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505B1 - 등산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등산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505B1
KR101281505B1 KR1020100111243A KR20100111243A KR101281505B1 KR 101281505 B1 KR101281505 B1 KR 101281505B1 KR 1020100111243 A KR1020100111243 A KR 1020100111243A KR 20100111243 A KR20100111243 A KR 20100111243A KR 101281505 B1 KR101281505 B1 KR 10128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houlder
waist
climb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977A (ko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김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욱 filed Critical 김성욱
Priority to KR102010011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5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산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어깨견착부와, 상단부가 상기 어깨견착부 일측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어깨견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를 가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등반으로 인해 사용자가 피로해지더라도 등반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르막길도 용이하게 등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등산 보조 기구{CLIMB-ASSIST DEVICE}
본 발명은 등산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를 가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등반으로 인해 사용자가 피로해지더라도 등반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르막길도 용이하게 등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산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개인의 건강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운동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생활공간 중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도 운동시 신체적으로 큰 부담이 없는 등산을 즐기고 있다.
그러나, 등산은 장시간의 등반으로 인해 등산객이 피로해지면서 허리를 앞으로 숙여지는 등 등반자세가 흐트러지게 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허리를 가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등반으로 인해 사용자가 피로해지더라도 등반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르막길도 용이하게 등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산 보조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어깨견착부와, 상단부가 상기 어깨견착부 일측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어깨견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는 상단부가 상기 어깨견착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어깨견착부 일측과 상기 연결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대에 상기 사용자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깨견착부는 일측에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는 일단부가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공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돌기가 돌출형성된 고정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사용자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대의 회동이 정지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어깨견착부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공간이 형성되는 탄성조절몸체 및 일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걸림공간에 걸림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관통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상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를 가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등반으로 인해 사용자가 피로해지더라도 등반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르막길도 용이하게 등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
도5a 내지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탄성조절몸체 및 상하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1)는 장착부(10)와 지지부(20)를 포함하는 어깨견착부(80)와, 연결대(30)와, 탄성부재(40)와, 허리받침부(50)와, 탄성조절몸체(60) 및 상하조절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깨견착부(80)는 장착부(10)와 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결대(30)가 장착부(10) 및 지지부(20)를 통해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장착부(10)는 대략 원형의 끈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양 어깨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쌍이 배치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며, 후술하는 허리받침부(5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가압하는 경우 허리받침부(50)가 결합된 연결대(30)가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양어깨가 펴질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20)는 장방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양단부가 각각 한쌍의 장착부(10)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1)와, 지지플레이트(2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연결대(30)와 연결되어 연결대(30)가 장착부(10)를 통해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지대(22)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후술하는 고정편(31)의 걸림돌기(31a)가 삽입결합되는 걸림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대(30)는 직선상의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지지대(22)의 선단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되며, 후술하는 탄성부재(4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고 전방으로 회동하여 허리받침부(5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결대(30)는 상단부 내벽 일측에 부채꼴 형상의 고정편(31)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고정편(31)은 일측에 걸림돌기(31a)가 형성되어 걸림돌기(31a)가 상기한 지지대(22)의 걸림공(22a)에 삽입되는 경우 회동된 연결대(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40)는 일단부가 지지대(22)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결대(30)의 일측에 결합되며, 연결대(30)에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연결대(30)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대(30)에 결합되는 허리받침부(5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탄성부재(40)는 연결대(30)와, 지지대(22)에 솔더링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받침부(50)는 연결대(3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연결대(30)가 탄성부재(40)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연결대(30)가 회동함에 따라 동반 회동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가압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조절몸체(60)는 지지대(22)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고, 탄성부재(40)의 일측이 고정결합되며, 후술하는 상하조절부(70)에 의해 상하이동되면서 탄성부재(40)의 탄성방향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대(30)에 제공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탄성조절몸체(60)는 내부 일측에 상하조절부(70)의 스토퍼(72)가 삽입되는 걸림공간(61)이 형성된다.
상하조절부(70)는 일측이 지지대(22) 일측에 나사결합되고 다른 일측에 탄성조절몸체(6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71)와, 볼트부재(71)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스토퍼(7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지대(22)으로부터 상하이동되면서 탄성조절몸체(60)가 동반 상하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토퍼(72)는 탄성조절몸체(60)의 걸림공간(61)에 위치하며, 볼트부재(71)가 지지대(22)로부터 상하이동하는 경우 나사결합된 탄성조절몸체(60)가 상하조절부(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부호인 C는 지지대(22)와 연결대(30)의 사이공간을 차폐하는 커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5a 내지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의 탄성조절몸체 및 상하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1)의 동작을 첨부된 도4와, 도5a 내지 도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어깨에 장착부(10)를 착용하면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22)에 힌지결합된 연결대(30)가 상기한 탄성부재(40)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고, 연결대(30)의 하단부에 결합된 허리받침부(5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가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허리받침부(50)의 가압력에 의해 장시간 등반시에도 등반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르막길에서도 용이하게 등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허리에 지지되는 허리받침부(50)의 가압력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연결대(30)를 후방으로 젖혀 연결대(30)에 형성된 고정편(31)이 지지대(22)의 걸림공(22a)에 걸림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후방으로 젖혀진 연결대(30)의 위치를 고정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허리받침부(50)의 가압력이 해제된다.
이후 연결대(30)를 다시 전방으로 회동하고자 하는 경우 걸림공(2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걸림돌기(31a)를 눌러 걸림돌기(31a)가 걸림공(22a)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보조 기구(1)는 도5a 및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조절부(70)를 상하이동하여 탄성부재(40)의 일단부가 결합된 탄성조절몸체(60)가 동반 상하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허리받침부(50)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조절부(7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탄성력조절몸체(60) 또한 상방으로 동반이동되면서 상하조절부(70)의 일단부가 상부로 이동되어 탄성부재(40)로부터 연결대(30)로 제공되는 탄성력의 방향이 보다 전방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허리받침부(50)의 가압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조절부(70)를 도5a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탄성력조절몸체(60) 또한 하방으로 동반이동되면서 상하조절부(70)의 일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40)로부터 연결대(30)로 제공되는 탄성력의 방향이 후방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허리받침부(50)의 가압력이 줄어들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등산 보조 기구 10 : 장착부
20 : 지지부 21 : 지지플레이트
22 : 지지대 22a : 걸림공
30 : 연결대 31 : 고정편
31a : 걸림돌기 40 : 탄성부재
50 : 허리받침부 60 : 탄성조절몸체
61 : 걸림공간 70 : 상하조절부
71 : 볼트부재 72 : 스토퍼
80 : 어깨견착부

Claims (4)

  1. 일측이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어깨견착부와;
    상단부가 상기 어깨견착부 일측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어깨견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단부가 상기 어깨견착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어깨견착부 일측과 상기 연결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대에 상기 사용자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견착부는 일측에 걸림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는 일단부가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공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돌기가 돌출형성된 고정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사용자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대의 회동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기구.
  4. 삭제
KR1020100111243A 2010-11-10 2010-11-10 등산 보조 기구 KR10128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43A KR101281505B1 (ko) 2010-11-10 2010-11-10 등산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43A KR101281505B1 (ko) 2010-11-10 2010-11-10 등산 보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77A KR20120049977A (ko) 2012-05-18
KR101281505B1 true KR101281505B1 (ko) 2013-07-03

Family

ID=4626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43A KR101281505B1 (ko) 2010-11-10 2010-11-10 등산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6544B (zh) * 2020-11-27 2021-11-23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宁德供电公司 一种省力且安全性高的电力检修用电线杆攀爬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6361A (en) 1997-12-23 1999-03-02 Harris; James A. Exercise and posture correcting device
KR20000001415U (ko) * 1998-06-18 2000-01-25 유재웅 건강 보조구
US6905447B1 (en) 1998-10-26 2005-06-14 Klaus Walter Rehabilitation device
US20080161738A1 (en) 2007-01-03 2008-07-03 Dirk Giesen Suppor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6361A (en) 1997-12-23 1999-03-02 Harris; James A. Exercise and posture correcting device
KR20000001415U (ko) * 1998-06-18 2000-01-25 유재웅 건강 보조구
US6905447B1 (en) 1998-10-26 2005-06-14 Klaus Walter Rehabilitation device
US20080161738A1 (en) 2007-01-03 2008-07-03 Dirk Giesen Suppor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77A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0734B2 (en) Brake handle assembly for walker
US8313115B2 (en) Stroller
US10532001B2 (en) Crutch
US11872182B2 (en) Crutch
US7934741B1 (en) Safety bar device for motorcycles
KR101281505B1 (ko) 등산 보조 기구
KR20090085900A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US5787913A (en) Stairs climbing walker
JP2015530165A (ja) ポールの把手
EP3681458B1 (en) Crutch
US20080156838A1 (en) Wheelchair basket
KR101020647B1 (ko) 이동중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US10966896B2 (en) Rollator braking system
US6845846B1 (en) Climbing aid
JP2015058012A (ja) ブレーキ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歩行車
KR101709613B1 (ko) 웨어러블 크러치
KR101527293B1 (ko) 장애인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네발자전거
WO2013011204A2 (fr) Semelle réglable vice-versa pour chaussures et analogues
US10363180B2 (en) Support assembly with selective orbital rotation about bracket
US7537233B2 (en) Vehicle having a separation unit to prevent interfering movements between two legs of a rider
KR101569396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발목고정장치
CN204745497U (zh) 一种供运动设备使用的可调节框架
KR200161333Y1 (ko) 차량의 조수석 발 받침대
JP3189179U (ja) 歩行訓練用補助器
JP2015226668A (ja) 歩行車の制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