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794B1 -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 Google Patents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794B1
KR101280794B1 KR1020110054534A KR20110054534A KR101280794B1 KR 101280794 B1 KR101280794 B1 KR 101280794B1 KR 1020110054534 A KR1020110054534 A KR 1020110054534A KR 20110054534 A KR20110054534 A KR 20110054534A KR 101280794 B1 KR101280794 B1 KR 10128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ack
circular bar
hous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685A (ko
Inventor
김이권
정치권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79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12Cartridge chambers; Chamber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64Mounting of breech-blocks; Accessories for breech-blocks or breech-block mountin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포신의 약실 뒤쪽을 여닫는 환 형상의 포미환과, 상기 포미환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포미환과 함께 하우징에 일체로 설치된 크랭크축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크랭크축과 연동되며 일측을 통해 상기 포미환을 회전시키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를 탄성지지하는 랙 스프링과, 상기 랙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덮개를 포함하는 폐쇄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랙 스프링과 접촉하는 원형바; 상기 원형바의 타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원형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 상기 원형바가 관통되어 상기 원형바를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덮개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스프링덮개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랙 스프링의 압축된 상태가 갑자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랙 스프링의 압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Tool for disassembly and assembly of rack spring}
본 발명은 포신의 약실 내부에 탄약을 장전하기 위해 개폐되는 폐쇄기를 회전시키는 랙 기어를 탄성 지지하는 폐쇄기의 랙 스프링의 분해조립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포신 조립체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신 조립체는 포신(10)과 폐쇄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신(10)은 약실 내부로 장전되는 포탄의 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폐쇄기(20)는 탄약을 장전하기 위하여 상기 포신(10)의 약실 뒤쪽을 여닫는 환 형상의 포미환(21)과, 상기 포미환(21)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포미환(21)과 함께 하우징(H)에 일체로 설치된 크랭크축(22)과, 상기 하우징(H)에 지지되어 상기 크랭크축(22)과 연동되며 일측을 통해 상기 포미환(21)을 회전시키는 랙 기어(23)와, 상기 랙 기어(23)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23)를 탄성지지하는 랙 스프링(24)과, 상기 랙 스프링(24)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H)에 설치되는 스프링덮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랙 기어(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다수의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22)의 치차와 연동될 수 있으며, 그 일측에도 다수의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포미환(21)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치차와 대응하여 상기 포미환(21)을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포신(10)의 약실 내부로 상기 포미환(21)의 삽입부(21a)가 내삽된 후, 상기 포미환(21)이 상기 랙 기어(23)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동하여 약실 내부를 안전하게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랙 스프링(24)은 상기 랙 기어(23)와 상기 스프링덮개(25) 사이에 코일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23)에 일측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덮개(25)는 상기 하우징(H)에 탄성 삽입된 핀 부재(P)에 의해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되며 핀 부재(P)가 압축될 경우, 일측 방향(도 3의 좌측)으로 슬라이드 개폐될 수 있다. 이 스프링덮개(25)에는 한 쌍의 홀(25a)이 형성되는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닫힘 용이며, 다른 하나는 열림 용(도 2 및 도 3 참조)으로서 상기 핀 부재(P)와 선택적으로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랙 기어(23)의 구성품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랙 스프링(24)을 우선적으로 빼내야 하는데, 상기 랙 스프링(24)을 지지하는 상기 스프링덮개(25)가 슬라이드 개방되면 상기 랙 스프링(24)의 압축된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튕겨져 나와 작업자를 다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 스프링(24)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정 압력을 가하여 랙 스프링(24)을 압축시켜야 하는데, 작업자의 힘에 의존하고 있어서 작업피로도가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덮개(25)를 설치하는 과정이 랙 스프링(24)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폐쇄기의 랙 스프링을 보다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는, 포신의 약실 뒤쪽을 여닫는 환 형상의 포미환과, 상기 포미환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포미환과 함께 하우징에 일체로 설치된 크랭크축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크랭크축과 연동되며 일측을 통해 상기 포미환을 회전시키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를 탄성지지하는 랙 스프링과, 상기 랙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덮개를 포함하는 폐쇄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랙 스프링과 접촉하는 원형바; 상기 원형바의 타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원형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 상기 원형바가 관통되어 상기 원형바를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덮개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스프링덮개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형바의 원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원형바의 원주면과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1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덮개에는, 상기 하우징에 탄성 설치된 핀 부재와 선택적으로 정렬하는 한 쌍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프링덮개의 한 쌍의 홀과 선택적으로 정렬하는 제2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블록의 가이드홈에는, 상기 스프링덮개의 판면 양측이 각각 끼움되도록 다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에 의하면, 랙 스프링의 압축된 상태가 갑자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랙 스프링의 압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신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폐쇄기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도면(하우징 제거한 상태),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신 조립체의 폐쇄기에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랙 스프링을 압축 또는 압축해제시키는 것을 보인 도면 및
도 5는 도 4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와 스프링덮개(25)의 대응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만,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종래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신 조립체의 폐쇄기에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랙 스프링을 압축 또는 압축해제시키는 것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와 스프링덮개(25)의 대응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신 조립체는 포신(10, 도 1 참조)과 폐쇄기(20) 및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신(10)은 약실 내부로 장전되는 포탄의 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폐쇄기(20)는 포신의 약실 뒤쪽을 여닫는 환 형상의 포미환(21)과, 상기 포미환(21)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포미환(21)과 함께 하우징(H)에 일체로 설치된 크랭크축(22)과, 상기 하우징(H)에 지지되어 상기 크랭크축(22)과 연동되며 일측을 통해 상기 포미환(21)을 회전시키는 랙 기어(23)와, 상기 랙 기어(23)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23)를 탄성지지하는 랙 스프링(24)과, 상기 랙 스프링(24)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H)에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덮개(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랙 기어(23)는 측면으로 다수의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22)의 치차와 연동될 수 있으며, 그 일측에도 다수의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포미환(21)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치차와 대응하여 상기 포미환(21)을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이 랙 기어(23)는 상기 포신(10)의 약실 내부로 상기 포미환(21)의 삽입부(21a)가 내삽되면, 상기 포미환(21)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켜 약실 내부를 안전하게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랙 스프링(24)은 상기 랙 기어(23)와 상기 스프링덮개(25) 사이에 코일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H) 내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23)에 일측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덮개(25)는 상기 하우징(H)에 탄성 설치된 핀 부재(P)에 의해 상기 하우징(H)의 턱부(T)에 고정 설치되며, 핀 부재(P)가 압축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도 3의 좌측)으로 슬라이드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스프링덮개(25)에는 한 쌍의 홀(25a)이 형성되는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핀 부재(P)가 끼워져 닫힌 상태(도 3 참조)가 유지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핀 부재(P)가 끼워져 열린 상태(도 4 참조)가 유지될 수 있다. 또, 이 스프링덮개(25)의 일측면에는 손잡이(25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는 일단이 상기 랙 스프링(24)과 접촉하는 원형바(30)와, 상기 원형바(30)의 타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원형바(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40)와, 상기 원형바(30)가 관통되어 상기 원형바(30)를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덮개(25)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5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스프링덮개(25)가 끼워지는 가이드홈(60a)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형바(30)의 원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타단으로 상기 레버(40)가 일체화되도록 끼워져 연동 될 수 있다.
상기 레버(40)는 상기 원형바(30)의 타단에 수직을 이루도록 끼워지며, 단부가 만곡되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설치되며 도 4의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0)는 'ㄴ'자 형상으로 상기 스프링덮개(25)의 판면과 나란하도록 이격 배치되며, 이 지지플레이트(50)에는 상기 원형바(30)의 원주면과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1통공(5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50)에는 상기 스프링덮개(25)의 한 쌍의 홀(25a)과 선택적으로 정렬하는 제2통공(50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블록(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60a)의 양측으로 상기 스프링덮개(25)의 판면 양측이 각각 끼움되도록 다단부(60a-1)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랙 스프링(24)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 도시한 뾰족한 공구로 제2통공(50b)과 닫힌 상태를 지지하는 홀(25a, 도 5의 상측 홀)을 관통하여 핀 부재(P)를 누른다.
이와 같이 핀 부재(P)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랙 스프링(24)이 튕겨 나오지 않을 정도로 반쯤 개방(도시 생략, 도 4는 완전 개방 상태임)하여 가이드블록(60)의 가이드홈(60a)에 스프링덮개(25)의 선단면(손잡이(25b)측)을 끼워서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를 하우징(H)에 지지시킨다. 이때, 뾰족한 공구는 제거된다.
그런 다음, 레버(40)를 일측 방향으로 돌려 랙 스프링(24) 방향으로 일정 거리 전진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덮개(25)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면, 열린 상태를 지지하는 홀(25a, 도 5의 하측 홀)과 제2통공(50b)이 정렬되고 레버(40)의 일단이 랙 스프링(24)과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40)를 일측 방향으로 더 돌리게 되면 원형바(30)의 일단과 접촉하는 랙 스프링(24)의 압축 상태가 서서히 해제되어 랙 스프링(24)을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랙 스프링(24)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랙 스프링(24)을 하우징(H) 내에 삽입한 후 스프링덮개(25)의 손잡이(25b) 측을 가이드블록(60)의 가이드홈(60a)에 끼워서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를 하우징(H)에 지지시킨다.
다음, 레버(40)를 타측 방향으로 돌려서 그 일단을 랙 스프링(24)과 접촉시킨 후 더 돌려서 압축시키며, 스프링덮개(25)를 슬라이드하여 랙 스프링(24)이 튕겨 나오지 않을 정도로 반쯤 닫고서 레버(40)를 후방으로 빼내게 된다.
이후, 스프링덮개(25)를 완전히 닫으면 스프링덮개(25)가 가이드블록(60)의 가이드홈(60a)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가 분리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에 의하면, 랙 스프링(24)의 압축된 상태가 갑자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랙 스프링(24)의 압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포신의 약실 뒤쪽을 여닫는 환 형상의 포미환(21)과, 상기 포미환(21)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포미환(21)과 함께 하우징(H)에 일체로 설치된 크랭크축(22)과, 상기 하우징(H)에 지지되어 상기 크랭크축(22)과 연동되며 일측을 통해 상기 포미환(21)을 회전시키는 랙 기어(23)와, 상기 랙 기어(23)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23)를 탄성지지하는 랙 스프링(24)과, 상기 랙 스프링(24)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H)에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덮개(25)를 포함하는 폐쇄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랙 스프링(24)과 접촉하는 원형바(30);
    상기 원형바(30)의 타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원형바(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40);
    상기 원형바(30)가 관통되어 상기 원형바(30)를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덮개(25)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5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스프링덮개(25)가 끼워지는 가이드홈(60a)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60);을 포함하는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바(30)의 원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50)에는 상기 원형바(30)의 원주면과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1통공(5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0)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덮개(25)에는,
    상기 하우징(H)에 탄성 설치된 핀 부재(P)와 대응하는 한 쌍의 홀(2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0)에는,
    상기 스프링덮개(25)의 한 쌍의 홀(25a)과 선택적으로 정렬하는 제2통공(5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60)에는,
    상기 가이드홈(60a) 내부에 상기 스프링덮개(25)의 판면 양측이 각각 끼움되도록 다단부(60a-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KR1020110054534A 2011-06-07 2011-06-07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KR10128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34A KR101280794B1 (ko) 2011-06-07 2011-06-07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34A KR101280794B1 (ko) 2011-06-07 2011-06-07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685A KR20120135685A (ko) 2012-12-17
KR101280794B1 true KR101280794B1 (ko) 2013-07-05

Family

ID=4790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534A KR101280794B1 (ko) 2011-06-07 2011-06-07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623B1 (ko) * 2015-05-22 2016-06-08 현대위아 주식회사 크래들 가공장치
CN115420144A (zh) * 2022-08-30 2022-12-02 上海机电工程研究所 具备自锁功能的电磁开启式开盖装置及开盖装置组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128B1 (ko) * 1993-12-29 1996-02-10 주식회사기아기공 유압식 포미 개폐장치
KR19980033683U (ko) * 1996-12-09 1998-09-05 김재복 곡사포용 폐쇄기의 수동개폐장치
JPH1183387A (ja) * 1997-07-09 1999-03-26 Rheinmetall Ind Ag 大口径の兵器のための外部駆動装置を有する横型閉鎖機
KR100415049B1 (ko) 2001-07-02 2004-01-16 국방과학연구소 화포의 포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128B1 (ko) * 1993-12-29 1996-02-10 주식회사기아기공 유압식 포미 개폐장치
KR19980033683U (ko) * 1996-12-09 1998-09-05 김재복 곡사포용 폐쇄기의 수동개폐장치
JPH1183387A (ja) * 1997-07-09 1999-03-26 Rheinmetall Ind Ag 大口径の兵器のための外部駆動装置を有する横型閉鎖機
KR100415049B1 (ko) 2001-07-02 2004-01-16 국방과학연구소 화포의 포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685A (ko) 201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794B1 (ko) 폐쇄기의 랙 스프링 분해조립공구
CN107093862B (zh) 一种配电柜装置
KR102022383B1 (ko) 회전교환장치
US20180108884A1 (en) Battery pack
CA2724748C (fr) Outillage de mise en place de douille a clavette et kit comprenant celui-ci
US9884413B2 (en) Socket retaining tool using a spring-loaded keeper sleeve
US9566640B1 (en) Nut riveter
KR101501254B1 (ko) 드럼식 탄창
JP6355749B2 (ja) 打込装置
EP3281857B1 (en) Quick-release device for a bicycle pedal
CN109578454A (zh) 平移门的离合机构
KR101179197B1 (ko) 기어 분리용 지지부재
CN210650476U (zh) 一种拆卸装置
CN211304645U (zh) 一种电动拉铆枪
CN105196240A (zh) 一种内螺纹销钉的装卸工具及其使用方法
KR200479893Y1 (ko) 디젤엔진 연료 제어 랙 조절봉 연결핀 추출 공구장치
CN209340366U (zh) 平移门的离合机构
CN204274264U (zh) 一种适用于杆体的滑套
CN107342181B (zh) 一种急停按钮
KR101280758B1 (ko) 격침 분리 장치
CN109476003B (zh) 用于待被压接的元件的快速释放安装工具
JP6780382B2 (ja) ボルト保持治具
CN205571313U (zh) 一种飞机蒙皮拉紧定位装置
AU2014100951A4 (en) Tool for Assembling Planet Carrier Components
KR20110061457A (ko) 엔진 피스톤조립용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