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919B1 -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919B1
KR101280919B1 KR1020120026869A KR20120026869A KR101280919B1 KR 101280919 B1 KR101280919 B1 KR 101280919B1 KR 1020120026869 A KR1020120026869 A KR 1020120026869A KR 20120026869 A KR20120026869 A KR 20120026869A KR 101280919 B1 KR101280919 B1 KR 101280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glio
shanghai
spectacle lens
prob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약
김이지
전지혜
Original Assignee
이형약
전지혜
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약, 전지혜, 김이지 filed Critical 이형약
Priority to KR1020120026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three-dimensionally for making single sculptures or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렌즈의 상부면과 접하는 프로브의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가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에 점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의 위치 및 곡률을 상기 프로브를 통해 오차없이 보다 더욱 정확하게 측정한 후 음각형성부를 통해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음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NEGATIVE LENSES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상부면과 접하는 프로브의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가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에 점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의 위치 및 곡률을 상기 프로브를 통해 오차없이 보다 더욱 정확하게 측정한 후 음각형성부를 통해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음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안경이란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 앞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사용목적에 따라 대게, 교정안경 및 보호안경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눈의 비정시력을 보정하기 위한 것을 교정안경이라 하고, 눈을 외계로부터의 장애, 즉, 자외선, 적외선, 가시광선 및 방사선 또는 바람, 이물 및 약품 등을 막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을 보호안경이라 한다.
이와 같은 안경은 양측으로 분할된 렌즈를 안경테, 안경다리 및 코걸이 등에 의해 결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안경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안경렌즈의 표면에 미세보석이 고정된 무광택 장식부와 다양한 형태의 음각무늬부를 형성함으로서, 보다 고급스러움은 물론 화려한 안경을 제안함과 동시에 개성있는 연출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안경렌즈의 표면에 음각무늬부를 형성하는 것은 고도의 기술을 요할 뿐만 아니라 음각무늬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를 측정하는 과정 중에 오차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하여 음각무늬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를 벗어난 다른 위치에 음각무늬부가 형성되는 등의 이유로 안경렌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안경렌즈의 상부면과 접하는 프로브의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가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에 점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의 위치 및 곡률을 상기 프로브를 통해 오차없이 보다 더욱 정확하게 측정한 후 음각형성부를 통해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음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형성할 수 있는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음각을 형성하고자하는 안경렌즈가 고정되는 바이스부와; 상기 바이스부를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바이스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에 음각을 형성하는 음각형성부와; 상기 음각형성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와; 상기 음각형성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상기 음각형성부에 구비되고,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프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음각형성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의 전면 중간부에 수직고정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하이동부(60)의 전면 일측에 수직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에 음각을 형성하는 회전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일측 풀리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타측 풀리와; 상기 일측 풀리의 외주면 및 상기 타측 풀리의 외주면을 감싸는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가 안경렌즈의 상부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음각형성부의 관체의 타측에 상기 프로브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관체의 타측에 상기 프로브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관체의 타측면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관체의 타측면 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고정판과 상기 가이드몸체 사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몸체와; 상기 상하이동몸체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과 상기 가이드몸체 사이에 수직구비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상하이동몸체의 저면에 수직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몸체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몸체를 따라 상하이동하며, 하측에 상기 프로브가 구비되는 상하이동축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수평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상측 풀리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하측 풀리와; 상기 상측 풀리의 외주면 및 상기 하측 풀리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상하이동몸체가 고정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몸체의 저면에 수직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몸체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몸체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측상하이동축과; 상기 상측상하이동축의 하측에 상측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측에 상기 프로브가 구비되는 하측상하이동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벨트의 타측에 상기 상하이동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벨트를 상기 상하이동몸체의 타측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몸체의 타측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프로브는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접하여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의 곡률을 측정하고, 상기 프로브가 측정한 곡률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상하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바이스부에 안경렌즈 고정지그가 고정되고, 상기 안경렌즈 고정지그의 상부면에 상기 안경렌즈가 고정되며, 상기 안경렌즈 고정지그는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상기 안경렌즈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하단이 안착지지되는 일측 수직판 및 타측 수직판과, 상기 일측 수직판 및 상기 타측 수직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는 일측 수평판 및 타측 수평판과, 상기 일측 수평판의 슬릿 및 상기 타측 수평판의 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기판의 체결홀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일측 체결부재 및 타측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일측 안경렌즈고정부 및 타측 안경렌즈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상부면과 접하는 프로브의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가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에 점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의 위치 및 곡률을 상기 프로브를 통해 오차없이 보다 더욱 정확하게 측정한 후 음각형성부를 통해 상기 안경렌즈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음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이스부에 안경렌즈 고정지그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각형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프로브의 상하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음각형성부가 안경렌즈의 상부면에 음각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2의 안경렌즈 고정지그를 확대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12는 기판의 상부면에 안경렌즈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이스부(20)에 안경렌즈 고정지그(90)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안경렌즈(도 3의 5)가 고정되는 바이스부(20)와;
상기 바이스부(20)를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30)와;
상기 바이스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에 음각을 형성하는 음각형성부(40)와;
상기 음각형성부(40)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50)와;
상기 음각형성부(4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60)와;
상기 음각형성부(40)에 구비되는 프로브(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부 일측에는 상기 전후이동부(30), 음각형성부(40), 좌우이동부(50) 및 상하이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되며,
특히, 상기 제어부(80)는 컴퓨터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전후이동부(30), 좌우이동부(50) 및 상하이동부(60)를 자동제어하여 상기 음각형성부(40)를 통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일정깊이로 음각을 자동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10), 바이스부(20), 전후이동부(30), 음각형성부(40), 좌우이동부(50), 상하이동부(60) 및 프로브(70)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10-1998-047636호와 국내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10-2000-0030121호 등을 통해 널리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됨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각형성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단, 상기 프로브(70)의 하측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과 점접촉되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의 위치 및 곡률을 상기 프로브(70)를 통해 오차없이 보다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70)의 하측은 첨예하게 형성된다.
상기 프로브(70)의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로브(7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크기가 점차 작아지게 된다.
상기 프로브(70)의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로브(70)의 외경크기는 상기 프로브(70)의 상측에서 상기 프로브(70)의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각형성부(40)가 안경렌즈(5)의 상부면에 음각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각형성부(40)는 관체(410), 구동모터(420), 회전축(430) 및 회전력전달부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체(410)는 상기 상하이동부(60)의 전면 중간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20)는 상기 관체(410)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하이동부(60)의 전면 일측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30)은 상기 관체(4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30)의 하측은 첨예하게 형성되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에 음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430)의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430)의 하측 외경크기는 상기 회전축(430)의 상측에서 상기 회전축(430)의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40)는 상기 구동모터(4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축(421)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회전축(4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40)는 일측 풀리(441), 타측 풀리(442) 및 벨트(4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풀리(441)는 상기 구동모터(4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축(421)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축(421)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타측 풀리(442)는 상기 회전축(430)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443)는 상기 일측 풀리(441)의 외주면 및 상기 타측 풀리(442)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일측 풀리(441)와 상기 벨트(443) 사이 및 상기 타측 풀리(442)와 상기 벨트(443)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측 풀리(441)의 외주면과 상기 타측 풀리(442)의 외주면에는 일정깊이의 홈(444)이 상기 일측 풀리(441)의 내측 및 상기 타측 풀리(442)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벨트(443)의 내주면에는 상기 벨트(443)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홈(444)내에 삽입되는 돌기(445)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프로브(70)의 상하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상기 프로브(70)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음각형성부(40)의 관체(410)의 타측에 상기 프로브(7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체(410)의 타측에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프로브(7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450)는 도 3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451), 가이드몸체(452), 상하이동몸체(453), 가이드축(454), 상하이동축(도 5의 455), 구동모터(456), 상측 풀리(457), 하측 풀리(458) 및 벨트(4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판(451)은 상기 관체(410)의 타측면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452)는 상기 관체(410)의 타측면 하측에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453)는 상기 고정판(451)과 상기 가이드몸체(452) 사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454)은 상기 상하이동몸체(453)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451)과 상기 가이드몸체(452)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455)은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455)은 상기 가이드몸체(452)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몸체(453)를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455)의 하측에는 상기 프로브(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56)는 상기 고정판(451)의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풀리(457)는 상기 구동모터(456)의 전측에 구비되는 구동축(456a)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축(456a)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풀리(458)는 상기 가이드몸체(452)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459)는 상기 상측 풀리(457)의 외주면 및 상기 하측 풀리(458)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벨트(459)의 일측은 상기 관체(410)의 타측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관체(410)의 타측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벨트(459)의 타측에는 상기 상하이동몸체(453)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56)의 전측에 구비되는 구동축(456a)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상측 풀리(457)와 상기 하측 풀리(458)를 통해 상기 벨트(459)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상기 프로브(70)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축(455)은 하강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456)의 전측에 구비되는 구동축(456a)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상측 풀리(457)와 상기 하측 풀리(458)을 통해 상기 벨트(459)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상하이동축(455)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상측 풀리(457)와 상기 벨트(459) 사이 및 상기 하측 풀리(458)와 상기 벨트(459)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 풀리(457)의 외주면과 상기 하측 풀리(458)의 외주면에는 일정깊이의 홈(459a)이 상기 상측 풀리(457)의 내측 및 상기 하측 풀리(458)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벨트(459)의 내주면에는 상기 벨트(459)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홈(459a)내에 삽입되는 돌기(459b)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브(70)의 훼손시 훼손된 상기 프로브(70)의 교체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축(455)은 상측상하이동축(455a)과 하측상하이동축(455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상하이동축(455a)은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후측 저면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상하이동축(455a)은 상기 가이드몸체(452)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몸체(453)를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측상하이동축(455b)의 상측은 상기 상측 상하이동축(455a)의 하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상하이동축(455b)은 상기 상측상하이동축(455a)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하측상하이동축(455b)의 하측에는 상기 프로브(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상하이동축(455b)의 상측을 상기 상측상하이동축(455a)의 하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상측상하이동축(455a)의 하측에는 상기 상측상하이동축(450a)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삽입홈(45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55c)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상하이동축(455b)의 상측에는 상기 삽입홈(455c)내에 삽입되는 삽입축(455d)이 수직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축(455d)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홈(455c)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벨트(459)의 타측 내주면에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타측면을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60)는 고정판(461)과 고정볼트(4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판(461)은 상기 벨트(459)의 타측 내주면을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타측 외주면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462)는 상기 고정판(461)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타측 외주면에 일정깊이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판(462)과 함께 상기 벨트(459)를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타측 외주면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벨트(459)의 돌기(459b)가 삽입되는 홈(453a)이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450)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기 프로브(70)는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접하여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의 곡률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프로브(70)가 측정한 곡률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상하이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음각형성부(40)가 안경렌즈(5)의 상부면에 음각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80)에는 기준곡률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프로브(70)가 측정한 곡률측정값과 상기 제어부(80)에 미리 설정된 기준곡률값의 차이만큼 상기 음각형성부(40)가 하강하여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에 일정깊이로 음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제어부(80)에는 메모리부와 추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복수의 곡률값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는 복수의 곡률값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음각형성부(40)의 하강길이값이 복수저장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제 1추출부와 제 2추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추출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곡률값 중 상기 프로브(70)가 측정한 곡률측정값과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곡률값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 2추출부는 상기 제 1추출부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한 어느 하나의 곡률값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음각형성부(40)의 하강길이값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추출부의 제 2추출부가 추출한 어느 하나의 상기 음각형성부(40)의 하강길이값만큼 상기 음각형성부(40)가 하강하여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에 일정깊이로 음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안경렌즈 고정지그(90)를 확대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12는 기판(910)의 상부면에 안경렌즈(5)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이스부(20)에는 안경렌즈 고정지그(9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경렌즈 고정지그(90)의 상부면에는 상기 안경렌즈(5)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경렌즈 고정지그(90)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판(910)과, 상기 기판(910)의 상부면에 상기 안경렌즈(5)를 고정시키는 일측 안경렌즈고정부(920) 및 타측 안경렌즈고정부(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910)에는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9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측 안경렌즈고정부(920)와 타측 안경렌즈고정부(930)는 각각 일측 수직판(921) 및 타측 수직판(931), 일측 수평판(922) 및 타측 수평판(932), 일측 체결부재(923) 및 타측 체결부재(9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 수직판(921) 및 타측 수직판(931)의 하단은 상기 기판(910)의 상부면에 각각 안착지지된다.
상기 일측 수평판(922) 및 타측 수평판(932)은 상기 일측 수직판(921) 및 상기 타측 수직판(9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기판(9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수평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일측 수평판(922)과 타측 수평판(932)에는 길이방향의 슬릿(922a, 932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일측 체결부재(923) 및 타측 체결부재(933)는 상기 일측 수평판(922)의 슬릿(922a) 및 상기 타측 수평판(932)의 슬릿(932a)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기판(910)의 체결홀(911)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안경렌즈 고정지그(90)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10-2009-0094469호에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됨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과 접하는 상기 프로브(70)의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70)가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에 점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의 위치 및 곡률을 상기 프로브(70)를 통해 오차없이 보다 더욱 정확하게 측정한 후 상기 음각형성부(40)를 통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음각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일정깊이로 자동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본체, 20; 바이스부,
30; 전후이동부, 40; 음각형성부,
50; 좌우이동부, 60; 상하이동부,
70; 프로브.

Claims (7)

  1.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음각을 형성하고자하는 안경렌즈(5)가 고정되는 바이스부(20)와;
    상기 바이스부(20)를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30)와;
    상기 바이스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에 음각을 형성하는 음각형성부(40)와;
    상기 음각형성부(40)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50)와;
    상기 음각형성부(4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60)와;
    상기 음각형성부(40)에 구비되고,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프로브(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음각형성부(40)는 상기 상하이동부(60)의 전면 중간부에 수직고정되는 관체(410)와;
    상기 관체(410)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하이동부(60)의 전면 일측에 수직고정되는 구동모터(420)와;
    상기 관체(4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에 음각을 형성하는 회전축(430)과;
    상기 구동모터(42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430)으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40)는 상기 구동모터(42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일측 풀리(441)와;
    상기 회전축(43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타측 풀리(442)와;
    상기 일측 풀리(441)의 외주면 및 상기 타측 풀리(442)의 외주면을 감싸는 벨트(4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상기 프로브(70)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음각형성부(40)의 관체(410)의 타측에 상기 프로브(7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관체(410)의 타측에 상기 프로브(7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450)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450)는 상기 관체(410)의 타측면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판(451)과;
    상기 관체(410)의 타측면 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몸체(452)와;
    상기 고정판(451)과 상기 가이드몸체(452) 사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몸체(453)와;
    상기 상하이동몸체(453)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451)과 상기 가이드몸체(452) 사이에 수직구비되는 가이드축(454)과;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저면에 수직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몸체(452)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몸체(453)를 따라 상하이동하며, 하측에 상기 프로브(70)가 구비되는 상하이동축(455)과;
    상기 고정판(451)의 상부면에 수평고정되는 구동모터(456)와;
    상기 구동모터(456)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상측 풀리(457)와;
    상기 가이드몸체(452)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하측 풀리(458)와;
    상기 상측 풀리(457)의 외주면 및 상기 하측 풀리(458)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상하이동몸체(453)가 고정되는 벨트(4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축(455)은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저면에 수직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몸체(452)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몸체(453)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측상하이동축(455a)과;
    상기 상측상하이동축(455a)의 하측에 상측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측에 상기 프로브(70)가 구비되는 하측상하이동축(45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459)의 타측에 상기 상하이동몸체(453)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6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460)는 상기 벨트(459)를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타측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판(461)과;
    상기 고정판(461)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몸체(453)의 타측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4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70)는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 중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접하여 음각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안경렌즈(5)의 상부면의 곡률을 측정하고,
    상기 프로브(70)가 측정한 곡률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상하이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부(20)에 안경렌즈 고정지그(90)가 고정되고,
    상기 안경렌즈 고정지그(90)의 상부면에 상기 안경렌즈(5)가 고정되며,
    상기 안경렌즈 고정지그(90)는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9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기판(910)과;
    상기 기판(910)의 상부면에 상기 안경렌즈(5)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판(910)의 상부면에 하단이 안착지지되는 일측 수직판(921) 및 타측 수직판(931)과, 상기 일측 수직판(921) 및 상기 타측 수직판(9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기판(9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슬릿(922a, 932a)이 형성되는 일측 수평판(922) 및 타측 수평판(932)과, 상기 일측 수평판(922)의 슬릿(922a) 및 상기 타측 수평판(932)의 슬릿(932a)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기판(910)의 체결홀(911)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일측 체결부재(923) 및 타측 체결부재(933)로 이루어지는 일측 안경렌즈고정부(920) 및 타측 안경렌즈고정부(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7. 삭제
KR1020120026869A 2012-03-16 2012-03-16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KR101280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869A KR101280919B1 (ko) 2012-03-16 2012-03-16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869A KR101280919B1 (ko) 2012-03-16 2012-03-16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919B1 true KR101280919B1 (ko) 2013-07-03

Family

ID=4899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869A KR101280919B1 (ko) 2012-03-16 2012-03-16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3476U1 (ru) * 2019-12-12 2021-04-06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профиля намерзания твердой фазы в процессе направленной кристаллизаци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0838A (ja) * 2000-04-25 2001-10-30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大型超精密elid非球面加工装置
JP2005510380A (ja) 2001-11-26 2005-04-21 オプティ−クリッ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ルエルシー クリップオン・アクセサリ用または眼鏡用レンズを作成する、コンピュータ制御されたフライス盤
KR20110037163A (ko) * 2009-10-06 2011-04-13 유한회사 옵티칼 안경렌즈 고정지그
KR20110068263A (ko) * 2009-12-15 2011-06-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마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0838A (ja) * 2000-04-25 2001-10-30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大型超精密elid非球面加工装置
JP2005510380A (ja) 2001-11-26 2005-04-21 オプティ−クリッ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ルエルシー クリップオン・アクセサリ用または眼鏡用レンズを作成する、コンピュータ制御されたフライス盤
KR20110037163A (ko) * 2009-10-06 2011-04-13 유한회사 옵티칼 안경렌즈 고정지그
KR20110068263A (ko) * 2009-12-15 2011-06-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마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3476U1 (ru) * 2019-12-12 2021-04-06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профиля намерзания твердой фазы в процессе направленной кристаллизаци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3436B1 (en) Method and automatic machine for machining a gear wheel
CN201005945Y (zh) 可调整滤光片的视线导正辅助器
CN208468560U (zh) 一种无框眼镜镜片的钻孔装置
JPS6415046A (en) Curving correcting carving apparatus of cornea
KR101280919B1 (ko) 안경렌즈 음각형성장치
CN104162557B (zh) 一种金属管拉伸方法
DE60303534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leifen von Brillengläsern
CN107042323B (zh) 轮胎模具的气孔加工装置
CN102699781B (zh) 一种加工光纤插芯的穿心磨设备
WO200107045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brillengläsern einer cnc-gesteuerten brillenglasbearbeitungsmaschine
KR101281092B1 (ko) 탭핑머신용 탭핑헤드 승강장치
KR101137956B1 (ko) 안경렌즈 고정지그
CN207807105U (zh) 一种眼镜腿的快速攻牙装置
CN204094591U (zh) 一种小尺寸透镜抛光装置
WO2004023189A8 (de) Presbyopiekorrigierende linse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solche linse
CN114228208A (zh) 一种儿童防控镜片模具及其生产工艺
DE69305910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Augenlinsen
CN116329603A (zh) 一种眼镜框用钻孔设备
CN215706635U (zh) 一种汽车转向角检测装置
CN204639436U (zh) 3d激光标刻机
KR101794276B1 (ko) 피가공물의 표면 가공 장치
CN210792141U (zh) 一种亚克力板材拼接设备
JP6379744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及び眼鏡レンズ加工プログラム
CN208067994U (zh) 一种可切异形镜片的磨边系统
WO2017121451A1 (de) Laserfilamentie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