고 더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밤바리 믹서와 동일한 온도인 115℃의 L/D가 6인 압출기에 통과시키고, Under water cutter를 이용하여 지름 2~3 ㎜ 정도의 펠렛 형태의 개질제를 제조하였다. 100 parts by weight of a linear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g / mol and a styrene content of 33% by weight, 30 parts by weight of tackifying resin, 40 parts by weight of process oil, 20 parts by weight of a neutralizing additive, and 10 parts by weight of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as placed in a Bambari mixer and mixed for 2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15 ° C., which is an optimum temperature at which components other than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are melted. Alternatively, 100 parts by weight of a linear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g / mol and a styrene content of 33% by weight, 30 parts by weight of tackifying resin, 40 parts by weight of process oil, and 20 parts of neutralizing additive The part was put into a balvarie mixer and mixed at a temperature of 115 ° C. for 20 minutes, and then 1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as added and further mixed. The mixed mixture was passed through an extruder having a L / D of 6 at 115 ° C., the same temperature as that of the balvarie mixer, and a pellet modifier having a diameter of about 2 to 3 mm was prepared using an under water cutter.

상기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개질제 6 중량%를 150℃로 용융되어 있는 침입도(25℃, 100 g, 5 초, 0.1 mm)가 70이고, 연화점 50℃이며 PG 64-22인 아스팔트(AP5)에 투입하고, 3,000 rpm으로 용융 혼합하여 개질 아스팔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개질제가 용해되는 시간 및 개질 아스팔트의 PG 등급 판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6% by weight of the asphalt modifier prepared above was added to asphalt (AP5) having a penetration rate (25 ° C., 100 g, 5 seconds, 0.1 mm) of 70 ° C., a softening point of 50 ° C., and PG 64-22. And melt-mixing at 3,000 rpm to produce a modified asphalt. In this case, the time at which the modifier is dissolved and the PG grad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dified asphalt are shown in Table 3 below.

(2) (2) 실시예Example 2 내지 6 2 to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에 표시된 조성비에 따라 개질제를 제조하였다. 개질제 제조 시 가공온도는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제외한 성분이 용융되는 최적 온도로 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modifier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s shown in Table 1. The process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preparation of the modifier was the optimum temperature at which components other than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ere melted.

상기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개질제 6 중량%를 150℃로 용융되어 있는 침입도(25℃, 100 g, 5 초, 0.1 mm)가 70이고, 연화점 50℃인 아스팔트(AP5)에 투입하고, 3,000 rpm으로 용융 혼합하여 개질 아스팔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개질제가 용해되는 시간 및 개질 아스팔트의 PG 등급 판정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6% by weight of the asphalt modifier prepared above was introduced into asphalt (AP5) having a penetration rate (25 ° C., 100 g, 5 seconds, 0.1 mm), melted at 150 ° C., 70, and a softening point of 50 ° C., at 3,000 rpm. Melt mixing to produce modified asphalt. In this case, the time at which the modifier is dissolved and the PG grad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dified asphalt are shown in Table 3.

(3) (3)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내지 6 1 to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에 표시된 조성비에 따라 개질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및 6에 있어서, 개질제 제조 시 가공온도는 폴리에틸렌 부직포 또는 펠렛 형상의 폴리에틸렌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이 용융되는 최적 온도로 하였다. 비교예 5는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완전히 용융시키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가공온도를 170℃로 조절하여 실시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modifier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s shown in Table 1.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6, the process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preparation of the modifier was an optimum temperature at which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the polyethylene of a nonwoven polyethylene or pellets were melted. Comparative Example 5 was carried out by artificially adjusting the processing temperature to 170 ℃ to completely melt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상기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개질제 6 중량%를 150℃로 용융되어 있는 침입도(25℃, 100 g, 5 초, 0.1 mm)가 70이고, 연화점 50℃인 아스팔트(AP5)에 투입하고, 3,000 rpm으로 용융 혼합하여 개질 아스팔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개질제가 용해되는 시간 및 개질 아스팔트의 PG 등급 판정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6% by weight of the asphalt modifier prepared above was introduced into asphalt (AP5) having a penetration rate (25 ° C., 100 g, 5 seconds, 0.1 mm), melted at 150 ° C., 70, and a softening point of 50 ° C., at 3,000 rpm. Melt mixing to produce modified asphalt. In this case, the time at which the modifier is dissolved and the PG grad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dified asphalt are shown in Table 4.

(4)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4) manufacture of asphalt mixture

150℃로 가열된 아스팔트(AP) 100 중량부에 실시예 1, 5, 및 비교예 2, 6의 조성비로 제조된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8 중량%를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개질 아스팔트를 제조하였다. 이 개질 아스팔트 6 중량%를 아스팔트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가열된 골재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공극율을 측정하여, 중온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공극율 측정 결과는 표 5에 나타낸다.8 weight% of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prepared at the composition ratios of Examples 1, 5, and Comparative Examples 2, 6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sphalt (AP) heated to 150 ° C, and melt-mixed to prepare modified asphalt. . 6% by weight of the modified asphalt was added to the aggregate heated to the same temperature as the asphalt temperature, and mixed to prepare asphalt concrete. The porosity of the manufactured asphalt concrete was measured, and the neutralizing effect was evaluated. The porosity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구분
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최적 혼합 온도Optimum mixing temperature 115℃115 ℃ 117℃117 ℃ 125℃125 ℃ 114℃114 ° C 123℃123 ℃ 120℃120 DEG C 개질제
조성물
Modifier
Composition
SBS 1SBS 1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점착성 부여 수지(phr)Tackifying Resin (phr)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프로세스오일
(phr)
Process oil
(phr)
4040 4040 4040 4040 4040 6060
중온화 첨가제(phr)Mesophilic additive (phr) 2020 2020 2020 3535 3535 3535 PE 부직포 1(phr)PE nonwoven fabric 1 (phr) 1010 2020 3030 1010 3030 3030

구분
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최적 혼합 온도Optimum mixing temperature 113℃113 ℃ 115℃115 ℃ 115℃115 ℃ 135℃135 ℃ 160℃160 ° C 135℃135 ℃ 개질제
조성물
Modifier
Composition
SBS 1SBS 1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SBS 2SBS 2 100100 점착성 부여 수지(phr)Tackifying Resin (phr)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프로세스오일
(phr)
Process oil
(phr)
4040 4040 4040 4040 4040 4040
중온화 첨가제(phr)Mesophilic additive (phr)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PE 부직포 1(phr)PE nonwoven fabric 1 (phr) 00 1010 1010 4040 PE 부직포 2(phr)PE nonwoven fabric 2 (phr) 1010 PE 펠렛(phr)PE pellets (phr) 1010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용해시간(min)Dissolution time (min) 45min45min 35min35min 25min25min 40min40min 20min20min 18min18min PG 등급PG rating PG 70-22PG 70-22 PG 70-22PG 70-22 PG 76-22PG 76-22 PG 70-22PG 70-22 PG 76-22PG 76-22 PG 76-22PG 76-22 RTFO DSR
G*/sinδ(KPa)
RTFO DSR
G * / sinδ (KPa)
70℃70 ℃ 2.52.5 2.92.9 3.43.4 2.22.2 3.83.8 3.63.6
76℃76 ℃ 1.31.3 1.71.7 2.22.2 1.21.2 2.32.3 2.22.2

* AP5의 PG 등급은 PG 64-22임
* PG rating of AP5 is PG 64-2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용해시간(min)Dissolution time (min) 85min85 min 47min47min 80min80min 90min90min 75min75 min 65min65 min PG 등급PG rating PG 64-22PG 64-22 PG 70-22PG 70-22 PG 70-22PG 70-22 PG 76-22PG 76-22 PG 70-22PG 70-22 PG 76-18PG 76-18 RTFO DSR
G*/sinδ(KPa)
RTFO DSR
G * / sinδ (KPa)
70℃70 ℃ 2.12.1 2.62.6 2.42.4 3.63.6 2.62.6 4.04.0
76℃76 ℃ 1.11.1 1.41.4 1.31.3 2.22.2 1.41.4 2.52.5

* AP5의 PG 등급은 PG 64-22임* PG rating of AP5 is PG 64-22

* 비교예 6은 기기 부하가 심하여 펠렛 상태가 양호하지 않음
* Comparative Example 6 is not good pellet state due to heavy equipment load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5Example 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온도(℃)Asphalt Concrete Manufacturing Temperature (℃) 150℃150 ℃ 150℃150 ℃ 150℃150 ℃ 150℃150 ℃ 공극율(%)Porosity (%) 3.93.9 4.04.0 4.34.3 4.84.8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5의 개질제를 각각 110℃ 조건에서 압착하여 형성한 두께 0.2 ㎜의 시편 사진으로, 개질제 내에 존재하는 폴리에틸렌 부직포의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경우,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용융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어 불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반면, 비교예 6의 경우,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용융되어 반투명한 상태를 나타내었다.1 is a specimen photograph of 0.2 mm thickness formed by pressing the modifier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5 at 110 ° C., respectively, showing the state of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present in the modifier. In the case of Example 1,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as dispersed without melting to show an opaque state,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6,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as melted and semitransparent.

상기 표 3 및 4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분산되어 있는 개질제를 이용한 실시예의 경우,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의 아스팔트에 대한 용해 속도가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포함되지 않은 개질제를 이용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rom Tables 3 and 4,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using the modifier in which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erse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using the modifier in which the polyethylene dissolving agent is not dissolved in asphalt during the manufacture of asphalt concrete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compared to.

구체적으로 보면, 실시예 1 내지 3은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할 때, 폴리에틸렌 부직포의 포함 유무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의 용해 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개질제에 포함된 폴리에틸렌 부직포의 양이 증가할수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의 용해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Specifically, in Examples 1 to 3,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was greatly increased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when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without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n addition, in Examples 1 to 3,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amount of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ncluded in the modifier increases,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increases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또한, 조성비는 동일하지만 가공 온도가 낮아 개질제 내에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용융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실시예 1을 가공 온도를 인위적으로 높여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개질제 내에 용융되어 있는 비교예 5와 비교하면, 개질제 내에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용융되지 않고 분산된 상태로 존재함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의 용해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ratio is the same, but the processing temperature is low, compared to Example 1 in which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not melted and dispersed in the modifier,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melted in the modifier by artificially increasing the processing temperature. As is present in the dispersed state without melting, it can be seen that significantly increases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3을 통해 개질제 내에 분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형상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의 용해 속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4를 통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도 가공온도에 영향을 미쳐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의 용해 속도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from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olyethylene shape distributed in the modifier.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4 show that the molecular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also affects the processing temperature, so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또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을 통해 개질제 내에 분산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부직포에 의해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의 용해 속도가 향상되고,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높은 공용성 등급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과량 첨가된 비교예 6의 경우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개질제의 용해 속도는 우수하지만, 저온 물성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rough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that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dispersed in the modifier improves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and the asphalt concrete produced may have a high common grad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an excessive amount of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added,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 dissolution rate of the modifier is excellent during asphalt concrete production, low temperature physical properties are not good.

한편, 표 5에 나타내어진 공극율 측정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5의 개질제는 중온 포장이 가능하지만, 점도가 높은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사용한 비교예 2와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과량 함유된 비교예 6의 경우에는 다짐 성능이 떨어져 중온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함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rom the porosity measurement results shown in Table 5, although the modifiers of Examples 1 and 5 are capable of mesophilic packaging, Comparative Example 2 using a nonwoven fabric made of polyethylene fiber with a high viscosity and Comparative Example 6 containing an excessive amount of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compaction performance is poor and does not exhibit a neutralizing effect.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ⅱ)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지방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폴리부텐, 쿠마론-인덴 수지, 폴리터펜 수지, 터펜 페놀 수지, 로진, 로진 에스터,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부여 수지 5 내지 60 중량부,
ⅲ) 프로세스 오일 20 내지 80 중량부,
ⅳ) 폴리에틸렌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온화 첨가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ⅴ) 폴리에틸렌 부직포 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ⅴ)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상기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상기 ⅱ) 점착성 부여 수지, 상기 ⅲ) 프로세스 오일, 및 상기 ⅳ) 중온화 첨가제의 용융 혼합물 내에 미용융된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Iii) 100 parts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i) arom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aliph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dicyclopentadiene petroleum resin, polybutene, coumarone-indene resin, polyterpene resin, terpene phenol resin, rosin, rosin ester, and hydrogenated additives thereof 5 to 6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tackifying res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 20 to 80 parts by weight of process oil,
Iii) 10 to 4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neutralizing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waxes, vegetable waxes, animal waxes, surfactants and fatty acids; And
Iii) 5 to 35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ii)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dispersed in a molten mixture of (iii)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i) tackifying resin, (iii) process oil, and (iii) neutralizing additive. Characterized by
Medium 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25~40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150,000 g/mol 범위인 선형 또는 가지형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The method of claim 1,
Iii)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s a linear or branched copolymer having a styrene content of 25 to 40% by weight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80,000 to 150,000 g / mol.
Medium 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ⅱ) 점착성 부여 수지는 연화점이 70 ~ 170℃인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The method of claim 1,
Said ii) tackifying resin is an arom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having a softening point of 70 ~ 170 ℃
Medium 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ⅲ) 프로세스 오일은 방향족계 프로세스 오일,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The method of claim 1,
Iii) the process oi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omatic process oils, paraffinic process oils and mixtures thereof.
Medium 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ⅴ)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The method of claim 1,
Iii)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produced using polyethylene fibers,
Medium 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는 용융 온도가 126~140℃이며, 용융 흐름 지수가 10g/10mi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The method of claim 5,
The polyethylene fiber has a melting temperature of 126 ~ 140 ℃, characterized in that the melt flow index is 10g / 10min or more
Medium 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ⅴ)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두께가 0.1 내지 1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The method of claim 1,
(Iii)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has a thickness in the range of 0.1 to 10 mm.
Medium 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는 펠렛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The method of claim 1,
The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llet form
Medium 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and lubricants
Medium temperature dry asphalt modifier.
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지방족 탄화수소계 석유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폴리부텐, 쿠마론-인덴 수지, 폴리터펜 수지, 터펜 페놀 수지, 로진, 로진 에스터,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부여 수지 5 내지 6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20 내지 8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온화 첨가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용융 혼합하는 단계; 및
ⅱ) 상기 ⅰ)의 용융 혼합물에,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부의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미용융된 상태로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Iii) Arom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aliphatic hydrocarbon petroleum resin, dicyclopentadiene petroleum resin, polybutene, coumarone-indene resin, polyterpene resin, terpen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5 to 6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tackifying res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enol resins, rosin, rosin esters, and hydrogenated additives thereof, 20 to 80 parts by weight of process oil, and polyethylene wax, vegetable wax, animal wax, interface Melt mixing at least 10 to 4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neutralizing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tive agent and a fatty acid; And
Ii) dispersing 5 to 35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nonwoven in an unmelted state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in the molten mixture of iii).
Method for producing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 및 ⅱ) 단계는 110~125℃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Steps iii) and ii) ar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10 to 125 ° C.
Method for producing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 후에,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냉각된 혼합물을 펠렛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step ii),
Cooling the mixture; And
Molding the cooled mixture into pellets;
Method for producing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에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iii), further comprising mixing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and lubricants
Method for producing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using polyethylene fibers
Method for producing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는 용융 온도가 126~140℃이며, 용융 흐름 지수가 10g/10mi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olyethylene fiber has a melting temperature of 126 ~ 140 ℃, characterized in that the melt flow index is 10g / 10min or more
Method for producing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부직포는 두께가 0.1 내지 1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0.1 to 10 mm range
Method for producing mesophilic dry asphalt modifier.
KR1020120143815A 2012-08-03 2012-12-11 Warm-mix dry type asphalt modifier comprising polyetylene non-woven fabrics dispersed therein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821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5213 2012-08-03
KR1020120085213 2012-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173B1 true KR101282173B1 (en) 2013-07-04

Family

ID=4899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815A KR101282173B1 (en) 2012-08-03 2012-12-11 Warm-mix dry type asphalt modifier comprising polyetylene non-woven fabrics dispersed therein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17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931B1 (en) 2012-08-03 2014-0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ry mix asphalt modifier comprising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s dispersed therein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70404A (en) * 2014-12-10 2016-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ranule-typed low viscosity warm-mix asphalt modifie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warm-mix modified asphalt mix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682354B1 (en) * 2016-05-20 2016-12-06 (주)에프씨코리아랜드 Road paving material composition and Road pav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5726199A (en) * 2022-12-09 2023-03-03 渭南科顺新型材料有限公司 SBS modified asphalt waterproof coiled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877B1 (en) * 1997-08-26 1999-09-01 김광우 Polymer modified asphalt binder and its preparation process
KR20090129546A (en) * 2008-06-13 2009-12-17 허정도 Composition of warm asphalt modifiers or warm modified asphalts for warm mix asphalt concretes
KR101023425B1 (en) * 2010-02-19 2011-03-24 김병채 A warm mixing asphalt
KR20110135180A (en) * 2010-06-10 2011-12-16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Dry type asphalt modifier composition preventing draindown characteristics and modified asphalt contain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877B1 (en) * 1997-08-26 1999-09-01 김광우 Polymer modified asphalt binder and its preparation process
KR20090129546A (en) * 2008-06-13 2009-12-17 허정도 Composition of warm asphalt modifiers or warm modified asphalts for warm mix asphalt concretes
KR101023425B1 (en) * 2010-02-19 2011-03-24 김병채 A warm mixing asphalt
KR20110135180A (en) * 2010-06-10 2011-12-16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Dry type asphalt modifier composition preventing draindown characteristics and modified asphalt contain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931B1 (en) 2012-08-03 2014-0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ry mix asphalt modifier comprising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s dispersed therein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70404A (en) * 2014-12-10 2016-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ranule-typed low viscosity warm-mix asphalt modifie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warm-mix modified asphalt mix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672888B1 (en) * 2014-12-10 2016-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ranule-typed low viscosity warm-mix asphalt modifie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warm-mix modified asphalt mix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682354B1 (en) * 2016-05-20 2016-12-06 (주)에프씨코리아랜드 Road paving material composition and Road pav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5726199A (en) * 2022-12-09 2023-03-03 渭南科顺新型材料有限公司 SBS modified asphalt waterproof coiled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783B1 (en) Polymer modified warm-mix asphalt additive, asphal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arm-mix asphalt mixture using the same
CN101842443B (en) Asphalt modifier compositions with an improved melting rate and modified asphalt prepared using the same
EP2185649B1 (en) Warm mix asphalt binder compositions containing lubricating additives
CA2883204C (en) Non-blown roofing grade bitumen comprising a polyolefin
KR100949381B1 (en) Asphalt for low carbon dioxide green growth of warm-mix asphalt and worm-mix asphalt mixture making method therewith
KR101282173B1 (en) Warm-mix dry type asphalt modifier comprising polyetylene non-woven fabrics dispersed therein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47613B1 (en) Dry type asphalt modifier composition preventing draindown characteristics and Modified asphalt containing the same
KR101282174B1 (en) Warm-mix recycled asphalt additives comprising fat residue and warm-mix recycled asphalt mix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182203B1 (en) An asphalt modifying additive, and an modified asphalt composition containing them
WO2012061579A1 (en) Sulfur modified asphalt for warm mix applications
US20150191597A1 (en) Asphalt binder compositions and methods to make and use same
US8772380B2 (en) Performance graded sulfur modified asphalt compositions for super pave compliant pavements
CN106630731B (en) A kind of composite modifier and its preparation are dispersed the drainage asphalt concrete of performance with highly resistance
CN109735125A (en) A kind of novel high-strength anti-rutting modified asphal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28660B1 (en) Plant-mix type additive composition for modified asphalt
KR101100416B1 (en) Warm-mix asphalt additive containing anti-stripping effec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15296B1 (en) Plant-mix type recycled modified warm-mix additive, asphalt mixtur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00415B1 (en) Asphalt using warm-mix asphalt additive containing anti-stripping effe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arm-mix asphalt mixture using the same
KR101127762B1 (en) Asphalt using warm-mix asphalt additive containing cellulose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arm-mix asphalt mixture using the same
KR101532725B1 (en) Plant mix-type asphalt modifier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melting 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08659552A (en) A kind of environmental protection warm-mixed asphal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281969B1 (en) Modifier Composition for Low Carbon Warm Asphalt Mixture with Performance Grade of 64-22 or 70-22 Ran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sphalt Mixture Using the Same
KR100949380B1 (en) Additive composition of warm-mix asphalt for low carbon dioxide green growth
KR101349931B1 (en) Dry mix asphalt modifier comprising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s dispersed therein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83066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ynthetic asphalt for extra heavy traff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