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802B1 - 감량 영상 구성장치 - Google Patents

감량 영상 구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802B1
KR101281802B1 KR1020110099263A KR20110099263A KR101281802B1 KR 101281802 B1 KR101281802 B1 KR 101281802B1 KR 1020110099263 A KR1020110099263 A KR 1020110099263A KR 20110099263 A KR20110099263 A KR 20110099263A KR 101281802 B1 KR101281802 B1 KR 10128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ody shape
measurement target
prescrip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041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형준
Priority to KR102011009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8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0Selection of transform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21Depth or shape recovery from laser ranging, e.g. using interferometry; from the projection of structured ligh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량 영상 구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스캔하고, 스캔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분석해 측정 대상의 각 부위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 중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특정 감량 영상을 각각 선택하고,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을 합성하여 측정 대상의 체형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출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측정 대상에 대한 미래의 예측 감량 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 측정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감량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감량 영상 구성장치{Picture organizing apparatus for reduction weight of measuring object}
본 발명은 측정 대상의 감량 영상을 처리하는 감량 영상 구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특허공개 제10-2005-0048897호(2005. 05. 25)에서는 인체 영상에 존재하는 서로 상관성이 있는 부분을 구역화하고, 구역화된 영상의 각 조직에 해당하는 색을 입히고, 구역화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통합하여 조직 분류가 완성된 영상을 생성하는 인체 영상 처리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인체 영상을 구성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측정 대상에 대한 미래의 예측 감량 영상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측정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감량 관리가 가능한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국내특허공개 제10-2005-0048897호(2005. 05. 25)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측정 대상에 대한 미래의 예측 감량 영상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감량 영상 구성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측정 대상의 체형을 스캔하고, 스캔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분석해 측정 대상의 각 부위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 중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특정 감량 영상을 각각 선택하고,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을 합성하여 측정 대상의 체형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측정 대상에 대한 미래의 예측 감량 영상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측정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감량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의 감량 영상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의 감량 영상 제공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100)는 체형 스캔부(110)와, 부위 인식부(120)와, 영상 처리부(130)와, 감량 영상 선택부(140)와, 체형 재구성부(150)와, 체형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형 스캔부(110)는 측정 대상의 체형을 스캔한다. 예컨대, 상기 체형 스캔부(110)가 측정 대상의 체형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또는 측정 대상의 체형에 대한 단층 이미지를 촬영하는 자기 공명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부위 인식부(120)는 상기 체형 스캔부(110)에 의해 스캔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분석해 측정 대상의 각 부위를 인식한다. 예컨대, 상기 부위 인식부(120)가 측정 대상의 체형 이미지로부터 눈, 코, 입, 팔, 다리 등의 기관에 대한 특징점 추출을 추출하여 측정 대상의 각 부위를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30)는 상기 부위 인식부(120)에 의해 인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을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영상 처리부(130)가 캐릭터 커스터마이징(Character Customizing) 기법 등을 이용해 측정 대상의 각 부위를 매 kg 단위로 감량했을 경우 예상되는 각 부위별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감량 영상 선택부(140)는 상기 영상 처리부(130)에 의해 생성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 중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특정 감량 영상을 각각 선택한다. 각 부위의 감량 영상 선택과 관련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체형 재구성부(150)는 상기 감량 영상 선택부(140)에 의해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을 합성하여 측정 대상의 체형을 재구성한다. 예컨대, 상기 체형 재구성부(150)가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들을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배열한 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함에 의해 측정 대상의 체형을 재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형 출력부(160)는 상기 체형 재구성부(150)에 의해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체형 출력부(160)가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 출력하거나, 프린터 등의 인쇄 장치를 통해 지면에 인쇄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타 통신장치로 전송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의해 본 발명은 측정 대상에 대한 미래의 예측 감량 영상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어, 측정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감량 관리가 가능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는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첫 번째 기능은 측정 대상의 감량을 위한 처방정보를 입력하여, 이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을 수행했을 경우 예상되는 감량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 기능은 감량 목표하는 측정 대상의 체형을 미리 선택하고, 선택된 감량 목표하는 측정 대상의 체형을 위해 필요한 처방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첫 번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감량 영상 구성장치(100)가 처방정보 입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방정보 입력부(170)는 측정 대상의 감량을 위한 처방정보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상기 처방정보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수집된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 및 측정 대상의 사상 체질 정보를 분석한 의료진이 처방정보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하는 운동 또는 약 처방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감량 영상 선택부(140)가 상기 처방정보 입력부(170)에 의해 입력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을 수행했을 경우 예상되는 특정 처방수행 경과시간 경과 후의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을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시예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는 측정 대상의 감량을 위한 처방정보를 입력하여, 이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을 수행했을 경우 경과시간에 따라 예상되는 감량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는 측정 대상에 대한 미래의 예측 감량 영상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어, 측정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감량 관리가 가능해 진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감량 영상 구성장치(100)가 경과시간 선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과시간 선택부(180)는 상기 처방수행 경과시간을 선택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과시간 선택부(180)를 통해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을 수행하는 경과시간을 선택함으로써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을 수행하는 경과시간에 따라 예상되는 감량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감량 영상 구성장치(100)가 처방정보 생성부(190)와, 처방정보 제공부(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방정보 생성부(190)는 상기 감량 영상 선택부(140)에 의해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특정 감량 영상 정보를 분석해 처방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처방정보 생성부(190)가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 및 사상 체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특정 감량 영상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감량하는데 필요한 처방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처방정보 생성부(190)가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대상의 체중 등의 체형정보와, 사상 체질 정보에 포함되는 측정 대상의 체형 특성을 기반으로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특정 감량 영상 즉, 각 부위의 목표 감량 수준으로 감량하는데 필요한 운동 또는 약 처방 등의 처방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처방정보 제공부(192)는 상기 처방정보 생성부(190)에 의해 생성된 처방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처방정보 제공부(192)가 처방정보를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 출력하거나, 프린터 등의 인쇄 장치를 통해 지면에 인쇄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타 통신장치로 전송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감량 영상 구성장치(100)가 정보 입력부(1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부(194)는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 및 사상 체질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상기 정보 입력부(194)를 통해 측정 대상의 체중 등의 체형정보가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로 입력될 수 있고, 측정 대상의 체형 특성 등이 사상 체질 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부(194)를 통해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 및 사상 체질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처방정보 생성부(190)가 입력된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 및 사상 체질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감량 영상 구성장치(100)가 처방수행시간 입력부(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방수행시간 입력부(196)는 의료진으로부터 처방수행시간을 입력받는다.
이 때, 상기 처방정보 생성부(190)가 상기 처방수행시간 입력부(196)에 의해 입력된 처방수행시간 동안 수행할 처방정보를 생성한다. 즉, 이 실시예는 목표 감량 수준으로 감량하는데 필요한 처방을 수행하는 처방수행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이에 따라, 이 실시예는 상기 감량 영상 선택부(140)를 통해 감량 목표하는 측정 대상의 체형을 미리 선택하고, 처방수행시간 입력부(196)에 의해 입력된 처방수행시간 동안 목표 감량 수준으로 감량하는데 필요한 처방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측정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감량 관리가 가능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의 감량 영상 제공 절차를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2 는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을 수행했을 경우 예상되는 감량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은 선택된 감량 목표하는 측정 대상의 체형을 위해 필요한 처방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의 감량 영상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21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측정 대상의 체형을 스캔한다. 측정 대상의 체형 스캔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22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스캔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분석해 측정 대상의 각 부위를 인식한다. 측정 대상의 각 부위 인식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23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인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을 생성한다.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 생성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24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측정 대상의 감량을 위한 처방정보를 입력받는다. 측정 대상의 감량을 위한 처방정보 입력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25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처방수행 경과시간을 선택받는다. 처방수행 경과시간 선택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26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상기 단계 240에 의해 입력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을 수행했을 경우 예상되는 상기 단계 250에 의해 선택된 처방수행 경과시간 경과 후의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을 선택한다.
그 다음, 단계 27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상기 단계 260에 의해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을 합성하여 측정 대상의 체형을 재구성한다. 측정 대상의 체형 재구성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28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상기 단계 270에 의해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출력한다.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의 출력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정 대상의 감량을 위한 처방정보를 입력하고, 이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을 수행했을 경우 예상되는 감량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제공함으로써 측정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감량 관리가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감량 영상 구성장치의 감량 영상 제공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31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측정 대상의 체형을 스캔한다. 측정 대상의 체형 스캔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32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스캔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분석해 측정 대상의 각 부위를 인식한다. 측정 대상의 각 부위 인식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33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인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을 생성한다.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 생성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34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목표 감량 영상을 선택한다.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 선택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35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상기 단계 340에 의해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을 합성하여 측정 대상의 체형을 재구성한다. 측정 대상의 체형 재구성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36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상기 단계 350에 의해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출력한다.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의 출력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37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 및 사상 체질 정보를 입력받는다.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 및 사상 체질 정보 입력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38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의료진 등으로부터 처방수행시간을 입력받는다. 처방수행시간 입력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390에서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상기 단계 370에 의해 입력된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 및 사상 체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 380에 의해 입력된 처방수행시간 동안 수행할, 상기 단계 340에 의해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감량하는데 필요한 처방정보를 생성한다. 처방정보 생성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392에서 상기 단계 390에 의해 생성된 처방정보를 제공한다. 처방정보 제공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량 목표하는 측정 대상의 체형을 미리 선택하고, 측정 대상의 설문 정보 및 사상 체질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수행시간 동안 목표 감량 수준으로 감량하는데 필요한 처방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측정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감량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측정 대상의 감량 영상 처리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감량 영상 구성장치 110 : 체형 스캔부
120 : 부위 인식부 130 : 영상 처리부
140 : 감량 영상 선택부 150 : 체형 재구성부
160 : 체형 출력부 170 : 처방정보 입력부
180 : 경과시간 선택부 190 : 처방정보 생성부
192 : 처방정보 제공부 194 : 정보 입력부
196 : 처방수행시간 입력부

Claims (7)

  1. 측정 대상의 체형을 스캔하는 체형 스캔부와;
    상기 체형 스캔부에 의해 스캔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분석해 측정 대상의 각 부위를 인식하는 부위 인식부와;
    상기 부위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를 매 kg 단위로 감량했을 경우 예상되는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측정 대상의 감량을 위한 처방정보를 입력받는 처방정보 입력부와;
    상기 처방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을 특정 처방수행 경과시간 동안 수행했을 경우 예상되는 측정 대상의 각 부위별 감량 영상을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에 대한 감량별 영상 중에서 선택하는 감량 영상 선택부와;
    상기 감량 영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측정 대상의 각 부위의 감량 영상을 합성하여 측정 대상의 체형을 재구성하는 체형 재구성부와;
    상기 체형 재구성부에 의해 재구성된 측정 대상의 체형을 출력하는 체형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 영상 구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량 영상 구성장치가:
    상기 처방수행 경과시간을 선택하는 경과시간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 영상 구성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99263A 2011-09-29 2011-09-29 감량 영상 구성장치 KR101281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263A KR101281802B1 (ko) 2011-09-29 2011-09-29 감량 영상 구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263A KR101281802B1 (ko) 2011-09-29 2011-09-29 감량 영상 구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041A KR20130035041A (ko) 2013-04-08
KR101281802B1 true KR101281802B1 (ko) 2013-07-04

Family

ID=4843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263A KR101281802B1 (ko) 2011-09-29 2011-09-29 감량 영상 구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7896B (zh) * 2018-09-21 2023-07-2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173A (ko) * 2003-03-27 2004-10-06 쓰리에스휴먼 주식회사 실시간 동작비교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9600A (ko) * 2003-08-20 2005-03-03 (주)큐론테크놀로지스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KR100784835B1 (ko) * 2006-10-27 2007-12-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아바타를 이용한 체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19067A (ko) * 2008-08-08 2010-02-18 소프트포럼 주식회사 3d 아바타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173A (ko) * 2003-03-27 2004-10-06 쓰리에스휴먼 주식회사 실시간 동작비교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9600A (ko) * 2003-08-20 2005-03-03 (주)큐론테크놀로지스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KR100784835B1 (ko) * 2006-10-27 2007-12-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아바타를 이용한 체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19067A (ko) * 2008-08-08 2010-02-18 소프트포럼 주식회사 3d 아바타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041A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44571B (zh) 用于改进眼科成像的系统和方法
WO2020183799A1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96835B2 (en)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image processing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6874700A (zh) 基于Web的手术模拟方法、手术模拟装置及电子设备
JP7297628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624193A (zh) 腹腔镜和内窥镜2d/2.5d图像数据中语义分割的方法和系统
CN108701170A (zh) 用于产生解剖部分的三维(3d)视图的图像处理系统和方法
WO2020003992A1 (ja) 学習装置及び学習方法、並びに、医療画像処理装置
KR20150090117A (ko) 제 1 랜더링된 투영 및 제 2 랜더링된 투영간의 전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183590B2 (ja) 眼科画像処理装置、oct装置、および眼科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0211079A (zh) 医学图像的融合方法及装置
CN104720835A (zh) 显示装置、图像显示方法和计算机化断层扫描设备
CN107066794A (zh) 用于评估医学研究数据的方法和系统
Szczotka et al. Zero-shot super-resolution with a physically-motivated downsampling kernel for endomicroscopy
US9406160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storage device, and medical image diagnostic apparatus
JP2013039355A (ja) 画像処理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KR101281802B1 (ko) 감량 영상 구성장치
KR102542016B1 (ko) 의료 영상의 가명화 방법 및 장치
JP2021086560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350141A1 (en)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device,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program
JP6274479B2 (ja) 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1627528A (zh) VRDS 4D医学影像多设备Ai联动显示方法及产品
RU2012131148A (ru) Обработка набора данных изображения
Thumuluri et al. A unified deep learning approach for foveated rendering & novel view synthesis from sparse rgb-d light fields
WO2021116359A1 (en) Screen capturing via mobile computing devices using matrix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