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905B1 -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905B1
KR101281905B1 KR1020110035419A KR20110035419A KR101281905B1 KR 101281905 B1 KR101281905 B1 KR 101281905B1 KR 1020110035419 A KR1020110035419 A KR 1020110035419A KR 20110035419 A KR20110035419 A KR 20110035419A KR 101281905 B1 KR101281905 B1 KR 101281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adhesive
inlet
construction
cur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591A (ko
Inventor
유금희
Original Assignee
유금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희 filed Critical 유금희
Priority to KR102011003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90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05B12/002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2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for applying adhesive, e.g. glue or mortar, on the covering elements, in particular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접착제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를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타일의 개보수를 간편히 시공할 수 있는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 유입부와 제 2 유입부와 하나의 노즐을 포함하는 토출건; 제 1, 2 유입부와 호스로 연결된 제 1, 2 통; 및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접착제 토출장치를 제공하고 이와 같은 접착제 토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일의 배면 및 시공면의 이물질은 털어 제거하는 단계; 상기 토출건으로 상기 타일의 배면 또는 상기 시공면에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을 상기 시공면에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엑폭시접착제를 시공면에 손쉽고 간편하게 혼합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위한 별도 작업자의 노동력이 필요없고 시공면에 타일을 부착하는 접착제를 손쉽게 도포하여 간단히 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 시공된 타일의 개보수와 같은 경우 기(旣) 시공된 타일 시멘트 내지 타일접착제 등을 제거하는 단계를 생략하여 타일의 개보수를 간단히 이룰 수 있으며, 기(旣) 시공된 타일시멘트 내지 타일접착제를 제거하는 작업이 생략되어 안전사고와 소음, 비산먼지와 산업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Adhesive withdrawal device and method of tile construc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접착제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를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타일의 개보수를 간편히 시공할 수 있는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타일을 재시공하거나 보수 시에는 기존에 시공된 시멘트, 타일접착제를 제거하여 시공면을 평평하게 만들고 이에 타일 시공에 대한 전과정을 처음부터 밟아 재시공하는 방법의 취하였다.
이때 기존에 시공했던 시멘트, 타일접착제를 제거하진 않으면 새로 시공하는 타일이 기존타일과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기존에 시공했던 시멘트, 타일접착제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러한 시멘트,타일접착제는 시공면이 된 바탕 골조 및 콘크리트에 강하게 접착되어 있어 망치와 끌로 떼든지 제거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시멘트, 타일접착제의 제거 과정에서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장비에 의한 엄청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이때 발생하는 진동으로 근처에 시공된 타일 또는 부착물들이 2차 탈락하는 피해가 발생되고 건축물에는 미세 크랙이 발생하여 건물의 하자발생 및 수명 단축을 야기한다.
또한, 이와 같이 제거된 시멘트, 타일접착제는 폐기되는 것으로 산업페기물의 발생과 환경오염을 불러 일으킨다.
한편, 기존의 시멘트, 타일접착제의 양생기간은 오래 걸려 통행제한이 2 ~ 3일 정도 필요하고 통상적으로 양생 완료기간이 28일 이상 걸리기 때문에 공기가 길고 시공이 불편하다.
따라서, 이러한 장시간의 양생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타일의 접착물질로서 시멘트, 타일접착제 대신 에폭시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안도 모색되었으나 이와 같은 접착제는 경화제 혼합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자가 주제와 경화제를 적시에 혼합하여 제공하는 보조작업이 필요하여 인력 추가와 이에 따른 인건비 추가발생 및 시공단가의 상승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엑폭시접착제를 사용하여 소량으로도 타일 시공에 효과적인 접착력 내지 인장력을 발휘하고 이러한 에폭시접착제를 손쉽게 혼합 공급할 수 있는 접착제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담긴 전용 용기는 사용 후 내용물이 굳어져 더 이상 보관 또는 사용할 수 없어 버려지는데 이러한 전용 용기의 쓰레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제 토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이미 시공된 타일의 개보수 시 기(旣) 시공된 타일 시멘트 내지 타일접착제 등을 제거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손쉽게 타일의 개보수를 이룰 수 있는 타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기(旣) 시공된 타일시멘트 내지 타일접착제를 제거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와 소음을 없애고, 작업 중의 진동으로 건축물의 하자 및 수면단축을 방지하며 비산먼지와 산업페기물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제가 유입되는 제 1 유입부와, 경화제가 유입되는 제 2 유입부와, 상기 주제 및 상기 경화제를 혼합하여 방출하는 하나의 노즐을 포함하는 토출건; 상기 주제를 담고 상기 제 1 유입부와 제 1 호스로 연결된 제 1 통; 상기 경화제를 담고 상기 제 2 유입부와 데 2 호스로 연결된 제 2 통; 및 상기 주제 및 상기 경화제를 상기 제 1 통과 상기 제 2 통으로부터 상기 토출건 쪽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접착제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토출건은 상기 제 1 유입부와 상기 제 2 유입부 각각에 장치되고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의 유입량을 각각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건은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조작하는 방아쇠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제 1 통 및 제 2 통의 내부압을 높이는 가압펌프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앞서 기재된 접착제 토출장치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일의 배면 및 시공면의 이물질은 털어 제거하는 단계; 상기 토출건으로 상기 타일의 배면 또는 상기 시공면에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을 상기 시공면에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는 엑폭시접착제를 시공면에 손쉽고 간편하게 혼합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위한 별도 작업자의 노동력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인건비를 줄여 시공단가를 줄일 수 있고 적은 인력으로 간편히 시공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리필형태로 토출장치에 보충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사용 후 발생하는 전용 용기의 쓰레기 발생을 줄 일 수 있고 나아가 용기비용이 생략된 저렴한 비용으로 액상접착제를 구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다른 접착제 토출장치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은 시공면에 타일을 부착하는 접착제를 손쉽게 도포하여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이미 시공된 타일의 개보수와 같은 경우 기(旣) 시공된 타일 시멘트 내지 타일접착제 등을 제거하는 단계를 생략하여 타일의 개보수를 간단히 이룰 수 있다.
특히, 기(旣) 시공된 타일시멘트 내지 타일접착제를 제거하는 작업이 생략되어 안전사고와 소음, 비산먼지와 산업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때의 진동으로 건축물에 발생하는 하자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화가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통행금지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의 토출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의 토출건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는 에폭시접착제를 다루는 것으로 에폭시접착제는 에폭시수지, 경화제, 충진제, 희석제 등과 기타 첨가제를 기본 베이스로 하고 있는 열경화성 수지계의 접착제를 말한다. 여기서 에폭시수지는 경화 후의 기계적인 특성이 뛰어나고 접착력이 강하며, 내열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에폭시접착제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상온에서 경화하고, 반응시 부생성물이 없어 가정용, 건축용 등 산업 전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1액 타입의 것과 주제와 경화제의 2가지 액을 접착할 때 섞어서 사용하는 2액 타입이 있는데,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2액 타입을 다루는 것이다.
여기서 주제는 열경화성수지인 에폭시수지가 되고 경화제는 상기 열경화성수지에 첨가하여 다리결합을 일으켜 경화시키는 약제로서, 에폭시수지에 사용하는 경화제로는 아민류, 폴리아마이드 등이 있다. 또한, 경화제는 상온에서 경화시키기 위한 상온경화제와 가열에 의하여 경화시키는 가열경화제가 있다. 같은 수지라도 사용하는 경화제의 종류·양에 따라 제품의 물성(物性)이 달라진다. 경화제에는 이 밖에 미가황(未加黃) 고무에 배합하여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배합제나 분자를 다리결합시키기 위한 다리결합제, 시멘트·석고에 첨가하여 경화를 촉진하는 경화촉진제 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타일의 개보수를 간편히 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주제가 유입되는 제 1 유입부(110)와, 경화제가 유입되는 제 2 유입부(120)와, 상기 주제 및 상기 경화제를 혼합하여 방출하는 하나의 노즐(130)을 포함하는 토출건(100); 상기 주제를 담고 상기 제 1 유입부(110)와 제 1 호스(210)로 연결된 제 1 통(200); 상기 경화제를 담고 상기 제 2 유입부(120)와 제 2 호스(310)로 연결된 제 2 통(300); 및 상기 주제 및 상기 경화제를 제 1 통(200)과 제 2 통(300)으로부터 토출건(100) 쪽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가압수단(40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손쉽고 간편하게 혼합된 형태로 제공하여 이의 혼합을 위한 별도 작업자의 노동력이 필요 없고 그 결과, 인건비를 줄여 시공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주제와 경화제는 각각 리필형태로 제 1 통(200)과 제 2 통(300)에 보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사용 후 발생하는 전용 용기의 쓰레기 발생을 줄 일 수 있고 나아가 용기 비용이 생략된 저렴한 비용의 주제와 경화제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건(100)은 제 1 통(200) 및 제 2 통(300)으로부터 전달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이와 같이 혼합된 접착액을 적시 적소에 제공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1과 함께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 1 유입부(110) 및 제 2 유입부(120) 그리고,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 각각에 장치되고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의 유입량을 각각 조절하는 조절밸브(150),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의 동일측 말단과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꼬깔형태로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의 반대측으로 연장된 노즐(130), 노즐(130)의 일측 말단 내지 내부에 장치되고 노즐(13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미도시), 개폐수단(미도시)의 개폐동작을 조작하는 방아쇠손잡이(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출건(100)은 총열, 몸통 및 방아쇠를 갖는 통상적인 총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노즐(130)은 상기 총열과, 제 1 유입부(110) 및 제 2 유입부(120)는 상기 몸통과, 방아쇠손잡이(140)는 상기 방아쇠와 대응될 수 있는 것으로, 다시 말해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는 나란히 소정길이 연장되어 토출건(100)의 몸통(101) 후단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고 노즐(130)은 토출건(100)의 몸통(101) 전단에 결합되어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의 말단을 동시에 수용하게 연결되며, 방아쇠손잡이(140)는 몸통(101) 하부로 연장된 주손잡이(141)의 전방에 주손잡이(141)와 대응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노즐(130)은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로부터 제공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공간으로 사용 후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가 경화되어 못쓰게 되는바 탈착수단(131)으로 착탈 가능하게 몸통(101)에 연결되어 사용 후 노즐(130)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방아쇠손잡이(140)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개폐수단(미도시)은 바람직하게는 노즐(130)의 선단 개구부(133)를 열고 닫는 통상의 것이 장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개폐수단(미도시)과 방아쇠손잡이(140)의 연결관계 및 그 구성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조절밸브(150)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의 말단 내부에 삽입되고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의 내경과 일치하여 회전하는 조절판(미도시)를 통해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의 말단이 개구되는 정도를 조절하고, 이와 달리 배관 내의 유체의 흐름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와 구성의 것이라면 그 어느 것을 이용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고 이러한 조절밸브(150)에 대한 당업자의 이해는 자명한 것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 1 통(200)은 주제 및 경화제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고 필요 시 토출건(100) 쪽으로 이송시켜 공급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1 과 같이 토출건(100)의 제 1 유입부(110)와 제 1 호스(210)로 연결되고 제 1 호스(210)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통(2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 1 뚜껑(220)을 관통하여 제 1 통(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제 1 호스(210)에는 가압수단(400)이 장치되어 제 1 통(200)의 내부에 저장되는 주제 및 경화제 중 어느 하나를 제 1 유입부(110)쪽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강제 이송된 주제 및 경화제 중 어느 하나는 앞서 언급된 조절밸브(150)의 조작을 통해 노즐(130)로의 공급여부와 공급량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통(300)은 주제 및 경화제 중 나머지 하나를 저장하고 필요 시 토출건(100) 쪽으로 이송시켜 공급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1 과 같이 토출건(100)의 제 2 유입부(120)와 제 2 호스(310)로 연결되고 제 2 호스(310)는 바람직하게는 제 2 통(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 2 뚜껑(320)을 관통하여 제 2 통(3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제 2 호스(310)에는 가압수단(400)이 장치되어 제 2 통(300)의 내부에 저장되는 주제 및 경화제 중 나머지 하나를 제 2 유입부(120)쪽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강제 이송된 주제 및 경화제 중 나머지 하나는 앞서 언급된 조절밸브(150)의 조작을 통해 노즐(130)로의 공급여부와 공급량이 결정된다.
그리고, 가압수단(400)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통(200) 및 제 2 통(300)의 내부압을 높이는 가압펌프이거나 제 1 호스(210)와 제 2 호스(310) 내부에 제 1 통(200) 및 제 2 통(300)으로부터 토출건(100) 쪽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음압을 형성하는 흡입펌프일 수 있다.
이러한 가압수단(400)으로 컴프레샤와 같은 에어공급수단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를 통해, 주제와 경화제는 제 1 통(200) 및 제 2 통(300)에 구분되게 저장되었다가 작업 시 가압수단(400)의 작동으로 토출건(100) 쪽으로 이송되고 조절밸브(150)의 조절로 각각이 제 1 유입부(110)와 제 2 유입부(120)를 통해 노즐(130)로 공급되는 양이 조절되며 이와 같이 노즐(130)로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는 노즐(130) 내부에서 혼합된 상태로 머물다가 방아쇠손잡이(140)의 작동으로 개폐수단(미도시)이 노즐(130)의 선단 개구부(133)를 열면 혼합된 접착액 즉, 에폭시접착제가 토출되어 작업장의 시공면에 간편하게 도포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주제와 경화제는 간단한 리필형태의 용기에 담긴 것을 사용하여 제 1 통(200)과 제 2 통(300)에 보충하며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의 전용 용기에 담겨 유통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구입비에 전용 용기의 비용이 포함된 구매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전용 용기의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도 자원낭비와 환경오염과 같은 염려가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장치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미 언급된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고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인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방법은 위에서 언급된 접착제 토출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타일의 배면 및 시공면의 이물질은 털어 제거하는 단계; 토출건(100)으로 상기 타일의 배면 또는 상기 시공면에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을 상기 시공면에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타일 시공방법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타일의 개보수에 이용되어 그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와 같은 다음의 과정을 거친다.
우선, 이미 시공된 있는 타일 바닥면의 줄눈을 제거한다(s410).
타일의 개보수는 보통 시공면의 여러 타일 중 하자가 발생하여 박리 박락된 타일은 교체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자가 발생된 타일은 기존에 시공했던 시멘트,타일접착제에서 떨어져 있으나 줄눈이 붙어 있어 쉽게 떼어내지 못하므로 먼제 줄눈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줄눈이 제거된 상태에서, 압착기(미도시)를 이용해 타일을 들어낸다(s420).
이때 사용되는 압착기(미도시)는 말 그대로 대상물을 압착하여 들어올리거나 상기 대상물이 결합된 곳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일종의 집는수단과 같은 것으로 통상의 압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시공면으로부터 박리 박락 된 타일을 들어낸다.
이 때, 들어낸 타일의 배면과 타일이 들어내진 시공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s430).
개보수에 있어 떨어진 타일을 재사용 할 때는 타일 배면에 약간의 부산물이 붙어 있는데 떨어진 타일에 붙어 있는 부산물을 그대로 시공할 수 있으나 쉽게 떨어지는 부산물은 간단하게 긁어 제거하거나 쓸어내는 것도 후술하는 접착제의 사용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기존에 시공된 시멘트, 타일접착제는 시공면 또는 타일의 배면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남겨둔다.
이 상태에서, 토출건(100)으로 타일의 배면 또는 시공면에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액을 도포한다(s440).
이와 같이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액은 앞서 설명된 에폭시접착제일 수 있고 이는 앞서 설명된 접착제 토출장치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해당 면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에폭시접착제를 이용하여 경화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공기가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작업되는 영역에 대한 통행제한이 빠른 시일 내에 풀려 통행의 불편함을 빨리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액은 중점도 정도의 액상접착제로 너무 점도가 약하면 빨리 스며들거나 흘러버릴 수 있어 타일면과 바탕면 사이의 접착력이 부족하고 점도가 높으면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액은 타일의 배면 또는 시공면에 가늘게 골구로 뿌리고 시공하면서 가볍게 흔들어 타일이 떨어진 자리에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타일을 들어내서 발견된 시공면의 크랙 등에도 상기 접착액을 주입하여 메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다시 압착기를 이용해 타일을 시공면에 접착시킨다(s450).
이때, 타일 배면에는 타일 각각 문양이 있고 방향이 있는데 이 때문에 앞서와 같이 박리 박락된 타일은 떨어진 문양, 떨어진 방향, 떨어진 자리에 반드시 일치되게 시공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떨어진 제자리와 방향과 문양을 찾아 일치되게 시공하지 않으면 기존에 시공되어 남아있는 시공면의 시멘트, 타일접착제와 타일 배면의 시멘트, 타일접착제가 맞물리게 결합되지 못해 단차가 생기거나 들뜨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고무망치나 손으로 두드리거나 눌러 타일을 시공면에 압착시킨다(s460).
제자리에 맞추어지면 고무망치나 손으로 약하게 두드리거나 눌러주어 상기 접착액이 타일의 배면과 시공면에 넓게 퍼지면서 침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압착된 타일을 그대로 두면 타일의 자체무게로 상기 접착액을 눌러주는 효과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접착액이 더욱 강하게 타일과 시공면을 접착시킨다.
이렇듯, 타일의 배면과 시공면 사이에 접착액이 침투하면서 접착이 완료되면 기존의 시공과 일치되는 높이로 타일은 시공면에 접착되고 그 결과, 다른 타일과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시공면에 타일을 부착하는 접착제를 손쉽게 도포하여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이미 시공된 타일의 개보수와 같은 경우 기(旣) 시공된 타일 시멘트 내지 타일접착제 등을 제거하는 단계를 생략하여 타일의 개보수를 간단히 이룰 수 있다.
또한, 접착력이 강한 액상 접착제을 사용할 수 있는 이 공법은 타일의 추가적인 박리 박락을 막을 수 있으며, 부차적으로 구조물의 크랙을 메워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방법은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타일을 재활용할 수 있고 재시공하기 위한 시멘트, 타일접착제의 자재가 새로이 소모되지 않으며 기존에 시공했던 시멘트, 타일접착제보다 강한 접착력과 강한 인장력(약 8배이상)으로 타일보수를 이룰 수 있다.
특히, 기(旣) 시공된 타일시멘트 내지 타일접착제를 제거하는 작업이 생략되어 안전사고와 소음, 비산먼지와 산업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때의 진동으로 건축물에 발생하는 하자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기존방식의 시공은 2 ~ 3일의 동선통제 및 통행금지를 필요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빠른 가사시간과 빠른경화로 시공이 30분 ~ 60분 내로 완료되어 최소한의 동선통제 및 통행금지만이 필요할 뿐이며, 24 ~ 36시간이면 접착액이 완전 경화되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100: 토출건 101: 몸통
110: 제 1 유입부 120: 제 2 유입부
130: 노즐 131: 탈착수단
133: 선단 개구부 140: 방아쇠손잡이
141; 주손잡이 150: 조절밸브
200: 제 1 통 210: 제 1 호스
220: 제 1 뚜껑 300: 제 2 통
310: 제 2 호스 320: 제 2 뚜껑
400: 가압수단

Claims (5)

  1. 주제가 유입되는 제 1 유입부와, 경화제가 유입되는 제 2 유입부와, 상기 주제 및 상기 경화제를 혼합하여 방출하는 하나의 노즐 및 일단은 상기 노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유입부 및 제 2유입부과 연통되는 몸통을 포함하는 토출건;
    상기 주제를 담고 상기 제 1 유입부와 제 1 호스로 연결된 제 1 통;
    상기 경화제를 담고 상기 제 2 유입부와 데 2 호스로 연결된 제 2 통; 및
    상기 주제 및 상기 경화제를 상기 제 1 통과 상기 제 2 통으로부터 상기 토출건 쪽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건은
    상기 제 1 유입부와 상기 제 2 유입부 각각에 장치되고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의 유입량을 각각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조작하는 방아쇠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노즐은 제 1 유입부와 제 2 유입부로부터 제공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공간으로 사용 후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가 경화되어 못쓰게 됨에 따라 몸통에 연결되어 사용 후 노즐만 제거하도록 탈착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토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기재된 접착제 토출장치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일의 배면 및 시공면의 이물질은 털어 제거하는 단계;
    상기 토출건으로 상기 타일의 배면 또는 상기 시공면에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을 상기 시공면에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일 시공방법.
KR1020110035419A 2011-04-15 2011-04-15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KR101281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419A KR101281905B1 (ko) 2011-04-15 2011-04-15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419A KR101281905B1 (ko) 2011-04-15 2011-04-15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91A KR20120117591A (ko) 2012-10-24
KR101281905B1 true KR101281905B1 (ko) 2013-07-03

Family

ID=4728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419A KR101281905B1 (ko) 2011-04-15 2011-04-15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9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925A (ja) * 1993-12-14 1995-06-27 Washi Chuetsu Board Kk 流動体の混合吐出用具
JPH08323261A (ja) * 1995-05-31 1996-12-10 Iwata Air Compressor Mfg Co Ltd 二液高粘度材料注入装置
KR20000012271A (ko) * 1999-11-11 2000-03-06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수지 주입장치
KR200393398Y1 (ko) * 2005-04-13 2005-08-22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다기능성 슬래그골재를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구조물보수보강재용 분사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925A (ja) * 1993-12-14 1995-06-27 Washi Chuetsu Board Kk 流動体の混合吐出用具
JPH08323261A (ja) * 1995-05-31 1996-12-10 Iwata Air Compressor Mfg Co Ltd 二液高粘度材料注入装置
KR20000012271A (ko) * 1999-11-11 2000-03-06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수지 주입장치
KR200393398Y1 (ko) * 2005-04-13 2005-08-22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다기능성 슬래그골재를 이용한 노출콘크리트 구조물보수보강재용 분사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91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577B1 (ko)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US8001744B1 (en) Method of grouting commercial kitchen floors using a two-part reactive epoxy grout
CN102561412A (zh) 一种纤维增强复合塑料和混凝土之间的加固方法
RU200211224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лицов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или канала
JPS63278584A (ja) パイプの修理若しくは被覆法、その装置および修理若しくは被覆材料
KR101281905B1 (ko) 접착제 토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CN207498842U (zh) 一种桥梁维修用加固操作装置
CN108908558A (zh) 一种实木复合地板表板修补方法
CN110671578B (zh) 可带压堵漏的光固化在线修补套装及带压堵漏修补方法
US20130152855A1 (en) Pneumatic repair mortar gun
KR20160142993A (ko) 자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주입장치
CN205421994U (zh) 一种立式电动液压注浆机
EP421755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set a floor
CA2755482C (en) Improved process for guniting refractory mixes using conventional dry gunning equipment and refractory mixes for use in same
JP2517522B2 (ja) 2液反応硬化性樹脂剤の混合供給塗布装置
CN206053396U (zh) 一种复合粘结剂粘贴钢板加固剪力墙洞口的构造
CN211621264U (zh) 一种处理混凝土裂缝的注胶装置
CN105672691A (zh) 一种立式电动液压注浆机
CN210396034U (zh) 一种基于建筑工程的新型砂浆抹灰装置
KR102088140B1 (ko) 에폭시 접착재 자동 혼합건 장치
CN113323443A (zh) 一种应用结构补强的混凝土裂缝修补方法
CN110202844A (zh) 一种烟囱frp防腐衬里及其制备方法
DK180824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set a floor or repair a cracked wall
CN205400068U (zh) 一种钢筋防锈砂浆喷涂机
JP2007303086A (ja) エポキシ樹脂系二液型接着剤の硬化工法とエポキシ樹脂系二液型接着剤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